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401B1 - 편향 요크 - Google Patents

편향 요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401B1
KR910001401B1 KR1019880006034A KR880006034A KR910001401B1 KR 910001401 B1 KR910001401 B1 KR 910001401B1 KR 1019880006034 A KR1019880006034 A KR 1019880006034A KR 880006034 A KR880006034 A KR 880006034A KR 910001401 B1 KR910001401 B1 KR 910001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deflection
leg
coil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964A (ko
Inventor
아끼라 가와바따
요시까즈 데라사끼
다까시 이노우에
히데노리 다끼따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278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25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34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465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13573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989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7012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1988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미쯔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64A/ko
Priority to KR1019900015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4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 H01J29/56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ross-section of ray or beam; Arrangements for correcting aberration of beam, e.g. due to lenses for correcting aber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01J29/705Dynamic convergence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56Correction of beam optics
    • H01J2229/568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 H01J2229/5681Correction of beam optics using supplementary correction devices magnetic
    • H01J2229/5687Auxiliary coil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향 요크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1도의 편향 요크의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를 제공하는 음극선의 래스터를 나타내고, 왜곡을 보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개략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편향 요크에 사용되는 자화수단의 다른 변형 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사시도.
제11도는 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10도의 편향 요크의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
제12도는 제10도에 도시한 편향 요크의 변형 형태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사시도.
제14도는 3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13도의 편향 요크의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에 도시한 편향 요크의 변형 형태의 사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
제17도는 전류의 방향과 전자빔의 편향 방향 사이의 관계를 설명한 제16도의 편향 요크를 정면에서 본 단면도.
제18도는 제17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제19도는 종래의 편향 요크를 사용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개략적인 수직 단면도.
제20도는 종래의 편향 요크의 사시도.
제21도는 제19도의 음극 선관의 형광 스크린부를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으로 나타내는 도면.
제22도는 컬러 음극 선관에서 형광 스크린부와 편향 요크 사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제23도는 컬러 음극 선관에서 SP 패널 또는 비구면의 형광 스크린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
제24도는 구면을 마련한 컬러 음극 선관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
제25도는 제24도와 유사하고, SP 패널을 마련한 컬러 음극 선관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
제26도는 종래의 왜곡 보정회로에 의해 보정된 후에 스크린에 발생하는 시갈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
제27도는 시갈 왜곡의 발생을 최소로 하도록 고안된 종래의 편향 요크의 사시도.
제28도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제27도의 종래의 편향 요크를 정면에서 본 개략 단면도.
제29도는 제27도의 편향 요크를 마련한 컬러 음극 선관의 스크린에 발생하는 왜곡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텔레비젼 수상기에 사용되는 음극선에서의 편향 요크(yok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극 선관에 있는 전자총으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을 편향하도록 펀넬(funnel)부와 네크(neck)부의 부근에서 컬러 음극선관에 탑재되는 편향 요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종래의 편향 요크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먼저 종래의 편향 요크를 사용하는 컬러 음극 선관의 개략적 수직 단면도인 제19도에 있어서, 컬러 음극선관(50)은 원추형의 펀넬부(52), 펀넬부(52)의 짧은 직경끝에서 돌출되는 원통형의 네크부(53), 네크부(53)의 반대편에 위치하고 펀넬부(52)의 긴 직경끝에 마련된 화면(51)로 구성되는 고진공 엔벌로프를 포함한다. 화면(51)은 화면(51)의 유효 스크린부(100)의 내면에 형광막(55)를 배치하며, 형광막(55)가 배치되어있는 화면(51)의 부분은 네크부(53)으로부터 멀어지는 바깔쪽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음극 선관은 네크부(53)안에 마련되는 전자총(54)와 하면(51)에 나란히 전개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화면(51)의 내부에 위치한 작은 구멍의 새도마스크(shadow mask)(56)을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새도마스크(56)은 일반적으로 정밀한 원형 구멍의 3개가 1조로된 작은 구멍(56a)의 일정한 패턴을 가지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되고 화면(51)의 곡률에 따라 휘어져 있다. 새도마스크(56)은 도시하지 않은 리테이너(retainer)의 수단에 의해 화면(51)의 내부에서 화면(51)에 대하여 동일한 간격으로 유지된 지지 프레임(57)에 고정되는 바깥 둘레부를 가지고 있다.
편향 요크(1)은 펀넬부(52)와 네크부(53) 사이의 경계에서 음극 선관(50)의 바깥쪽에 탑재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의 음극 선관(50)에 있어서, 전자총(54)로부터 발사되는 전자빔(70)은 새도마스크(56)의 구멍(56a)를 통해 화면(51)을 향해 주행하고 유효 스크린부(100) 즉 형광 스크린에 충돌한다. 그리고 형광 스크린부(100)을 향하여 전자총(54)에서 발사된 전자빔(70)은 편향 요크(1)에 의해 음극 선관(50)의 내부에서 발생된 전자장을 통과한다. 전자장을 통하여 전자빔(70)이 통과하는 동안 전자빔(70)은 유효 전자장의 편향중심(D)에서 편향되고, 새도마스크(56)의 작은 구멍(56a)를 통과한 후에 형광막(55)의 일정한 부분에 충돌하여 그 부분에서 발광한다.
종래의 편향 요크(1)은 뒤에서 본, 즉 네크부(53)에서 펀넬부(52)까지를 나타낸 사시도인 제20도를 참조로하여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 요크(1)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페라이트 같은 강자성체로 만든 관형 코어(2), 수평 편향 코일(3), 수직 편향 코일(4)를 포함한다. 수평 편향 코일(3)은 관형 코어(2)를 감고 판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한쌍의 안장형의 코일로 구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전자빔(70)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마찬가지로 수직 편향 코일(4)도 환형으로 관형 코어(2)를 감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된 한쌍의 코일로 구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전자빔(70)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하는데 사용된다.
