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18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18B1
KR910001218B1 KR1019870007950A KR870007950A KR910001218B1 KR 910001218 B1 KR910001218 B1 KR 910001218B1 KR 1019870007950 A KR1019870007950 A KR 1019870007950A KR 870007950 A KR870007950 A KR 870007950A KR 910001218 B1 KR910001218 B1 KR 910001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image
color
management information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053A (ko
Inventor
겐이치 오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6Colour picture communication systems
    • H04N1/50Picture reproducers
    • H04N1/506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 H04N1/508Reproducing the colour component signals picture-sequentially, e.g. with reproducing heads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in the subscanning direction using the same reproducing head for two or more colour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1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the composed originals being of different kinds, e.g. low- and high-resolution orig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Fax Reproducing Arrangemen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일부절개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화상형성장치에서 원고주사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원고주사부의 주사기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화상형성장치에서 화상형성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
제6도는 전사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제7도는 열전사잉크리본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제8도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조작패널을 나타낸 평면도.
제9도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활력도.
제10도는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색신호변환회로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제11도(a-1), 제1도(a-2) 및 제11도(b)는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12도는 단색설정에 의해 형성되는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일괄(4색)인쇄설정에 의해 형성되는 4개의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복사기본체 2 : 조작패널
7 : 원고대 8 : 원고주사부
9 : 화상형성부 10 : 원고덮개
11 : 주사기 12 : 조명램프
13 : 광전변환기 14 : 광학장치
15 : 캐리지 16 : 안내레일
17 : 안내샤프트 18 : 주사용 모터
19 :구동풀리 20 : 피동풀리
21 : 타이밍벨트 22 : 고정부재
30 : 플래튼(platen) 31 : 서멀헤드
32 : 홀더 33 : 방열기
34 : 열전사잉크리본 35 : 리본카셋트
36, 37 : 감이릴 38 : 케이스
39 : 구멍부 41 : 급지로울러
42 : 용지카셋트 43 : 레지스터로울러
44, 45 : 압착로울러 46 : 수동급지장치
47 : 잉크 48 : 방출트레이
49, 50 : 제1, 제2안내판 53 : 방출로울러
61 :모드키 62 : 색선택키
63 : 10-키부 64 : 클리어키
65 : 복사키 66 : 숫자표시부
67 : 상태표시부 72 : 일괄인쇄키
73 : 정보입력키 81 : 주제어부
82, 83 : 제1, 제2부제어부 84 : 보정회로
85 : 휘도/색차신호분리회로 86 : 화질개선회로
87 : 색신호변환회로 88 : 2진부호화회로
89 : 광량제어부 90 : 모터구동부
91 : A/D 변환기 92 : 해상도변환부
93 : 서멀헤드온도제어부 94 : 검출스위치
95 : 구동부 96 : 구동장치
97 : 번호기록회로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관리정보입력기능을 갖춘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옵셋인쇄의 인쇄원판을 작성할때 필요하게 되는 색분해된 원고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 문제점]
최근, 제판인쇄기술(graphic arts printing)은 전자분야의 발달에 따라 현저하게 진보되고 있고, 특히 전자제판인쇄기술이 널리 보급되고 있는바, 이러한 전자제판은 원고의 화상의 농담(濃淡)을 광전변환시키고, 그 전기적인 신호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광의 강약으로 변환시켜 필름(감광재)을 노광시키며, 이렇게 노광된 필름을 현상함으로써 인쇄원판이 되는 음화필름(negative film)이나 양화필름(positive film)을 작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는 그 제작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계자체도 대형화되어 상당히 고가로 되었다. 또, 종래에는 원고에 없는 정보, 예컨대 작성일자라던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시켜 이 입력된 정보를 필름상의 소정위치에 화상과 함께 동시에 형성출력시켜 줄수가 없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발명의 목적]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종래와 같은 복잡한 제조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대단히 간단하게 작성할 수가 있고, 게다가 소형이면서 저가로 실현할 수 있게 됨고 더불어 원고에 없는 작성일자라던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시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상에 화상과 함께 동시에 형성출력시켜 줄수가 있는 개선된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다른 화상형성장치는, 피화상형성매체상에 형성되어야 할 주화상을 나타내는 색화상데이터를 출력시켜 주기 위한 색화상데이터출력수단과, 상기 피화상형성매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되어 그 피화상형성매체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로서 제공되는 소정의 관리정보를 입력시켜 주기 위한 정보입력수단 및, 색화상데이터와 관리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색제를 사용하여 피화상형성매체상에 주화상을 형성시켜 줌과 더불어 그 피화상형성매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관리정보를 형성출력시켜 주기 위한 화상형성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와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일예로서, 다색의 컬러복사(multicolor copy)와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의 작성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열전사컬러복사기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1은 복사기본체를 나타낸 것으로, 이 복사기본체(1)의 상부표면의 앞부분에는 조작패널(2)이 배치되어 있고, 복사기본체(1)의 좌측부분에는 원고대(7)상에 셋트된 원고를 주사해서 독출하는 원고주사부(8)가 배치되어 있으며, 그 우측부분에는 화상형성부(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부호 10은 원고대(7)상에 설치되어 자유로이 개폐되는 원고덮개를 나타낸 것이다.
