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59B1 -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59B1
KR910000559B1 KR1019850004589A KR850004589A KR910000559B1 KR 910000559 B1 KR910000559 B1 KR 910000559B1 KR 1019850004589 A KR1019850004589 A KR 1019850004589A KR 850004589 A KR850004589 A KR 850004589A KR 910000559 B1 KR910000559 B1 KR 910000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olley
pin
engaging
drive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393A (ko
Inventor
데쯔조오 구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우라베 도모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쯔바기모도 체인
Publication of KR86000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를 둘로 나누어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트롤리 구동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a도는, 본 발명의 트롤리가 정지된 상태의 컨베이어의 횡단면도,
(b)는, (a)도의 걸어맞춤핀의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요부확대 단면도,
(c)는, (a)도에서 록크장치의 링크가 하강된 상태의 횡단면도,
(d)는, (a)도에서 트롤리로부터 걸어맞춤핀이 해제된 상태의 횡단면도,
(e)는, 본 발명의 이송용 트롤리의 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구동체인의 일부 절결 및 정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중간 스톱퍼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걸어맞춤핀의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a)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b)는, (a)도의 측면도, (c)는, (a)의 A-A선에서 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1b : 이송로 2a,2b,2c : 트레버어스 테이블
3,3b : 이송용 트롤리 5a,5b : 구동장치
6 : 구동체인 7a,7b : 스톱퍼
12,12a : 구동 프레임 13 : 로드
14a,14b : 연결체 15 : 링크
16 : 랙크 17 : 모우터
18 : 감속기 20,20a : 걸어맞춤핀
22 : 부쉬 23 : 안내관
25 : 플런저 26 : 핀
27 : 홈 28 : 밀어 내림 부재
32 : 록크장치 33 : 록크해제장치
34 : 고정대 35 : 에어실린더
36' : 구동로드 37 : 링크
37' : 힌지축 38 : 로울러
40 : 미끄럼 작동 로드 42 : 레버
47,48 : 스포로켓 51 : 링크
53 : 후크 54 : 푸셔
55 : 핀 57 : 고정부재
58 : 회전축 59 : 레버
60 : 정지아암 61 : 고정브라케트
63 : 가이드판 66 : 스톱퍼
67 : 요입부 68 : 로울러
69 : 고리형상홈 70 : 걸어맞춤플랜지
71 : 에어실린더 72 : 축부재
73 : 회전부재 74 : 후크
75 : 걸어맞춤홈 76 : 레버
77 : 긴 홈 80 : 록크장치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철소에서 코일 이송용에 사용하는 경우에 컨베이어에 코일이 실린 이송용 트롤리를 막아 스토리지(Storage)하여서, 앞, 뒤 설비의 처리능력의 불균형을 흡수하여, 조업의 융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완충 스토리지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철소에서 코일 이송용 컨베이어로서는, 컨베이어 체인에 직접 코일을 싣는 방식 및 트롤리에 코일을 싣고 트롤리에 직접 연결한 체인으로 견인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상기 어느쪽의 방식에 있어서도 체인과 함께 코일이 움직이기 때문에, 컨베이어 끝단에 코일이 정제하여 있을때에는 운전불능으로 되어, 공정에 있어서 위쪽 기기의 정지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컨베이어에 적재된 코일이 다량이기 때문에, 커다란 구동력을 필요로 하는 결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체인 