상술한 구성의 음극 선관에 있어서, 새도마스크(56)의 일부에서 휘거나 돔(dome) 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돔 현상은 전자빔(70)의 충돌의 결과로써 새도마스크(56)이 국부적으로 승온되어 전자빔(70)의 주행 방향으로 볼록하게 되는 현상이며, 그후 전자빔(70)은 형광 스크린부(100)을 향해 주행한다. 그결과 열이 집중되는 새도마스크(56)의 상기 국부에서 발생하는 열팽창은 새도마스크(56)의 상기 국부를 전자빔(70)의 주행 방향에 대해 바깥쪽 즉 형광 스크린부(100)을 향해 인접한 방향으로 더욱 돌출시킨다. 일단 이러한 돔 현상이 발생하면, 새도마스크(56)의 상기 국부는 원래의 위치로부터 새도마스크(56)이 내입전자빔(70)을 바람직하게 차폐하지 못하는 다른 위치로 바뀌어지며, 형광 스크린부(100)에 전자빔(70)이 좋지 않게 통과해서 색순도의 열화를 초래한다.
돔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책중의 하나로써, "Television, Vol. 31, No. 6, P46∼52"에는 새도마스크의 곡률 반경이 가능한한 작아야 한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새도마스크(56)의 곡률은 일반적으로 화면(51)의 형광 스크린부(100)이 곡률을 고려하여 선택되므로, 새도마스크(56)의 곡률 반경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수단은 화면(51)상의 형광 스크린부(100)의 곡률 반경이 가능한 작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그러나 형광 스크린부(100)의 보다 작은 곡률 반경의 선택은 텔레비젼 시청자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일반적으로 볼록한 새도마스크(56)과 형광 스크린부(100)이 텔레비젼 시청자를 향한 방향으로 더욱 돌출하는 음극 선관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음극 선관의 제안은 좋은 화상을 제공하기 위하여 화면을 평면으로 고안하는 최근의 추세와 현저히 다르다.
최근의 추세에 비추어볼때, 비구면의 형상으로 된 화면을 가지는 음극 선관을 제공하도록 절충되었고 비구면은 SP 패널(panel)로써 다음에 기술한다.
여기서 SP 캐널의 특징과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 선관의 독특한 화상 왜곡에 관한 문제점을 설명한다.
사각 형광 스크린부(100)을 메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으로 나타낸 제21도에 있어서, 원점 0는 음극 선관(50)의 세로축에 일직선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심에 위치하고, x축은 형광 스크린부(100)의 사각 형상의 긴 면에 나란한 방향이고, y축은 형광 스크린부(100)의 사각 형상의 짧은 면에 나란한 방향이며, z축은 형광 스크린부(100)이 돌출한 방향이다. x축,y축은 제19도에 도시한 편향 요크(1)의 수평 및 수직 편향 방향에 각각 해당한다.
제22도는 편향 요크(1)과 형광 스크린부(100)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며, 제23도는 xy 평면에 주어진 형광 스크린부(100)의 반쪽 부분을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형광 스크린부(100)의 절단면이 z=f(x)이면, X가 임의의 값일때 곡률 반경 Px는 다음의 식으로 나타낸다.
PX=-[1+(df/dx)2]3/2/(d2f/dx2)
따라서, 곡률 반경 Px가 정의 값이면 형광 스크린부(100)은 +z축 방향으로 돌출된다.
원점 0으로부터 x축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한쪽 끝까지의 거리를 Xmax라면, SP 패널은 곡률 반경이 x=0에서 곡률 반경 Po보다 작은 부분을 가질 수 있고, 그 부분은 xy 평면상의 원점 0로부터 멀리 떨어진 각각의 거리 2/3Xmax과 3/4Xmax 사이에 위치한다라고 말할 수 있다.
상술한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 선관에 있어서, 돔 현상의 발생이 스크린의 평탄도에 나쁜 영향을 주지않고 좋게 감소시킬 수 있는 이유를 다음에 기술한다.
특히 편향각이 작은 새도마스크(56)의 국부 즉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앙(x=0)에 인접한 곳에서 심하게 돔 현상이 발생하더라도, 새도마스크(56)의 국부의 변위는 전자빔(70)의 충돌점의 위치에서 어긋남이 작으므로 사실적인 손상이 작고,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앙 부근의 평탄도는 SP 패널이 평탄하게 보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곡률 반경 Po를 비교적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에서부터 거리 Xmax 떨어진 형광 스크린부(100)의 주변에서, 새도마스크(56)의 주변부가 지지 프레임(57)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새도마스크(56)의 주변부는 돔 현상으로 인한 열 변형이 실질직으로 없어진다. 또한 변형이 있더라도 텔레비젼 시청자의 시선은 SP 패널의 주변부에 집중되지 아니하므로 텔레비젼 시청자는 나쁜 영향을 받지 않는다. 여기에 비추어 볼때, x=Xmax에서의 곡률 반경 P는 그다지 중요하지않다.
이상의 것을 종합해 볼때, 돔 현상의 발생 및 색순도의 부수적 변형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x=0과 x=Xmax 사이, 특히 x=2/3Xmax와 x=3/4Xmax 사이의 형광 스크린부(100)의 부분에서의 곡률 반경 Px는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심에서의 표면 곡률 Po에 비해 가능한한 작아야 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SP패널은 이러한 결론의 바탕으로 개발된 것이다.
재생되는 화상 왜곡에 관한 또다른 문제점을 다음에 설명한다. 예를 들면 구면 형광 스크린부(100)을 가지는 음극 선관의 스크린상에 수평으로 나란한 영상선을 재생할때의 결과를 제24도에 도시한다. 특히 수평영상선(110)은 제24도의 점선과 같이 서로 나란하게 재생되어야만 되는데, 실제로 재생되는 수평 영상선(110)은 휘게 되어 x축 방향의 거리가 형광 스크린부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x축에서 멀어지게 된다. 이것은 편향 요크(1)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장에서의 편향점(D)와 제19도에 도시한 형광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x축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커지기 때문이다 x축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x축에서 멀어지는 수평 영상선(110)의 변위량을 △y라 가정하면,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에서 형광 스크린부(100)의 좌표점이(x,y)일때 변위량 △y는 실질적으로 x2y에 비례한다. 일반적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모양이 구면이기 때문에, 형광 스크린부(100)이 곡률 반경이 감소되면 변위량 △y는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편향 요크(1)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장의 형태를 적당하게 조절하면 변위량 △y는 어느 정도 감소될 수 있다.