제3도와 제4도에는 제1도에 도시된 원고주사부(8)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바, 즉 원고대(7)는 복사기본체(1)에 고정되어 있고, 그 원고대(7)의 아래측에는 그 아래면을 따라 화상표(a)로 나타낸 방향으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원고대(7)상에 셋트된 원고(0)를 광학적으로 주사해서 독출하는 주사기(scanner ; 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주사기(11)는 원고(0)를 조명해 주는 조명램프(12)와, 원고(0)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기 위한 광전변환기(13), 원고(0)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을 광전변환기(13)로 유도해 주는 광학장치(14) 및, 상기 조명램프(12)와 광전변환기(13) 및 광학장치(14)를 지지해 주는 캐리지(carriage ; 15)로 구성되는 바, 여기서 광전변환기(13)는 예컨대 전하결합소자(CCD)형 라인화상센서(line image sensor)로 구성되어 원고(0)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광전변환시킴으로써 원고(0)상의 화상을 시안(cyan)과 녹색 및 노란색(또는 적색, 녹색, 청색)의 광의 색신호로 분리출력시켜주는 것이다.
또,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캐리지(15)는 안내레일(16)과 안내샤프트(17)에 의해 화살표(a)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되게 된다. 그리고, 안내샤프트(17)의 일단측에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사용 모터(예컨대 스텝핑모터 ; 18)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풀리(driving pulley ; 19)가 설치되어 있으며, 타단측에는 구동풀리(19)에 의해 작동되는 피동풀리(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풀리(19)와 피동풀리(20)사이에는 타이밍벨트(21)가 고리모양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이밍벨트(21)의 일점은 고정부재(22)를 매개해서 캐리지(15)에 고정되어 있다. 그에 따라, 주사용 모터(18)가정 혹은 역회전함으로써 캐리지(15)가 직선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제5도에는 화상헝성부(9)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바, 이 화상형성부(9)의 대략 중앙에는 플래튼(platen ; 30)이 배치되어 있고, 이 플래튼(30)의 좌측에는 서멀헤드(thermal head ; 31)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 서멀헤드(31)는 홀더(holder ; 32)의 후단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방열기(radiator ; 33)에 피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32)를 매개해서 화상형성매체로서의 열전사잉크리본(34)을 수납하 리본카셋트(35)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서멀헤드(31)와 플래튼(30)사이에 열전사잉크리본(34)이 개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리본카셋트(35)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전사잉크리본(34)의 양단부가 감기는 평행한 2개의 감이릴(reel ; 36, 37)을 갖추고 있고, 열전사잉크리본(34)의 중간부분이 플래튼(30)과 서멀헤드(31)사이에 개재되어 있으며, 그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케이스(38)에 의해 둘러싸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감이릴(36, 37)은 리본카셋트(35)장착시 도시되지 않은 구동력전달기구를 매개로 도시되지 않은 모터의 구동샤프트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리본카셋트(35)는 복사기본체(1)의 우측면에 형성된 구멍부(39)를 매개해서 홀더(32)에 장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구멍부(39)에는 자유로이 개폐되는 덮개(40)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30)의 우측아랫부분에는 급지로울러(paper feed roller ; 41)가 설치되어 용지카셋트(42)에 수용된 피화상형성매체로서의 용지(또는 플라스틱필름 ; P)를 1매씩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로울러(41)에 의해 취출된 용기(P)는 급지로울러(41)의 우측상부에 설치된 레지스터로울러(register roller ;43)로 보내져 그 선단부가 일렬로 정리된 후, 레지스터로울러(43)에 의해 플래튼(30)으로 이송되어 압착로울러(press roller ; 44, 45)에 의해 플래튼(30)의 둘레에 감겨짐으로써 정확하게 이송되게 된다. 여기서, 급지카셋트(42)는 복사기본체(1)의 전면으로부터 착탈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한편, 제5도에서의 참조부호46은 용지(P)를 수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동급지장치이다.
