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952Y1 -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952Y1
KR910000952Y1 KR2019870010800U KR870010800U KR910000952Y1 KR 910000952 Y1 KR910000952 Y1 KR 910000952Y1 KR 2019870010800 U KR2019870010800 U KR 2019870010800U KR 870010800 U KR870010800 U KR 870010800U KR 910000952 Y1 KR910000952 Y1 KR 9100009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braking
side reel
rotation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08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446U (ko
Inventor
다까시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108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952Y1/ko
Publication of KR8900034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9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9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동 저면도.
제3도는 캠판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저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동 장치의 회전속도 절환기구의 작동설명도.
제7도는 제5도의 VII-VII선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동 VIII-VIII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제6도의 IX-IX선에 따른 단면도.
제10a도 내지 (c)는 동장치의 브레이크 기구의 재생 및 기록 모드시의 작동설명도.
제11a,b도는 동 빨리보냄 및 되감기 모드시의 작동설명도.
제12a,b도는 동 장치의 해제기구 부분의 작동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콘트롤 모터 4 : 캡스턴 모터
7 : 캠판 18 : 회전속도절환기구
19 : 브레이크기구 23 : 공급측릴대
24 : 권취측 릴대 49 : 제1가동부재
50 : 제2가동부재 52,53 : 코일스프링
54 : 연결기구 57 : 해제기구
61 : 공급측 릴대제동부재 62 : 권취측 릴대제동부재
본 고안은 VTR(비디오테이프 레코더)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릴대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브레이크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는, 빨리보냄 또는 되감기 모드가 종료하고 나서 재생 또는 기록모드가 개시될때까지의 사이, 공급측 릴대와 권취측 릴대에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지않기 때문에, 그 사이에 테이프가 이완될 염려가 다분히 있다.
또 브레이크 장치 전용의 솔레노이드등의 구동원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고, 소형경량화 및 가격저하를 도모함에 장해가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빨리보냄 또는 되감기모드가 종료하고 나서 재생 또는 기록모드가 개시될때까지의 사이에, 테이프가 이완됨이 없이, 또 브레이크 장치 전용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제공코져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권취측 또는 공급측 릴대에 테이프 구동모터의 회전을 고속전달, 저속전달 또는 전달차단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와, 권취측 릴대 또는 공급측 릴대에 제동력을 주는 브레이크 기구와,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 및 브레이크 기구를 제어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콘트롤 모터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있어서, 코일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를 저속회전전달 상태로 하는 제1가동부재와; 상기 콘트롤모터의 역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제1가동부재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판과; 상기 제1가동부재와 평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코일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타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를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기구의 권취측 릴대 제동부재를 권취측 릴대에서 이반시키고, 또한 상기 권취측 릴대 제동부재를 통하여 공급측 릴대 제동부재를 공급측 릴대에서 이반시키는 제2가동부재와; 상기 제1가동부재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제2가동부재가 제1가동부재의 타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르도록 양 가동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기구와; 상기 연결기구에 의해 제2가동부재가 제1가동부재의 타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모터의 정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연결기구에 의한 양 가동부재의 계합을 해제시키고, 제2가동부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해제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빨리 보냄 또는 되감기 모드가 종료된후, 다른 재생 또는 기록으로 모드로의 절환조작을 하면, 그 조작에 따라 콘트롤모터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해제기구가 작동하여 연결기구에 의한 양 가동부재의 연결을 해제하여 제2가동부재를 코일스프링에 의해 복귀시키고, 권취측 릴대에 짧은 시간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또, 공급측 릴제동부재도 권취측 릴대 제동부재에 연동하여, 권취측 릴대에도 짧은 시간에 제동력을 부여한다.
이하 본 고안의 1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브레이크 제어장치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동 저면도이다.
도면중, (1)은 자기기록 재생장치로, 그 새시(2)에는 콘트롤 모터(3), 테이프 구동모터(4) 및 가이드 실린더모터(5)가 각각 취부되어 있다.