형광 스크린부(100)의 곡률 반경을 감소하고 전자장의 형태를 조절하더라도 수평 영상선(110)의 상기 왜곡을 완전하게 제거하기는 어렵고 약간의 변위량 △y가 남는다 그리고 남아 있는 변위량 △y가 여전히x2y혹은 x의 2차 및 Y의 1차의 간단한 함수값에 비례하므로 편향회로에 부가되는 왜곡 보상회로는 실질적으로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 선관에 있어서 동일한 수평 영상선(110)이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것을 개략적 설명도인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P 패널에 있어서, xz 평면에서의 형광 스크린부(100)의 곡률 반경이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편향점(D)와 형광 스크린부(100) 사이의 간격 변화량은 xy 평면에서의 x=2/3Xmax인 위치에 대하여 각각 안팎으로 다르며, 따라서 x2y 값에 비례하는 변위량 △y일 뿐만 아니라 x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수평 영상선(110)이 형광 스크린부(100)의 중심(x>2/3Xmax)으로부터 멀어지는2/3Xmax의 바깥부분에서 X축에 갑자기 접근하는 경향이 있다.
화면 전체를 평면으로 생각하는 수단의 하나로써 Xz 평면에 나란한 평면을 따라 주어진 SP 패널의 하나의 긴쪽 부분(예를 들면 y=Yamx 위치)의 단면에서 볼 때, x축으로 수평 영상선(110)이 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결과로써 z축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변화량이 감소되는 것을 예측해도 좋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할 경우에,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수평 영상선(110)은 제26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제26도에 도시한 왜곡은 시갈(seagal) 왜곡을 나타낸다. 편향회로에 있는 왜곡 보상회로의 사용은 시갈왜곡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이다. 그러나 왜곡 보상회로를 고안하는 것이 어렵고, 고안이 가능하더라도 변위량 △y가 x와 y의 고차함수가 되기 때문에 음극 선관의 제조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제27도는 제26도에 도시한 시갈 왜곡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도록 고안된 종래의 편향 요크(1)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제2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9도와 제20도에 나타낸 편향 요크(1)은 또 코어(2)의 세로축에 서로180° 간격을 두며 코어(2)의 큰 직경 끝에 끼워 맞추어진 끝면 플렌지(8a)에 고정되고 전자빔이 형광 스크린부를 향해 바깥쪽으로 발사되는 전자총의 출구에 정렬되는 위치에 있는 한쌍의 양극성 자석(10)을 마련하고 있다. 제27도의 편향 요크(1)은 끝면 플렌지(8b)의 반대편에서 코어(2)위에 탑재된 세퍼레이터(8)를 가지고 있다.
제27도에 도시한 구성의 음극 선관의 동작은 제2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양극성 자석(10)의 각각의 크기와 형상을 적절하게 선택하므로써, 각각의 양극성 자석(10)와 한쪽의 극에서 다른 쪽의 극으로 방사되는 양극성 자석(10)에 의해 편향 요크(1)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자속(11)의 수평 성분은 4개의 대각선 부분에서 이동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b), (7Gc), (70d)에 따라 루우프를 나타내며 화살표(11y)로 나타낸 바와 같이 y축 방향에는 일치하고 x축 방향에서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내지(70d)를 편향시켜서, 대각선 방향으로 스크린의 중심으로부터 간격을 둔 스크린 4모서리 부분의 어느 한 부분에 나타나는 시갈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양극성 자석(10)에 의해 편향 요크(1)의 내부에 발생하는 자속(11)의 수직 성분을 생각할때 주로 수평 방향으로 편향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는 x축 방향의 힘(11x)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서로 방향 즉 스크린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를 가깝게 잡아 당기고, 그 결과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는 스크린 중심의 안쪽으로 국부 돌출(112a)하여 바늘꽂이 왜곡으로 나타내는 제29도의 (112)와 같이 왜곡된다. 그러한 바늘꽂이 왜곡은 형광 스크린부를 향해 주행하는 전자빔이 양극성 자석(10)에 접근함에 따라 2차 함수로 증가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스크린의 반대쪽 부분에서 화상 왜곡을 보상하는 종래의 바늘꽂이 보상회로의 사용은 배럴 왜곡이 스크린 중심 부근에서 발생되어도 좋다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바늘꽂이 보상회로의 사용은 제29도의 국부 돌출(112a)로 나타낸 것과 같은 왜곡을 제거하는 데는 효과가 없다는 부수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SP 패널을 가지는 음극 선관에 발생하는 시갈 왜곡을 실직적으로 제거하려고 고안된 종래의 편향 요크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수직 방향으로 발생되는 왜곡인 시갈 왜곡은 실질적으로 감소되는 반면에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 왜곡인 바늘꽂이 왜곡은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그렇게 발생하는 바늘꽂이 왜곡은 재생되는 바늘꽂이 화상 상태 어딘가에서 국소적인 오목부를 동반하는 형상으로 균일하지 못하고 복잡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과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되었고, 본 발명의 제1의 목적은 음극 선관의 수평 방향으로 발생하는 왜곡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고 음극 선관의 수직 방향으로 발생하는 왜곡인 시갈 왜곡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기에 효과적인 편향 요크를 마련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형태의 개선'된 편향 요크를 마련하여 음극 선관의 SP 패널의 곡면 스크린상에 나타나는 왜곡을 간단한 수단 예를 들면 편향 코일을 적절하게 감아서 배치하는 것으로써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여기에 나타낸 편향 요크는 관형 코어, 코어에 감겨서 코어의 세로축에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며, 형광 스크린부를 향해서 전자총으로부터 발생되는 전자빔을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1쌍의 제1의 편향 코일, 코어에 환형으로 감겨져서 전자빔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하는 제2의 편향 코일을 포함한다. 1쌍의 자석 부재는 서로 대향해서 코어에 탑재되며 코어의 세로축에서로 180도 간격을 두고 코어의 세로축에 수직한 영상 수평축에 위치한다. 코어에 탑재된 각각의 자석 부재는 다리가 수직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있는 긴 몸체로부터 돌출된 1쌍의 다리를 가지는 긴 몸체로 구성된다. 또, 각 자석 부재의 자화수단은 각 자석 부재의 다리에 소정의 극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마련되어, 수평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의 4모서리 지역의 어느 한 곳을 향해 주행하는 전자빔을 편향하도록 자기 편향력을 발생시키고, 수평축의 부근에서 수평 방향으로 자기 편향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자속이 관형 코어의 가로축에 대하여 상,하부에서 발생되는 것에 의해, 위로 향한 편향력과 아래로 향한 편향력은 가로축 위의 상부와 가로축 아래의 하부에서 주행하는 전자빔의 일부를 위쪽 및 아래쪽으로 편향하기 위하여 상하의 대각선부에서 발생한다.
