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63Y1 -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63Y1
KR910001063Y1 KR2019870011353U KR870011353U KR910001063Y1 KR 910001063 Y1 KR910001063 Y1 KR 910001063Y1 KR 2019870011353 U KR2019870011353 U KR 2019870011353U KR 870011353 U KR870011353 U KR 870011353U KR 910001063 Y1 KR910001063 Y1 KR 9100010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drum
toner
cleaning device
v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55U (ko
Inventor
명한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1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1063Y1/ko
Publication of KR8900032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03G21/0011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using a blade; Details of cleaning blades, e.g. blade shape, layer for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0026Cleaning of foreign matter, e.g. paper powder, from imaging member
    • G03G2221/0068Cleaning mechanism
    • G03G2221/0089Mechan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이 고안의 결합 상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드럼 크리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크리닝 날개홀더 1a : 절곡편
2 : 소공 3 : 크리닝 날개
4 : 양면 테이프 5 : 크리닝 유니트 보디
6 : 보스부 7 : 나공
8 : 압축 스프링 9 : 나사부재
이 고안은 전자 복사기의 드럼 표면에 전사되지 않은 토너를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드럼표면과 크리닝 날개가 최적의 압접력을 유지하도록한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의 크리닝 장치는 제3도에서와 같이 드럼(10)표면에 묻은 토너를 청소하기 위하여 드럼(10)의 일측 소정위치에 크리닝 날개(11)가 고정 설치되어있어서, 드럼표면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였었다.
그러나, 이는 크리닝 날개가 드럼일측에 적정 간격을 유지하며 고정 설치되어 드럼과 크리닝 날개사이의 최적 압력의 조정이 불가능하고, 크리닝 날개 마모시에는 드럼 표면의 토너를 제대로 제거하지 못하기 때문에 복사상태가 극히 불량했었다.
그리고, 크리닝 날개의 파손시에는 크리닝 날개뿐만아니라 고가의 드럼까지 교환해야 하는 경제적인 큰 손실을 보아야만 했다.
따라서, 이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 고안의 목적은 드럼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 날개가, 드럼과의 접촉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압축 스프링을 개재시킨 나사부재로서, 크리닝 유니트 보디 상측에 크리닝 날개를 가진 크리닝 날개홀더를 탄력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1도에서와 같이 후방에 절곡편(1a)이 형성되면서 몸체 중앙에는 나사부재(9)가 삽입되게 소공(2)을 구비한 크리닝 날개홀더(1)의 전방 하부에 양면 테이프(4)를 이용하여 크리닝 날개(3)를 부착하고, 상기 크리닝 날개 홀더(1)가 설치될 크리닝 유니트 보디(5)는 후방 상측에 크리닝 날개 홀더(1)의 절곡편(1a)이 지지 가능하게 지지대(5a)를 형성하면서, 전방에는 크리닝 날개(3)에 의해 제거된 폐토너의 회수를 위한 스크류(20)를 설치하였으며, 이 크리닝 유니트 보디(5)상측에 상기 크리닝 날개 홀더(1)를 탄력적으로 설치하였는데, 그 결합수단은 나사부재(9)에 압축 스프링(8)을 개재시킨 상태로 소공(2)을 통과하여 크리닝 유니트 보디(5)의 나공(7)에 나사결합시킨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전자 복사기에서의 크리닝 메카니즘은, 광도전성감광층을 가진 드럼(10)이 회전하여 원고대의 원고지에 대한 잠상을 현상부에서 모니터에 의해 가시화한후, 그 현상된 토너를 복사지에 전사시켜 복사지가 정착부를 통과하여 토너가 융착됨으로써 한 싸이클이 끝나게 된다.
그런데 전사 완료된 드럼(10)표면에는 전사되지 않은 토너가 남게 되는데 이를 잔류토너라고 한다.
이 잔류 토너는 다음 싸이클에서 화질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전사후 이를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 장치가 요구된다.
이 고안은 이 크리닝 블리드 타입 크리닝 장치에서 가장 중요한 크리닝 날개(3)와 드럼(10)과의 압접력을 최적상태로 유지하는데 있다.