구동방식은 일반적으로 체인의 늘어남이나 체인과 트롤리 사이에 설치된 걸고 떼는 장치의 앞 뒤 방향의 헛놀음에 의하여 트롤리의 정지 정밀도가 낮다고 하는 문제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상기한 결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컨베이어를 수평 순환 형식으로 하여, 이송용 트롤리를 컨베이어의 이송방대 방향 레일과 이송방향 레일로 이동하는 것이 용이한 스토리지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송용 트롤리의 이송로의 아래쪽에, 이송로를 따라 일정한 피치간격으로 구동 프레임을 설치하여 상기 일정 피치만큼 구동 프레임이 동시에 왕복운동이 가능하게끔 구성하고, 각 구동 프레임에 이송용 트롤리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에 승강에 의하여 걸리고 떨어지는 걸어맞춤핀을 설치하고, 각 이송용 트롤리 또는 각 구동 프레임에 걸어맞춤핀을 걸어맞춤상태로 유지하는 록크장치를 설치하고, 각 구동 프레임의 정지 위치에서 각각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을 하는 걸어맞춤핀의 록크장치 및 이 정지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록크해제장치를 설치한 완충 스토리지 컨베이어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이송용 트롤리는 구동 프레임으로부터의 걸어맞춤핀의 삽입에 의하여 구동 프레임과 함께 일정 피치만큼 전진하고, 이 사이에 걸이맞춤핀은 트롤리와의 걸어맞춤상태로 유지된다. 이 트롤 리가 전진을 마친후 정지중의 걸어맞춤핀을 트롤리로부터 탈출시킨다. 그후 이 트롤리를 남기고 구동 프레임은 동시에 일정 피치만큼 후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트롤리는 일정 피치만큼씩 나아가며 이송되지만, 전방에 나아가지 않는 정지 트롤리가 있을때에는, 이것에 후속 트롤 리가 뒤쫓아 충돌하지 않도록, 후속 트롤리에 대한 걸어맞춤핀의 록크장치의 작동을 멈추게 하여, 트롤리를 상기의 피치를 가지고 앞을 막는 형상으로 스토리지 시킬수가 있는 것이다. 걸어맞춤핀의 록크장치의 작동은, 전반 정지 트롤리의 유, 무, 쌓인 화물의 유, 무 등 각종 조건에 따라서 제어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이고 또한 선택적으로 행하여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가는 방향 레일(1a)은 본 발명 컨베이어의 이송로이며, 이것과 평행하게 인접하는 돌아오는 방향 레일(1b) 및 양끝단의 트레버어스 테이블(Traverse table)(2a), (2b)과 함께 평면 형상의 순환로를 형성하고, 또한 중간에도 트레버어스 테이블(2c)을 설치하고 있다.
레일(1a)위를 주행하는 코일 이송용 트롤리(3)에는 레일(1a)의 시작끝단 즉 제1도의 좌측에 설치된 워킹비임(walking beam)과 같은 옮겨싣는 장치(4)로부터 코일(c)이 적재되어, 구동장치(5a), (5b)에 의하여 우측으로 전진하게 된다. 트레버어스 테이블(2b) 또는 (2c)의 바로 앞에서 코일을 부린 빈 트롤리(3a)는 트레버어스 테이블(2b) 또는 (2c)에 의하여 되돌아오는 방향 레일(1b)쪽으로 옮겨진다.
레일(1b)을 따라서 설치된 구동체인(6)은 트롤리(3)와의 사이에 설치된 후술하는 걸어맞춤장치에 의하여 트레버어스 테이블(2b) 또는 (2c)상의 빈 트롤리(3a)를 후진시킨다.
또한 이 빈 트롤리(3a)는, 후술하는 스톱퍼(7a) 또는 (7b)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걸어맞춤장치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정지하고, 재차 트레버어스 테이블(2c) 또는 (2a)에 의하여 레일(1a)쪽으로 옮겨져서 코일이송에 사용된다.(트레버어스 테이블(2c)에 대응하는 옮겨싣는 장치는 생략), 트롤리(3)에 공지의 추돌방지장치를 설치하여, 레일(1b)위에 빈 트롤리(3a)를 스토리지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도 및 제4도에 트롤리(3)의 나아가는 구동장치를 나타낸다. 트롤리(3)는 앞,뒤의 로울러(8) 및 가이드 로울러(9)에 의하여 레일(1a)위를 안내되어 주행한다. 레일(1a)의 아래쪽에 레일(10)을 설치하고, 이것에 로울러(11)가 끼워 맞춤하여 트롤리(3)의 바로 아래를 안내되어 이동하는 다수의 구동 프레임(12)을, 트레버어스 테이블(2a), (2c)사이 및 (2c), (2b)사이에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같은 간격으로 나눈 피치(ℓ)로서 배열형성하고, 이들 구동 프레임(12)을 제3도와 같이 로드(13)로써 상호 연결하여 연결체(14a), (14b) (제1도)를 구성한다.