상기 콘트롤 모터(3)는, 재생모드 또는 기록모드시 정회전하고, 또 빨리보냄 또는 되감기 모드시 역회전하는 것으로, 그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기구(6)를 통하여 캠판(7)에 전달한다.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6)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시(2)의 하면(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콘트롤 모터(3)의 회전축(3a)에 고착된 V홈이 부착된 소경의 제1풀리(8)와, 상기 새시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V홈이 부착된 대경의 제2풀리(9)와, 이들 제1 및 제2풀리(8,9) 사이에 권장된 고무등으로 된 단면 정방형상의 각 벨트로된 무단벨트(10)와, 상기 제2풀리(9)의 상면 중앙에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제1기어(11)와, 이 제1기어(11)와 치합함과 동시에 상기 새시(2)의 하면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대경의 제2기어(12)와, 이 제2기어(12)의 상면중앙에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제3기어(13)로부터 되어 있다.
상기 캠판(7)은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새시(2)의 하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축착되어 있다.
이 캠판(7)은 그 외주연부 기어(14)가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상면(표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캠부(15)를, 또 그 하면(이면)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제2 및 제3캠부(16,17)를 구비하며, 상기 기어(14)가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6)의 제3기어(13)와 치합하고 있다.
상기 캠판(7)은, 그 당해 회전위치가 검출부(도시생략)에 의해 전기적으로 검출되고, 이 검출된 위치정보에 의거하여 제어부(도시생략)는 이 캠판(7)을 모드설정부(도시생략)에 의하여 설정된 여러 가지 모드(정지, 기록, 재생, 빨리보냄, 되감기, 포즈, 리뷰 등)에 대응한 위치로 제어한다.
상기 콘트롤 모터(3)의 회전력이,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6) 및 캠판(7)을 통하여, 모두 후술하는 회전속도절환기구(18), 브레이크 기구(19) 및 기타의 각 기구 모두에 구동력으로서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테이프 구동모터(4)의 회전력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동력전달기구(20)를 통하여 캡스턴(21)에, 또 제3동력전달기구(22) 및 회전속도 절환기구(18)를 통하여 공급측 릴대(23)와 권취측 릴대(24)에 각각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양 릴대(23,24)는 상기 새시(2)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들 릴대(23,24)는, 중심부에 릴축(23a,24a)을 하단 외주면에 기어(23b,24b)를 각각 갖고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20)는 상기 새시(2) 하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테이프 구동모터(4)의 회전축(4a)에 고착된 소경의 제1풀리(25)와, 상기 캡스턴(21)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고착된 대경의 제2풀리(플라이 휠)(26)와, 이들 양 풀리(25,26)사이에 권장된 무단벨트(27)로부터 되어 있다.
상기 캡스턴(21)은 상기 새시(2)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캡스턴(21)에 핀치롤러(28)가 접리한다.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2)는 상기 테이프 구동모터(4)의 회전축(4a)에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20)의 제1풀리(25)의 하측에 위치하여 고정된 소경의 제1풀리(29)와, 상기 새시(2)의 상면에 상기 공급측릴대(23)와 권취측릴대(24)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취부된 보조새시(30)에 상단이 고착된 축(3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장치된 대경의 제2풀리(32)와, 이들 양 풀리(29,32) 사이에 권장된 무단벨트(33)와, 이 제2풀리(32)의 상면 중앙부에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기어(34)로 되어 있다.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18)는 상기 공급측릴대(23)와, 권취측릴대(24)의 회전속도를, 치차비를 바꿈으로서 절환하는 것으로, 제1도 및 제2도, 제5도 내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어기구(35)와 링크기구(36)를 가지고 있다.
상기 기어기구(35)는 상기 축(3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장착된 제1기어(37)와, 이 제1기어(37)의 하면에 입체로 형성된 제2기어(38)와, 상기 축(31)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장착된 제3기어(클러치기어)(39)와, 상기 축(31)에 정역회동 가능하게 끼워장착된 회동판(40)과, 이 회동판(40)의 양측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제4 제5기어(41,42)와, 제1, 제2회동레버(43,44)와, 이들 제1, 제2회동레버(43,44)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축착된 제6(저속축), 제7(고속축)기어 (45,46)와 이들 제6, 제7기어(45,46)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제8, 제9기어(47,48)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회동레버(43,44)는 그 대략 중간부가 상기 새시(2)의 상면과 상기 보조새시(30)의 하면에 정역회전가능하게 축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2)의 제2풀리(32)가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동판(40)도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4기어(41)가 상기 공급측릴대(23)의 기어(23b)와 치합하지 않음과 동시에, 제5기어(42)는 상기 권취측릴대(24)의 기어(24b)와 치합한다.