서멀헤드(31)는, 열전사잉크리본(34)을 매개로 용지(P)를 플래튼(30)에 압착시켜 놓고,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열전사잉크리본(34)상의 색제로서의 잉크(47)를 가열용융시겨 용기(P)에 전사시켜 주도록 되어있다. 열전사잉크리본(34)은 예컨대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지(P)와 거의 동일한 폭사이즈로 노란색가 마젠터(magenta), 시안 및 검정색의 각 잉크부(47Y, 47M, 47C, 47B)를 순차적으로 배열해서 설치한 것으로, 1색씩 전사시키고는 용지(P)를 전사개시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정확하게 순차적으로 되풀이해서 행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열전사잉크리본(34)은 검정색의 잉크부(47B)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도 좋은바, 그 경우에는 노란색과 마젠터 및 시안의 3색을 중복전사시킴으로써 검정색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컬러복사모드시에는 상술한 바와같이 열전사잉크리본(34)의 각 잉크부(47Y, 47M, 47C, 47B)를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그에 반해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작성할때에는 열전사잉크리본(34)으로서 예컨대 검정색의 열전사잉크리본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반드시 검정색의 열전사잉크리본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열전사잉크리본(34)의 검정색의 잉크부(47B)를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해도좋다. 컬러복사모드에 있어서 용지(P)는 플래튼(30)의 회전에 의해 색의 수만큼 왕복이동하게 되지만, 그때의 용지(P)의 경로는 복사기본체(1)상에 경사지게 형성된 방출트레이(discharge tray ; 48)의 하부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 제1, 제2안내판(49, 50)상에 안내되게 된다. 이것은 플래튼(30)과 제1, 제2안내판(49, 50)의 단부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셀렉터게이트(selector gate ; 51, 52)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즉, 먼저 용지카셋트(42)로부터 취출된 용지는 레지스터로울러(43)와 제1셀렉터게이트(51)를 통해 이송되어 그 선단부가 플래튼(30)에 감기게 된다. 이어, 플래튼(30)이 도시되지 않은 펄스모터등에 의해 정회전됨으로써 용지(P)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함과 더불어 플래튼(30)의 축방향을 따라 직선적으로 배치된 서멀헤드(31)의 발열소자(도시되지 않음)가 인쇄신호(인자신호)에 따라 발열함으로써 열전사잉크리본(34)의 잉크(47)가 용지(P)상에 전사되게 된다.
그리고, 플래튼(30)을 통과한 용지(P)의 선단부는 실선위치에 있는 제2셀렉터게이트(52)에 의해 방출트레이(48)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된 제1안내판(49)상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렇게해서 한가지 색의 잉크(47)에 대한 전사가 종료되게 되면, 플래튼(30)이 역회전함으로써 용지(P)는 역방향으로 이송되어 전사개시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때, 용지(P)의 후단부는 2점쇄선위치로 축회전(pivot)하는 제1셀렉터게이트(51)에 의해 제1안내판(49)의 하부면을 따라 설치된 제2안내판(50)상으로 보내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용지(P)를 복수회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복수의 색이 전사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모든 색의 잉크(47)에 대한 전사가 종료된 용지(P)는, 이때 2점쇄선위치로 축회전하는 제2셀렉터게이트(52)에 의해 방출로울러(53)로 안내되어 이 방출로울러(53)에 의해 방출트레이(48)상으로 방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검정색의 열전사잉크리본을 사용하여 화상을 형성할 경우, 즉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작성할때에는 전사는 1회만으로 족하고, 용지(P)의 왕복이동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전사가 종료된 용지(P)는 그대로 방출트레이(48)상으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제8도는 조작패널(2)을 도시해 놓은 것으로, 이 조작패널(2)에는 통상모드(컬러복사모드)와 단색모드(인쇄원판작성용 필름작성모드)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키(모드절환스위치 ; 61)와, 단색모드시의 색지정을 행하기 위한 색선택키(색선택스위치 ; 62), 복사매수등을 설정해 주기 위한 10-키부(63), 설정매수등을 클리어시켜 주기 위한 