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684Y1 -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684Y1
KR910000684Y1 KR2019870022693U KR870022693U KR910000684Y1 KR 910000684 Y1 KR910000684 Y1 KR 910000684Y1 KR 2019870022693 U KR2019870022693 U KR 2019870022693U KR 870022693 U KR870022693 U KR 870022693U KR 910000684 Y1 KR910000684 Y1 KR 9100006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fixing device
video tape
plat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2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649U (ko
Inventor
최덕용
조활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오롱, 이상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오롱
Priority to KR2019870022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684Y1/ko
Publication of KR890014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6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6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684Y1/ko

Links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제1도는 비데오테이프 카세트의 내부평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A-A선 단면부위에서 작동레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
제3도는 종래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한 릴 고정장치의 평면도.
제4도는 종래의 판스프링을 사용한 릴 고정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릴 고정장치의 브레이크 레버를 나타낸 확대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데오테이프 릴 2 : 브레이크 레버
3 : 회전축 4 : 브레이크 작동판
5 : 릴 고정판 6,6′ : 탄성파
7 : 테이프케이스벽면 8 : 작동레버
본 고안은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데오레코더에 비데오테이프 카세트를 끼워넣지 않은 상태에서 비데오테이프 릴이 임의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릴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릴 고정장치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비디오테이프 카세트를 비데오레코더에 끼워넣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카세트 내부에 조립되어 있는 한쌍의 브레이크레버에 일체로 부설된 고정판 선단이 비데오테이프 릴에 형성되어 있는 튜너바퀴의 톱니에 끼워지게 되면서 양쪽 2개의 릴이 모두 회전되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비데오테이프 릴을 고정시켜주게 되는 고정장치로서 종래에는 직접적으로 릴을 고정시켜주는 작용을 하게 되는 브레이크 레버에 탄성을 주기 위해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등을 사용하여 브레이크 레버가 작동되도록 하였는 바, 이런 경우 브레이크 레버와는 별도로, 그 레버에 탄성력을 부여해 주는 스프링을 제작하고 이를 별도로 조립해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되므로로 해서 제조공정이 비교적 복잡하고 조립시간이 길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스프링 제작에 따른 재료비도 부담해야 되므로 전체적으로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어 왔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 별도의 스프링을 제작조립하지 않고서 브레이크 레버에 탄성판을 일체로 성형시켜줌으로써 그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비데오 테이프 릴의 고정장치를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비데오테이프 릴(1)을 고정시켜주는 한쌍의 브레이크 레버(2)의 회전축(3)의 상단부 주연에 브레이크 작동판(4)과 릴고정판(5)이 일체로 성형된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회전축(3)의 브레이크 작동판(4)과 고정판(5) 성형부의 반대편 주연에 수지로된 탄성판(6,6′)이 회전축(3)과 일체로 성형되어 있되 상기 탄성판(6,6′)의 선단부가 비디오테이프케이스 벽면(7)과 맞닿을 정도의 길이로 돌출성형되어 있어서 작동레버(8)의 작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레버(2)가 회전지지봉(9,9′)을 중심으로 회전작동되면서 상기 탄성판(4)이 탄력을 받도록 이루어진 것을 비데오 테이프 릴의 고정장치인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은 카셋트몸체에 형성된 삽입구멍, 11은 작동레버(8)의 작동에 근원이 되는 해체핀, 12는 작동레베 측, 13은 밀(1)에 형성된 톱니바퀴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는 첨부한 예시도면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테이프가 감겨지는 비데오테이프 릴(1)의 사이공간에 설치되어지는 것으로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프카세트 몸체의 외부로부터 그 몸체에 뚫려진 삽입구멍(10)을 통해 해체핀(11)을 밀어넣게 되면 그 핀(11)은 삽입구멍(10)을 통해 올라와 작동레버(8)를 밀어올려주게 된다.
그러면, 작동레버(8)는 작동레버축(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그와 연결해 있는 브레이크 레버(2)의 작동판(4)을 밀게 되어 브레이크레버(2)가 밑으로 회전하게 되어 결국, 밀(1)에 형성된 톱니바퀴(13)에 끼워져 있는 상기 브레이크 레버(2)와 일체로 형성된 릴고정판(5)이 회전되어 그 선단이 빠지면서 릴(1)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작동에서 브레이크 레버(2)가 회전된 후 작동레버(8)을 작동시켜 주었던 해제핀(11)을 빼내게 되면 브레이크레버(2)가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릴(1)의 톱니바퀴(13)에 밑고정판(5)의 선단이 다시 끼워지므로서 릴(1)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도록 하는 복원력이 필요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복원력을 브레이크레버(2)에 부여해주기 위해 코일스프링(가)를 사용하였거나,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판스프링(나)을 별도로 제작하고 조립해 주어야 하는데, 그에 따른 공정의 복잡성과 재료의 소비가 제조원가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본 고안에서는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레버(2)에 일체로 수지로 된 탄성판(6)을 형성시키되 브레이크레버(2)의 회전축(3)의 상단주연에 성형된 브레이크작동판(4)과 릴고정판(5)의 반대편주연에 한번의 성형공정으로 탄성판(6,6′)을 일체로 형성시킨 것이다. 이때 브레이크 레버(2)의 작동에 의해 회전지지봉(9,9′)을 중심으로 회전축(3)이 회전하면서 회전축(3)에 성형된 상기 탄성판(6,6′)의 둥근선단부가 테이프케이스벽면(7)과 맞닿으면서 회전축(3)과 테이프케이스벽면(7)간의 탄성작용을 일으켜 작동레버(8)에게 복원력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가장 적당한 탄성력을 부여해 주기 위해서는 상기 탄성판(6,6′)이 상기 회전축(3)과 이루는 각도나 이로부터 파장된 길이 그리고 폭, 두께 및 재질 등이 매우 중요하다.
본 고안에 따면 상기 탄성판(6,6′)를 릴고정판(5)이 성형된 회전축(3)의 주연표면과 110∼16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적당한 바, 그 각도가 110도 이하인 경우 탄성판(6,6′)이 지나치게 무리한 힘을 받게 되어 좋지 않고, 160도 이상인 경우에는 탄성력이 적어 바람직한 작동 효과를 얻을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판(6,6′)은 그 두께가 0.5∼1.0㎛이고 혹은 0.5∼3.0㎛인 것이 적당하며, 이와 함께 그 길이는 7.0∼12.0㎛로 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때 상기 탄성판(6,6′)의 두께나 폭, 길이 등은 반드시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켜야만 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범위보다 작거나 크게되면 탄성효과가 나빠지게 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재질의 손실이 예상된다.
한편, 이와같은 탄성판(6,6′)은 그 탄성과 내피로성이 우수한 수지를 사용하여야 하는바, 브레이크레버(2)와 일체로 성형되는 탄성판(6,6′)의 재질은 아세탈 또는 나일론 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오 테이프 릴의 고정장치는 기존에 사용하여 왔던 1∼2개의 코일 또는 판스프링을 사용치 않음으로 해서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브레이크레버에 스프링을 수동으로 끼워야 하는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공정단축으로 인한 인건비 절약 및 조립시간의 단축등으로 제조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동일재질로 일체감 있게 형성된 장치이므로 장기간 사용에도 고장이 적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장치와 종래의 장치를 제조함에 따른 제조공정상의 차이를 실시예로서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본 고안에 따른 탄성판이 일체로 형성된 브레이크레버로 된 고정장치를 제조하되 이들의 성형시 그 재질은 아세탈을 사용하고 210℃의 온도에서 스크류식 사출성형기로 성형하여 릴 고정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탄성판이 없고 좌우 브레이크 레버에 따라 각각 1개씩 코일스프링을 삽입하여 탄성반발력을 부여한 릴 고정장치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하되 코일스프링 대신에 좌우 브레이크 레버에 1개의 판스프링으로 동시에 탄성반발력을 부여한 릴 고정장치를 제작하였다.
[표 1]
[표 2]

