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060B1 -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 Google Patents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060B1
KR910001060B1 KR1019840008415A KR840008415A KR910001060B1 KR 910001060 B1 KR910001060 B1 KR 910001060B1 KR 1019840008415 A KR1019840008415 A KR 1019840008415A KR 840008415 A KR840008415 A KR 840008415A KR 910001060 B1 KR910001060 B1 KR 91000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usical instrument
music stand
sheet music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656A (ko
Inventor
벨리니 마리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53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89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6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3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4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1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5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2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8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5U/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가와까미 히로시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3Foldable; detachable; collap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7Cabine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를 덮개를 연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선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악기의 주요부를 덮개가 닫힌 상태로 나타낸 측단면도.
제4도는 코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전자악기의 기본적 회로배치를 나타낸 블록선도.
제6도는 접혀져서 오목부내에 수납된 악보 스탠드의 평면도.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악보 스탠드의 펼쳐진 상태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7c도는 제7a도 악보 스탠드의 VII-VII선 측단면도.
제8도 및 제9도는 각각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악보 스탠드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악보 스탠드와 그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전자악기의 악보 스탠드와 그 부품을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악기본체 8 : 건반부
30 : 덮개 32 : 조작소자
35 : 중공축 37 : 코드
40,70,89,100 : 악보 스탠드 56 : 악보 지지대
본 발명은 덮개에 조작패널(operation panel)이 설치된 전자악기에 관한 것이다.
소형 전자오르간, 키보드 및 음향 신쎄사이저(music synthesizer)같은 여러형식의 전자 건반악기에는 여러 조작스위치를 갖는 조작패널이 설치되어 있다. 주전기회로를 갖는 조작패널이 전자 건반악기의 본체에 설치될때는 배선문제가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조작패널이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는 덮개에 설치될 경우에는 본체와 덮개간의 배선문제를 고려해야 한다.
예를들면, 본체내에 설치된 전기회로는 외부도선에 의하여 덮개내에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조작스위치와 접속된다. 이 경우에 코드구멍이 몸체와 덮개에 형성되어야 한다. 너무 큰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코드가 밖에서 보여 외관상 좋지 않다. 그러나 너무 작은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덮개가 개폐될 때 코드가 휘어지게 되어 전기적 접속이 불량하게 되거나 끊어질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코넥터를 본체와 덮개에 설치하는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전자 건반악기가 사용될때는 양단에 플러그나 리셉터클이 있는 케이블이 본체와 덮개에 설치된 코넥터에 접속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전자 건반 악기를 사용할 때마다 케이블을 접속하여야 하므로 조작이 번잡스럽게 된다.
덮개에 설치된 조작패널은 일반적으로 건반부 뒤쪽의 본체 패널 상부나 덮개의 내면에 배치된다. 조작패널을 덮개 내부에 배치하면 덮개를 닫았을 때 조작패널의 여러 스위치들과 본체 사이에 매우 제한된 간격만 형성되므로 설계의 자유도가 제한된다. 뿐만아니라 전자악기를 얇게 만드는 것도 불가능해진다. 덮개가 닫혔을 때 스위치가 본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위치들을 덮개의 피봇부 근처에는 배치할 수 없으므로 조작패널 전체면적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가 없다.
이같은 형식의 종래의 전자 건반악기는 따로 악보 스탠드를 이용하지 않고 덮개의 조작패널 표면이 악보 스탠드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조작패널이 악보로 덮혀지기 때문에 연주자가 악기를 조작할 수 없어 바라는대로 연주를 할 수가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는 연주자가 자신이 연주할 음악을 완전히 암기하거나 해당 악보를 조작패널의 옆에 비치하여야 한다. 본체에 악보 스탠드를 설치하는 것은 미국특허 제4,380,947호나 일본 특허명세서 제57-20791호에 기재되어 있으나, 악보 스탠드의 수납공간이 증가하고 스탠드에 잡혀있는 악보의 뒤쪽에 있는 제어스위치의 조작성이 개선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전자악기의 외관을 좋게 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접속불량과 단선을 방지하도록, 전자악기의 본체에 설치된 주전기회로와 덮개에 설치된 보조전기회로를 접속시켜 주는 케이블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구성된, 덮개에 조작패널이 설치된 전자악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덮개를 악기본체에 힌지시키고, 힌지 조립체를 구성하는 연결축에 관통구멍을 형성시키고, 악기본체의 전기회로와 덮개의 조작패널의 조작스위치를 접속시키는 케이블을 이 관통구멍을 통하여 삽입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 조작패널의 면적이 종래의 조작패널에 비하여 크게 되도록 덮개에 조작패널이 설치된 전자악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악기본체에 오목부를 형성시켜 조작스위치중의 일부를 덮개의 피봇부를 구성하는 연결부 근처에 배치하여 덮개가 닫혔을 때 이 스위치들이 오목부에 수납되게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악보 스탠드가 간단한 구조로서 좁은 공간내에 쉽게 수납될 수 있고 스탠드에 있는 악보가 조작패널상의 스위치 조작을 방해하지 않는 악보 스탠드가 구비된 전자악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접을 수 있는 악보 스탠드를 악기 덮개의 앞쪽 끝면에 설치한다.
