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845B1 -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 Google Patents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845B1
KR910000845B1 KR1019870002525A KR870002525A KR910000845B1 KR 910000845 B1 KR910000845 B1 KR 910000845B1 KR 1019870002525 A KR1019870002525 A KR 1019870002525A KR 870002525 A KR870002525 A KR 870002525A KR 910000845 B1 KR910000845 B1 KR 910000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memory
unit
data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2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054A (ko
Inventor
오수환
김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한형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02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845B1/ko
Publication of KR880012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기능 수행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중앙처리장치 20 : 전화기회로부
30 : 번호판부 40 : 제어키부
50 : 메모리부 60 : 디스플레이 제어부
70 : 디스플레이부 80 : 라인 인터페이스부
90 : 송수화기 셋 100 : 전화라인
101 : 번호판부 데이타버스 102 : 전화기 콘트롤 버스
103 : 메모리 어드레스버스 104 : 메모리 데이타버스
105 : 제어키 데이타버스 106 : 디스플레이 데이타버스
107 :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 108 : 송신 음성신호
109 : 수신 음성신호 110 : 전화라인 팁
111 : 전화라인 링 112 : 수화기 음성신호
113 : 송화기 음성신호 114 : 메모리 콘트롤신호
115 :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 116 : 후크 감지신호
본 발명은 메모리(memory)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개의 전화번호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대용량의 메모리와 디스플레이(display)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다수의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성명, 주소를 함께 메모리에 저장하며, 저장된 전화번호, 성명, 주소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검색하고 편집할 수 있는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메모리 전화기는 통상적으로 소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대개 10여개 정도의 전화번호만을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킨후 단축 다이얼링(dialing)등의 용도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전화기에 부착되는 메모리가 소용량으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억시킬 수 있는 전화번호가 소수개로 제한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화번호만을 기억시킬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성명이나 주소와 같은 데이타를 저장시킬 수 없었으며 저장된 데이타들을 디스플레이시켜 참조하거나 편집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에 있어서, 대용량의 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다수의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성명 및 주소도 아울러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대용량의 메모리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메모리에 기억된 전화번호, 성명, 주소를 수시로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신규 등록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로도로서, 송신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신 음성신호 입력단자와 송화기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화기 음성신호 입력단자와 후크 검출신호 출력단자를 가지며 음성통화를 위한 신호처리를 하고 후크(hook)상태를 검출하여 후크 검출신호(116)를 출력하는 전화기 회로부(20)와, 전화기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번호 키를 구비하여 키 조작에 따른 번호 데이타를 발생하는 번호판부(30)와, 성명 및 주소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와 소정의 제어키를 구비하여 키조작에 따른 키 데이타를 발생하는 제어키부(40)와, 대용량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메모리 콘트롤(control)신호(114)에 의해 어드레스 지정에 따른 메모리 영역에 소정 데이타를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메모리부(50)와,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115)에 의해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107)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0)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107)에 의해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에 전화기 콘트롤버스(102)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번호판부(30)의 출력단자에 번호판부 데이타버스(101)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제어키부(40)의 출력단자에 제어키 데이타버스(105)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메모리부(50)에 메모리 어드레스버스(103)와 메모리 데이타버스(104)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에 디스플레이 데이타버스(106)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번호판부(30) 및 제어키부(4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데이타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후크 검출신호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후크 검출신호(116)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50)로 메모리 콘트롤신호(114)를 출력하여 액세스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로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115)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10)와, 공중전화 통신망과 전화라인 팁(tip)(110) 및 전화라인 링(ring)(111)으로서 접속되는 전화라인(Line)(100)과, 일측의 두 단자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송신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신 음성신호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타측의 두 단자가 상기 전화라인(100)의 전화라인 팁(110) 및 전화라인 링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송·수신 음성신호(108, 109)를 인터페이싱(interfacing)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8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송화기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화기 음성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에서 출력되는 수화기 음성신호(112)를 음성으로 변환하며, 음성을 송화기 음성신호(113)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 회로부(20)로 출력하는 송수화기 셋(9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도의 구성중 전화기 회로부(20)와 번호판부(30)와 전화라인 인터페이스부(80)와 송수화기셋(90)은 일반적으로 전화기에서 사용되는 공지의 회로이다. 