클리어키(64), 복사동작을 개시시켜 주기 위한 복사키(65), 복사매수등을 표시해 주는 숫자표시부(66), 동작상태등을 표시해 주는 상태표시부(67), 일괄인쇄(즉, 한번에 각색의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작성하는 것)를 지정해 주는 일괄인쇄키(72) 및, 원고에 없는 정보를 입력시킬때 사용되는 정보입력키(73)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중 색선택키(62)는 예컨대 노란색(Y)을 지정해 주기 위한 Y-키(68)와 마젠터(M)를 지정해 주기 위한 M-키(69), 시안(C)을 지정해 주기 위한 C-키(70) 및 검정색(b)을 지정해 주기 위한 B-키(71)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정보입력키(73)와 10-키부(63) 및 Y, M, C, B-키(68∼71)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력시켜 주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입력시켜줄 정보가 "11-6-86"이라고 가정하면, 먼저 오퍼레이터는 정보입력키(73)를 누른 다음 10-키부(63)에서 "1"키를 2번 눌러 "1"과 "1"을 입력시켜 주고, 이어 클리어키(64)를 누름으로써 하이폰(hyphen) "-"을 입력시켜 준다. 이어, 오퍼레이터는 10-키부(63)에서 "6"키를 눌러 "6"을 입력시켜 준 다음 재차 클리어키(64)를 눌러 "-"을 입력시켜 주고, 계속해서 10-키부(63)에서 "8"과 "6"키를 눌러 "8"과 "6"을 입력시켜 주며, 마지막으로 정보입력키(73)를 다시 한번 눌러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되어 있다. 예컨대 "Y3115"와 "M3115", "C3115" 및 "B3115"와 같은 색번호도 상기한 바와같이 해서 입력시켜 줄수 있게 된다. 한편, 잘못 입력시킨 경우에는 클리어키(64)를 2번 계속해서 눌러 줌으로써 소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9도는 전체적인 제어계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주제어부(81)와 제1 및 제2부제어부(82, 83)를 갖추고 있다. 주제어부(81)는 상기 조작패널(2)과 보정회로(84), 회도/색차신호분리회로(85), 화질개선회로(86), 색신호변환회로(87), 2진부호화회로(88), 번호기록회로(97), 제1 및 제2부제어부(82, 83)와 각각 접속되어 이들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1부제어부(82)는 광량제어부(89)와 모터구동부(90), 상기 광전변환기(13), A/D 변환기(91) 및 해상도변환부(92)와 각각 접속되어 이들의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광량제어부(89)는 상기 조명램프(12)와 접속되어 그 광량을 제어하며, 모터구동부(90)는 상기 주사용 모터(18)와 접속되어 그 구동을 행하는 것이다. 또, 제2부제어부(83)는 서멀헤드온도제어부(93)와 상기 서멀헤드(31), 각종 검출스위치(94) 및 구동부(95)와 각각 접속되어 이들의 제어를 담당하고, 상기 구동부(95)는 모터 및 솔레노이드등과 같은 구동장치(96)와 접속되어 그 구동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제9도에 도시된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신호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고에 대해 조명램프(12)로부터 조사된 광의 반사광은 광전변환기(13)상에 상이 맺히게 된다. 광전변환기(13)는 이 광을 시안(C)과 녹색(G) 및 노란색(Y)의 아날로그의 색신호로 분리해서 A/D 변환기(91)로 전송해 주고, A/D 변환기(91)는 이 아날로그의 각 색신호를 각각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해상도변환부(92)로 전송해 주며, 해상도변환부(92)는 광전변환기(13)의 해상도와 서멀헤드(31)의 해상도를 일치시켜 주기 위한 해상도변환을 행하여 그 결과를 보정회로(84)로 전송해 주게 된다. 그리고, 보정회로(84)는 상기해상도변환부(92)로부터 전송되어온 C, G 및 Y의 각 색신호에 대해 광전변환기(13)의 오차를 보정해 주기 위한 보정처리를 행하여 그 결과를 휘도/색차신호분리회로(85)로 전송해 주고, 휘도/색차신호분리회로(85)는 상기 보정회로(84)로부터 전송되어온 C, G 및 Y의 각 색신호에 대해 각종 연산처리를 행하여 휘도신호(I)와 색차신호(Cl, C2)의 각 신호로 분리해서 화질개선회로(86)로 전송해 주며, 화질개선회로(86)는 휘도/색차신호분리회로(85)로부터 전송되어온 휘도신호(I)와 제1 및 제2색차신호(Cl, C2)를 해석해서 엣지강조(edge emphasis)라던지 문자특정(文字特定)등과 같은 화질개선처리를 행하여 색신호변환회로(87)로 전송해주게 된다. 그러면, 색신호변환회로(87)는 화질개선처리된 휘도신호(I)와 색차신호(Cl, C2)를 기초로 색변환을 행하여 노란색(Y), 마젠터(M), 시안(C) 및 검정색(b)[인쇄시의 3원색(Y, M, C) + 검정색(b]중 어느 하나의 색신호로 변환해서 2진부호화회로(88)로 전송해주고, 2진부호화회로(88)는 색신호변환회로(87)로부터 전송되어온 색신호(Y, N, C 및 B의 색신호중 어느 하나)에 대해 그레이스케일변환(Gray scale conversion), 즉 2진부호화를 행하여 그 2진부호화신호를 서멀헤드온도제어부(93)로 전송해 주게 된다.
