KR910001486Y1 - 릴 부착 기구 - Google Patents

릴 부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86Y1
KR910001486Y1 KR2019880013157U KR880013157U KR910001486Y1 KR 910001486 Y1 KR910001486 Y1 KR 910001486Y1 KR 2019880013157 U KR2019880013157 U KR 2019880013157U KR 880013157 U KR880013157 U KR 880013157U KR 910001486 Y1 KR910001486 Y1 KR 910001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ressing
lever body
lever
reel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3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129U (ko
Inventor
마고도 시모노
Original Assignee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시마노 쇼우조오 filed Critical 시마노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41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릴 부착 기구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릴 부착기구의 요부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제1도 X-X, Y-Y, Z-Z 선의 단면도.
제5도는 가동 누름체를 그성하는 어댑터의 평면도.
제6도는 동 측면도.
제7도는 가동 누름체를 구성하는 후드의 평면도.
제8도는 동 정면도.
제9도는 릴 부착기구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생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축 받침체 11 : 다리 수납부
2 : 가동 누름체 21 : 다리 수납부
22 : 움푹 들어간 단부 3 : 걸림체
4 : 레버체 41 : 조작부
8 : 조작수단
본 고안은 낚시용 릴을 낚싯대에 릴 부착할때에 사용하는 릴 부착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릴 부착기구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소 60-8689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다리를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를 가진 고정 받침체와, 릴 다리를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를 가지고, 상기 고정받침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한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가동 누름체와, 표면에 다수의 걸어맞춤 톱니를 가지고, 상기 가동 누름체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체와, 상기 가동 누름체의 후방측에 기복(起伏)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체와, 이 레버체의 조작으로 상기 걸림톱니에 대하여 걸리거나 벗겨지는(需脫)판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레버체의 기복 조작으로 상기 스프링을 압압하여 그 판스프링을 상기 걸림체의 걸어맞춤 톱니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가동 누름체를 상기 걸림체에 걸리게 하고, 또 상기 레버체의 기립(起立)조작으로 상기 판스프링의 압압력을 해제하여, 그 판스프링을 상기 걸이맞춤 톱니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가동 누름체를 상기 걸럼체에 대하여 이동이 자유롭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상과 같은 릴 부착기부에서는 릴을 낚싯대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체를 상기 가동 누름체측으로 도복(倒伏)조작하여, 상기 스프링의 상기 걸어맞춤 톱니에 대한 걸어 맞춤에 의하여, 상기 가동 누름체를 상기 걸림체에 걸리게 했을때 도복된 상기 레버체와 상기 가동누름체와의 사이에, 큰 단차(段差)가 발생하기 때문에. 고기를 낚을때에, 상기 낚싯대의 릴 부착 부위를 잡았을 경우에, 상기 단차 부분에 손이 접촉되어 아프거나, 감촉이 나쁘거나, 또 상기 단자부분의 발생으로 인하여 전체의 외관이 나쁘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상기 레버체를 상기 가동누름체측으로 도복 조작했을때, 이들 레버체와 가동 누름체가 대략 동일 면 형상이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감촉이 양호하고.또 전체 외관이 양호한 릴 부칙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은 도면의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다리를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11)를 가지는 고정측 받침체(1)와, 릴 다리를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2)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받침체(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가동 누름체(2)와, 상기 가동누름체(2)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체(3)와, 상기 가동 누름체(2)의 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체(4)를 구비하고, 그 레버체(4)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누름체(2)를 상기 걸림체(3)에 걸리도록 구성한 릴 부착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동누름체(2)의 후부에 상기 레버체(4)의 도복시에. 그 레버체(4)의 전단부를 수납하는 움푹들어간 단부(2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4)의 조작부(41)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가동누름체(2)에 부합시켜, 이 가동누름체(2)와 레버체(4)를 그 레버체(4)의 도복시에 대략 동일면형상으로 하는 한편, 이 레버체(4)의 조작부(41)에, 그 레버체(4)를 기립 조작하는 조직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고기를 낚을때, 낚싯대에 릴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레버체(4)를 상기 가동 누름체(2)측으로 도복시컸을때, 이들 가동 누름체(2)와 레버체와는 그 외면이 거의 동인면 형상이 되고, 따라서 상기 낚싯대의 릴부착부위를 집았을 깅우의 감촉이 양호하게 되고. 