또, 상기 제2풀리(32)가 제2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회동판(40)도 동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4기어(41)는 상기 공급측릴대(23)의 기어(23b)와 치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5기어(42)는 상기 권취측릴대(24)의 기어(24b)와 치합하지 않는다.
상기 제1, 제2회동레버(43,44)가 축(43a,44a)을 중심으로 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6, 제8기어(45,47)는 어느 기어와도 치합하지 않고, 상기 제7기어(46)가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2)의 제2풀리(32)와 기어(34)와 치합함과 동시에, 제9기어(48)는 제2기어(38)와 치합하고,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또, 상기 제1, 제2회동레버(43,44)가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제6기어(45)는 상기 제3동력전달기구(22)의 제2풀리(32)의 기어(34)와 치합함과 동시에, 제8기어(47)가 제3기어(39)와 치합하고, 제7, 제9기어(46,48)는 어느 기어와도 치합하지 않고,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상기 제8기어(47)의 지름은 제9기어(48)의 지름보다 작고, 또, 상기 제2기어(38)의 지름은 제3기어(39)의 지름보다 작게 설정되고 있다.
상기 링크기구(36)는 제11a,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새시(2)의 상면에 소정 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제1가동부재(49)와, 이 제1가동부재(49)의 상면에 소정범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 제2가동부재(50)와,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새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범위 정역회동 가능하게 축착된 회동레버(51)가 된다.
그리고 제5도,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2가동부재(49,50)의 일단측 상면에 돌설된 계합돌기(49a,50a)에 상기 제1, 제2회동레버(43,44)의 타단의 계합공(43b,44b)이 회동가능하게 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가동부재(49,50)가 제1도중 우측으로 슬라이드 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회동레버(43,44)가 동 도면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또, 상기 제1, 제2가동부재(49,50)가 제1도중 좌측으로 슬라이드 함에 따라, 상기 제1, 제2회동레버(43,44)가 동 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된다.
상기 제1, 제2가동부재(49,50)는 코일스프링(52,53)에 의하여, 저속회전전달상태로 되는 방향(제1도중 좌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 제2가동부재(50)는 제1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측연의 제2계합돌기(50b)가 상기 새시(2)의 상면의 스톱퍼(2a)에 당접함으로서, 제1도중 좌방향으로의 이동한계위치가 규제된다.
상기 제1가동부재(49)의 타단측 하면에 돌설된 계합핀(49b)은 상기 새시(2)에 천설된 구멍(2b)(제1도)을 이동가능하게 통과하여 이 새시(2)의 하면측에 돌출하여 제11a,b도와 같이 회동레버(51)의 계합공(51a)에 회동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이 회동레버(51)는 그 일단의 계합핀(51b)이 상기 캠판(7)의 제2캠부(16)에 섭동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캠판(7)이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는데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51)를 통하여 상기 제1가동부재(49)는 코일스프링(52)의 탄지력으로 저속회전 전달방향(제1도중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1가동부재(49)의 타단측 상면에는 제1도 및 제12a,b도와 같이 연결 기구(54)가 형성되고 있다. 이 연결기구(54)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제2가동부재(50)의 상면에 축(55b)에 의해 소정범위 저역회동 가능하게 축착된 회동레버(55)를 갖고 있다.
이 회동레버(55)의 일단측 하면에는 계합돌기(55a)가 돌설되고, 이 계합돌기(55a)가 상기 제1가동부재(49)의 타단측에 형성된 계합단부(49c)에 계탈가능하게 계합한다.
그리고, 상기 계합돌기(55a)가 계합단부(49c)와 계합함으로써, 제1, 제2가동부재(49,50)는 서로 연결되어서 일체로 되어 타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상기 회동레버(55)는 스프링(56)에 의하여 계합방향으로 탄지되고 있다.
상기 연결기구(54)에 의한 상기 제1,2, 제2가동부재(49,50)의 연결상태는 상기 콘트롤 모터(3)가 정회전하고 있을때에, 또, 제1, 제2가동부재(49,50)가 제1도중 우방향 이동한계 위치에 도달했을 때, 해체기구(57)에 의하여 해제된다.
