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506B1 - 화염성 매연 발생물 - Google Patents

화염성 매연 발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506B1
KR910000506B1 KR1019830004813A KR830004813A KR910000506B1 KR 910000506 B1 KR910000506 B1 KR 910000506B1 KR 1019830004813 A KR1019830004813 A KR 1019830004813A KR 830004813 A KR830004813 A KR 830004813A KR 910000506 B1 KR910000506 B1 KR 910000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ot
cesium
product
compound
zircon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73A (ko
Inventor
베버 만프레드
Original Assignee
피로테크니쉐 파브리크 에프. 파이스텔 게엠베아 콤파니. 카게
원본미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로테크니쉐 파브리크 에프. 파이스텔 게엠베아 콤파니. 카게, 원본미기재 filed Critical 피로테크니쉐 파브리크 에프. 파이스텔 게엠베아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840006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5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6EXPLOSIVES; MATCHES
    • C06DMEANS FOR GENERATING SMOKE OR MIST; GAS-ATTACK COMPOSITIONS; GENERATION OF GAS FOR BLASTING OR PROPULSION (CHEMICAL PART)
    • C06D3/00Generation of smoke or mist (chemical part)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5/00Heat treatments of cast-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 C21D9/14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tubular bodies or pipes wear-resistant or pressure-resistant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18Other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1/00Cylinders; Cylinder heads 
    • F02F1/18Other cylinders
    • F02F1/20Oth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providing for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tan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Air Bags (AREA)
  • Catalysts (AREA)
  • Fireproofing Substa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염성 매연 발생물
본 발명은 가시 스펙트럼 및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거의 불투수성(不透水性)의 매연을 발생하는 화염성 매연 발생물에 관한 것이다. 인공 매연을 사용하여 식물 재배장(특히 과수원 및 포도원)으로부터 서리를 막아주고 있는데 보통 매연 또는 유성(油性) 안개를 발생시키거나 미세한 물안개를 분무한다. 이러한 것들은 임의로 글리세린, 지방족 알코올 또는 유사한 물질 등으로 안전화시켜, 보호를 해야할 작물에 다소 두꺼운 층으로 분무하여 토양에서 복사되는 열을 반사시켜 냉각을 방지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자면 이들 안개 등을 장기간 유지시켜야 하며 응축과 바람 이동으로 인한 여하한 손실도 새로운 매연을 발생시켜서 보충을 해 주어야 한다.
인공 매연은 군사분야에 사용하여 군사 시설물, 군대 및 차량을 위장하기도 한다. 특히 군대와 군차량을 보호하고자 할때는 잠시동안이라도 적군이나 적의 차량이 직접 관측할 수 없도록 해야 하는데 이러한 목적으로 화염성 탄약을 적쪽을 향해 발사하는 것이다. 이 화염성 탄약은 산탄총에서 발사된 산탄처럼 분산되어 다수의 매연을 발생하는 입자를 형성하여 넓은 표면에 걸쳐 극히 신속하고도 균일한 연막을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다수의 각종 매연 및 안개 혼합물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혼합물은 액상의 매연 발생물로서의 사염화 티탄, 사염화 규소 또는 클로로술폰산(또는 암모니아 혹은 삼산화 황과의 혼합물로 된)이나 고체상태의 매연 발생물로서의 과염소산 암모늄과 산화아연으로 된 것이다. 실제 사용시에는 이들 물질은 2차 연소 반응이나 또는 혼합도중 함께 방출되는 적당한 생성물을 통해 전환된다. 매연 발생에 미치는 결정적인 인자로는 생성속도, 농도, 분산 방식 및 연막 피복의 지속시간 등이 있다. 적당한 매연 혼합물은 이러한 목적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혼합물은 근대 방어기술에 광범위하게 사용됨에 있어서 중효한 결점을 수반하고 있다. 과거에는 특히 가시광선에서 될 수 있는 한 농도가 큰 역막을 발생시키는 것이 중요하였지만 근래에 와서는 군사용 관측장비가 적외선 탐지, 방향 탐지 및 열발생 장치 등을 활용하고 있어서, 군사 목표물이 에너지 발생으로 인한 극히 강한 열 방사를 하는 것을 탐지하며 이러한 방사를 넓은 범위에 걸쳐 탐지할 수 있다.