또, 예컨대 작성일자 혹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는 미리 조작패널(2)에 의해 상술한 바와같이 입력되고, 이 입력정보는 번호기록회로(97)로 전송된다. 번호기록회로(97)는 입력된 정보를 처리해서 인쇄신호로 변환시킨 다음 그 인쇄신호를 서멀헤드온도제어부(93)로 전송해 주게 된다.
그러면, 서멀헤드온도제어부(93)는 상기 2진부호화회로(88)로부터 전송되어온 2진부호화신호와 상기 번호기록회로(97)로부터의 인쇄신호를 기초로 서멀헤드(31)로 인쇄신호를 전송해 주고, 서멀헤드(31)는 이 인쇄신호에 따라 용지(P)상에 인쇄(즉, 화상형성)를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입력된 정보는 용기(P ; 예컨대 플라스틱필름)상의 미리 정해진 영역 [예컨대 제12도에 도시된 비화상형성영역(a)]에 형성출력(인쇄)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색신호변환회로(87)에 대해 제10도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질개선회로(86)로부터 전송되어온 휘도신호(I)와 색차신호(Cl, C2)의 각 신호는 각각 색신호변환회로(87)로 전송되고, 여기서 Y, M, C 및 B의 색신호중 어느 하나의 색신호가 선택되어 2진부호화회로(88)로 송출되게 되는데, Y, M, C, B의 색신호의 선택은 주제어부(81)에 의해 행해지게 된다. 즉, 주제어부(81)는 색신호변환회로(87)로 선택신호 a와 b를 공급해서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선택신호의 조합에 따라 2진부호화회로(88)로 전송되는 Y, M, C, B의 색신호중 어느 하나의 색신호를 선택하게 된다.
Figure kpo00001
상기 색신호의 선택은 통상의 컬러복사모드시, 혹은 단색모드에서 일괄인쇄키(72)가 온되었을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순차선택되고(예컨대 Y→M→C→B의 순서), 반면에 단색모드에서 일괄인쇄키(72)가 온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색선택키(62)의 조작에 따라 대응하는 색신호가 선택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동작을 제11도(a-1), 제11도(a-2) 및 제11도(b)에 나타낸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주제어부(81)는 먼저 단계 S1에서 단색모드로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단색모드로 선택되어있지 않은 것(NO)으로 판단되면 모드를 통상의 컬러복사모드로 판단하여 단계 S2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S2에서는 복사키(65)가 온되었을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온되지 않은 것(NO)으로 판단되면 단계 S1으로 복귀하게 되는 한편 온된 것(YES)으로 판단되면 단계 S3으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3에서는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컬러복사모드이므로 상술한 동작에 의해 복수개의 열전사잉크리본(34)을 이용한 컬러복사(화상형성)를 행하게 된다.
상기 단계 S1에 있어서 단색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것(YES)으로 판단되면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의 작성모드로 판단하여 단계 S4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4에서는 일괄인쇄플래그를 리셋트시킨 다음 단계 S5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5에서는 초기설정으로서 색신호변환회로(87)에 노란색(Y)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6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6에서는 일괄인쇄키(72)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7로 진행하게 되는 한편,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8로 진행하게되고, 단계 S8에서는 일괄인쇄플래그를 셋트시켜 준 다음 단계 S7로 진행하게 된다. 이 단계 S7에서는 색선택키(62)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9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9에서는 단색모드가 클리어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클리어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으로 복귀하게되는 한편, 클리어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0으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10에서는 복사키(65)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6으로 복귀하게 된다.
