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5656A -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 Google Patents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5656A
KR850005656A KR1019840008415A KR840008415A KR850005656A KR 850005656 A KR850005656 A KR 850005656A KR 1019840008415 A KR1019840008415 A KR 1019840008415A KR 840008415 A KR840008415 A KR 840008415A KR 850005656 A KR850005656 A KR 850005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usical instrument
music stand
vertical
sheet mu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8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060B1 (ko
Inventor
벨리니 마리오
Original Assignee
가와까미 히로시
닛뽄 각끼 세이죠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253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89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4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1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8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5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6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3U/ja
Priority claimed from JP914584U external-priority patent/JPS60122992U/ja
Application filed by 가와까미 히로시, 닛뽄 각끼 세이죠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까미 히로시
Publication of KR85000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0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3Foldable; detachable; collaps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17Cabin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의한,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를 덮개를 연 상태로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악기의 주요부를 덮개가 닫힌 상태로 나타낸 측단면도.
제4도는 코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Claims (24)

  1. 건반부와 음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전기회로를 갖는 악기 본체; 닫혔을때 건반부를 덮도록 피봇구조에 의하여 상기 악기본체에 피봇 설치되고, 전기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소자가 설치된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피봇구조는 상기 덮개와 상기 악기본체중의 하나에 설치된 중공축 수단과 상기 축 수단을 지지 하기 위한 베어링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악기본체의 전기회로와 상기 덮개의 전기회로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도록 코드수단이 상기 중공축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본체 상면의 후부에는 상기 덮개의 기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가 악기 본체의 길이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구조가 상기 오목부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측 수단이 상기 덮개에 형성되고 상기 악기본체의 상기 오목부 양단의 측벽이 상기 중공축 수단과 맞물리는 상기 베어링수단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후단에 상기 덮개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피봇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본체의 양 측부에 스피커를 설치하기 위한 스피커 하우징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반부는 상기 악기본체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악기본체의 앞쪽에 배치되고, 상기 덮개와 상기 건반부의 전단을 덮기 위한 앞쪽 덮개에 의하여 상기 건반부가 덮히고, 상기 앞쪽덮개가 상기 악기본체에 대하여 피봇되도록 상기 악기 본체의 앞쪽 하단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측표면은 평평하고 기단부는 나머지 부분보다 두꺼우며, 상기 피봇구조가 상기 기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기단부를 받아들이는 오목부가 상기 악기본체의 상면 후부에 형성되며, 상기 덮개가 닫혔을 때 상기 조작소자중의 적어도 하나가 상기 오목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이 설치되는 상기 덮개의 내면이 상기 조작패널의 주요부를 이루는 제1표면;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덮개가 열렸을때 대체로 수평을 유지하며 상기 주요부와 연속된 제2표면; 상기 기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표면과 대체로 평행하며 상기 제2표면과 연속된 제3표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0. 오목부와 건반부를 갖는 악기본체와 덮개로 구성되고, 상기 덮개는 상기 오목부에 삽입되는 피봇부를 갖고 상기 덮개는 상기 덮개가 닫혔을때 상기 악기 본체의 건반부를 덮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내면에는 조작패널을 구성하는 여러개의 조작소자가 설치되고, 상기 조작소자의 일부는 상기 피봇부근처에 위치하여 상기 덮개가 닫혔을때 상기 오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악기.