제1도 내지 제4도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작패널이 설치된 덮개와 건반부를 갖는 전자악기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부재번호 1은 좌우로 연장되어 있는 얇은 상자를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2A)와 하부 케이스(2B)를 가지는 악기본체(2)를 나타낸다. 앞쪽 덮개(20)와 바깥면이 평평한 덮개(30)가 본체(2)에 배치된다. 앞쪽 덮개(20) 및 덮개(30)와 본체(2)는 얇은 상자 형태의 전자악기 하우징을 구성한다.
본체(2)의 양단부에는 스피커 하우징(3A,3B)이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 하우징(3A,3B)의 상면에는 여러개의 핀(fin,4)과 스피커 슬리트(slit,5)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2)의 상면 전반부와 전면은 스피커 하우징(3A,3B)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어 있다. 건반부(8)는 한쌍의 좌우 엔드 블록(end block,6a,6b)과 여러개의 흰 건반(7a)과 검은건반(7b)으로 이루어지는 건반(7)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건반(7a)은 제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그 후단면에 일체로 연장된 돌출부(9)와 건반 프레임(10)의 구멍(11)사이 접촉부를 중심으로 피봇되어 있는 동시에, 건반의 하면과 프레임(10)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2)에 의하여 항상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있다(검은건반(7b)도 동일).
또 각 흰건반(7a)에는 작동부(13)와 L자형 스토퍼(14)가 일체로 그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스토퍼(14)의 선단부는 건반 프레임(10)에 형성된 구멍(15)속에 삽입되어 건반의 상향운동을 제한한다. 그결과 흰건반(7a)은 작은 각도에 걸쳐 회전할 수 있게 대체로 수평을 유지한다.
연주자가 건반을 누르면 건반은 스프링(12)의 힘을 이겨 아래쪽(제2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부(13)가 건반 프레임(10)의 하면에 배치된 건반 스위치(16)를 동작시킨다. 이 건반 스위치(16)로부터 스위치(16)의 아래쪽에 설치된 인쇄회로 기판(MPC)의 주전기회로로 전기신호가 공급되어 건반(7a)에 해당하는 음이 전기적으로 생성된다. 부재번호 11은 건반의 하한 스토퍼로서 탄성재질로 피복되어 있다.
앞쪽 덮개(20)는 수직부(20a)와 수평부(20b)로 구성되어 대체로 역 L자형으로 되어 있으며 건반부(8)의 전면에서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다. 앞쪽 덮개(20)는 그 하단에 장착된 축(22)을 중심으로 피복되어 스피커 하우징(3A,3B)을 제외한 전면을 닫거나 노출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 건반악기를 운반할때는 엔드 블록(6a,6b) 및 흰건반(7a)의 전단과 전면을 덮도록 제2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대로 덮개(20)를 닫는다. 동시에 덮개(30)가 닫힐때면 앞쪽 덮개(20)는 덮개(30)의 전단을 잡게 된다.
그러나 연주할때에는 앞쪽 덮개(20)가 축(22)을 중심으로 약 270˚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도에 이점 쇄선(23)으로 나타낸 것처럼 하부 케이스(2B)의 전단하면(25)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앞쪽 덮개(20)를 제2도의 다른 이점 쇄선(26)으로 나타낸 것처럼 회전시키면 작곡시 덮개(20)의 L자형 내면을 연필, 지우개 등을 놓는 자리로 이용할 수도 있다.