이 해제기구(57)는 제12a,b도와 같이 상기 새시(2)의 상면에 정역회전 가능하게 축착된 회전체(58)를 갖고 있다.
이 회전체(58)의 상면에는 둘레방향으로 동일간격으로 복수의 계합톱니(58a)가 돌설되어 있다.
이 회전체(58)에는 이와 동축 일체로 회전가능하게 기어(제2도)(59)가 형성되며, 이 기어(59)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6)의 제2기어(12)와 치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모터(3)의 정회전시는, 상기 회전체(58)가 제1도 및 제12a,b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그 계합톱니(58a)에 의하여 상기 회동레버(55)가 그 상면에 회동가능하게 취부된 당접부재(60)를 통하여 압압되고, 이 회동레버(55)가 상기 스프링(56)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해제방향(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그 계합돌기(55a)가 상기 제1가동부재(49)의 계합단부(49c)에서 벗겨져 연결해제 상태로 된다.
상기 콘트롤 모터(3)의 역회전시는, 상기 회전체(58)가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계합톱니(58a)는 상기 당접부재(60)에 섭접하는 것만으로, 상기 회동레버(55)는 해제방향으로 회동되지 않고,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브레이크 기구(19)는, 상기 공급측릴대(23)와 권취측릴대(24)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 브레이크 기구(19)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와,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를 갖고 있다.
이들 양 제동부재(61,62)는, 그 중간부가 상기 새시(2)의 상면과 상기 보조새시(30)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역회동가능하게 축착되고, 각 일단에 고무등으로 된 브레이크 슈우(65,66)를 형성하여 된다.
상기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는 그 타단에 제1, 제2계합부(63a,63b)를 각각 갖고 있다.
또, 상기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는 그 일단측 하면에 제1계합부(64a)를, 타단에 제2, 제3계합부(64b,64c)를 각각 갖고 있다.
상기 양 제동부재(61,62)의 브레이크 슈우(65,66)는 상기 양 릴대(23,24)의 원주측면에 접리하고, 그 접촉시, 양 릴대(23,24)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권취측릴대제동부재(61)가 제동상태에서 비제동방향(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 제2계합부(64b)가 상기 공급측릴대제동부재(61)의 제2계합부(63b)에 당접계합하여, 제동상태에 있는 이 공급측릴대제동부재(61)를 비제동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기 양 제동부재(61,62)는 코일스프링(67,68)에 의하여 제동방향으로 회동탄지되어 있다.
이들 코일스프링(67,68)은 그 일단이 상기 양 제동부재(61,62)에 타단이 상기 새시(2)의 상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의 제1계합부(63a)는, 상기 새시(2)에 천설된 구멍(2c)(제2도)내를 이동가능하게 통과하여, 테이프 로딩기구(69)의 링크기구(70)의 슬라이드레버(71)의 계합공(72)내에 섭동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이 계합공(72)은, 제10a-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축폭협부(72a)와, 그 일단에 경사면(72b)을 통하여 연설된 단축폭광부(72c)로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의 제1계합부(63a)는 계합공(72)의 장축(72a)에 위치하고 있을 때, 이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는 비제동상태로 되어 있다.
또, 이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의 제1계합부(63a)가 계합공(72)의 단축 폭광부(72c)에 위치하고 있을 때, 이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는 제동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의 제1계합부(64a)는, 상기 새시(2)의 구멍(도시없음)을 통하여 이 새시(2)의 하면측으로 연출하고, 이 연출선단부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69)의 링크기구(70)의 회동레버(73)의 일측면이 접리하고, 그 접촉시 이 회동레버(73)에 의하여 상기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가 비제동방향으로 압압회동된다.
이 회동레버(73)는 상기 새시(2)의 하면에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축착되고, 이 계합핀(73a)은 상기 캠판(7)의 제2캠부(16)에 섭동가능하게 계합하고 있다.