또, 상기 단계 S7에 있어서 색선택키(62)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1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11에서는 일괄인쇄플래그를 리셋트시켜준 다음 단계 S12로 진행하게 되면, 단계 S12에서는 Y-키(68)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Y-키(68)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3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단계 S13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노란색(Y)의 색신호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6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단계 S12에 있어서 Y-키(68)가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4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14에서는 M-키(69)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M-키(69)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5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15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마젠터(M)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6으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단계 S14에 있어서 M-키(69)가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6으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16에서는 C-키(70)가 온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C-키(70)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7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17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시안(C)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다음 단계 S6으로 복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16에 있어서 C-키(70)가 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8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18에서는 B-키(71)가 온된 것으로 판단해서 색신호변환회로(87)에 검정색(b)의 색신호로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6으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 S10에 있어서 복사지(65)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19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19에서는 일괄인쇄플래그가 셋트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셋트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0으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20에서는 설정된 색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신호로 1매의 용지(P)에 대해 화상형성을 행하게 된다. 즉, 이 경우에는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의 작성모드이므로 상술한 동작에 의해 검정색의 열전사잉크리본을 사용하여 단색복사(즉, 화상형성)를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원고화상의 설정된 색의 성분의 대한 화상형성이 행해짐과 더불어 이 화상형성과 동시에 미리 입력시켜 놓은 작성일자 혹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가 형성출력되게 된다. 예컨대, 노란색(Y)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고화상의 노란색(Y)성분의 대한 화상이 형성되고, 마젠터(M)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원고화상의 마젠터(M)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이 경우에는 검정색의 열전사잉크리본의 미리 셋트되고, 또 용지(P)로서 예컨대 플라스틱필름이 미리 셋트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에 따라,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P)의 미리 정해진 비화상형성영역(a)에 작성일자(예컨대 11-6-86)와 관리번호(Y3115)등과 같은 정보가 인쇄되고, 그와 동신에 용지(P)의 화상형성영역에 원고화상의 설정된 색의 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일괄인쇄 키(72)를 온시키지 않은 경우에는 색선택키(62)에 의해 선택설정된 색에 대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 S19에 있어서 일괄인쇄플래그가 셋트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 S21로 진행하게되고, 단계 S21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노란색(Y)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22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22에서는 설정된 색(즉, 노란색)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신호로 1매째의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색신호변환회로(87)에 노란색(Y)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하고 있으므로 원고화상의 노란색(Y)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되게 됨과 더불어, 이 화상형성과 동시에 미리 입력시켜 놓은 작성일자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가 형성출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1매째로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Pl)의 미리 정해진 비화상형성영역에 작성일자(11-6-86)와 관리번호(Y3115)등과 같은 정보가 인쇄되고, 그와 동시에 화상형성영역에 원고화상의 노란색(Y)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수 있게 된다.