덮개(30)는 속이 빈 판구조로 되어 있으며 본체(2) 상면의 후단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 후단부(덮개(30)가 열렸을때의 하단부)는 상부 케이스(2A) 상면 후단에 형성된 반원형 오목부(38)내에 삽입된다.
축(35)은 덮개(30)의 양 측면에 설치되어 오목부(38)의 좌우측 벽에 형성된 베어링 구멍(2H,제4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연주하는 동안 여러 스위치들을 적절히 조작하고 악보를 잘 읽을수 있게 덮개(30)의 내면에 배치된 조작패널(31)이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덮개(30)는 그 하부단(또는 중심부)이 오목부(38)의 후부 상단에 있는 피봇 스토퍼(38a,제2도)에 접촉할 때까지 열려진다. 덮개(30)가 닫히면, 제3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그 전단이 앞쪽 덮개(20)에 접촉하여 건반부(8)를 덮게 된다.
조작패널(31)은 덮개(30) 내면의 거의 전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조작패널(31)에는 오르간, 하프시코오드, 피아노 및 기타 음색중의 하나를 선택하는 토운 선택스위치(32a)와 음량조절용 저항(32b), 리듬 선택스위치와 같은 조작소자(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다른 전자 소자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조작소자에는 그룹별로 구분 표지(31m)가 되어 있다. 덮개(30)의 후단부, 즉 피봇부는 제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반원형 단면을 갖고 있으며 덮개(30)가 열리면 대체로 평평하게 되는 두꺼운 표면(31a)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교적 큰 조작소자들을 갖는 음량조절 저항(32b)은 표면(31)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31b)은 표면(31a)에 연속하여 조작패널(31)의 주표면과 반대쪽(건반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패널(31)의 주표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조작소자(32c)는 표면(31b)에 배치되어 있다. 또, 덮개(30)의 내면(즉 조작면)은 피봇부(축(35)의 중심)나 그 바깥쪽을 지나는 직선상에 위치하기 때문에 덮개(30)를 얇고 콤팩트하게 하면서 축(35)의 직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스위치회로가 인쇄된 인쇄회로 기판(SPC)이 덮개(30)에 설치되고 조작패널(31)에 설치된 조작소자(32)들이 인쇄회로 기판(SPC)과 접속된다. 인쇄회로 기판(SPC)과 인쇄회로 기판(MPC)은 코드(37)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덮개(3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공축(35)은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것처럼 직경이 크다. 인쇄회로 기판(SPC)과 본체(2)의 인쇄회로 기판(MPC)을 접속시키는 코드가 포함되는 여러 코드들(37)은 중공축(35)에 삽입되어 중공축(35)을 통하여 본체(2A)에 연결된다. 제4도에는 축(35)이 상부 케이스(2A)에 있는 오목부의 양 끝벽에 형성된 구멍(2H)에 삽입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축(35)은 고정 금속편(2T)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접속 코드가 악기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코드를 위한 구멍을 따로 덮개(30)에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덮개(30)가 개폐될 때 코드(37)는 수직으로 움직이지 않으므로 전기적 접속불량이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전자악기에 채용되는 회로는 이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회로의 기본적 배치는 제5도에 나타낸바와 같다. 본체(2)에 설치된 주인쇄회로 기판(MPC)에는, 건반(7)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흰건반(7a)과 검은건반(7b)을 누르는데 따른 건반정보를 발생시키는 건반 스위치회로 ; 건반 정보 및 토운 선택스위치(32a)와 음량조절 저항(32b)과 같은 조작소자(32)의 조작에 따라 음을 발생시키는 토운 제너레이터(tone generator) ; 자동반주를 하기 위한 자동 반주회로 ; 음향시스템 회로가 포함된다.
이 경우 보조인쇄회로 기판(SPC)과 주인쇄회로 기판(MPC)사이의 신호교환은 코드(37)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회로배치는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토운 제너레이터, 자동 반주회로, 심지어 음향시스템 회로까지도 덮개(30)에 설치할 수 있다.
악보 스탠드(40)는 덮개(30)의 전면(30a)에 형성된 오목부(39)에 접혀져서 수납될 수 있다. 제2도, 제6도 및 제7a도 내지 제7c도를 참고하여 악보 스탠드(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악보 스탠드는 대체로 U자형 단면을 갖는 금속판재로 만들어진다.