또한 각각의 자석 부재는 예를 들면 E자형 U자형으로 구성되지만,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향하는 방향으로 수평축의 부근에서 주행하는 전자빔의 일부를 편향시키는 실질적인 힘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평 방향에 수반되는 바늘꽂이 왜곡없이, 수직 방향에 발생하는 시갈 왜곡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관형 코어에 감겨 있는 제2의 편향 코일은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 70°보다 크지 않는 각 이내에 위치하는 주권선과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 65°내지 약 90°의 각 이내에 위치하는 보조 권선으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제2의 편향 코일의 사용은 시갈 왜곡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효자가 있다. 특히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 70°보다 크지 않은 각도 이내에 위치하는 제2의 편향 코일의 주 권선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때 합성 자속은 수직 방향으로 후자를 편향시키도록 전자빔의 일부에 작용하는 반면, 수직 방향에 대하여 약 65° 내지 약 90°각 이내에 위치하는 제2의 편향 코일의 보조 권선을 통해서 전류가 흐를때 합성 자속은 음극 선관의 스크린의 대각선 방향으로 후자를 편향시키도록 전자빔의 일부에 작용한다. 대각선 방향으로 전자빔의 일부를 편향하는데 작용하는 힘은 수평 방향으로 스크린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즉 전자빔이 제2의 편향 코일의 보조 권선에 접근함에 따라 강해져서, 시갈 왜곡은 실질적으로 유효하게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참조 도면에서의 번호가 동일한 것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 것임에 유의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1)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같은 강자성체로 만든 범용의 관형 코어(2), 수평 편향 코일(3), 수직 편향 코일(4)로 구성된다. 수평 편향 코일(3)은 관형 코어(2)에 감기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안장형 코일로 구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수직 편향 코일(4)도 관형 코어(2)에 환형으로 감기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코일로 구성되며, 수직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
또한 제1도에 도시한 편향 요크(1)은 수평 편향 코일(3), 수직 편향 코일(4)을 지지하기 위한 세퍼레이터(8)을 포함하고, 상기 세퍼레이터(8)은 컬러 음극 선관의 펀넬부에 인접한 앞쪽 끝면 플랜지(8a)와 음극선란의 네크부에 인접한 뒤쪽 끝면 플랜지(8b)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편향 요크(1)은 관형 코어(2)의 양쪽에 마련되고 관형 코어(2)의 가로축에 위치하는 자석부재(12)를 포함한다. 관형 코어(2)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 자석 부재(12)는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유지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수직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긴 몸체(12c)에 수직 방향으로 각각의 반대쪽 끝에서 돌출된 1쌍의 다리(12b), 다리(12b) 사이의 중간에 위치하고 다리(12b)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한 중간 다리(12a)를 가지는 긴 몸체(12c)로 구성되며,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전체적으로 E자형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자석 부재(12)는 다리(12a),(12b)가 관형 코어(2)를 마주보는 상태에서 관형 코어(2)에 탑재되는 반면 자석 부재(12)의 한쪽의 다리(12a)와 (12b)는 자석 부재(12)의 다른쪽의 다리(12a), (12b)와 관형 코어(2)의 가로 방향에 평행인 방향으로 배열한다.
또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 요크(1)은 각각의 자석 부재(12)에 마련된 자화 코일(13)을 포함하며, 상기 자화 코일(13)은 자화수단의 1예를 형성한다. 이러한 자화 코일(13)은 각 자화 부재(12)의 중간다리(12a) 주위에 감겨져 있다. 전류가 자화 코일(13)을 통해 흘러서 각 자석 부재(12)의 다리(12a), (12b)를 소정의 극 즉 N극과 S극으로 양극화될때 재생되는 영상의 시갈 왜곡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본 발명에 따라 필요한 각각의 왜곡 보상 전자석(14)는 중간 다리(12a)의 전체 주위를 감은 각각의 자화 코일(13)을 가지는 자석 부재(12)로 구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구성의 편향 요크(1)은 다음의 방법으로 동작한다.
제2도는 편향 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편향 전자장을 통해서 형광 스크린부를 향해 주행하는 전자빔이 음극 선관의 세로축에 수직인 x축 위의 스크린의 모서리 지역을 향해 편향될때 왜곡을 보상하기 위한 왜곡 보상 전자석(14)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나타낸다. 그리고 제3도도 편향 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며, 편향 전자장에서 주행하는 전자빔이 x축 아래의 스크린의 모서리 지역을 향해 편향될때 왜곡 보상 전자석(14)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나타낸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소정의 극성의 수직 편향 전류가 자화 코일(13)에 흐르면 자석 부재(12)의 한쪽 예를 들어 제2도에 도시한 왼쪽의 자석 부재(12)의 중간 다리(12a)는 N극이 되고 다리(12b)는 S극이 된다.
그 결과(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간 다리(12a)에서 한쪽 다리(12b)로, 또한 중간 다리(12a)에서 다른쪽 다리(12b)로 자력선이 루프된다. 동시에 오른쪽 자석 부재(12)의 중간 다리(12a)는 S극이 되고 다리(12b)는 N극이 된다. 그 결과(11)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12b)에서 중간 다리(12a)로 자력선이 루프된다.