왜냐하면 드럼(10)표면의 손상은 복사기의 화질 성능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크리닝 날개(3)의 압접력이 반복 사용되는 드럼(10)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잔류 토너를 회수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나사부재(9)와 크리닝 날개 홀더(1)사이에 탄설된 압축 스프링(8)의 탄성력이 드럼(10)의 반복 회전시 그 표면의 마모가 최저가 되면서, 크리닝 성능이 최대로 되는 압접력을 위하여 상기 나사부재(9)를 조절하여 적정한 압력을 유지토록 조정한다.
그 뒤, 이 상태에서 복사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드럼(10)이 회전하면서 드럼(10) 표면에 묻은 잔류토너가 드럼표면과 접촉하고 있는 크리닝 날개에 의해 긁어져 내려 폐토너 회수용 스크류(20)측에 모여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드럼(10)의 회전방향에 의해 크리닝 날개(3)가 상측으로 젖혀지려고 하는데, 크리닝 날개(3)가 부착된 절곡편(1a)이 크리닝 유니트 보디(5)의 지지대(5a)에 지지되면서, 크리닝 날개 홀더(1)가 압축 스프링(8)을 개재시킨 상태로 나사결합되어서 상기 드럼(10)과의 회전 마찰력에 의해 크리닝 날개(3)와, 이것이 부착된 크리닝 날개 홀더(1)가 상측으로 젖혀지려는 것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면서 드럼표면의 잔류 토너를 회수하는 것이다.
이렇게 회수 제거된 폐토너는 크리닝 유니트 보디(5) 전방 하측에 설치된 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측방으로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이 고안은 드럼 표면과 크리닝 날개의 압접력을 크리닝 날개홀더에 형성한 절곡편이 이 지지대에 지지되는 지지대응력과 압축 스프링의 탄력을 나사부재로서 그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서, 항상 적정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드럼 수명을 연장시키고, 화질성능에 극대화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드럼(10)에 묻은 토너를 제거하기 위하여 드럼 일측에 설치되는 드럼 크리닝 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후방 상측에 절곡편 지지용 지지대(5a)와 전방에 폐토너 회수용 스크류(20)가 설치된 크리닝 유니트 보디(5) 상측에는, 후방에 상기 지지대(5a)에 지지된 절곡편(1a)이 하향 절곡되고 전방에 토너 청소용 크리닝 날개(3)를 부착시킨 크리닝 날개 홀더(1)가 압축 스프링(8)을 개재시킨 상태로 나사부재(9)로서 탄력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KR2019870011353U 1987-07-10 1987-07-10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KR9100010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353U KR910001063Y1 (ko) 1987-07-10 1987-07-10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353U KR910001063Y1 (ko) 1987-07-10 1987-07-10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55U KR890003255U (ko) 1989-04-12
KR910001063Y1 true KR910001063Y1 (ko) 1991-02-21

Family

ID=1926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353U KR910001063Y1 (ko) 1987-07-10 1987-07-10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106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55U (ko) 198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1249A (en) Light emitting diode printer
JPH0226233B2 (ko)
EP0703511A2 (en) Image-forming machine equipped with cleaning means
US4619523A (en) Toner cleaning apparatus in electrophotography
JPS62159172A (ja) ブレ−ド式クリ−ニング装置を備えた複写装置
US3918400A (en) Blade mounting assemblies
KR910001063Y1 (ko) 전자 복사기의 드럼 크리닝 장치
JPS6410073B2 (ko)
US4440488A (en) Cleaning device for an image-carrying member
JP2647791B2 (ja) 多ブレードタレットホルダー式クリーニング装置
JP2915690B2 (ja) 画像形成装置
JP378505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93645A (ja) クリーニング装置
JP3744272B2 (ja) 画像形成装置
JPS62145258A (ja) 画像形成装置
KR970003828Y1 (ko) 전자사진 방식을 채용한 복사기나 프린터의 크리닝장치
JPS60107686A (ja) 電子写真装置
JPS595257A (ja) 電子写真複写機のクリ−ニング装置
JP3869942B2 (ja) 用紙剥離爪
JPH01242812A (ja) 回転体支持装置
JPS63155071A (ja) シ−ト紙分離装置
KR950010013B1 (ko) 전자사진 프로세스의 감광드럼 고정장치
KR900007361Y1 (ko) 레이저 프린터의 청소장치
JPH0113106B2 (ko)
JP3001250B2 (ja) 画像形成装置の定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