악보 스탠드(40)는 상하부 수평부재(41a,41b)와 길이가 같은 3개의 수직부재(41c,41d,41e)로 구성된다. 수직부재(41c,41d,41e)의 상하단은 핀에 의하여 상하부 수평부재(41a,41b)에 등간격으로 피봇 연결되어 있다. 상부 수평부재(41a)의 길이는 수직부재(41c,41d,41e)의 2배(또는 그 이상)이다.
수직부재(41c,41e,41d)는 각각 상부 수평부재(41a)의 양단과 중심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하부 수평부재(41b)의 길이는 수직부재(41c,41d,41e)의 3배(또는 그 이상)이다.
수직부재(41c,41d,41e)의 하부는 각각 연결핀(46a,46b,46c)에 의하여 왼쪽으로부터 차례로 하부 수평부재의 왼쪽끝,
Figure kpo00001
지점,
Figure kpo00002
지점에 피봇 연결되어 있다. 하부 수평부재(41b)는 오목부(39)의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다.
수직부재(41c,41d,41e)는 각각 연결핀(46a,46b,46c)에 있는 코일스프링(47)에 의하여 제7a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 있다. 다른 말로 하면 수직부재(41c,41d,41e)는 서 있을수 있도록 바이어스 되어 있다.
이 경우 핀 장착부(48, 제7b도)는 각각 수직부재(41c,41d,41e)의 아래쪽 우측면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수직부재(41c,41d,41e)가 서게 되면, 핀 장착부(48)의 하면과 수직부재(41c,41d,41e)의 하단면은 하부 수평부재(41b)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러므로 수직부재(41c,41d,41e)가 왼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하부 수평부재(41b)의 상면과 대체로 수직을 유지하게 된다. 각 수직부재(41c,41d,41e)의 폭(D)은 제7c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하부 수평부재(41a,41b)의 내측 폭과 대체로 같거나 더 작으므로 수직부재(41c,41d,41e)는 코일스프링(47)의 힘을 이기고 스러뜨릴 수 있다.
악보 스탠드(40)가 접히면 수직부재(41c,41d,41e)는 제7b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상부 수평부재(41a)내에 수납된다. 상부 수평부재(41a)가 하부 수평부재(41b)위에 겹쳐지면 이 조립체는 오목부(39)내에 수납된다. 이 때 상부 수평부재(41a)는 오른쪽으로 이동되어 오목부(39)내에 수납된다.
악보 스탠드(40, 상부 수평부재(41a)와 하부 수평부재(41b)가 포함된다)는 펴지거나 접혔을 때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 된다. 접힌 상태에서 악보 스탠드(40)는 잠금부재(45)에 의하여 잠겨지게 된다.
잠금부재(45)는 하부 수평부재(41b)의 바닥면 내측에 수직부재(41c)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된다. 잠금부재(45)의 상단은 L자형 고리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고리부(45a)는 수직부재(41c)에 형성된 구멍(50)과 결합하여 부재(41c)가 펼쳐지려고 하는 것을 방지한다. 잠금부재(45)는 강성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지고, 피봇될 수도 있다. 잠금부재(45)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하여 구멍(50)과 결합되는 방향(제7b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제2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악보 스탠드(40)는 덮개(30)보다 더 멀리 펼쳐지므로 연주자는 악보(55)를 더 잘 볼수 있다. 악보 스탠드 덮개인 악보 지지대(56)는 덮개(30)의 전면내부에 설치되어 힌지(57)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악보(55)는 지지대(56)위에서 악보 스탠드(40)에 기대어져 서 있게 된다. 악보 스탠드(40)가 수납되면 오목부(39)는 지지대(56)에 의하여 덮힌다.
맞물림 오목부(60)가 지지대(56)의 내면 전단 중심부에 지지대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덮개(30)의 전면(30a)에는 맞물림 돌출부(61)가 형성되어 맞물림 오목부(60)와 맞물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지지대(56)의 내면에는 지지대(56)가 접혀진 악보 스탠드(40)를 덮었을 때 잠금부재(45)가 들어갈 수 있도록 잠금부재(45)의 해당 위치에 오목부(63)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전자악기에서 악보 스탠드(40)가 덮개(30)의 전면(30a)에 설치되어 악보(55)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악보 스탠드(40)는 펼쳐진 상태에서나 접혀진 상태에서 동일 평면내에 있으므로 오목부(39)의 공간이 작아도 되며 건반악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악기와 달리 악보(55)가 조작패널(31)을 덮지 않으므로 방해받지 않고 악기를 연주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악보 스탠드(40)는 접혀져서 전면(30a)에 형성된 오목부(39)내에 수납될 수 있으므로 악기가 콤팩트하게 되어 쉽게 운반할 수 있다.