그리고 제어키부(40)는 본 발명의 메모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 부분으로서, 전화번호와 성명과 주소를 새로 등록시키기 위한 신규 등록키와 등록된 데이타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키 및 수정키와 등록된 데이타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키와 각 동작수행을 완료시키기 위한 완료키와, 성명 및 주소를 입력시키기 위한 키들로 구성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 기능 흐름도로서, 후크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후크 오프 여부를 검사하는 후크 오프 검사과정(A1)과,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에서 후크 오프시 통화기능을 수행한후 후크 온되면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으로 진행하는 통화기능 수행과정(A2)와,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에서 후크 오프가 아닐시 메모리 기능키 입력여부를 검사하여,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으로 진행하고 메모리 기능키 입력시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토록 하는 메모리 기능 시작과정(A3, A4)과, 상기 메모리 기능 시작과정(A3, A4)의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신규 등록키 입력인가를 검사하는 제1모드(mode)결정과정(A5)과, 상기 제1모드 결정과정(A5)에서 신규 등록키 입력일시 신규 등록 모드를 디스플레이토록 하고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 데이타를 순차로 입력하여 등록 및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신규 등록과정(A6,A7,A8,A9,A10)과, 상기 제1모드 결정과정(A5)에서 신규 등록키 입력이 아닐시 편집키 입력인가를 검사하는 제2모드 결정과정(A11)과, 상기 제2모드 결정과정(A11)에서 편집키 입력일시 저장되어 있는 등록 데이타를 등록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토록 하며 수정키 입력시 디스플레이되는 등록 데이타를 수정하여 등록하는 편집과정(A12,A13,A14,A15,A16)과, 상기 제2모드 결정과정(A11)에서 편집키 입력이 아닐시 등록 데이타를 등록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토록 하며 삭제키 입력시 디스플레이되는 등록 데이타를 삭제하는 삭제과정(A17,A18,A19,A20,A2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도의 흐름도는 상기 제1도의 중앙처리장치(10)의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동작예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지금 전원이 "온"되면 제1도의 중앙처리장치(10)는 전화기 회로부(20)로부터 후크 검출신호(116)를 입력하여 제2도의 (A1)단계에서 후크 오프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후크 검출신호(116)는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에서 후크 스위치(도시하지 않았음)의 상태를 검사하여 출력하는 후크 온 또는 후크 오프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상기 (A1)단계에서 후크 오프라고 판단되면 (A2)단계에서 전화기 콘트롤버스(102)를 통하여 상기 전화기 회로부(20)를 제어하여 음성 통화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즉 상기 전화기 회로부(20)를 동작시켜 송수화기 셋(90)로부터 전화기 회로부(20)를 거쳐 라인 인터페이스(80)를 통하여 전화라인(100)과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제어하여 통화를 하게 된다. 다음으로 음성 통화가 모두 끝나 후크 온되면 상기 후크 검출신호에 의해 이를 인지하고 상기 (A1)단계로 루핑(looping)한다.
상기 (A1)단계에서 후크 온이라고 판단되면 (A3)단계에서 제어키부(40)로부터 제어키 데이타버스(105)를 통한 메모리 기능키 입력여부를 검사하여,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A1)단계로 루핑하고, 사용자가 메모리 기능을 수행토록 하고자 제어키부(40)의 소정 키를 조작함으로써 메모리 기능키 입력시는 (A4)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A4)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0)로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115)를 출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의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107)에 의해 디스플레이부(70)가 구동토록 한다. 다음에(A5)단계에서 상기 제어티부(40)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타가 신규 등록키 입력인가를 검사하여 신규 등록키이면, 신규 등록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A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6)단계에서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0)를 제어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의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부(70)가 신규 등록 모드를 디스플레이토록 하고 (A7)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A7)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다른 성명 데이타를 제어키부(30)로부터 입력하여 신규로 등록하고 메모리부(50)에 저장한후, (A8)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전화번호 데이타를 번호판부(30)로부터 번호판부 데이타버스(101)를 통하여 입력하여 신규로 등록하고 메모리부(50)에 저장하며, (A9)단계에서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른 주소 데이타를 제어키부(40)로부터 입력하여 신규로 등록하고 메모리부(50)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하는 것은 메모리 콘트롤신호(114)로서 상기 메모리부(50)를 라이트 인에이블(write enable)시키고 어드레스버스(103)를 통하여 어드레스를 지정한후, 데이타버스(104)를 통하여 상기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의 등록 데이타를 저장하게 된다.