따라서 중심에서 2/3Xmax의 간격을 둔 형광 스크린부의 모서리 지역을 향하여 편향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b)는 위쪽으로 향하는 편향력의 영향을 받아 위쪽으로 즉 x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편향되는 것에 의해 제4도의 (111)로 나타낸 시갈 형태의 왜곡과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선이 제4도의 실선(110)으로 나타낸 수평 주사선과 일치하도록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상선(A)로 표시된 스크린의 양측에 나타나는 바늘꽂이 왜곡도 실선으로 표시한 것처럼 보상될 수 있다.
전자빔이 x축의 아래 형광 스크린부의 모서리 지역을 향하여 편향되는 곳에서는 루프된 자력선이 자화코일(13)에 흐르는 수직 편향 전류의 반전된 극성에 의해 극성이 반전되기 때문에 3개가 1조인 전자빔(70c), (70d)는 아래쪽으로 향하는 편향력의 영향을 받아 아래쪽으로 편향되는 것에 의해 스크린상에 재생되는 선과 시갈 왜곡의 가상선(111)이 유사하게 보상되어 수평 주사선(110)과 제5도에 도시한 바늘꽂이 왜곡의 가상선(A)가 일치하고 또한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린의 양쪽상에서 보상될 수 있다.
편향력(1Oy)는 3개가 1조인 전자빔이 편향되는 위치에서 동시에 변화하여, 3개가 1조인 전자빔이 수직편향 전류의 결과로써 x축을 따라 주행될 때 편향력(1Oy)는 0이 되어도 좋지만, 3개가 1조인 전자빔이 형광 스크린부의 4모서리 지역의 어느 한 곳으로 편향될 때 편향력(10y)는 x축, y축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거리의 제곱에 비례해서 증가해도 좋다. 따라서 제29도에서(112a)로 표시한 바와같이 재생 화상에서의 돌출현상이 발생되지 않고 단지 제4도의 시갈 왜곡(111)만 효과적으로 보상된다.
각각의 왜곡 보상 전자석(14)는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를 갖추어도 좋다. 제6(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각 자석 부재(12)의 중간 다리에 감겨진 단일 자화 코일의 사용 대신에 2개의 자화 코일(13a), (13b)가 사용되고 각 자석 부재(12)의 다리(12b)에 감겨진다.
제6(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2개의 자화 코일(13a), (13b)는 중간 다리(12a)와 한쪽의 다리(12b)사이, 중간다리(12a)와 다른쪽의 다리(12b)사이에서 각 자석 부재(12)의 긴 몸체(12c)의 각 부분을 감는다.
제7(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제1도 내지 제3도, 제6(a)도, 제6(b)도의 어느 하나에 도시한 다리(12b)의 기능과 같은 반대쪽끝(120b)를 가지며, 또한 자화 코일(13)이 감겨진 중간다리(12a)를 가지는 아치형 몸체를 포함한다.
제7(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1쌍의 끝쪽 벽(212b), 바닥쪽 벽(212c), 1쌍의측벽(212b)를 마련하도록 4각의 공동(213)을 가지며, 또한 바닥쪽 벽(212c)에서 공동(213)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12a)를 가지는 4각형 몸체(212)로 구성된다. 자화 코일(13)은 4각형 몸체(212)의 공동(213)의 내부에 위치하며 돌출부(212a)에 감겨진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끝쪽 벽(212b)와 돌출부(212a)는 제1도내지 제3도, 제6(a)도, 제6(b)도에 도시한 각 자석 부재의 다리(12b)와 중간 다리(12a)의 기능과 서로 일치 한다.
제8(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자석 부재(12)의 다리(12b)는 반대극으로 자화되어, 자석 부재(12)는 영구 자석이 된다. 제8(a)도의 본 예에 따른 자석 부재(12)는 제27도에 도시한 종래의 편향 요크에 사용된 시갈 왜곡 보상 자석(10)에 의해 나타난 것과 같은 부수적인 효과가 나타나도록 고안되었다. 제8(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자석 부재(12)는 자화되지 않는 반면, 영구 막대 자석(10)은 각 자석 부재(12)의 긴 몸체(12c)에 고착되어 있다.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전자석(14)를 사용하므로써, 자석 부재(12)와 결합하는 영구 자석을 사용한 결과로써 나타나는 스크린 양측상의 왜곡은 제27도에 도시한 종래의 편향 요크에 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구 막대 자석(10)만을 사용해서 초래된 결과인 왜곡이 제5도에 도시한 스크린의 상,하부에서 발생하는 국부 바늘꽂이 왜곡과 일치하는 제5도의 점선(B)로 표시한 바늘꽂이 왜곡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바늘꽂이 왜곡의 변화는 상부에서 하부로 부드럽게 휘는 종래의 기술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왜곡 보상 회로에 의한 왜곡의 보상은 쉽게 이를 수 있다.
제9(a)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 자석 부재(12)가 제6(a)도에 도시한 구성을 지니는 반면, 제6(a)도의 자석 부재(12)에 사용된 것과 다른 전력 공급회로가 사용된다. 제9(a)도에 도시한 전력 공급회로는 다이오드(15)로 구성되고, 자화 코일(13a), (13b)중 1개만 통해 수직 편향 전류를 공급하도록 고안되어 전자빔이 편향되는 지역에서만 자력선이 발생하여 자화 코일(13a), (13b)의 다른쪽은 작동하지 않는다. 특히 자화 코일(13), (14)는 수평축에 대하여 상부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 전류에만, 그리고 수평축에 대하여 하부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수직 편향 전류에만 각각 마련되어 있다. 자화 코일(13a), (13b)는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긴 몸체(12c)에 감겨져도 좋다.
제9(b)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다리(12b)를 가지는 U자형의 몸체(312c), 그리고 본체(312c)에 감겨지고 다리(12b)사이의 중간에 위치하는 자화 코일(13)으로 구성된다. 제9(b)도에 도시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제2도에 도시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관형 코어(2)에 탑재되는 반면, 자화코일(13)은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망으로 형성된 전파 정류기(16)을 통하여 수직 편향 전류의 소스에 연결되어 있다.