또 오목부(39)는 악보 스탠드 지지대(56)에 의하여 덮혀지므로 수납된 악보 스탠드가 노출되지 않는다. 악보 스탠드가 사용되지 않을때는 덮개의 전면은 외관상 보기 좋다.
제8도 및 제9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앞서 언급한 제1실시예의 제1도 내지 제7도에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였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8도 및 제9도에서 악보 스탠드(70)는 한 방향으로 신축될 수 있는 한쌍의 망원경식 수평부재(71a,71b)와 4개의 경사부재(71c,71d,71e,71f)로 구성되어 있다.
경사부재(71c,71d,71e,71f)는 좌우측쌍을 이룬다. 경사부재(71c,71d)의 좌측쌍의 상단은 수평부재(71a)의 왼쪽에서 공통핀(72)에 의하여 연결되고, 경사부재(71e,71f)의 우측쌍의 상단은 수평부재(71b)의 오른쪽에서 공통핀(73)에 의하여 연결된다.
4개의 경사부재(71c 내지 71f)중 바깥쪽 경사부재(71c,71e)의 하단은 오목부(39)내에 움직일 수 있게 삽입되는 동시에 경사부재(71c,71e)의 하단에 형성된 핀(75,76)이 각각 안내홈(77,78)속에 삽입되어 경사부재(71c,71e)가 오목부(39)로부터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에 내측 경사부재(71d,71f)는 각각 고정핀(79,80)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핀(79,80)에 설치된 코일스프링(81)에 의하여 각각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바이어스 된다. 악보 스탠드(70)가 이렇게 하여 똑바로 서게 될 때 핀(75,76)은 안내홈(77,78)의 양단에 접촉하여 악보 스탠드(70)가 고정핀(79,80)을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악보 스탠드(70)는 이렇게 하여 안정되게 서 있을수 있다. 악보 스탠드(70)가 접혀질 때 악보 스탠드를 잠그는 잠금부재(45)는 고정핀(79,80)사이의 중간지점에 위치하고, 맞물림 구멍(84,85)이 잠금부재(45)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한쌍의 수평부재(71a,71b)에 형성되어 있다. 악보 스탠드(70)를 접기 위하여 경사부재(71c,71d,71e,71f)들을 밑으로 누르면 맞물림 구멍(84,85)이 서로 겹쳐지고, 겹쳐진 맞물림 구멍(84,85)은 잠금부재(45)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악보 스탠드(70)가 접혀서 오목부(39)내에 수납될 때 수평부재(71a,71b)는 내측 경사부재(71d,71f)의 외측면과 꼭 맞게 되는 반면에, 외측 경사부재(71c,71e)는 핀(75,76)이 안내홈(77,78)을 따라 각각 좌우측으로 이동하므로 오목부(39)의 바닥면과 접하게 된다. 악보 스탠드(70)가 접혔을때나 퍼졌을때나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 된다는 것은 쉽게 알수 있을 것이다.
제10도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악보 스탠드(89)는 망원경식으로 신축될 수 있는 한쌍의 좌우측 다리(90,91)와, 그 상단부에 연결된 U자형 바아(93)로 구성된다.
다리(90)는 직경이 다른 2개의 파이프(90a,90b)로 이루어지고 다리(91)도 마찬가지로 2개의 파이프(91a,91b)로 이루어진다.
파이프(90a,91a)는 파이프(90b,91b)내에서 미끄러질 수 있게 삽입된다. 하부 파이프(90b,91b)는 각각 덮개(30)의 전면(30a)에 형성된 구멍(96,97)속에 비교적 큰 마찰력을 가지고 미끄러질 수 있게 삽입되어 있다. 그러나 하부 파이프(90b,91b)를 구멍(96,97)으로부터 뽑아낼 수는 없다.
홈(98)이 전면(30a)에 구멍(96)에서부터 구멍(97)까지 걸쳐 형성되어 있어 악보 스탠드(89)가 접혀지면 바아(93)의 수평부분은 이 홈(98)속에 들어간다.