상기한 (A7)-(A9)단계에서 하나의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 데이타를 등록 및 저장후 (A10)단계에서 완료키 입력 유무를 검사한다. 상기 (A10)단계에서 제어키부(40)로부터 완료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A7)단계로 루핑하여 다음의 입력되는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 데이타를 등록 및 저장하고, 완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A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소망하는 다수의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를 순서대로 등록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A5)단계에서 상기 제어키부(40)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타가 신규 등록키 입력이 아니면, (A11)단계로 진행하여 편집키 입력인가를 검사한다. 상기 (A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편집키 입력이면 편집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A1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의 등록 데이타중 첫번째 등록 데이타를 리드(read)하여 디스플레이부(70)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후 (A1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등록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은 전술한 바와 같으며, 메모리부(50)로부터 리드하는 것은 메모리 콘트롤신호(114)로서 상기 메모리부(50)를 리드 인에이블시키고 어드레스버스(103)를 통하여 어드레스를 지정한후 데이타버스(104)를 통하여 등록 데이타를 리드하게 된다. 상기 (A13)단계에서는 수정키 입력여부를 검사하여, 수정키 입력시 디스플레이 되는 등록 데이타를 번호판부(30) 및 제어키부(40)로부터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 데이타로 수정하여 등록 및 메모리부(50)에 저장한다.
이때 등록 데이타를 상기 메모리부(50)에 저장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음에 (A15)단계에서 완료 키 입력 유무를 검사하여 완료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A16)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의 등록 데이타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토록 한후 상기 (A13)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고, 완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A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A13)단계에서 수정키 입력이 없을시 즉,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등록 데이타를 사용자가 수정하지 않고자할 시는 상기 (A16)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편집 모드시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데이타를 첫번째 등록 데이타부터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소망하는 등록 데이타를 수정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상기 (A11)단계에서 상기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편집키 입력이 아니면 삭제 모드인 것으로 판단하고 (A17)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A17)단계에서는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등록 데이타중 첫번째 등록 데이타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부(70)에 디스플레이토록 한 후 (A18)단계에서 삭제키 입력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A18)단계에서 삭제키 입력시 (A19)단계에서 디스플레이되는 등록 데이타를 삭제하고 (A20)단계에서 완료키 입력 유무를 검사한다. 상기 (A20)단계에서 완료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A21)단계에서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다음의 등록 데이타를 리드하여 디스플레이토록 한 후 상기 (A18)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고, 완료키가 입력되면 상기 (A1)단계로 루핑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또한 상기 (A18)단계에서 삭제키 입력이 없을시 즉,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등록 데이타를 사용자가 삭제하지 않고자 할시는 상기 (A20)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한다. 그러므로 삭제 모드시 메모리부(50)에 저장되어 있는 등록 데이타를 첫번째 등록 데이타부터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시키면서 소망하는 데이타를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에 있어서, 대용량의 메모리와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므로써 사용자가 소망하는 다수의 전화번호뿐만 아니라 성명 및 주소도 함께 저장시킬 수 있으며 저장된 데이타들을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디스플레이시켜 용이하게 검색 및 편집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메모리 전화기에 있어서, 송신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신 음성신호 입력단자와 송화기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화기 음성신호 입력단자와 후크 검출신호 출력단자를 가지며 음성통화를 위한 신호처리를 하며 후크상태를 검출하여 후크 검출신호(116)를 출력하는 전화기 회로부(20)와, 전화기 키 배열을 갖는 다수의 번호 키를 구비하여 키 조작에 따른 번호 데이타를 발생하는 번호판부(30)와, 성명 및 주소를 입력시킬 수 있는 키와 소정의 제어키를 구비하여 키 조작에 따른 키 데이타를 발생하는 제어키부(40)와, 대용량의 메모리 영역을 가지며 메모리 콘트롤신호(114)에 의해 어드레스 지정에 따른 메모리 영역에 소정 데이타를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타를 출력하는 메모리부(50)와,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115)에 의해 디스플레이 데이타를 입력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에 따른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107)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60)와,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의 출력단자에 입력단자가 접속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데이타신호(107)에 의해 소정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7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에 전화기 콘트롤버스(102)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번호판부(30)의 출력단자에 번호판부 데이타버스(101)을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제어키부(40)의 