각 연결체(14a), (14b)의 각각 앞부분 2개의 구동 프레임(12)을 링크(15)를 개재하여 랙크(16)에 연결한다.(제3도) 랙크(16)는 레일(10)의 아래쪽을 수평이동하기 가능하게끔 안내지지되어 있으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우터(17)와 감속기(18)와를 가지는 구동장치(5a), (5b)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는 도시하지 않은 피니언과 맞물려서, 상기 피치(ℓ)만큼 왕복 구동된다.
제1도에 있어서 (가), (나), (다)…(러)는 트롤리(3)의 왕복 이동끝단의 정지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트레버어스 테이블(2a), (2b), (2c)의 중심은 상기 트롤리(3)의 왕복이동 끝단의 정지위치와 일치한다.
상기 정지위치(나), (다)…(더)에는 록크장치(32)와 또한 정지위치(가),(나)…(더)에 록크해제장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록크장치(32)에 있어서는, 제4a∼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1a)의 한쪽에 형성한 고정대(34)에 핀(35)에 의하여 지지된 실린더(36)와, 이 실린더(36)의 상,하 구동로드(36')에 링크(37)가 연결되고, 이 링크(37)는 힌지축(37')에 의하여 시이소식으로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링크(37)의 끝단에 로울러(3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3도 및 제4a∼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10)에 안내되는 구동 프레임(12)에는, 중앙의 부쉬(19)내에 걸어맞춤핀(20)이 승강가능하도록 되고, 걸어맞춤핀(20)은 위끝단부 둘레에 홈(27)과, 앞끝단부에 경사면(30)이 형성되어, 상기 록크장치(32)에 의해 걸어맞춤핀(20)이 승강함에 따라서 후술하는 제4a도, (c)도에 있어서 트롤리(1)의 걸어맞춤부(21)에 상기 걸어맞춤핀(20)이 안내 상승되어서 트롤리(1)를 구동 프레임(12)으로써 레일(10)에 안내시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4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핀(20)의 한쪽에 설치된 축방향의 홈(44)내에 구동 프레임(12)으로부터 스프링(45)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보올(46)이 가볍게 눌려 맞닿아, 홈(44)의 위,아래 요입홈(44'), (44")에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서, 상기 걸어맞춤핀(20)은 록크장치(32)와 록크해제장치(33)에 의해 상,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록크해제 장치(33)에 있어서는, 제4a∼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대(34)위에 에어실린더(39)를 형성하며, 에어실린더(39)의 로드(39')가 도면에서 우측으로 출몰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로드(39')는, 트롤리(3)에 형성된 미끄럼 작동로드(40) 바깥끝단과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로드(39')의 안쪽끝단은 핀(41)으로써 시이소식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된 레버(42)의 위끝단과 접하고, 레버(42)의 아래끝단은, 안내관(23)에 스프링(24)에 의해 탄성력있게 설치된 플런저(25)에 돌출된 핀(43)에 걸어맞춤되어 있다.
상기의 플런저(25)의 앞끝단에 핀(26)이 돌출 형성되어 제4e도와 같이 평상시에는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어맞춤부(21)위에 관통되어 있고, 상기의 핀(26)은 상술한 걸어맞춤핀(20)의 트롤리(3)가 걸어맞춤부(21)로 상승되어 있을 때 걸어맞춤핀(20)의 홈(27)에 걸어맞춤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4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21)의 위쪽에는 스프링(29)에 탄성력있게 설치된 밀어내림부재(28)가 형성되어 밀어내림부재(28)의 아래끝단은 걸어맞춤부재(21)의 부쉬(22)내에 형성되어 아래쪽으로 탄성력을 부여하고 있다. 이 밀어내림부재(28)는 후술하는 록크해제장치(33)의 해제동작시에 걸어맞춤핀(20) 첨단 머리부를 밀어 하강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한 것이다.
제4a도의 정지위치에 있는 트롤리(3)에 대하여, 록크해제장치(33)의 에어실린더(39)가 작동하여 로드(39')가 제4c도와 같이 트롤리(3)의 안쪽으로 출몰하여 미끄럼 작동로드(40)를 밀면, 미끄럼 작동 로드(40)는, 레버(42)를, 핀(41)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에 따라 레버(42)의 끝단에 핀(43)으로 연결된 플런저(25)를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시키어 플런저(25)의 앞끝단핀(26)이 걸어맞춤부(21)내의 걸어맞춤핀(20) 홈(27)에 걸려 있다가 도면의 좌측으로 빠져 나가게 됨에 따라서, 걸어맞춤부(21)의 위쪽에 탄성력있게 형성된 밀어내림부재(28)가 스프링(29)의 탄성 복원력으로 걸어맞춤핀(20)의 머리부를 아래쪽으로 밀어내리게 된다.