또 전체에 외관이 양호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관한 릴 부착 기구를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제9도에 나타낸 릴 부착 기구는, 릴(도시생략)의 릴 다리의 일단측을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11)를 가진 고정측 받침체(1)와, 상기 릴 다리의 타단측을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21)를 가지며, 상기 고정측 받침체(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의 가동 누름체(2)와, 외표면에 다수의 걸어 맞춤톱니(31)를 가지며 상기 가동 누름체(2)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체(3)와, 상기 가동 누름체(2)의 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지지되는 레버체(4)와, 그 레버체(4)의 조작으로 상기 걸어맞춤톱니(31)에 대하여 걸리거나 벗겨지는 판스프링(5)과 상기 가동누름체(2)의 후방 부위에, 그 가동누름체(2)에 일체적으로 연결된 압동(押動)부재(6)를 구비하고, 이들 가동 누름체(2)와 압동부재(6)와의 사이에, 상기 레버체(4)를 기복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이 레버체(4)의 내부에 상기 가동누름체(2)와 압등부재(6)를 연결하는 연결기구(7)를 내장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은 릴 부착 기구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4도에 상세히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누름체(2)의 후부에. 상기 레버체(4)의 도복시에 그 레버체(4)의 전단부를 수납가능하게한 움푹들어간 단부(2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4)의 조작부(41)를 상기 가동 누름체(2)와 거의 동일한 단면 반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레버체(4)의 도복시에 그 레버체(4)와 상기 가동누름체(2)와의 외면형상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상기 레버체(4)의 상기 조작부(41)에. 그 레버체(4)를 기립조작하는 조작수단(8)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동 누름체(2)를 합성수지등으로 이루어진 단면이 반원형상인어댑터(2A)와, 이어댑터(2A)와 대략 동일 단면형상을 이루고 그 어댑터(2A)의 외부측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금속등으로 이루어진 후드(덮개)(2B)로 형성된다.
상기 어댑터(2A)는 제5로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단면이 반원형상으로 된 어댑터본체(23)의 내부에, 상기 릴 다리의 타단측을 수납 가능하게한 상기 수납부(21)를 설치하고, 또 상기 어댑터(23)의 전부측에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팽출(膨出)하는 팽출부(24)를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어댑터 본체(23)의 후부측에 그 어댑터 본체(23)보다 낮고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상기 움푹들어간 단부(22)를 일체로 설치하여. 이 움푹들어간 단부(22)의 배면측에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경사진 경사면(22a)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이댑터 본체(23)의 가로방향 양측에 각각 바깥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24)를 일체로 형성한다.
또 상기 후드(2B)는 제7도 및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게 되며. 즉 단면이 반원 형상으로된 후드본체(26)의 후부측에 단면이 블록(凸)형상으로 이루어진 지지부(27)를 일체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후드본체(26)의 가로방향 양측에 각각 상기 어댑터 본체(23)의 각 돌기(25)에 걸어맞추어질 수 있게한 삽통구멍(28)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1도 및 제2도에서 명백하게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 본체(23)에 설치한 각 돌기(25)를 각각 상기 후드본체 (23)에 형성한 삽통구멍(28)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후드(2B)의 외주부위에 상기 어댑터(2A)를 일체 형상으로 부착하는 것으로서. 이 어댑터(2A)를 후드(2B)에 부착함에 있어서는, 상기 후드본체(26)의 전단부가 상기 어댑터 본체(23)에 설치한 팽출부(24)의 배면측에 맞닿고, 또 상기 어댑터 본체(26)와 상기 팽출부(24)와의 외면이 동일면이 되도록 부착하게된다.
또한. 상기 가동누름체(2)를 상기 걸림체(3)에 대하여 걸리고 빗겨지게 조작하는 상기 레버체(4)는. 제1도 및 제3도에서 명백하게 나타난 바와 같이, 그 외면 형상이 상기 가동 누름체(2)에 있어서의 후드(2B)의 외면과 동일 형상이 되도록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레버체(4)를 상기 가동누름체(2) 측으로 도복(倒伏)시켰을때. 이들 가동누름체(2)와 레버(4)와의 외면이 거의 동일면 형상으로 연속되도록 한다.
또, 상기 레버체(4)에 있어서의 조작부(41)의 전면측에는 상기 어댑터 본체(23)에 있어서의 움푹들어간 단부(22)의 경사면(22a)에 맞닿을수 있는 경사부(42)를 형성하여. 상기 레버체(42)의 도복시에 상기 경사부(4)를 상기 움푹들어간 단부(22)의 경사면(22a)에 맞닿게 함으로써 가령 상기 가동 누름체(2)나 레버체(4)등에 가공오차가 있어도 이 레버체(4)와 상기 가동누름체(2)와의 외변 형상을 동일면 형상으로 유지하면서, 상기 레버체(4)의 도복상태에 유지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레버체(4)의 조작부(41)에는 이 레버체(4)를 기립 조작하기 위한 조작수단(8)을 설치하고, 예를들면 이 조작수단(8)으로서, 상기 조작부(41)의 양측벽부에 요함부(凹陷帥)(43)를 설치하고, 이 요함부(43)에 손가락 끝등을 걸어 상기 레버체(4)의 기립조작을 행하게 된다.