제11도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악보 스탠드(100)는 체인이나 줄과 같은 연결부재(101)로 연결된 4개의 바아(102a 내지 102d)로 구성되어 있다. 바아(102a 내지 102d)의 하단부는 각각 적절한 길이를 갖고 바아(102a 내지 102d)의 길이방향과 수직인 굽은 부분(103a 내지 103d)과 핀(104a 내지 104d)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왼쪽에 있는 바아(102a)는 덮개(30)에 대하여 좌우방향으로는 피봇될 수 있으나 바아(102a)의 길이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움직이지 않는다. 바아(102b,102c,102d)의 핀(104b,104c,104d)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홈(78)에는 바아(102a)의 핀(104a)이 있는 위치에서 확장부(78a)가 형성되어 있어 악보 스탠드(100)가 접힐 때 핀(104b,104c,104d)이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점 쇄선(105)으로 나타낸바와 같이 바아(102a 내지 102d)는 서로 포개져서 함께 오목부(39)내에 수납된다. 악보 스탠드(100)를 오목부(39)로부터 끌어낼 때에는 바아(102d)의 선단에 돌출된 돌기(106)를 잡고 위쪽으로 끌어당기면 바아(102d,102c,102b)가 미끄러지면서 바아(102c,102b,102a)가 제11도에 실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순차적으로 서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여러 가지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2실시예에서 각각 고정핀(79,80)을 가동핀으로, 핀(75,76)을 고정핀으로 할 수도 있다. 제4실시예에서 악보 스탠드(100)가 퍼졌을 때 최우측의 바아(102d)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적절한 잠금기구에 의하여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의 회전축이 덮개의 아래쪽 양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나, 중공의 고정축을 본체 양단의 오목부에 설치하여 덮개의 기단부에 형성된 구멍이 이 고정축을 받아들이게 할 수도 있다.

Claims (24)

  1. 건반부와 음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전기회로를 갖는 악기본체 ; 닫혔을 때 건반부를 덮도록 피봇구조에 의하여 상기 악기본체에 피봇 설치되고, 전기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소자를 구비한 조작패널이 설치된 덮개로 구성되고 ; 상기 피봇구조는 상기 덮개와 상기 악기본체중의 하나에 설치된 중공축 수단과 상기 축수단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수단 및 상기 악기본체의 전기회로와 상기 덮개의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상기 중공축에 삽입되는 코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본체 상면의 후부에는 상기 덮개의 기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가 악기본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구조가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 수단이 상기 덮개에 형성되고 상기 악기본체의 상기 오목부 양단의 측벽이 상기 중공축 수단과 맞물리는 상기 베어링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와 후단에 상기 덮개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피봇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본체의 양측부에 스피커를 설치하기 위한 스피커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부를 상기 악기본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악기본체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건반부의 전단을 덮기 위한 앞쪽 덮개에 의하여 상기 건반부가 덮히고, 상기 앞쪽 덮개가 상기 악기본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상기 악기본체의 앞쪽 하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측표면은 평평하고 기단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두꺼우며, 상기 피봇구조가 상기 기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상기 악기본체의 상면 후부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가 닫혔을 때 상기 조작소자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오목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상기 덮개의 내면이 상기 조작패널의 주요부를 이루는 제1표면 ;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열렸을 때 대체로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주요부와 연속된 제2표면 ;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표면과 대체로 평행하며 상기 제2표면과 연속된 제3표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0. 오목부와 건반부를 갖는 악기본체와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피봇부를 갖고,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가 닫혔을 때 상기 악기본체의 건반부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조작패널을 구성하는 여러개의 조작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소자의 일부는 상기 피봇부 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가 닫혔을 때 상기 오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접을수 있는 악보 스탠드가 상기 덮개의 전단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접을수 있는 악보 스탠드가 상기 덮개에 형성된 수납부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접혔을때나 퍼졌을 때 모두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는 악보 스탠드를 접혀진 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가, 서로 평행한 상하부 수평부재 ; 상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 수평부재의 좌측단, 중심, 우측단에 피봇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각 상기 하부 수평부재의 왼쪽으로부터 좌측단, 1/3 지점, 