상기의 밀어내림 작용에 의하여 구동 프레임(12)의 걸어맞춤핀(20)은 트롤리(3)의 걸어맞춤부(21)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제4d도와 같이 걸어맞춤핀(20)의 위쪽요입홈(44')이 구동 프레임(12)의 보올(46)과 맞닿아 유지된다. 이로써, 상기의 록크해제장치(33)의 록크해제에 의하여 트롤리(3)와 구동 프레임(12)과의 연결을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된다.
반대로 정지상태의 트롤리(3)와 구동 프레임(12)과를 연결시킬 경우에는, 제4d도의 상태에서 록크장치(32)의 에어실린더(36)를 가동하여 구동로드(36')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면, 링크(37)가 구동로드(36')와 연결되어 힌지축(37')을 중심으로 그의 끝단의 로울러(38)가 무리없이 구동 프레임(12)의 걸어맞춤핀(20)의 밑부분을 밀어올려 제4도(4)와 같이 걸어맞춤핀(20)이 트롤리(3)의 걸어맞춤부(21)와 록크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걸어맞춤핀(20)의 위쪽끝단이 경사면(30)으로 이루어져 있고, 또한 트롤리(3)의 걸어맞춤부(21)의 부쉬(22) 아래끝단이 경사면(31)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트롤리(3)가 제1도에서 정지위치(나), (다), …(러)등으로 다소 벗어나 있더라도 걸어맞춤핀(20)의 경사면(30)과 걸어맞춤부(21)의 경사면(31)의 안내 작용으로 트롤리(3)는 걸어맞춤핀(20)에 가해지는 밀어올리는 힘에 의하여 정규 정지위치로 되돌아가며, 걸어맞춤핀(20)은 지장없이 걸어맞춤부(21)의 부쉬(22)내로 끼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걸어맞춤핀(20)의 상승시에 있어 제4d도와 같이 록크해제장치(33)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플런저(25)의 앞끝단핀(26)이 압축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어맞춤부(21)의 부쉬(22)내로 돌출되어 있으나, 걸어맞춤핀(20)의 앞끝단이 경사면(30)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므스하게 경사면(30)이 상기 앞끝단핀(26)을 후방으로 밀어내면서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이때 앞끝단핀(26)은 압축 스프링(2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걸어맞춤부(21)쪽으로 힘이 가하여져서 상기 걸어맞춤핀(20)의 홈(27)이 앞끝단핀(26) 부위에 오게되면, 바로, 압축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앞끝단핀(26)과 걸어맞춤핀(20)의 홈(27)과의 결합이 이루어져 록크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후에 링크(27)는 제4c도와 같이 하강하고 트롤리(3)는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 연결체(14a) 또는 (14b)와 함께 이동한다.
상기에 있어 걸어맞춤핀(20)의 위끝단은 밀어내림부재(28)와 탄성력있게 맞닿아 있게 된다.
이로써, 트롤리(3)와 구동 프레임(12)과의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록크장치(32) 및 록크해제장치(33)에 의하여 연결체(14a), (14b)의 정지와 타이밍을 맞추어 작동하고, 록크장치(32)는 연결체(14a), (14b)가 후퇴하여 정지한 때에, 이 정지위치에 트롤리(3)가 있고, 또한 뒤쫓아 충돌한 염려가 있는 선행정지 트롤리(3)가 없는 것등을 조건으로하여 걸어맞춤핀(20)을 밀어 올려서, 트롤리(3)를 전진이 가능하게끔 한다. 전진 끝단정지 위치에 있어서는 록크해제장치(33)가 작동하여 걸어맞춤핀(20)을 하강시키고, 이어서 연결체(14a), (14b)가 피치(ℓ)만큼 후퇴하여 다음 트롤리(3)에 대하여 상기와 마찬가지의 작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리하여, 트롤리(3)는 레일(1a)위에 피치(ℓ)로서 앞이 막히고, 가장 앞부분의 트롤리(3)상으로부터 코일(c)이 반출되면, 빈 트롤리(3a)는 트레버어스 테이블(2b) 또는 (2c)로 옮겨져서 레일(1b)쪽으로 옆으로 보내진다.