대기중에 함유된 CO2와 수증기 같은 성분으로 인해 어떤 파장의 적외선 복사를 선택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이들 장치들은 0.7-1.5mμ, 2-2.5mμ, 3-5mμ 및 8-12mμ 등 소위 대기중의 "창"에 대해 잘 작용한다. 특히 현재 8-10mμ의 범위에서 작동을 하는 장비에 대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이 범위에서는 매연, 실안개 및 일반적인 안개로 인한 방해현상을 극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으로 말하자면 화염성 매연 발생물의 목적이란 이러한 범위에서 적외선 방사를 최고도로 흡수하거나 반사할 수 있도록 함에 있는 것이다.
더우기 대부분의 화염성 매연 발생물 중에는 오산화인, 염산, 황산, 티탄염 또는 아연염 같은 부식성이 있거나 유독성이거나 산성도가 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매연 중에서 확인되는 농도에 따라 인간과 식물에 특히 유해하다. 금속 산화물, 완충 물질 및 암모늄 화합물 등을 첨가함으로 해서, 현재 대부분의 매연 발생물에서 발생된 매연을 중성 또는 단지 절대적으로 필요한 만큼의 산성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조치를 취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공지의 매연 발생물을 변화시켜 산성 중에서의 반응을 배제하거나 극소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공지의 매연 발생물에다 적당한 세슘 화합물을 첨가하면 극히 놀랄만큼 해결이 된다.
본 발명은 여러가지 많은 관련된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에는 화합물 형태의 세슘을 사용하여 화염성 매연 발생물에서 발생된 매연의 적외선 복사에 대한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것도 있고 이에 상응하는 매연 발생물과 이들의 조성 및 심지어는 발생된 매연에 대한 것도 있다. 특히 인, 지르코늄과 니켈의 합금, 붕소(특히 비정질 붕소) 및 염화 암모늄 같은 성분을 단독 또는 혼합해서 된 것을 사용하면 유익한 결과를 얻게 된다.
대표적인 화염성 매연 발생물의 세슘 화합물 함량 범위는 0.5-50wt.%인데 5-25wt.%가 좋다. 세슘 화합물로는 염화 세슘, 브롬화 세슘, 질산 세슘, 산화 세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있다.
금속 분말, 특히 실리콘과/또는 알루미늄 분말 같은 것으로 된 헥사클로로에탄의 매연 발생물이 장점이 있다. 이러한 매연 발생물 중의 헥사클로로에탄 함량은 50-70wt.%이고 실리콘과/또는 알루미늄 금속 분말은 20-40wt.%이며 세슘 화합물은 1-20wt.%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인을 함유하면 좋은데, 특히 최소한 약 50wt.%정도를 함유하면 좋다. 기타 유효한 성분으로는 지르코늄과 니켈의 합금(예:3-15wt.%), 붕소(예:5-20wt.%), 알루미늄 분말(예:3-20wt.%), 적인(예:30-50wt.%) 및 염화알루미늄(예:5-25wt.%) 등이다. 이들 성분들은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에 의한 화염성 매연 발생물에 첨가할 때 단독 또는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화염성 매연 발생물에 세슘 화합물을 첨가함으로써 아주 놀랍게도 파장이 3-5mμ 또는 8-12mμ인 적외선에 대한 매연의 투과성은 굉장히 감소되는데 이제까지는 이러한 화합물을 사용해서 만들 수 있는지 결정하기가 불가능했던 것이다. 12mμ에 가까운 적외선 스펙트럼 중에서 세슘염은 세슘 이온이 참여하는 여하한 흡수도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할로겐화 세슘은 진동을 나타내지 않으나 질산 세슘은 단순히 7.2mμ에서 질산 염기의 진동을 나타냄) 적외선의 직접 흡수 가능성은 극히 희박하다. 