출력단자에 제어키 데이타버스(105)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메모리부(50)에 메모리 어드레스버스(103)와 메모리 데이타버스(104)를 통하여 접속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에 디스플레이 데이타버스(106)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번호판부(30) 및 제어키부(40)로부터 입력되는 소정 데이타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후크 검출신호 출력단자로부터 입력되는 후크 검출신호(116)에 따라 상기 메모리부(50)로 메모리 콘트롤신호(114)를 출력하여 액세스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60)로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115)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10)와, 공중전화 통신망과 전화라인 팁(110) 및 전화라인 링(111)으로서 접속되는 전화라인(100)과, 일측의 두 단자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송신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신 음성신호 입력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타측의 두 단자가 상기 전화라인(100)의 전화라인 팁(110) 및 전화라인 링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송·수신 음성신호(108, 109)를 인터페이싱하는 라인 인터페이스부(80)와,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의 송화기 음성신호 출력단자와 수화기 음성신호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상기 전화기 회로부(20)에서 출력되는 수화기 음성신호(112)를 음성으로 변환하며, 음성을 송화기 음성신호(113)로 변환하여 상기 전화기 회로부(20)로 출력하는 송수화기 셋(9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전화기
  2. 메모리 전화기의 메모리 방법에 있어서, 후크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후크 오프 여부를 검사하는 후크 오프 검사과정(A1)과,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에서 후크 오프시 통화기능을 수행한후 후크 온되면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으로 진행하는 통화기능 수행과정(A2)와,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에서 후크 오프가 아닐시 메모리 기능키 입력여부를 검사하여,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없으면 상기 후크 오프 검사과정(A1)으로 진행하고 메모리 기능키 입력시 디스플레이 콘트롤신호를 출력하여 디스플레이부를 구동토록 하는 메모리 기능 시작과정(A3,A4)과, 상기 메모리 기능 시작과정(A3,A4)의 메모리 기능키 입력이 신규 등록키 입력인가를 검사하는 제1모드 결정과정(A5)과, 상기 제1모드 결정과정(A5)에서 신규 등록키 입력일시 신규 등록 모드를 디스플레이토록 하고 성명과 전화번호와 주소 데이타를 순차로 입력하여 등록 및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신규 등록과정(A6,A7,A8,A9,A10)과, 상기 제1모드 결정과정(A5)에서 신규 등록키 입력이 아닐시 편집키 입력인가를 검사하는 제2모드 결정과정(A11)과, 상기 제2모드 결정과정(A11)에서 편집키 입력일시 저장되어 있는 등록 데이타를 등록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토록 하며 수정키 입력시 디스플레이되는 등록 데이타를 수정하여 등록하는 편집과정(A12,A13,A14,A15,A16)과, 상기 제2모드 결정과정(A11)에서 편집키 입력이 아닐시 등록 데이타를 등록 순서대로 디스플레이토록 하며 삭제키 입력시 디스플레이되는 등록 데이타를 삭제하는 삭제과정(A17,A18,A19,A20,A21)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 방법.
KR1019870002525A 1987-03-20 1987-03-20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KR910000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2525A KR910000845B1 (ko) 1987-03-20 1987-03-20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2525A KR910000845B1 (ko) 1987-03-20 1987-03-20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054A KR880012054A (ko) 1988-10-31
KR910000845B1 true KR910000845B1 (ko) 1991-02-11

Family

ID=1926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2525A KR910000845B1 (ko) 1987-03-20 1987-03-20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8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054A (ko) 198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8971B1 (en) Method for displaying background image in mobile telephone
US6879844B2 (en) Telephone dialing apparatus capable of directly downloading telephone directory from mobile phone 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KR20050055360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최근통화목록 표시 방법
GB2346769A (en) Retrieving phone numbers in a mobile telephone
KR950004852A (ko) 전화시스템 및 전화시스템의 원거리 통신방법
KR100313139B1 (ko) 전화단말기에서사용자에의한기능편집방법
KR910000845B1 (ko) 메모리 전화기 및 메모리 방법
US20030081758A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ialing a telephone number received from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KR19990031009A (ko) 전화기에서 단축번호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는 방법
JP321849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のリンク確立の失敗履歴記録表示方法
JPH1093724A (ja) 電話装置
JPH0637887A (ja) 電話端末装置
JPS61131951A (ja) 電話機のダイヤル信号送出方式
JP4150543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
JP200108621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952268B2 (ja) 電話番号受信システム
JPH10112746A (ja) アドレスカードおよびこれを使用する情報通信装置
KR900007708B1 (ko) 예약 통화 전화기 및 예약 통화방법
KR19980078301A (ko) 통신단말장치의 단축 다이얼방법
JP2000244977A (ja) 無線通信機
JPS5911094A (ja) ボタン電話装置における運用デ−タメモリのアクセス方式
JPH03289243A (ja) 電話装置
JP2002111800A (ja) 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及び電子機器
JP2000278730A (ja) フラッシュメモリのデータ消去方法
JPS63237650A (ja) ダイヤ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1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