돌아오는 방향 레일(1b)의 바깥쪽에 설치된 구동체인(6)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레버어스 테이블(2a), (2b)의 통로를 넘어서 구동 스프로켓(47)과 종동 스프로켓(48)과의 연결되어 걸리고, 체인 로울러(49)가 레일(50a), (50b)에 지지되어서 연속 이동을 한다(제4도).
상기 구동체인(6)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당한 피치를 가지고 설치된 아래쪽 돌출 링크(51)에 핀(52)에 의하여 앞끝단 후크(53)를 가지는 푸셔(54)를 유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푸셔(54)의 자중에 의하여 후크(53)가 트롤리(3)에 돌출된 핀(55)과 걸어맞춤하여 빈 트롤리(3a)를 견인하여 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크(53)를 핀(55)으로부터 떨어지게 하기 위한 핀(56)이 핀(52)의 뒤쪽에서 있어서 푸셔(54)의 양쪽으로 빠져 나오도록 고정된다.
제6도 및 제7도는, 제1도에 나타낸 중간 스톱퍼(7a)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재(57)에 굴대지지된 회전축(58)에 레버(59)와 정지아암(60)과를 고정붙임하고, 받침끝단을 고정 브라케트(61)에 고정한 에어실린더(62)에 의하여 레버(59)를 90도 회전하여, 정지아암(60)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낸 해제 위치로부터 빈 트롤리(3a)의 통로를 차단하는 실선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정지아암(60)에 고정붙임한 산 형상의 가이드판(63)은 제7도에서 핀(56)이 튀어나온 부분의 통로로 나가서, 접근하는 빈 트롤리(3a)의 핀(56)을 산형상의 상면판(64)상에 타올라가게하여 푸셔(54)를, 제5도의 2점 쇄선위치로 경사 이동시키어, 후크(53)와 핀(55)과의 걸어맞춤을 해제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후, 빈 트롤리(3a)는 앞부분 돌출부(65)가 정지아암(60)에 설치된 스톱퍼(66)에 닿아서 정지한다.
정지한때에, 빈 트롤리(3a)는 앞부분 로울러(8a)가 레일(1b)의 요입부(67)내에 들어가서 안정성 있게 정지한다.
정지아암(60)을 상기해제위치인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게 하면, 다음에 오는 푸셔(54)는 하강위치에 있고 빈 트롤리(3a)의 핀(55)과 걸어맞춤하여 이 빈 트롤리를 견인해 간다.
제1도에 있어 마지막 끝단 스톱퍼(7b)의 위치에서는, 구동체인(6)을 위쪽으로 유도하여 푸셔(54)를 끌어올려서, 핀(55)과의 걸어맞춤을 풀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스톱퍼(7b)는 산 형상 가이드판(63)을 가지지 않는 것 이외에는 스톱퍼(7a)와 구조, 작용이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돌아오는 방향 레일(1b)을 가는 방향 레일(1a)의 바로 아래에 설치하여, 트레버어스 테이블(2a), (2b), (2c)대신에 트롤리(3)의 승강용 리프터를 사용하여 레일(1a), (1b)사이를 접속하여도 좋다.
또한, 트레버어스 테이블(2c)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구동체인(6)을 돌아오는 방향 레일(1b)의 아래쪽에 설치할 수도 있다.
제8도는, 걸어맞춤핀의 밀어올림과 끌어내림을 겸비한 걸어맞춤핀의 승강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 프레임(12a)에 오르내림이 자유롭게 지지된 걸어맞춤핀(20a)의 위끝단에 로울러(68)를 형성하고, 아래끝단에 고리형상홈(69)과 그 바로 아래의 걸어맞춤 플랜지(70)와를 형성한다.