제9(b)도에 도시한 자석 부재(12)의 구성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력선(11)은 제28도에 도시한 자석에서 발생되는 것과 유사하지만 제9(b)도에 도시한 자석 부재(12)에서 발생되는 자력선은 전자빔이 x축에 대해 상하천 편향됨에 따라 자력이 강해지는 방식으로 수직 편향 전류의 변화에 따라 변할 것이다. 그러나 전자빔이 x축을 따라 주행될 때는 0이 될 것이다. 따라서, 제9(b)도의 예는 제2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부 돌출부를 가지는 바늘꽂이 왜곡을 실질적으로 수반하지 않고 시갈 왜곡을 보상하는데 효과적이다.
제9(c)도에 도시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자화 코일(13)이 형성된 둘레에 긴 몸체(12c) 또는 중간부를 실질적으로 가지는 막대로 구성된다. 자화 코일(13)은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망으로 형성된 전파 정류기(16)을 통하여 수직 편향 전류의 소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9(c)도에 도시한 자석 부재(12)의 구성은 제9(b)도에 도시한 자석 부재(12)에 의해 얻은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9(b)도에 도시한 구성이 각 자석 부재는 다리(12b)둘레를 감은 2개의 자화 코일을 갖도록 변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예를 제10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2실시예를 도시한 제10도에 있어서, (15)는 각각의 다리(12a)와 (12b)에 대향한 E자형 자석부재(12)의 긴 몸체(12c)의 한쪽측에 고착된 영구 막대 자석을 나타내며, 상기 영구 막대 자석(15)는 긴 몸체(12c)보다 길이가 길다. 각각의 E자형 자석 부재(12)의 영구 막대 자석(15)는 한쪽의 영구 막대 자석(15)의 반대쪽 끝에서의 N극,S극이 다른쪽의 영구 막대 자석(15)의 반대쪽 끝에서의 S극,N극에 각각 대향하도록 서로 연곽시켜서 배열된다.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라 각 자석 부재(12)용 영구 막대 자석(15)를 사용한 편향 요크(1)은 다음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제11도는 영구 막대 자석이 위치한 부분에서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주어진 편향 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11도에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영구 막대 자석(15)와 E자형 자석 부재(12)를 조합하는 것에 의해 자력선(11)의 루프는
Figure kpo00001
로 나타낸 각 위치에서 발생한다. 자력선(11)의 루프의 효과, 즉
Figure kpo00002
위치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 (70b), (70a)는 각각 편향력(1Oy)가 위쪽으로 영향을 주어 위쪽으로 편향되며
Figure kpo00003
위치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c), (70d)는 각각 편향력(10y)가 아래쪽으로 영향을 주어 아래쪽으로 편형된다. 또한 각각의 상기 편향력(10y)는 자석 부재(12)로부터 멀어지지 않을 수록 2차 함수로 증가한다. 그러므로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6)가 4각 형광 스크린부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편향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갈 왜곡이 좋게 보상된다.
한편,
Figure kpo00004
로 표시한 각각의 위치에서의 자력선은
Figure kpo00005
위치에서의 자력선보다 매우 작기 때문에, x축을 향하고 x축의 안쪽으로 편향되도록 3개가 1조인 전자빔(70e), (70f)가 영향을 받는 자력은 현저하게 감소될 수 있으므로 바늘꽂이 왜곡과 국부 돌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12도는 영구 막대 자석(15)를 수반하는 E자형 자석 부재(12)가 음극 선관의 화면에 인접한 세퍼레이터(18)의 앞쪽 끝면 플랜지(8a)의 외부 구면(8c)에 고착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며, 제10도의 자석 부재(12)는 앞쪽 끝면 플랜지(8a)의 뒤쪽 플랜지 면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배열도 합성 편향 요크(1)을 제10도에 도시한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게 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1)의 사시도이다. 이러한 3실시예에 따른 편향 요크(1)은 제10도에 나타낸 2실시예의 편향 요크(1)과 다르다. 즉 제10도는 E자형 자석 부재(12)를 사용하였지만, 제13도에 도시한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단지 1쌍의 다리(12b)만 가지는 긴 몸체(12c)를 포함하는 U자형의 자석 부재(12)이다.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영구 막대 자석(15)와 결합한 U자형 자석 부재(12)를 사용하는 편향 요크(1)의 동작은 제14도를 참조로 설명한다. 제14도는 각각의 영구 막대 자석(15)를 가지는 U자형 자석부재(12)가 위치하는 곳에서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수직인 평면을 따라 주어진 편형 요크(1)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제1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영구 막대 자석(15)와 U자형 자석 부재(12)를 결합하므로써, 자력선(11)의 루프는
Figure kpo00006
로 표시한 각각의 위치에서 발생한다. 자력선(11)의 루프의 효과에 의해서
Figure kpo00007
위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a), (70b)는 각각 편향력(10y)가 위쪽으로 영향을 주어 위쪽으로 편향되며
Figure kpo00008
위치 부근에서 주행하는 3개가 1조인 전자빔(70c), (70d)는 각각 편향력(10y)가 아래쪽으로 영향을 주어 아래쪽으로 편향된다. 결과적으로 제11도에서 설명한 편향 요크(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갈 왜곡이 좋게 보상되면서, 바늘꽂이 왜곡과 국부 돌출의 각각의 발생이 감소된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도와 유사한 방법으로 영구 막대 자석(15)를 수반하는 U자형 자석 부재(12)는 세퍼레이터(8)의 앞쪽 끝면 플랜지(8a)의 외부 구면(8c)에 고착되어 있다. 제15도의 이러한 배열도 합성 편향 요크(1)을 제13도에 도시한 배열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하게 하여 유사한 효과를 얻는다. 일련의 실험에 의해 제1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U자형 자석 부재(12)의 사용에 비하여 제12도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E자형 자석 부재(12)의 사용이 x축(Y=0) 부근에서의 자력선이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왜곡이 더욱 효율적으로 보상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 편향 요크(1)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 같은 장자성체로 만들어진 관형 코어(2), 수평 편향 코일(3), 수직 편향 코일(4)를 포함한다. 