세슘염의 량이 전체 매연량에 비해 평균 25% 정도로 비교적 작기 때문에 기타 매연 발생성분이 훨씬 소량 존재함으로 해서 분산계중의 입자의 수가 능가하는 것으로 이러한 효과에 대한 원인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제까지 관찰한 바에 의하면 생산된 매연 구름의 침강속도와 응축성은 세슘염을 첨가하지 않아도 상응하는 매연 발생물의 경우와 달라짐이 없기 때문에 발생된 입자의 분산효과는 이러한 효과에 대한 원인이 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차 근사법에서 이들 입자에 대해 스토우크스의 법칙(Stokes' Law)이 적용된다고 가정하면, 즉 침강속도가 입자 직경의 제공에 비례한다면 매연 발생물 중의 1mμ 입자를 10mμ으로 확대한다는 것-8-12mμ의 IR 범위에서 효과적인 분산을 시키기 위해 필요로 함-온 침강 속도를 100배 증가시키는 것을 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화염성 매연 발생물이 가시광선 및 적외선 스펙트럼에서 만족스런 밀도를 가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만족한 이론을 발견하기 위해 더 연구를 해 볼 필요가 남아 있는 것이다.
더우기 본 발명은 인을 함유한 매연 발생물의 매연 수득율을 증가시킴에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마그네슘, 티탄 같은 금속은 매연 발생물을 태우고 나면 회분함량이 60-70%가 된다. 아주 놀랄만한 일은 마그네슘과 티탄 대신에 지르코늄과 니켈의 합금, 특히 지르코늄 70%와 니켈 30%로 된 합금을 사용하면 매연 발생물의 효능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매연 발생물의 회분 함량을 5%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 붕소를 첨가하면 동일한 효과를 내며, 더우기 적외선 흡수가 향상된다. 또한 염화암모늄을 첨가하면 이러한 효능이 커진다.
본 발명 매연 발생물의 큰 장점은 이들이 적극적인 작용을 한다는데 있다. 즉 이들은 특유의 여하한 열색조(heat tone)를 나타내지 않으므로 적외선 중에서의 주위의 영상을 변화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련의 매연 발생물을 본 발명에서 첨가하지 않고 만든 상응하는 매연 발생물과 비교해가면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예 1]
[과염소산 암모늄 매연]
과염소산 암모늄 1.7kg, 산화아연 1.5kg, 폴리클로로이소프렌 0.8kg 및 염화암모늄 0.5kg을 메탄올 1ℓ와 디옥틸프탈레이트 0.5kg으로 된 용액에 가해 반죽을 만든다. 이 혼합물을 눈크기가 0.3-0.5mm인 체(sieve)에다 강제로 통과시키고 스크린상에서 건조시킨다. 건조된 과립을 DE-AS 30 31 369에 따라 500-1500바아(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약 50g의 블랭크(blank)를 만든다. 매시간마다 20개의 블랭크를 DE-AS 30 31 369의 실시예2에 따라 점화물과 혼합하여 합성 케이싱 또는 금속 케이싱에서 성형하여 한개의 매연 발생물을 만든다. 점화물은 마그네슘 분말(1.2kg), 프로시안산철(0.9kg), 비정질 붕소(2.39kg), 클로로파라핀 분말(0.8kg) 및 흑색화약(4.71kg)으로 되어 있다. 마그네슘 분말과 프루시안산철을 미리 혼합하고 클로로파라핀을 퍼클로로에틸렌 2ℓ에 용해한 것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비정질 붕소를 첨가하고 5분간 반복해서 혼합한다. 마지막으로 흑색화약을 첨가하고 기타 성분과 10분간 혼합하여 건조한 다음 1500바아의 압력을 가압한다.