상기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의 제3계합부(64c)는,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18)의 링크기구(36)의 제2가동부재(50) 상면의 제3계합돌기(50c)와 계탈가능하게 당접계합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18)가 고속회전 상태로 절환됨에 따라 상기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는 비제동상태로 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69)는 카세트 로딩기구(도시생략)에 의하여 로딩되어서 장착위치에 있는 카세트(도시생략)내에서 자기 테이프를 인출하여 가이드 실린더(74)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서 접촉시키는 것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I) 카세트 언로딩 상태에 있어서는, ① 캠판(7)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세트 언로딩 모드위치에 있다.
② 테이프 로딩기구(69)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언로딩 상태에 있고, 그 링크기구(70)의 슬라이드 레버(71)는 제2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다.
③ 회전속도 절환기구(18)는 그 링크기구(36)의 제1가동부재(49)가 코일스프링(52)의 탄지턱에 대항하여 제1도중 우측으로 제2가동부재(50)는 코일스프링(53)의 탄지력으로 제1도중 좌측으로 각각 이동한 상태, 즉, 연결기구(54)가 해제된 상태에 있고, 제3동력전달기구(22)의 제2풀리(32)의 회전력이 제1기어(37)에 전달되지 않는 중립상태에 있다.
④ 브레이크(19)는 제1도 및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릴대(23,24)에 제동력을 부여한 브레이크 작동 상태에 있다.
(II) 이러한 상태에서 카세트 하우징내에 카세트를 소정 세트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삽입을 검출스위치(도시생략)가 검출하고, 이 검출 신호에 의거하여 테이프 구동모터(4)가 일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카세트 로딩기구가 구동되어 카세트가 로딩되어 장착위치로 된다.
이 카세트 로딩이 종료되면, 이것을 검출 스위치(도시생략)가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테이프 구동모터(4)의 회전구동이 정지되어 카세트 로딩기구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 테이프 구동모터(4)의 회전구동이 정지되면, 이것을 검출스위치가 검지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콘트롤 모터(3)가 정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그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기구(6)를 통하여 캠판(7)에 전달되고, 이 캠판(7)이 정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 회전에 따라 회전속도 절환기구(18)의 회동레버(51)의 계합핀(51b)이 캠판(7)의 제2캠부(16)의 대경부(16a)에서 소경부(16b)에 계합함으로써, 회전속도 절환기구(18)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속회전 전달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콘트롤 모터(3)의 회전구동이 정지하여 대기상태로 된다.
즉, 회전속도 절환기구(18)의 회동레버(51)의 계합핀(51b)이 캠판(7)의 제2캠부(16)의 소경부(16b)에 계합함으로써, 이 회동레버(51)는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회동레버(51)에 연결된 제1가동부재(49)만이 코일스프링(52)의 탄지력으로 제1도중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6도에서와 같이 저속회전 전달상태로 절환된다.
상기 제1가동부재(49)가 제1도중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연결기구(54)의 계합돌기(55a)가 계합단부(49c)에 계합하여, 제1, 제2가동부재(49,50)가 연결상태로 된다.
(III)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모드 설정부의 재생 또는 기록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에 따라 콘트롤 모터(3)가 정방향으로 테이프 구동모터(4)는 역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및 실린더모터(5)는 일방향으로 각각 회전구동하고, 캠판(7), 캡스턴(21) 및 가이드 실린더(74)가 회전된다.
상기 콘트롤 모터(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따라 캠판(7)이 정회전으로, 테이프 로딩기구(69)의 링크기구(70)의 회동레버(73)의 계합핀(73a)은 캠판(7)의 제2캠부(17)의 소경부(17b)에서 대경부(17a)측에 계합함으로써, 이 회동레버(73)는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여기서 연결된 슬라이드 레버(71)는 제2도중 우측으로 이동하고, 그 계합공(72)의 경사면(72b)을 거쳐 장축 폭협부(72a)에, 브레이크 기구(9)의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의 제1계합부(63a)가 당접함으로써, 이 제동부재(61)가 코일스프링(67)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측릴대(23)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69)의 링크기구(70)의 슬라이드 레버(71)가 제2도중 우측에 이동함으로써, 테이프 로딩기구(69)의 양 로딩암(도시생략)이 로딩축으로 작동하고, 카세트내의 자기 테이프가 인출되어 가이드실린더(74)의 외주에 접촉된다.