또 상기 조작수단(8)으로서는, 상기 레버체(4)에 있어서의 조작부(41)의 하단연(下端緣)과 상기 가동 누름체(2)의 후부측에 일체형상으로 연결한 상기 압동부제(6)의 상부 단연과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을 형성하여. 이 간극에 손가락 끝등을 끼워넣이 상기 레버체(4)의 기립조작을 행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압동부재(6)는 제4도 및 제9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외면형상이 상기 가동누름체(2) 및 상기 레버체(4)와 거의 동일한 형상을 이루도록 대략 반원형상의 단면(斷面)으로 형성하여 상기 압동부재(6)의 내부에 상기 레버체(4)의 후방압압부(44)를 밀어 넣음과 동시에. 그 압압부(44)를 상기 판스프링(5)에 맞닿게 하고 있다.
그리하여 상기 레버체(4)를 하방측으로 도복 조작함으로써. 상기 압압부(44)로 상기 판스프링(5)을 압압하고. 그 판스프링(5)의 후단측을 상기 걸림체(3)의 걸어맞춤 톱니(31)에 걸어맞추어 상기 압동부재(6) 즉 상기가동누름체(2)를 상기 걸림체(3)에 이동 불가능하게 걸어맞춰지게 하고, 또 상기 레버체(4)를 상방측으로 기립 조작함으로써, 상기 압압부(44)의 상기 판 스프링(5)에 대한 압압력을 해체하고, 즉 그 판스프링(5)과 상기걸어맞춤톱니(31)와의 걸림을 해제하여 상기 압동부재(6) 측 상기 가동누름체(2)를 상기 걸림체(3)에 대하여 이동 자유롭게 한다.
또, 상기 압동부재(6)의 후부측에는 조작체(61)를 일체로 설치하고 그 조작체(61)를 손끝 등으로 압동조작함으로써 상기 압동부재(6)를 거쳐 상기 가동누름체(2)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릴을 상기 걸림체(3)에 착탈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가동누름채(2)와, 압동부재(6)와의 사이에 이들 양자를 연결하는 연결기구(7)를 개제시키고, 이연결기구(7)에 의하여 상기 레버체(4)의 도복 조작시에 비록 상기 판스프팅(5)의 상기 걸어맞춤톱니(31)에 대한 걸어맞춤에 약간 차이가 있어도. 그 차이를 흡수하여 상기 가동누름체(2)의 다리 수납부(21)를 상기 릴다리에 획실하게 부착시킬수 있게된다.
상기 연결기구(7)는 제9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ㄷ자 형상의 연결 로드(71)로 이루어지고, 그 연결로드(71)의 길이 방향 중간부위를 상기 압동부재(6)의 전부측에 설치한 지지편(支持片)(62)에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로드(71)의 선단 양측을 상기 가동누름체(2)의 후드(2B)에 설치한 지지부(27)에 걸리게 하는 한편. 상기 연결로드(71)의 후부측을 상기 레버체(4)의 압압부(44)에 맞닿게하고, 이 레버체(4)의 도복 조작시에 상기 연결로드(71)의 후부측을 압동하여. 그 연결로드(71)를 거쳐 상기가동누름체(2)를 전방측으로 압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로드(71)는 가늘고 긴 틀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으며, 그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제9도에 나타낸 고정측 받침대(1)는 상기 걸림체(3)와 일체로 형성하여 띠 형상부재의 권회에 의하여낚싯대에 고정하도륵 형성한 것이나. 기타, 상기 걸림제(3)와 별개로 형성하여 낚싯대에 대하여 그 낚싯대의길이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 고정 받침체(1)의 고정위치를 복수개소에 위치 결정할 수 있도륵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레버체(4)의 후부측에 상기 압동부재(6)를 설치하고, 이 압동부재와 상기가동 누름체(2)와의 사이에, 상기 연결기구(7)을 개개시키도록 했으나, 본 고안은 상기 압동부재(6) 및 연결기구(7)를 설치하지 않은 통상의 릴 부착기구에 적응할 수도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가동누름체(2)를 어댑터(2A)와. 후드(2b)에 의하여 형성했으나, 어댑터(2A)와 후드(2B)를 일체화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 가동누름채(2)의 움푹들어간 단부(22)에 경사면(22)을 실치하여이 경사면(22a)에 도복한 레버체(4)를 맞닿게 하도록 했으나 기타, 상기 경사면(22a)을 없애고 제10도와 같이움푹들어간 단부(22)인의 상면에 도복한 레버체를 맞닿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 레버체(4)의 조작으로 가동누름체(2)의 이동을 저지하는 수단으로서, 표면에 다수의 걸어맞춤 톱니(31)를 가진 걸림체(3)와 상기 걸어맞춤톱니(31)에 대하여 걸리거나 빠지는 판스프링(5)과 연결기구(7)를 사용했으나. 그 구성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요컨데. 레버체(4)의 기립시 상기 가동 누름체(2)의 이동을 허용하고. 레버체(4)의 도복시 가동누름체(2)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릴 부착 기구에서는 상기 가동누름체(2)의 후부에 상기 레버체(4)의 도복시. 그 레버체(4)의 전단부를 수납하는 움푹들어간 단부(22)기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4)의 조작부(41)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가동 누름체(2)에 부합시켜. 이 가동누름체(2)와 상기 레버체(4)를 그 레버체(4)의 도복시에. 외면형상이 대략 동일면이 되도록 형성하는 한편, 이 레버체(4)의 조작부(41)에 그 레버체(4)를 기립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낚싯대에 릴을 부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체(4)를 상기가동 누름체(2)축으로 도복 조작했을때. 이들 가동누름체(2)와 레버체(4)와의 외면형상을 확실하게 동일면형상으로 할수가 있고 따라서 상기 낚싯대의 릴 부착 부위를 잡았을 때의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고, 또전체 외관을 양호하게 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

