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80B1 -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80B1
KR910001480B1 KR1019890003775A KR890003775A KR910001480B1 KR 910001480 B1 KR910001480 B1 KR 910001480B1 KR 1019890003775 A KR1019890003775 A KR 1019890003775A KR 890003775 A KR890003775 A KR 890003775A KR 910001480 B1 KR910001480 B1 KR 910001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go hold
ship
tank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207A (ko
Inventor
구광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용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용길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03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80B1/ko
Publication of KR900014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컨테이너 전용 운반선
제1도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화물창을 보인 개략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화물창을 보인 개략 측단면도.
제3-1도는 본 발명의 화물창 개조 후의 배치를 보인 개략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보인 개략 단면도.
제5도는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보인 개략 측단면도
본 발명은 해치카바가 있는 컨테이너전용 운반선으로, 컨테이너의 적재가능 개수를 최대화하고, 화물창내의 컨테이너 배치를 적절히 하여 하역시간을 단축토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운반선은 일정한 항로를 운행하는 정기선으로 대부분 파나마운하를 통과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파나마운하를 통과하는 선박의 경우 선박의 길이는 965피트, 폭 106퍼트를 초과하지 못하도록법제화되어 있다 따라서, 제한된 길이와 폭내에서 가능한 화물을 최대한 적재하는 것이 크게 요망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며, 국제적으로 컨테이너 규격, 특히 일정하게 통일되어 있는 관계로 선측탱크가 있는 컨테이너 운반선에서는 선창내에 적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갯수가 배의 폭방향으로 10얼이 최대치로 되어 있는 실정이고, 따라서, 파나막스(PANAMAX)급 컨테이너선이 최대 적재가능 갯수는 약 3600개 정도 이었다. 그러나, 최근들어 급증하는 컨테이너 물동량을 소피파기 위해서 컨테이너 운반선을 대형, 고속화하는 추세에 있으나, 고속차는 초기 투자 및 운영비 등을 고려하여 볼때 어느정도 한계점에 도달해 있으며, 대형화 또한 파나마운하의 제한된 규격으로 한계가 있는 형편이다.
제4도는 종래 컨테이너선의 화물창을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화물창(21)극 해치카바(22) 하부에 1개 내지 2개의 갑판종통보(DECK GIRDER) (23)가 위치하고 있는데, 이것은 해치카바(22)를 지지하는 해치코밍(HATCH COAMING) (24)으로써, 해치카바 상부의 컨테이너 (C)의 하중을 지지하여주는 지지보역할을 하고 있다.
즉, 갑판종통보(23)가 화물창(21)중간에 위치하게 되므로, 선폭에서 선측탱크 및 갑판종통보 등을 빼고나면 컨테이너(C)의 수가 제한될 수 밖에 없어 배의 폭방향으로 적재가능한 컨테이너(C)수가 자동적으로 10열로 제한되게 된다. 그리고, 해치카바(22) 연결부위내에서 화물창(21)내의 컨테이너(C)와 해치카바(22)상부의 컨테이너(C) 위치가 불일치하므로, 화물의 하역시 필요 이상의 컨테이너(C) 이동이 불가피하다.
또한, 화물창(21)에 있어서, 파이프닥터(25)가 이중저탱크(DOUBLE BOTTOM TANK) (26)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선박의 폭에 비해 높이가 큰 선박의 경우 안전성에 불리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제5도에 보이는 종래의 화물창은 2개의 수밀격벽 (27) 사이에 1개의 제수격벽 (28)이 놓여져, 20피트 또는 4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 (C)만을 적재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5도의 도면중 29는 상갑판, 30은 측면탱크, 31은 주통행로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규격내의 화물창의 공간을 최적화하여 컨테이너의 적재가능 갯수를 최대화하고, 해치카바 연결부위에서, 상,하간 컨테이너의 적절한 배치로 항구에서의 하역시간을 단축토록 하며, 45피트, 48피트, 49피트형 등의 대형컨테이너의 출현에 대비하여 종래의 20피트와 40피트형 화물창을 적절히 재배치하여 추후 대형컨테이너를 적재가능하도록 고려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컨테이너선(1)을 보인 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화물창(2)을 보인 개략 단면도로서, 종래에 설치되어 있는 갑판종통보를 없애고, 해치코밍 (3)부위에 박스형상의 보강재(4)를 설치하여 갑판종통보가 갖던 선체종강도를 보상토록 하였으며, 그리고,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치카바(6) 연결부에서 해치카바 측단부(6')와 화물창(2)내의 컨테이너 (C)의 적층선(C') 및 해치카바(6) 상부의 적층된 컨테이너 (C)의 적층선(C')이 거의 일치되도록 배치토록 하고,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개의 화물창내 양단의 수밀격벽 (8) (8') 사이에 두개의 제수격벽 (7) (7『)을 설치하여 배의 구조를 보강시킴과동시에. 4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 및 20피트 규격의 컨테이너는 물론 향후 45피트. 48피트, 49퍼트 등 대형컨테이너의 적재가 필요할 경우에는 화물창내 두개의 제수격벽 (7') (7")을 제거하고,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창(2)내 중앙에 한개의 제수격벽 (7)을 설치하므로써, 대형컨테이너의 적재를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컨테이너선(1)외 항해시 안전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닥터(9)를 측면탱크(10)의 주통행로(31)에 배치하고, 탱크(11) 전부위를 워터 발라스트 탱크(WATERBALLAST TANK)로 사용하여 선박의 복원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선박의 안전성에 필요한 워터 발라스트 양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하여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물창(2) 양단의 수밀격벽 (32) (32')에 워터 발라스트 탱크를 배치하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에 설치되어 있던 갑판종통보를 없애고 해치로밍 (3)을 박스형상으로 배치하여, 요구되는 배의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화물창(2)내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므로써 법제화된 선박의 폭이 내에서 11줄의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한정된 선박의 촌법으로서 최대한의 재화촌수를 확보하기 위하여 선측외판의 형 기준선을 법제화된 최대의 선박의 폭에 맞추어 강판의 두께를 안쪽으로 놓이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보다 넓은 공간부를 이용하여 해치카바 연결부위에 위치하는 상 · 하 컨테이너 (C)의 배열을 일치시켜 최소한의 컨테이너의 이동으로 화물창(2)내의 컨테이너 (C) 하역이 극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개의 제수격벽 (7') (7") 사이에 20피트 2줄 또는 40피트 한줄의 컨 테이너를 적재하고, 투하의 제수격벽 (7') (7"'1 사이에 20피트 컨테이너를 설치할 수 있도록하여 40피트 이상규격의 대형컨테이너 (C) 즉, 45피트, 48피트, 49피트 규격 컨테이너 (C)의 적재가 필요할 경우 제3-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제수격벽 (7') (7")을 제거하고, 선창중앙에 제수격벽 (7) 사이에 대형컨테이너 (C)를 적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선박의 항해시 복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중저탱크(11)내에 있는 파이프닥터 (9)를측면탱크(10)의 주통행(31) 하부로 옮겨 파이프 배치의 일원화는 물론 이중저탱크내의 닥터키일(종래 제5도의 파이프닥터 (25)부분)을 없애는 대신 이중저탱크(11)를 모두 워터 발라스트 탱크로 사용함과 동시에,수밀격벽상에도 워터 발라스트 탱크를 배치하여 특히 선박의 폭에 비해 높이가 큰 선박에 최대의 안전성을부여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파나막스형 컨테이너선으로서 컨테이너의 적재능력을 최대한 늘릴 수 있어 컨테이너의 단위 운송비를 절감할 수 있고, 화물창내 컨테이너의 적절한 배치로써, 하역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있으며, 선박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컨테이너 현 표준 규격인 20피트 및 40피트 규격뿐만 아니라, 그 이상의 규격을 갖는 컨테이너를 적재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갑판종 통보를 없애므로 선박 건조가 용이하고, 건조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1)