트롤리의 상기 각 정지위치에 있어서, 걸어맞춤핀(20a)의 바로 아래에 에어실린더(71)를 설치하고, 그 로드에 고정된 축부재(72)에, 회전부재(73)를 회전이 가능하게끔 위에 씌워 고정하고, 그 상부에 걸어맞춤 플랜지(70)을 양쪽으로부터 포위하고 앞끝단이 고리형상홈(69)내에 들어가 걸리는 한쌍의 후크(74)를 형성한다.
걸어맞춤 플랜지(70)는 로울러(68)의 축방향으로 가늘고 긴 원형상 또는 작은 타원형상을 이루고, 그 긴축방향 부분은 후크(74)의 안쪽 빈곳을 수평방향으로는 통과할 수 있으나(제8b도도), 후크(74)의 상, 하방향으로 출입할 수는 없다.
그러나, 후크(74)를 90도 회전하면, 걸어맞춤 플랜지(70)의 짧은 축방향의 부분이 후크(74)의 사이로부터 출입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시상태에서는 에어실린더(71)에 의하여 걸어맞춤핀(20a)을 트롤리(3b)에 설치된 걸어맞춤홈(75)에 끼우거나 빼서 트롤리(3b)와 구동 프레임(12a)과를 접하게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회전부재(73)의 한쪽에 돌출설치된 레버(76)에 제8c도와같이 긴홈(77)을 형성하고, 걸어맞춤홈(75)에 대한 걸어맞춤핀(20a)의 삽입 위치와 빠져 나오는 위치와에 대응하여 설치된 상, 하의 에어실린더(78a), (78b)의 로드에 각각 설치된 상부핀(79a) 또는 하부핀(79b)이 회전부재(73)의 긴홈(77)에 걸려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걸어맞춤핀(20a) 자체로 구동 프레임(12a)에서 상기 삽입위치 또는 빠져 나오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4b도에서와 같은 구조인 홈(44a), 스프링(45a), 보울(46a)등으로 되는 록크장치(80)를 형성한다.
또한, 회전부재(73)가 승강중에 각도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회전부재(73)와 축 부재(72)와의 사이에 주지의 보울 탄력 억제장치(81)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크(74)가 걸어맞춤 플랜지(70)와 도시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한 회전위치를 (a)라 하고, 이것과 90도 다른 회전위치를 (b)라고 하면, 도시상태에 있어서, 트롤리(3b)를 전진시키는 경우에는, 후크(74)를 (a)위치에서 유지하면 걸어맞춤 플랜지(70)는 후크(74)사이를 통과하여 빠져서 전진한다.
트롤리(3b)를 전진시키지 않는 경우에는, 도시상태로부터 후크(74)를 하강시켜 걸어맞춤핀(20a)을 트롤리(3b)로부터 이탈시키고, 하강 끝단에 있어서 걸어맞춤핀(20a)이 후퇴하여 후크(74)로부터 이탈한다.
후크(74)에 걸어맞춤 플랜지(70)가 걸어맞춤하고 있지 않은 때에, 도달한 걸어맞춤핀(20a)이 승강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면, 후크(74)는 하강 끝단에 있고 회전위치(a)가 있으면 좋으며, 걸어맞춤핀(20a)이 상승위치에 있으면 이것을 하강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걸어맞춤핀(20a)이 도착후, 후크(74)는 실린더(78b)에 의하여 회전위치(b)로 회전되어 상승하고, 상승끝단에서 실린더(78a)에 의하여 회전위치(a)로 회전되어 걸어맞춤 플랜지(70)와 걸어맞춤한후 하강된다.
상기 작용으로부터 보아, 본 실시예는 제4도에서의 록크장치(32)와 록크해제장치(33)와를 겸비한 것으로서, 전부 바닥쪽 또는 트레버어스 테이블 등에 설치되며, 트롤리쪽에는 걸어맞춤홈(75)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좋으며, 컨베이어 전체의 구조를 간이화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록크장치(32), (71)∼(73)등을 각각 구동 프레임(12), (12a)의 정지위치에 형성하였지만, 이에 대신해서 록크장치를 각 구동 프레임(12), (12a)위에 형성해 구동 프레임 정지시에 선택 작동시키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걸어맞춤핀(20)에 대한 록크장치나 록크해제장치는 필요없다.