또,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69)의 링크기구(70)의 회동레버(73)가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데 따라, 이 회동레버(73)의 일측면이 브레이크 기구(19)의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의 제1계합부(64a)에 당접함으로써, 이 제동부재(62)가 코일스프링(68)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제10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측릴대(24)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이 완료되면 재생 또는 기록모드가 실행된다. 이 재생 또는 기록모드의 실행에 따라 상기 콘트롤 모터(3)의 회전구동은 정지된다.
(IV) 이러한 재생 또는 기록모드에서 모드 설정부의 빨리보냄 모드 또는 되감기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이 조작신호에 따라서 콘트롤 모터(3)는 역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캠판(7)은 재생모드 위치에서 빨리보냄 혹은 되감기 모드 위치까지 즉 회전속도 절환기구(18)의 회동레버(51)의 계합핀(51b)이 제2캠부(16)의 대경부(16a)에 계합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역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 테이프 로딩기구(69)의 링크기구(70)의 회동레버(73)가 역동작하여, 브레이크 기구(19)의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의 코일스프링(68)의 탄지력으로 회동되어, 릴대(24)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 테이프 로딩기구(69)가 역동작하여, 그 로딩암은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69)의 역동작에 따라, 브레이크 기구(19)의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의 제1계합부(63a)가 슬라이드 레버(71)의 계합공(72)의 경사면(72b)에 당접하지 않으므로, 제동부재(61)가 코일스프링(67)의 탄지력으로 회동되어 공급측릴대(23)에 대해 제동력이 부여된다.
상기 캠판(7)의 역회전에 따라, 회전속도 절환기구(18)의 링크기구(36)의 회동레버(51)의 계합핀(51b)이 캠판(7)의 제2캠부(16)의 소경부(16b)에서 대경부(16a)에 계합함으로써, 제1가동부재(49)는 연결기구(54)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의 제2가동부재(50)를 따르고, 코일스프링(52)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1도중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제1, 제2가동부재(49,50)의 이동에 따라, 제2가동부재(50)의 제3계합돌기(50c)에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의 제3계합부(64c)가 당접함으로써, 이 제동부재(62)가 코일스프링(67)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권취측릴대(24)에 대한 제동력이 해제된다.
또 상기 제동부재(62)가 제동해제 방향으로 회동하는데 따라 이 제동부재(62)의 제2계합부(64b)가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의 제2계합부(63b)에 당접함으로써, 이 제동부재(61)가 코일스프링(67)의 탄지력에 대항하여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공급측릴대(23)에 대한 제동이 해제된다(제11a,b도 참조).
또, 상기 제1, 제2가동부재(49,50)가 제1도중 우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회전속도 절환기구(18)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절환하고, 자기테이프는 고속주행되어 빨리보냄 또는 되감기 모드가 실행된다.
또, 상기 제1, 제4가동부재(49,50)가 제1도중 우방향으로 이동하는데 따라 해제기구(57)의 회전체(58)의 계합톱내(58a)가 당접부재(60)에 섭접하지만, 콘트롤 모터(3)는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58)는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연결기구(54)는 제12a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해제됨이 없이 양 가동부재(49,50)는 서로 연결상태를 유지한다.
(V) 이러한 빨리보냄 또는 되감기 모드에서 모드설정부의 재생 또는 기록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콘트롤 모터(3)가 빨리보냄 모드 혹은 되감기 모드 위치에서 재생 또는 기록모드 위치까지 정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판(7)의 정방으로 회전에 따라, 해제기구(57)의 회전체(58)가 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 계합톱니(58a)가 당접부재(60)에 당접하여 이것을 압압함으로써, 제1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기구(54)가 해제된다.
이 연결기구(54)의 해제에 의해 제2가동부재(50)만 코일스프링(53)의 탄지력으로 제1도중 좌측으로 슬라이드하고, 권취측릴대제동부재(62)는 코일스프링(68)의 탄지력으로 회동하여, 재생 또는 기록모드를 개시할 때까지의 사이, 권취측릴대(24)에 대해 제동력을 부여함과 동시에, 공급측릴대 제동부재(61)도 코일스프링(67)의 탄지력으로 회동하여 재생 또는 기록모드가 개시될때까지의 사이, 공급측릴대(23)에 대하여도 제동력이 부여된다.