2/3 지점에 피봇 연결되며 길이가 동일한 제1,제2,제3수직부재 ; 상기 악보 스탠드를 서있게 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제2,제3수직부재를 바이어스하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 ; 상기 하부 수직부재의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잠금부재 ; 상기 악보 스탠드가 접혔을 때 소정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형성된 맞물림부로 구성되고 ; 상기 악보 스탠드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맞물림부를 잠그는 잠금부재에 의하여 상기 악보 스탠드가 상기 오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는 ; 서로 망원경식으로 신축될 수 있는 제1 및 제2수평부재 ; 상기 제1수평부재의 한쪽 끝에 상단부가 같이 피봇 연결되어 경사부재의 제1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경사부재로서, 상기 제1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에 꼭맞게 형성된 제1가동핀에 의하여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제1고정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1 및 제2경사부재 ; 상기 제2수평부재의 한쪽 끝에 상단부가 같이 피봇 연결되어 경사부재의 제2쌍을 이루는 제3 및 제4경사부재로서, 상기 제3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에 꼭맞게 형성된 제2가동핀에 의하여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4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제2고정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제3 및 제4경사부재 ; 상기 제2 및 제4경사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 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핀에 설치된 스프링 ; 상기 제2수평부재에 설치된 잠금부재 ; 및 상기 악보 스탠드가 접혔을 때 상기 잠금부재와 대응 위치에서 공통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수평부재에 형성된 맞물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악보 스탠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맞물림부재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로 오목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는 ; 양단이 L자형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L자형 부분에 수직부분이 있는 수평바아 ; 한쌍의 제1 및 제2수직파이프로서 상기 제1수직파이프는 상기 제2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분의 하나는 상기 제1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파이프는 상기 덮개 전면 오목부의 한쪽 끝에 형성된 제1구멍속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는 한쌍의 제1 및 제2수직파이프 ; 및 한쌍의 제3 및 제4수직파이프로서 상기 제3수직파이프는 상기 제4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분의 다른 하나는 상기 제3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고, 상기 제4수직파이프는 상기 덮개 전면 오목부의 다른 끝에 형성된 제2구멍속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는 한쌍의 제2 및 제4수직파이프로 구성되며, 악보 스탠드가 수납될때는 상기 오목부내에 꼭맞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는 ; 상기 덮개에 피봇 고정된 L자형 제1수직바아로서 상기 제1수직바아를 서있게 하기 위한 제1수평부가 상기 제1수직바아와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L자형 제1수직바아 ;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가동핀에 피봇 고정된 L자형 제2 및 제3수직바아로서 상기 제2 및 제3수직바아를 서있게 하기위한 제2 및 제3수평부가 각각 제2 및 제3수직바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및 제3수직바아 ;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가동핀에 피봇 고정된 U자형 제4수직바아로서 상기 제4수직바아와 상하단부에는 각각 제4 및 제5수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수평부는 연주자가 상기 제4수직바아를 오목부로부터 끌어내기 위한 돌기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5수평부는 상기 제4수직바아를 서있게 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을 갖는 U자형 제4수직바아 ; 및 상기 제1 내지 제4수직바아를 연결시키는 수평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에는 상기 덮개의 전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되는 악보 스탠드와, 상기 수납부의 대응위치에서 상기 덮개에 설치된 악보 지지대가 포함되고, 상기 악보 스탠드가 수납되었을 때 상기 악보 지지대가 상기 수납부를 덮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지지대가 상기 덮개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악보 스탠드가 펼쳐지고 덮개가 열렸을 때 상기 악보 스탠드와 경사각이 상기 조작패널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이 경계표지에 의하여 그룹별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2. 건반악기에 형성된 수납부내에 수납되도록 접을수 있는 악보 스탠드가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에서 펼쳐져서 있을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 모두 동일한 평면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악보 스탠드 조립체.
  23. 건반악기에 형성된 수납부내에 수납되는 악보 스탠드와 상기 수납부의 대응위치에 설치된 악보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악보 지지대는 상기 악보 스탠드가 수납되었을 때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악보 스탠드 조립체.
  24. 악기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고, 사익 덮개가 닫혔을 때 건반부를 덮개되는 덮개의 전단면에 악보 스탠드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악보 스탠드 조립체.