수평 편향 코일(3)은 관형 코어(2)에 감기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안장형 코일로 구성되며, 수평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 수평 편향 코일(4)는 수직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시키는데 필요한 전자장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라 수직 편향 코일(4)는 관형 코어(2)에 감기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해서 배열되는 1쌍의 주코일(4a), (4b)와 관형 코일(2)의 x축 또는 가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어 있는 2쌍의 보조 코일(4a-1), (4a-2) 및 (4b-1), (4b-2)를 포함한다. 또한 보조 코일(4a-1), (4b-1) 및 (4a-2), (4b-2)는 주코일(4a), (4b)쌍의 각 측면에 위치한다. 주코일(4a), (4b)는 y축에 대하여 약 70°보다 크지 않은 각도로 전개되도록 위치하며 보조 코일(4a-1), (4b-2) 및 (4b-1), (4b-2)쌍은 Y축에 대하여 약 65°내지 약 90°의 각도로 전개되도록 위치한다.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 따르는 구조의 편향 요크(1)은 다음의 방법으로 동작한다. 제17도는 각각의 코일을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전자빔이 편향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제17도에 있어서, 기호
Figure kpo00009
와 ⓧ는 각각의 코일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과 전자빔(70)의 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제18도는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의 원점에 정렬된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편향 요크(1)의 관계를 중첩하여 제17도에 나타낸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의 제1상한 즉, 위쪽의 오른편 상한으로 구분한 편향 요크(1)의 단면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제1상한을 참조로 한 다음의 설명은 데카르트식 좌표 시스템의 제2상한 내지 제4상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18도에 있어서, 3개가 1조인 전자빔(70)이 수평 편향 코일(3)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과 수직 편향 코일(4)의 주코일(4a)를 통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의 효과로 제1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의 대각선 방향으로 편향될 때, 3개가 1조인 전자빔(70)은 보조 코일(4a-1)을 통하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자력선(11)에 의해 발생된 위쪽의 오른편으로 향하는 힘(10y)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위쪽의 오른편으로 향하는 힘(10y)는 x축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즉 전자빔(70)이 보조 코일(4a-1)에 접근함에 따라 강해진다. 그러므로 제26도에 도시한 시갈 왜곡이 보상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제2, 제3, 제4상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3개가 1조인 전자빔은 각각 위쪽의 왼편으로 향하는 힘, 아래쪽의 왼편으로 향하는 힘, 아래쪽의 오른편으로 향하는 힘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제26도에 도시한 시갈 왜곡을 보상할 수 있다.
일련의 실험의 결과로써, 보조 코일(4a-1), (4a-2), (4b-1), (4b-2)가 위치하는 최적 영역은 왜곡 보상효과를 극대화하도록 Y축에 대하여 약 70°영역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일련의 실험의 결과로써, 주코일(4a), (4b)가 위치하는 최적 영역은 전자빔의 소정의 수직 편향을 수반하도록 Y축에 대하여 양 측면에 0°내지 60°로 전개되는 영역이라는 것도 발견했다. 따라서 제16도 및 메17도에 있어서 약 60°의 각도는 y축에 대하여 양 측면에 나타낸다. 그러나 주코일(4a), (4b)가 위치하는 영역은 70°까지 전개될 수 있고, 보조 코일에 중첩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적절한 영역은 0°내지 약 65°로 전개되는 지역으로 감소된다.
또한 주코일(4a), (4b)가 보조 코일(4a-1), (4a-2), (4b-1), (4b-2)에 중복하도록 위치하려면, 주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 효과와 보조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편향 효과가 서로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코일의 관계를 중첩할 때 주코일의 위치를 피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가지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9)

  1. 펜넬부(52)와 네크부(53)을 갖는 음극 선관(50)에 사용되고, 펜넬부(52)와 네크부(53)사이의 경계면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음극 선관(50)에 탑재되어 있는 편향 요크(1)에 있어서, 관형 코어(2), 상기 관형 코어(2)에 감겨지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열되어 전자총(54)에서 발사되는 전자빔(70)을 형광 스크린부(100)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는 1쌍의 제1의 편향 코일(3), 상기 관형 코어(2)에 환형으로 감겨져서 상기 전자빔(70)을 수직 방향으로 편향시키도록 작용하는 제2의 편향코일(4), 상기 관형 코어(2)와 서로 반대편에 탑재되고, 관형 코어(2)의 세로축에 대하여 서로 180°간격을 두고 관형 코어(2)의 가로축에 위치되어 다리가 세로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둔 긴 몸체(12c)로부터 돌출하는 적어도 2개의 다리(12a, 12b)를 갖는 긴 몸체(12c)로 구성되어 각각의 다리부(12a, 12b)의 사이에서 루프된 자력선을 형성하는 1쌍의 자석 부재(12), 상기 각각의 자석 부재(12)의 다리(12b)에서 소정의 극성을 발생시키는 자석 부재(12)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된 자력선에서, 가로축의 부근에서 가로방향으로 자석편향력을 최소화하면서 가로축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광 스크린부(100)의 4모서리 지역중의 어느 한 곳으로 주행하는 전자빔(70)을 편향시키도록 자석 편향력을 발생시키는 자화수단을 포함하는 편향 요크.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부재(12)의 한쪽의 다리(12b)는 상기 자석 부재(12)의 한쪽의 다리와 정렬된 상기 자석 부재의 다른쪽의 다리(12b)와 극성이 반대인 편향 요크.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 몸체(12c)는 상기 다리(12b)사이에 위치해서 상기 다리(12b)가 돌출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중간다리(12a)를 가지며, 상기 각 자석 부재(12)는 E자형으로 구성된 편향 요크.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수단은 상기 각각의 자석 부재(12)에 극성을 주는 코일(13)을 포함하는 편향 요크.
  5.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2b)는 한쪽 극성을 띠고, 상기 중간 다리(12a)는 다른쪽 극성을 띠는 편향 요크.
  6.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수직 편향 전류가 공급되는 편향 요크.