  1. 릴 다리를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11)를 가진 고정측 받침체(1)와, 릴 다리를 수납하는 다리 수납부(21)를 가지고. 상기 고정측 반침제(1)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한 단면이 대략 반원형인 가동 누름체(2)와, 상기가동누름체(2)의 이동을 저지하는 걸림체(3)와. 상기 가동누름체(2)의 후방측에 기복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버체(4)를 구비하고, 이 레버체(4)의 조작으로 상기 가동 누름체(2)를 상기 걸림체(3)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릴부착기구로서, 상기 가동 누름체(2)의 후부에 상기 레버체(4)의 도복시. 그 레버체(4)의 전단부를 수납하는 움푹들어간 단부(22)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체(4)의 조작부(41)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을 상기 가동누름체(2)에 부합시켜. 이 가동누름체(2)와 상기레버체(4)를 그 레버체(4)의 도복시에 대략 동일면형상으로 하는한편, 이 레버체(4)의 조작부(41)에. 그 레버체(4)를 기립 조작하는 조작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릴 부착기구.
KR2019880013157U 1987-08-12 1988-08-10 릴 부착 기구 KR91000148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4184 1987-08-12
JP1987124184U JPH0626154Y2 (ja) 1987-08-12 1987-08-12 リール取付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129U KR890004129U (ko) 1989-04-17
KR910001486Y1 true KR910001486Y1 (ko) 1991-03-07

Family

ID=31373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3157U KR910001486Y1 (ko) 1987-08-12 1988-08-10 릴 부착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26154Y2 (ko)
KR (1) KR9100014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1656Y2 (ja) * 1990-04-05 1996-09-25 ダイワ精工株式会社 リ―ル脚固定装置
JP5032387B2 (ja) * 2008-05-01 2012-09-26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5041432B2 (ja) * 2008-05-01 2012-10-03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シート及び釣竿
JP2011067121A (ja) * 2009-09-25 2011-04-07 Shimano Inc リールシー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129U (ko) 1989-04-17
JPS6428868U (ko) 1989-02-21
JPH0626154Y2 (ja)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5414A (en) Fuse holder construction
US6352442B1 (en) Connector in which a FPC is tightly held between a housing and a movable actuator with being connected to the connector
JPH0530307Y2 (ko)
JP2896783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の二重ロック構造
TW301816B (ko)
JPH07313215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の自動停止機構付きスライダー
US5902142A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r a flexible flat cable
JPH11266908A (ja) バックル
KR910001486Y1 (ko) 릴 부착 기구
EP0505199A2 (en) Connector with terminal holder
US4493526A (en) Jack
US3676912A (en) Electrical contact insertion-extraction tool
US5174779A (en) Electrical connector
US5683262A (en) IC socket
US5875887A (en) Contact switch assembly having a conductor that holds a movable contact plate
JPS59126508A (ja) 光コネクタ
JPS6136210Y2 (ko)
KR950008067B1 (ko) 낚시대용 리일시트
JP3504330B2 (ja) 時計バンドの中留構造
JPH0426190B2 (ko)
JPH08129620A (ja) Pcカード用コネクタ
KR970046028A (ko) 드럼 브레이크
JPH09306589A (ja) コネクタ装置
JP3552146B2 (ja) 電気部品の係止構造
KR0116306Y1 (ko) 버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