또한 코일과 같이 이송물의 중량이 큰 경우는 록크장치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진 댐퍼를 개재하여 구동 프레임위에 전, 후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롤리는 선행 트롤리에 접근할 때까지 전진이 가능하고, 선행 트롤리에 쌓인 화물의 처리가 늦더라도 컨베이어상에 스토리지할 수가 있으며, 컨베이어의 상, 하류 설비의 처리능력의 불균형을 흡수하여 조업에 높은 융통성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트롤리에 코일과 같은 대중량물을 적재한 경우에, 스토리지된 트롤리는 이송 동력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송 동력이 적어서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크며, 또한 이송에 랙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정지 강도가 양호한 점 등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이송용 트롤리(3)의 이송로(1a)의 아래쪽에, 이송로(1a)를 따라 일정한 피치(ℓ) 간격으로 구동 프레임(12)을 설치하여 상기 피치(ℓ)만큼 구동 프레임(12)이 동시에 왕복운동이 가능하게끔 구성하고, 각 구동 프레임(12)에 이송용 트롤리(3)에 설치된 걸어맞춤구멍에 걸리고 떨어지는 걸어맞춤핀(20)를 설치하고, 각 이송용 트롤리(3) 혹은 각 구동 프레임(12)에 걸어맞춤핀(20)을 걸어맞춤 상태로 유지하는 룩크장치(32)를 설치하며, 각 구동 프레임(12)의 정지위치(나), (다)…(더)에서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을 하는 걸어맞춤핀(20)의 록크장치(32) 및 이 정지위치(나), (다)…(더)에 있어서의 상기 유지를 해제하는 록크해제장치(33)를 설치한 완충 스토리지 컨베이어.
KR1019850004589A 1985-02-14 1985-06-27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KR910000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025308A JPS61188323A (ja) 1985-02-14 1985-02-14 バツフアストレ−ジコンベヤ
JP60-25308 1985-02-14
JP25308 2021-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393A KR860006393A (ko) 1986-09-11
KR910000559B1 true KR910000559B1 (ko) 1991-01-26

Family

ID=12162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589A KR910000559B1 (ko) 1985-02-14 1985-06-27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188323A (ko)
KR (1) KR9100005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1Y2 (ja) * 1988-05-31 1995-01-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ャトル式コンベヤ
DE102006021751B4 (de) 2006-05-10 2008-06-05 Koenig & Bauer Aktiengesellschaft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 Übergabestelle zwischen zwei Transportmittel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837U (ko) * 1975-09-11 1977-03-18
JPS56127510A (en) * 1980-03-13 1981-10-06 Aida Eng Ltd Destack feeder
JPS5822213A (ja) * 1981-07-28 1983-02-09 Shin Meiwa Ind Co Ltd コンテナ移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393A (ko) 1986-09-11
JPS61188323A (ja) 1986-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98131B1 (en) Carrying apparatus with lifting carried object support table
DE4090308C2 (de) Sortierförderer
KR20080019608A (ko) 대차식 반송 장치
US5857545A (en) Elevator system with overlapped roped-coupler segments
WO1999044927A9 (en) Container transfer crossover and system
EP0582047A1 (de) Hängefördereinrichtung
KR910000559B1 (ko) 완충 스토리지(Storage)컨베이어
EP0255216A3 (en) Loading compacting mechanism for carton loading machine
JP2007302242A (ja) 台車式搬送装置
US20110265680A1 (en) Device for Transferring Articles and Conveyor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US2471513A (en) Conveyer locking and aligning system
CN210418272U (zh) 一种垂直输送装置及输送系统
US3059587A (en) Drag line conveyor system
US3939775A (en) Overhead transfer carrier and tracks
SU1133184A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склад штучных грузов
CN216787971U (zh) 立体车库
SU145999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еремещени и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ов
SU8612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подвесок конвейера
SU1077843A2 (ru) Пере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есного конвейера
SU958274A1 (ru) Передат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весного конвейера
FI75783B (fi) Oeverfoeringsanordning foer varuenheter.
CN118062730A (en) Prefabricated member positioning system applied to building machine of assembled building
SU734092A1 (ru) Шаговый конвейер
SU1740275A1 (ru) Замкнутый конвейер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линии
RU204259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ания и разгрузки-загрузки штучных груз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тюков с волокнистыми материала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