이어, 단계 S22에서 1매째의 화상형성동작이 종료되게 되면 단계 S23으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23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마젠터(M)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24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24에서는 설정된 색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신호로 2매째의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색신호변환회로(87)에 마젠터(M)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하고 있으므로 원고화상의 마젠터(M)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화상형성과 동시에 미리 입력시켜 놓은 작성일자라던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가 형성출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2매째로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P2)의 미리 정해진 비화상형성영역에 작성일자(11-6-86)와 관리번호(M3115)등과 같은 정보가 인쇄되고, 그와 동시에 화상형성영역에 원고화상의 마젠터(M)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 S24에서 2매째의 화상형성동작이 종료되게 되면 단계 S25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25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시안(C)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26으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26에서의 설정된 색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신호로 3매째의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색신호변환회로(87)에 시안(C)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하고 있으므로 원고화상의 시안(C)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화상형성과 동시에 미리 입력시켜 놓은 작성일자 또는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가 형성출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3매째로서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P3)의 미리 정해진 비화상형성영역에 작성일자(11-6-86)와 관리번호(C3115)등과 같은 정보가 인쇄되고, 그와 동시에 화상형성영역에 원고화상의 시안(C)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어, 상기 단계 S26에서 3매째의 화성형성동작이 종료되게 되면 단계 S27로 진행하게 되고, 단계 S27에서는 색신호변환회로(87)에 검정색(b)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한 다음 단계 S28로 진행하게 되며, 단계 S28에서의 설정된 색에 대응하는 화상형성신호로 4매째의 화상형성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 경우, 색신호변환회로(87)에 검정색(b)의 색신호로의 변환을 명령하고 있으므로 원고화상의 검정색(b)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됨과 더불어, 이 화상형성과 동시에 미리 입력시켜 놓은 작성일자와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가 형성출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제4매로써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용지(P4)의 미리 정해진 비화상형성영역에 작성일자(11-6-86)와 관리번호(b3115)등과 같은 정보가 인쇄되고, 그와 동시에 화상형성영역에 검정색(b)성분에 대한 화상이 형성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일괄인쇄키(72)를 온시킨 경우에는 한번에 각 색에 대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원고를 광학적으로 주사하여 시안, 녹색, 노란색의 3종류의 색신호로서 독출하고, 이들 3종류의 색신호를 노란색, 마젠터, 시안 및 검정색의 4색의 화상형성신호로 변환시키며, 또 조작패널상의 10-키에 의해 원고에 없는 작성일자 또는 관리번호등과 같은 정보를 미리 입력시켜 놓고, 상기 변환된 4색의 화상형성신호중에서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신호 및 입력된 정보에 따라 검정색의 열전사리본을 사용하여 플라스틱필름에 화상을 형성시켜 주게 된다. 그에 따라, 종래의 노광, 현상등과 같은 복잡한 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대단히 간단하게 작성할 수가 있고, 소형이면서 저가로 실현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작성일자 또는 관리번호등과 같은 원고에 없는 정보를 입력시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상에 화상과 함께 동시에 형성출력시켜 줄수 있게 된다. 또, 작성일자 또는 관리번호등과 같은 원고에 없는 정보를 입력시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상에 화상과 함께 동시에 형성시켜 줄수가 있으므로 인쇄원판작성응 필름의 작성이 간소화되게 됨과 더불어, 특히 유사한 인쇄원판작성용필름의 구별등의 관리가 용이해지게 된다. 더욱이, 일괄인쇄키에 의한 절환에 의해 상기 4색의 화상형성신호에 따라 흑색의 열전사잉크리본을 이용하여 그 4색의 화상형성신호와 동수의 플라스틱필름에 순차적으로 화상을 형성시켜 줄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에 따라, 한번에 각 색에 대한 인쇄원판적성용 필름을 연속적으로 작성할 수 있게 되고, 각 색에 대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을 1매씩 작성하는 경우에 비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시킬 수가 있다. 예컨대, 원고화상에 부가되는 관리정보는 제조자의 성명이어도 좋은바, 이 경우에는 제조자의 성명을 입력시켜 주기 위한 입력수단을 조작패널에 설치해 주어도 좋고, 이와 달리 별개의 입력키보드를 화상형성장치에 연결시켜 주어도 좋다. 또한, 부가되는 여러가지 정보를 주제어부에 저장시켜 놓고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형성시에 소정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부가되도록 해 주어도 좋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와 같은 복잡한 제조공정을 이용하지 않고 인쇄원판작성용필름을 대단히 간단하게 작성할 수가 있고, 게다가 소형이면서 저가로 실현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원고에 없는 정보를 입력시켜 인쇄원판작성용 필름상에 화상과 함께 동시에 형성출력시켜 줄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피화상형성매체(P)상에 형성되어야할 주화상을 나타내는 색화상데이터를 출력시켜 주기 위한 색화상데이터출력수단(13, 84∼88, 91)과, 상기 피화상형성매체(P)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인쇄되어 그 피화상형성매체(P)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정보로서 제공되는 소정의 관리정보를 입력시켜 주기 위한 정보입력수단(63, 73) 및, 색화상데이터와 관리정보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의 색제를 사용하여 피화상형성매체(P)상에 주화상을 형성시켜 줌과 더불어 그 피화상형성매체(P)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관리정보를 형성출력시켜 주기 위한 화상형성수단(31, 93)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입력기능을 갖춘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화상형성매체(P)의 미리 정해진 위치는 주화상이 형성되는 영역의 바깥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를 주화상의 색에 관련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원고를 광학적으로 주사하여 그 원고상의 화상을 복수 종류의 색신호로서 독출하기 위한 독출수단(8, 11)과, 상기 독출수단(8, 11)에 의해 독출된 각 색신호를 복수색의 화상형성신호로 변환시켜 주기 위한 색변환수단(87, 88), 상기 원고에 없는 관리정보를 입력시켜 주기 위한 입력수단(63, 73) 및, 상기 색변환수단(87, 88)에 의해 얻어지는 복수색의 화상형성신호중 어느 하나의 화상형성신호 및 상기 입력수단(63, 73)으로부터 입력된 관리정보를 따라 단색의 화상형성매체(34)를 사용하여 피화상형성매체(P)상에 화상을 형성시켜 주기 위한 화상형성수단(31, 93)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정보입력기능을 