  11. 제1항에 있어서, 접을수 있는 악보 스탠드가 상기 덮개의 전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접을수 있는 악보 스탠드가 상기 덮개에 형성된 수납부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고, 상기 수납부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접혔을 때나 펴졌을때 모두 동일한 평면내에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는 악보 스탠드를 접혀진 상태로 잠그는 잠금부재에 의하여 상기 전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접혀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가 서로 평행한 상하부수 평부재; 상단부는 각각 상기 상부수평부재의 좌측단, 중심, 우측단에 피봇 연결되고 하단부는 각각 상기 하부 수평부재의 왼쪽으로부터 좌측단, 1/3지점, 2/3지점에 피봇 연결되며 길이가 동일한 제1, 제2, 제3수직부재; 상기 악보 스탠드를 서 있게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제2, 제3 수직부재를 바이어스하는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 상기 하부 수직부재에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잠금부재; 상기 악보 스탠드가 접혔을때 소정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수평부재에 형성된 맞물림부로 구성되고; 상기 악보 스탠드가 접혀진 상태에 있을때 상기 맞물림부를 잠그는 잠금부재에 의하여 상기 악보 스탠드가 상기 어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에는 서로 망원경식으로 신축될 수 있는 제1 및 제2수평부재와; 상기 제1수평부재의 한쪽 끝에 상단부가 같이 피봇연결되어 경사부재의 제1쌍을 이루는 제1 및 제2경사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제1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에 꼭 맞게 형성된 제1 가동핀에 의하여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2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제1 고정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수평부재의 한쪽 끝에 상단부가 같이 피봇연결되어 경사부재의 제2쌍을 이루는 제3 및 제4경사부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3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에 꼭 맞게 형성된 제2가동핀에 의하여 미끄러질 수 있으며 상기 제4경사부재의 하단부는 제2고정핀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2 및 제4경사부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고정핀에 설치된 스프링과; 상기 제2수평부재에 설치된 잠금부재와; 상기 악보 스탠드가 접혔을때 상기 잠금부재와 대응위치에서 공통적으로 맞물릴수 있도록 상기 제1및 제2 수평부재에 형성된 맞물림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악보 스탠드는 상기 스프링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잠금부재와 상기 맞물림부재에 의하여 접혀진 상태로 오목부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에는 양단이 L자형 부분이 형성되어 상기 L자형 부분에 수직부분이 있는 수평바아와; 한쌍의 제1 및 제2 수직파이프가 포함되고; 상기 제1수직파이프는 상기 제2수직 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 맞게 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분의 하나는 상기 제1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맞게 되어 있고, 상기 제2수직파이프는 상기 덮개 전면 오목부의 한쪽끝에 형성된 제1구멍속에 미끄러져 들어갈수 있도록 꼭 맞게 되어 있으며; 한쌍의 제3 및 제4 수직파이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3수직파이프는 상기 제4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수 있도록 꼭 맞게 되어 있고, 상기 수직부분의 다른 하나는 상기 제3수직파이프내에 미끄러져 들어갈수 있도록 꼭 맞게 되어 있고, 상기 제4수직파이프는 상기 덮개 전면 오목부의 다른 끝에 형성된 제2구멍속에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도록 꼭 맞게 되어 있으며; 악보 스탠드가 수납될 때는 상기 오목부내에 꼭맞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스탠드에는 상기 덮개에 피봇 고정된 L자형 제1수직바아가 포함되고, 상기 제1수직바아를 서 있게 하기 위한 제1수평부가 상기 제1수직바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를 따라 미끄러질 수 있는 가동핀에 피봇 고정된 L자형 제2 및 제3수직바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2 및 제3수직바아를 서있게 하기 위한 제2및 제3수평부가 각각 제2및 제3수직바아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 전면의 오목부를 따라 미끄러질수 있는 가동핀에 피봇 고정된 U자형제 4수직바아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4수직바아의 상하단부에는 각각 제4 및 제5수평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4수평부는 연주자가 상기 제4수직바아를 오목부로부터 끌어내기 위한 돌기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5수평부는 상기 제4수직바아를 서 있게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내지 제4수직바아를 연결시키는 수평연결부재가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악기에는 상기 덮개의 전면에 형성된 수납부에 수납되는 악보 스탠드와, 상기 수납부의 대응위치에서 상기 덮개에 설치된 악보 지지대가 포함되고, 상기 악보 스탠드가 수납되었을때 상기 악보 지지대가 상기 수납부를 덮을 수 있도록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악보 지지대가 상기 덮개와 힌지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0. 제11항에 있어서, 악보 스탠드가 펼쳐지고 덮개가 열렸을때 상기 악보 스탠드의 경사격이 상기 조작패널보다 더 큰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패널이 경계표지에 의하여 그룹별로 구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기.
  22. 건반악기에 형성된 수납부내에 수납되도록 접을 수 있는 악보 스탠드가 배치되어, 상기 수납부에서 펼쳐져 서 있을 수 있으며, 펼쳐진 상태와 접혀진 상태 모두 동일한 평면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악보 스탠드 조립체.
  23. 건반악기에 형성된 수납부내에 수납되는 악보 스탠드와 상기 수납부의 대응위치에 설치된 악보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악보 지지대는 상기 악보 스탠드가 수납되었을때 상기 수납부를 덮도록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악보 스탠드 조립체.