Claims (1)

  1. 비데오테이프 릴(1)을 고정시켜주는 한쌍의 브레이크 레버(2)의 회전축(3)의 상단부 주연에 브레이크 작동판(4)와 릴 고정판(5) 및 탄성판(6,6′)이 일체로 성형된 비디오테이프릴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의 탄성판은 릴 고정판(5)이 성형된 회전축(3) 주연표면의 접선과 160도의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면서 그 두께는 0.5 내지 1.0㎛이고, 폭은 0.5 내지 3.0㎛이며, 길이는 7.0 내지 12.0㎛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장치.
KR2019870022693U 1987-12-22 1987-12-22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KR9100006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693U KR910000684Y1 (ko) 1987-12-22 1987-12-22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2693U KR910000684Y1 (ko) 1987-12-22 1987-12-22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49U KR890014649U (ko) 1989-08-11
KR910000684Y1 true KR910000684Y1 (ko) 1991-02-08

Family

ID=1927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2693U KR910000684Y1 (ko) 1987-12-22 1987-12-22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6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649U (ko) 1989-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0228A (en) Cassette with a loosening prevention mechanism
JPS5824306Y2 (ja) カセットの磁気記録テ−プ弛み防止機構
JPS61168161A (ja) ベルト駆動カートリツジ用耐摩耗キヤプスタン
JPH0215059Y2 (ko)
KR910000684Y1 (ko)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US4347549A (en) Anti-static structure for magnetic tape guides
JPH0331152A (ja) ウェブ保持装置
US4405097A (en) Cassette with a slack limiter tab
US3212806A (en) Return spring mechanism for a lock
KR900008098B1 (ko) 비데오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JPH04231737A (ja) ブレーキの摩擦ライニング用摩耗指示装置
US4670809A (en) Door hinge for a videocassette
KR100950414B1 (ko) 잠금 부재와 장치
US4846760A (en) Shaft coupler
DE2128055C3 (de) Taschenbandmaß mit Austauschkassette
JP2775607B2 (ja) ワンウエイクラッチ
JPH0991814A (ja) 磁気ディスクドライバのチャッキング機構
US3994177A (en) Television tuner
JP2003085721A (ja) ヘッド送り機構
CA1067760A (en) Television channel indicator
GB2122887A (en) Door furniture
JPS6120684Y2 (ko)
KR200326482Y1 (ko) 버클
KR88000397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기구
KR910006365Y1 (ko) 카세트테이프 릴의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120100137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12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