갖춘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63, 73)으로부터 입력된 관리정보는 피화상형성매체(P)의 미리 정해진 영역에 형성출력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63, 73)은 조작패널(2)에 설치된 10-키부(63)에 의해 관리정보를 입력시켜 주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최소한 작성일자와 관리번호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종류의 색신호는 시안(C), 녹색(G), 노란색(Y) 또는 빨간색(R), 녹색(G), 청색(b)의 3종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색의 화상형성신호는 노란색(Y)과 마젠터(M), 시안(C) 및 검정색(b)의 4색의 화상형성신호 또는 노란색(Y)과 마젠터(M) 및 시안(C)의 3색의 화상형성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화상형성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단색의 화상형성매체(34)는 검정색(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매체는 열전사잉크리본(3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화상형성매체(P)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화상형성매체(P)상에 형성된 화상은 옵셋인쇄의 원판작성용으로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19870007950A 1986-07-22 1987-07-22 화상형성장치 KR910001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172256 1986-07-22
JP61172256A JP2565874B2 (ja) 1986-07-22 1986-07-22 画像形成装置
JP172256 1986-07-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053A KR880002053A (ko) 1988-04-28
KR910001218B1 true KR910001218B1 (ko) 1991-02-26

Family

ID=15938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950A KR910001218B1 (ko) 1986-07-22 1987-07-22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54887A (ko)
JP (1) JP2565874B2 (ko)
KR (1) KR910001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777A (en) * 1988-11-15 1993-11-09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reproducing visible color image from color separations
JP3303295B2 (ja) * 1989-12-28 2002-07-15 新日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設計図面伝送システム
US20050105107A1 (en) * 2003-11-17 2005-05-19 Schneider David A. Image print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75007A (en) * 1966-06-02 1973-11-27 Xerox Corp Forms reproduction apparatus
JPS5087033A (ko) * 1973-11-30 1975-07-12
JPS5184632A (en) * 1975-01-24 1976-07-24 Canon Kk Deetakirokusochi
GB2026282B (en) * 1978-07-10 1982-10-13 Nippon Telegraph & Telephone Signal superimposing apparatus
US4320419A (en) * 1979-07-30 1982-03-16 Crosfield Electronics Limited Image reproduction equipment
US4361388A (en) * 1980-12-19 1982-11-30 Carl Zeiss-Stiftung Digital-marking camera attachment
GB2101838B (en) * 1981-04-20 1986-03-05 Canon Kk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JPS5811941A (ja) * 1981-07-16 1983-01-2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網目版画像記録装置における絵柄信号と文字信号の処理方法
JPS5887564A (ja) * 1981-11-20 1983-05-25 Fuji Xerox Co Ltd 複写機
JPS6030261A (ja) * 1983-07-29 1985-02-1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4631577A (en) * 1983-08-01 1986-12-2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displaying the steps of the image forming process
DE3429548A1 (de) * 1983-08-24 1985-05-15 Kabushiki Kaisha Toshiba, Kawasaki, Kanagawa Farbsteuereinheit fuer ein bilderzeugungsgeraet
JPS60263568A (ja) * 1984-06-11 1985-12-2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S62275768A (ja) * 1986-05-24 1987-11-30 Sony Corp プリント装置
EP0249690A3 (en) * 1986-06-16 1991-03-20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image-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28173A (ja) 1988-02-05
JP2565874B2 (ja) 1996-12-18
US4954887A (en) 1990-09-04
KR880002053A (ko) 1988-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45549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producing a positive multi-color print and negative color separation films or positive and negative color separation films using a multi-color thermal transfer ink ribbon
KR910007837B1 (ko) 화상형성장치
KR910001218B1 (ko) 화상형성장치
US4695896A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601800B2 (ja) 画像形成装置
US4831462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halftone control function
JP2565873B2 (ja) 画像形成装置
JP2521691B2 (ja) 画像形成装置
JPS6348077A (ja) 画像形成装置
JPH07121058B2 (ja) 画像形成装置
JPS6027266A (ja) 画像形成装置
JPS61252763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997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28172A (ja) 画像形成装置
JPS6348073A (ja) 画像形成装置
JPS6347772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06753A (ja) 画像形成装置
JPS638556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84271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9971A (ja) 画像形成装置
JPS6382764A (ja) 画像形成装置
JPS6348076A (ja) 画像形成装置
JPS6384375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51950A (ja) 画像形成装置
JPS6310675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