또, 상기 캠판(7)이 재생 또는 기록 모드 위치까지 회전함으로써, 상기 (III)과 동일하게 다른 각 기구가 재생 또는 기록모드를 실행하는 상태로 세트되고, 재생 또는 기록 모드가 실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의하면, 빨리보냄 또는 되감기 모드가 종료하고 나서, 재생 또는 기록모드가 개시될때까지의 사이, 공급측 릴대 및 권취측 릴대에 제동력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테이프가 이완될 염려가 없다.
또, 양 제동부재를 작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등의 구동원을 특별히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소형경량화 및 단가절감을 원활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양 릴대의 회전속도를 절환하는 기구에 관여하는 가동부재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양 제동부재를 작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회전속도의 절환동작과 제동부재의 절환동작의 타이밍을 복잡한 기구등을 사용함이 없이 고정도로 일치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보게 된다.

Claims (1)

  1. 권취측 릴대(24) 또는 공급측 릴대(23)에 테이프 구동모터(4)의 회전을 고속전달, 저속전달 또는 전달차단하는 회전속도 절환기구(18)와, 권취측 릴대(24) 또는 공급측 릴대(23)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기구(19)와,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18) 및 브레이크 기구(19)를 제어하는 정역회전 가능한 콘트롤 모터(3)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에 있어서, 코일스프링(52)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일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18)를 저속회전전달 상태로 하는 제1가동부재(49)와; 상기 콘트롤모터(3)의 역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제1가동부재(49)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캠판(7)과; 상기 제1가동부재(49)와 평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타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전속도 절환기구(18)를 고속회전 전달상태로 함과 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기구(19)의 권취측 릴대 제동부재(62)를 권취측 릴대(24)에서 이반시키고, 또한 상기 권취측 릴대 제동부재(61)를 통하여 공급측 릴대 제동부재(61)를 공급측 릴대(23)에서 이반시키는 제2가동부재(50)와; 상기 제1가동부재(49)의 일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제2가동부재(50)가 제1가동부재(49)의 타방향으로 이동에 따르도록 양 가동부재(49,50)를 연결하는 연결기구(54)와; 상기 연결기구(54)에 의해 제2가동부재(50)가 제1가동부재(49)의 타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콘트롤모터(3)의 정방향의 회전력을 받아 상기 연결기구(54)에 의한 양가동부재(49,50)의 계합을 해제시키고, 제2가동부재(50)를 코일스프링(53)에 의해 일방향으로 복귀시키는 해제기구(5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2019870010800U 1987-07-02 1987-07-02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KR9100009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800U KR910000952Y1 (ko) 1987-07-02 1987-07-02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0800U KR910000952Y1 (ko) 1987-07-02 1987-07-02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46U KR890003446U (ko) 1989-04-13
KR910000952Y1 true KR910000952Y1 (ko) 1991-02-13

Family

ID=1926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0800U KR910000952Y1 (ko) 1987-07-02 1987-07-02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9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209A (ko) 2017-01-16 2018-07-25 정연창 희석기능을 가지는 양손사용형 약제 분무기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4209A (ko) 2017-01-16 2018-07-25 정연창 희석기능을 가지는 양손사용형 약제 분무기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46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KR910000952Y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의 브레이크 제어장치
JPH0614291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ブレ−キ装置
JPS6115504B2 (ko)
JPS59213049A (ja) 反転式テ−プレコ−ダの駆動装置
JPH0450577Y2 (ko)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JPH073467Y2 (ja) 磁気テープの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3983326B2 (ja) スイッチ装置を備える自動反転テープデッキ
JP2563651Y2 (ja) テープレコーダなどの動作切換え装置
JPH0621063Y2 (ja) テ−プ走行装置におけるピンチロ−ラ駆動装置
JPH045080Y2 (ko)
JPH0210499B2 (ko)
KR100243240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의동력전달장치
JP2603228B2 (ja) 回転ヘツド型記録または再生装置
JPH0718026Y2 (ja) リール台駆動装置
JPS6141145Y2 (ko)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0525073Y2 (ko)
JPH054124Y2 (ko)
JPH045081Y2 (ko)
JPS6231413B2 (ko)
JPS6224344Y2 (ko)
JPH0450579Y2 (ko)
JPH0719411B2 (ja) 磁気テー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