  24. 악기 본체에 대하여 자유롭게 개폐될 수 있고, 닫혔을 때 건반부를 덮게되는 덮개의 전면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반악기의 악보 스탠드 조립체.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8415A 1984-01-26 1984-12-27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KR910001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8253 1984-01-26
JP59-8253 1984-01-26
JP825384U JPS60122989U (ja) 1984-01-26 1984-01-26 電子楽器
JP???59-9146 1984-01-27
JP914484U JPS60122991U (ja) 1984-01-27 1984-01-27 蓋体を有する携帯用電気機器
JP914884U JPS60122995U (ja) 1984-01-27 1984-01-27 電子楽器
JP9145 1984-01-27
JP???59-9144 1984-01-27
JP9148 1984-01-27
JP914684U JPS60122993U (ja) 1984-01-27 1984-01-27 鍵盤楽器の譜面立て装置
JP???59-9145 1984-01-27
JP914584U JPS60122992U (ja) 1984-01-27 1984-01-27 鍵盤楽器の譜面立て装置
JP9144 1984-01-27
JP9146 1984-01-27
JP???59-9148 1984-0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656A true KR850005656A (ko) 1985-08-28
KR910001060B1 KR910001060B1 (ko) 1991-02-23

Family

ID=27518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8415A KR910001060B1 (ko) 1984-01-26 1984-12-27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35521A (ko)
EP (1) EP0150620B1 (ko)
KR (1) KR910001060B1 (ko)
DE (1) DE348597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786B1 (ko) * 1989-12-27 1993-08-19 가시오게이상기 가부시끼가이샤 악기를 위한 건반장치
US5396398A (en) * 1993-12-21 1995-03-07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Portable control console
JP2001344056A (ja) * 2000-05-31 2001-12-14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入力装置
DE602004022731D1 (de) * 2003-03-18 2009-10-08 Yamaha Corp Elektronisches Musikinstrument
CN101685624B (zh) * 2004-01-14 2013-01-23 雅马哈株式会社 键盘乐器
US8800455B2 (en) 2011-03-21 2014-08-12 Dana Monroe Audio mixing console case
USD776190S1 (en) * 2015-08-19 2017-01-10 Roland Corporatio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keyboard
USD945523S1 (en) * 2020-08-10 2022-03-08 Yamaha Corporation Digital mixer
JP1683848S (ja) * 2020-12-14 2021-04-19 譜面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914A (en) * 1911-08-19 1912-03-19 Ernest J Knabe Jr Combined fall-cover and music-rack for piano or organ casings.
GB191204614A (en) * 1912-02-23 1912-10-03 George Hamilton Buls Radcliffe Improvement connected with Music Rests or Desks of Pianos, Organs, and the like.
US2105739A (en) * 1936-01-23 1938-01-18 Jacobs Mordecai Victor Pianoforte
GB478746A (en) * 1936-07-31 1938-01-25 Supertone Piano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ianos and the like
DE2512253C3 (de) * 1975-03-20 1978-10-19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Gelenkpfanne für ein Winkelgelenk
US4084213A (en) * 1977-02-22 1978-04-11 Modern Controls, Inc. Portable keyboard/display terminal
JPS644146Y2 (ko) * 1979-03-09 1989-02-02
US4331062A (en) * 1980-06-02 1982-05-25 Rogers Allen E Visual note display apparatus
JPS5711578U (ko) * 1980-06-20 1982-01-21
US4380947A (en) * 1980-06-20 1983-04-26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Portabl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having separable controlling panel and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50620A2 (en) 1985-08-07
DE3485977D1 (de) 1992-12-17
EP0150620A3 (en) 1988-06-15
EP0150620B1 (en) 1992-11-11
DE3485977T2 (de) 1993-06-09
US4635521A (en) 1987-01-13
KR910001060B1 (ko) 1991-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29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ending stress on an electrical cable using a freely rotatable bushing
KR910017270A (ko) 소형 전자 기기의 증설장치
KR850005656A (ko) 조작패널이 덮개에 설치된 전자악기
KR920001292A (ko) 퍼스널컴퓨터 케이블 배선기구
JPH0895690A (ja) パームレスト及びこ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KR960019859A (ko) 후방 홀더 일체형 접속기
KR920001297A (ko) 착탈가능한 전지 및 기능을 확장하기 위한 옵션부품을 구비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KR900006062B1 (ko) 건반악기의 하우징 구조
WO2004070572A2 (en) Foldable keyboard
KR920011041B1 (ko) 전자악기의 스피커 부착구조
US20020196600A1 (en) Computer system and a combining structure for a power supplying unit for a computer system
US4378881A (en) Portable securing assembly for an electric musical instrument
JP2007017566A (ja) 鍵盤楽器
JPH0339825Y2 (ko)
JPH0322782Y2 (ko)
JPH019992Y2 (ko)
JPH0125987Y2 (ko)
JP2004309963A (ja)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装置
JP3254658B2 (ja) 折畳式キィーボード
JP2585915Y2 (ja) 天井収納はしご
JPH0125986Y2 (ko)
KR930007821Y1 (ko) 책꽂이를 가진 책상겸용 피아노
JP2905854B2 (ja) 折れ戸装置
JPS6311995A (ja) 電子楽器の蓋体構造
KR980003954A (ko) 휴대용 컴퓨터 도킹 스테이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