  1. 측면탱크를 갖는 파나막스형의 컨테이너선(1)에 있어서, 해치로밍 (3)을 박스형상으로 취하고. 갑판종통보를 없애며, 측면탱크-(10)의 폭을 줄여 화물창(2)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고 화물창내 11줄의 컨테이너(C)를 적재토록하고, 해치카바(6) 연결부위에서 상 · 하간 컨테이너 배치를 일치토록 함과 동시에, 파이프닥터 (9)를 상기 측면탱크(10)의 주통행로(31) 하부에 배치하고, 이중저탱크(11)내의 닥터키일을 없애는 대신 이중저텡크(11) 전부위를 워터 발라스트 탱크로 사용하며, 수밀격벽 (32) (32')에도 워터 발라스트 탱크를배치한 다음, 한개의 화물창(2)내에 두개의 제수격벽(7')(7")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컨테이너(C)의 크기에 맞추어 화물창(2)을 제조할 수 있는 배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KR1019890003775A 1989-03-25 1989-03-25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KR910001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3775A KR910001480B1 (ko) 1989-03-25 1989-03-25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3775A KR910001480B1 (ko) 1989-03-25 1989-03-25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207A KR900014207A (ko) 1990-10-23
KR910001480B1 true KR910001480B1 (ko) 1991-03-09

Family

ID=1928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775A KR910001480B1 (ko) 1989-03-25 1989-03-25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4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823A (ko) * 2014-05-14 2015-1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용 파이프가 적재되는 해치 커버가 구비된 시추선
KR20190088789A (ko) * 2018-01-19 2019-07-2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0823A (ko) * 2014-05-14 2015-11-2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시추용 파이프가 적재되는 해치 커버가 구비된 시추선
KR20190088789A (ko) * 2018-01-19 2019-07-29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연료 추진 컨테이너 운반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207A (ko) 199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3285A (en) Container ship
KR20130033894A (ko) 결합형 래싱브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
EA001289B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хранения и выгрузки грузовых контейнеров с агрегатом тележки на палубе
EP1035998B1 (en) A transport ship
US3318276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2440307A (en) Ship hold
US3038432A (en) New type general cargo carrying ship
KR910001480B1 (ko) 컨테이너전용 운반선
KR102525152B1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US6135044A (en) Transport ship
US3408972A (en) Container ship with main cargo above main deck
US2985131A (en) Container ship
KR100350354B1 (ko) 고체및/또는액체하물을운송하기위한운송선
US4292915A (en) Ocean-going barge carrier
US2938487A (en) Vessel with individually dumpable containers for bulk material
US3836026A (en) Method of transporting ship cargo
US2539168A (en) Container ship
US5158031A (en) Ballast tank elements for a double hull vessel
JP2005219559A (ja) 貨物船
KR910000636B1 (ko) 개방셀형 콘테이너 운반선
JP3637044B2 (ja) 長尺物輸送貨物船
US3903822A (en) Barge which can be stacked on barge-carrying ships
KR810001196B1 (ko) 선 체
JPH05105180A (ja) 二重船殻式船用バラストタンク要素
KR820001819B1 (ko) 도크선박(docksh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3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