  7.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2b)는 각각 서로 반대 극성으로 자화되어 각각의 자석 부재(12)가 영구 자석으로 되는 편향 요크.
  8.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중간 다리(12a)에 감겨지는 편향 요크.
  9.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코일은 상기 다리(12b)에 각각 감겨지는 편향 요크.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코일은 상기 중간 다리(12a)와 한쪽의 다리(12b)사이 및 상기 중간 다리(12a)와 다른쪽의 다리(12b)사이의 긴 몸체(12c) 각각의 부분에 감겨지는 편향 요크.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수단은 한쪽의 코일(13a)가 상기 위쪽 다리(12b) 또는 상기 위쪽 다리(12b)와 중간 다리(12a)사이의 긴 몸체(12c)의 부분에 감겨져 있고, 다른쪽의 코일(13b)가 상기 아래쪽 다리(12b) 또는 아래쪽 다리(12b)와 중간 다리(12a)사이의 긴 몸체(12c)의 부분에 감겨져 있으며, 상기 한쪽 코일(13a)에 가로축에 대하여 위쪽으로 전자빔(70)을 편향시키도록 수직 편향 전류가 공급되고, 상기 다른쪽 코일(13b)에 가로축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전자빔(70)을 편향시키도록 수직 편향 전류가 공급되는 1쌍의 코일(13a,13b)를 포함하는 편향 요크.
  1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12b)를 갖는 상기 긴 몸체(12c)는 U자형으로 된 편향 요크.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수단은 상기 각각의 자석 부재(12)에 극성을 주는 코일을 포함하는 편향 요크.
  14.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전파 정류기(16)을 통하여 수직 편향 전류가 공급되는 편향 요크.
  15.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긴 몸체에 감기고 다리(12b)사이에 위치하는 편향 요크.
  16. 특허청구의 범위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코일은 각각 상기 다리(12b)에 감겨지는 편향 요크.
  17.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석 부재(12)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하는 막대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자화수단은 상기 각각의 자석 부재(12)에 극성을 주도록 긴 몸체(12c)에 담겨지고, 상기 전파 정류기를 통하여 수직 편향 전류가 공급되는 코일을 포함하는 편향 요크.
  18.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자화수단은 긴 몸체(12c)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막대 자석(15)를 포함하는 편향 요크.
  19. 특허청구의 범위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자화수단의 한쪽의 막대 자석(15)는 상기 자화수단의 다른쪽의 막대 자석(15)의 반대극성의 끝의 극성에 대하여 반대쪽에 위치하는 반대극성의 끝을 갖는 편향 요크.
KR1019880006034A 1987-05-25 1988-05-21 편향 요크 KR910001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5481A KR910001402B1 (ko) 1987-05-25 1990-09-28 편향요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7828 1987-05-25
JP62127828A JPS63292552A (ja) 1987-05-25 1987-05-25 偏向ヨ−ク
JP62134270A JPS63294656A (ja) 1987-05-27 1987-05-27 偏向ヨ−ク
JP62-134270 1987-05-27
JP62-135731 1987-05-28
JP62135731A JPS63298944A (ja) 1987-05-28 1987-05-28 偏向ヨ−ク
JP17012787A JPH0731988B2 (ja) 1987-07-07 1987-07-07 偏向ヨ−ク
JP62-170127 1987-07-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5481A Division KR910001402B1 (ko) 1987-05-25 1990-09-28 편향요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964A KR890002964A (ko) 1989-04-12
KR910001401B1 true KR910001401B1 (ko) 1991-03-04

Family

ID=2747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034A KR910001401B1 (ko) 1987-05-25 1988-05-21 편향 요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76479A (ko)
KR (1) KR910001401B1 (ko)
DE (1) DE384473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12095B1 (en) * 1993-02-18 1997-06-04 THOMSON TUBES & DISPLAYS S.A. Deflection yoke with a forked shunt
US5530355A (en) * 1993-05-13 1996-06-25 Doty Scientific, Inc. Solenoidal, octopolar, transverse gradient coils
JP2000331626A (ja) * 1999-05-24 2000-11-30 Matsushita Electronics Industry Corp カラー受像管装置
JP2005071859A (ja) * 2003-08-26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陰極線管装置
JP2005190840A (ja) * 2003-12-25 2005-07-14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装置
CN114864128B (zh) * 2022-04-28 2024-03-22 苏州博众仪器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束电磁偏转装置及偏转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33268A (en) * 1980-08-19 1984-02-2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DE3271747D1 (en) * 1982-03-31 1986-07-24 Ibm Convergence unit for in-line colour cathode ray tu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876479A (en) 1989-10-24
DE3844731C2 (ko) 1992-09-17
KR890002964A (ko)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401B1 (ko) 편향 요크
KR920001821B1 (ko) 텔레비젼 표시 시스템
KR910001402B1 (ko) 편향요크
KR100301323B1 (ko) 칼라수상관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KR920007115B1 (ko) 컨버전스 조정기부 컬러브라운관
US5206559A (en) Cathode ray tube which improves deflection aberration
EP0797235B1 (en) Compensating device for CRT raster distortion
US3840765A (en) Shielding member between only the control and side beams in a color cathode ray tube
EP0415125B1 (en) Cathode ray tube
KR920000940B1 (ko) 칼라 수상관 및 편향 장치
JPH1140079A (ja) カラー陰極線管及びミスコンバーゼンスの補正方法
US5736914A (en) Demagnetizing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JPS6318836B2 (ko)
JPH0731988B2 (ja) 偏向ヨ−ク
KR940004072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현상 보정장치
KR100594647B1 (ko) 음극선관용 편향요크
KR100294487B1 (ko) 칼라음극선관의컨버젼스보정장치
KR20030077993A (ko) 음극선관에 대한 이미지 기하학적 결점을 보정하기 위한자기 디바이스
EP1372182A1 (en) Colour picture tube device
EP1641019A1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JPS63294656A (ja) 偏向ヨ−ク
KR20010096097A (ko) 편향요크
JPH0451431A (ja) 偏向ヨーク
JPH11250829A (ja) 偏向ヨー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