KR1019840008415A 1984-01-26 1984-12-27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KR910001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9145 1984-01-21
JP???59-8253 1984-01-26
JP825384U JPS60122989U (ja) 1984-01-26 1984-01-26 電子楽器
JP59-8253 1984-01-26
JP914684U JPS60122993U (ja) 1984-01-27 1984-01-27 鍵盤楽器の譜面立て装置
JP9146 1984-01-27
JP???59-9148 1984-01-27
JP9144 1984-01-27
JP???59-9144 1984-01-27
JP9148 1984-01-27
JP???59-9146 1984-01-27
JP914484U JPS60122991U (ja) 1984-01-27 1984-01-27 蓋体を有する携帯用電気機器
JP914584U JPS60122992U (ja) 1984-01-27 1984-01-27 鍵盤楽器の譜面立て装置
JP9145 1984-01-27
JP914884U JPS60122995U (ja) 1984-01-27 1984-01-27 電子楽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56A KR850005656A (ko) 1985-08-28
KR910001060B1 true KR910001060B1 (ko) 1991-02-23

Family

ID=2751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415A KR910001060B1 (ko) 1984-01-26 1984-12-27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35521A (ko)
EP (1) EP0150620B1 (ko)
KR (1) KR910001060B1 (ko)
DE (1) DE34859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786B1 (ko) * 1989-12-27 1993-08-19 가시오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악기를 위한 건반장치
US5396398A (en) * 1993-12-21 1995-03-07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Portable control console
JP2001344056A (ja) * 2000-05-31 2001-12-14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入力装置
EP1460613B1 (en) * 2003-03-18 2009-08-26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CN101685624B (zh) * 2004-01-14 2013-01-23 雅马哈株式会社 键盘乐器
US8800455B2 (en) 2011-03-21 2014-08-12 Dana Monroe Audio mixing console case
USD776190S1 (en) * 2015-08-19 2017-01-10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keyboard
USD945523S1 (en) * 2020-08-10 2022-03-08 Yamaha Corporation Digital mixer
JP1683848S (ja) * 2020-12-14 2021-04-19 譜面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914A (en) * 1911-08-19 1912-03-19 Ernest J Knabe Jr Combined fall-cover and music-rack for piano or organ casings.
GB191204614A (en) * 1912-02-23 1912-10-03 George Hamilton Buls Radcliffe Improvement connected with Music Rests or Desks of Pianos, Organs, and the like.
US2105739A (en) * 1936-01-23 1938-01-18 Jacobs Mordecai Victor Pianoforte
GB478746A (en) * 1936-07-31 1938-01-25 Supertone Piano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anos and the like
DE2512253C3 (de) * 1975-03-20 1978-10-19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Gelenkpfanne für ein Winkelgelenk
US4084213A (en) * 1977-02-22 1978-04-11 Modern Controls, Inc. Portable keyboard/display terminal
JPS644146Y2 (ko) * 1979-03-09 1989-02-02
US4331062A (en) * 1980-06-02 1982-05-25 Rogers Allen E Visual note display apparatus
US4380947A (en) * 1980-06-20 1983-04-26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Portab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separable controlling panel and keyboard
JPS5711578U (ko) * 1980-06-20 1982-01-2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0620A2 (en) 1985-08-07
DE3485977D1 (de) 1992-12-17
EP0150620B1 (en) 1992-11-11
US4635521A (en) 1987-01-13
EP0150620A3 (en) 1988-06-15
DE3485977T2 (de) 1993-06-09
KR850005656A (ko) 1985-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4649B1 (en) Keyboard structure of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KR910001060B1 (ko)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US7465863B2 (en) Keyboard apparatus
US6133517A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simplified key unit assembly
US6798648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 flat box shaped housing
KR920011041B1 (ko) 전자악기의 스피커 부착구조
US4674385A (en) Housing structure of keyboard musical instrument
US4488468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compact pedal board and storage case therefor
KR930005834B1 (ko) 베이스유닛에 프린트 배선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휴대형기기
US5452179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wo disk drives mounted on a single fixing member
US5239444A (en) Tiltabl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sliding tilt leg
US10847130B2 (en) Keyboard device including link mechanism
JP5660282B2 (ja) 鍵盤装置
JPH0322782Y2 (ko)
JPH06202760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の拡張装置
JP6252109B2 (ja) 鍵盤楽器
JP2007017566A (ja) 鍵盤楽器
US5294013A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H08314435A (ja) 鍵盤楽器
JPH0125986Y2 (ko)
JPH0125987Y2 (ko)
JPH0322779Y2 (ko)
US4742749A (en) Lid structure of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S6311995A (ja) 電子楽器の蓋体構造
JPS632687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