더우기 위와 같은 동일한 흡합물을 질산 세슘 0.4kg과 혼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여 약 50g 정도의 블랭크를 만든다. 위와 같이 각 경우마다 20개의 블랭크를 점화물과 혼합하여 케이싱에서 단일 물체로 만든다.
매연 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약 40℃정도로 가열된 세개의 백색판을 야외에서 10m의 간격으로 조립하여 적외선 10mμ 3.5mμ 및 0.6mμ의 파장을 가진 광학검사대와 적외선에 대해 100mμ의 범위부터 관찰했다.
위에 나온 조성을 가진 매연 발생물을 추진제를 사용하여 표적전방 약 40-50m의 지점에서 발사하여 수초 내에 높이 3-15m 및 폭 25-40m의 깊은 연막이 생겼다. 온도 22℃ 및 상대습도 48%에서 매연 피복율을 다음표에 있는 조건에 따라 측정했다. "극히 양호"는 피복율이 95-100%인데 이것은 표적이 그 이상 더 배경과 구별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양호"는 피복율이 80-95%로서 표적을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고 "적합"은 피복율이 50-80%이고 "불량"은 피복율이 50% 이하로서 표적이 아직도 선명히 구별되는 것을 뜻한다.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2]
[헥사클로로에탄 매연 ]
헥사클로로에탄 2.5kg, 산화아연 0.8kg, 실리콘 분말 0.4kg, 알루미늄 분말 0.3kg 및 비정질 붕소 0.3kg을 철저히 혼합하고 아세톤에 용해된 탄성체 물질같은 10% 용액 2kg을 가해 반죽기에서 반죽을 만든다.
이 혼합물을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블랭크를 만들고 메타크릴산 수지를 가해 코오팅하고 혼합하여 실시예 1에 따라 매연 발생물을 만든다. 위와 같이 동일한 혼합물로서의 질산 세슘 1kg이 추가된 것을 마찬가지 방법으로 매연 발생물을 만든다. 부타디엔, 폴리부타디엔으로 된 탄성체도 사용된다. 실시예 1에 따라 매연 효과를 측정하였는데 그 결과는 표 2에 나와 있다. 생성된 매연의 pH값은 약 5-7이다.
[표 2]
Figure kpo00002
[실시예 3]
[적인(赤燐) 매연]
적인 0.65kg, 산화철(Ⅲ) 0.15kg, 알루미늄 분말 0.15kg 및 마그네슘 분말 0.15kg을 10% 탄성체 접착제 0.2kg과 혼합하고 실시예 1에 따라 블랭크를 만든다. 질산 세슘 0.40kg을 추가로 함유한 혼합물로 만들어 동일한 방법으로 블랭크를 만든다.
실시예 1에 따라 매연 효과를 측정한 결과는 표 3에 나와 있다.
[표 3]
Figure kpo00003
[실시예 4]
헥사클로로에탄 0.65kg, 실리콘 분말 0.2kg 및 알루미늄 분말 0.15kg을 혼합하고 추진제와 점화물이 연결된 케이싱에서 가압한다.
더우기 염화세슘 0.01-0.10kg을 함유한 혼합물을 마찬가지 방법을 처리한다. 다음과 같은 매연 효과를 얻었다.
[표 4]
Figure kpo00004
시험된 처방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시예에 나와 있다. 배합 및 기탄 순서는 앞의 실시예와 같다. 부타디엔(폴리부타디엔)을 접착제로 사용한다.
[실시예 5]
Figure kpo00005
[실시예 6]
Figure kpo00006
[실시예 7]
Figure kpo00007
[실시예 8]
Figure kpo00008
[실시예 9]
Figure kpo00009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과 그 장점에 대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Claims (22)

  1. 유효량의 세슘 화합물을 가해 매연에서 생긴 적외선의 흡수를 크게하거나 적외선이 생성된 매연을 투과하지 못하게 방해하도록 한 화염성 매연 발생물.
  2.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세슘 화합물을 0.5-50wt.% 함유한 매연 발생물.
  3.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 세슘 화합물을 5-25wt.% 함유한 매연 발생물.
  4.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염화 세슘, 브롬화 세슘, 질산 세슘 및 산화 세슘 등에서 선택한 것으로 세슘 화합물을 구성하여서 된 매연 발생물.
  5.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헥사클로로에탄과 금속 분말로 된 매연 발생물.
  6. 청구범위 제5항에 있어서 실리콘 및 알루미늄으로 된 금속 분말을 사용한 매연 발생물.
  7.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실리콘과 알루미늄 등에서 선택한 최소한 한가지 요소의 금속의 분말 20-40wt.%, 헥사클로로에탄 50-70wt.% 및 세슘 화합물 1-20wt.%된 매연 발생물.
  8. 청구범위 제7항에 있어서 염화 세슘, 브롬화 세슘, 질산 세슘 및 산화 세슘 등에서 선택한 요소로 세슘 화합물을 구성하여서 된 매연 발생물.
  9.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인으로 된 매연 발생물.
  10.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인을 최소한 약 50wt.%정도 함유한 매연 발생물.
  11.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염화 암모늄 5-25wt.%로 된 매연 발생물.
  12. 청구범위 제10항에 있어서 지르코늄/니켈 합금으로 된 매연 발생물.
  13.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지르코늄과 니켈의 중량비가 70:30인 합금으로 된 매연 발생물.
  14.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매연 발생물에서 발생한 매연에 의해 IR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충분한 량의 비정질 붕소로 된 매연 발생물.
  15.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적인 30-50wt.%, 지르코늄과 니켈의 합금 3-15wt.%, 붕소 5-20wt.% 및 세슘 화합물 5-25wt.%로 된 매연 발생물.
  16. 청구범위 제12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분말 3-20wt.%로 된 매연 발생물.
  17. 청구범위 제9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분말 3-20wt.%, 염화암모늄 5-25wt.%, 적인 30-50wt.%, 지르코늄/니켈합금 3-15wt.%, 붕소 5-20wt.% 및 세슘 화합물 5-25wt.%로 된 매연 발생물.
  18. 화합물 형태의 세슘 유효량을 첨가해서 된 화염성 매연 발생물에 의해 생긴 매연에 의해 IR 복사에 대한 투과성을 감소시키는 방법.
  19. 청구범위 18항에 있어서 인을 함유한 매연 발생물에 의한 방법.
  20. 청구범위 18항에 있어서 지르코늄과 니켈과의 합금으로 된 매연 발생물에 의한 방법.
  21. 청구범위 18항에 있어서 붕소로 된 매연 발생물에 의한 방법.
  22. 청구범위 18항에 있어서 염화암모늄으로 된 매연 발생물에 의한 방법.
KR1019830004813A 1982-10-16 1983-10-11 화염성 매연 발생물 KR910000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238440.0 1982-10-16
DEP3238444.0 1982-10-16
DE3238444A DE3238444C2 (de) 1982-10-16 1982-10-16 Pyrotechnische Nebelsät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73A KR840006473A (ko) 1984-11-30
KR910000506B1 true KR910000506B1 (ko) 1991-01-26

Family

ID=617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813A KR910000506B1 (ko) 1982-10-16 1983-10-11 화염성 매연 발생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106334B1 (ko)
JP (1) JPS6042194B2 (ko)
KR (1) KR910000506B1 (ko)
AR (1) AR231962A1 (ko)
AT (1) ATE40101T1 (ko)
CA (1) CA1237581A (ko)
DE (2) DE3238444C2 (ko)
DK (1) DK164665C (ko)
ES (1) ES8602564A1 (ko)
FI (1) FI76066C (ko)
IL (1) IL69859A (ko)
NO (1) NO158375C (ko)
SG (1) SG80491G (ko)
ZA (1) ZA8376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20660D0 (en) * 1988-09-01 1988-11-16 Astra Holdings Plc Smoke producing article
DE4016854A1 (de) * 1990-05-25 1991-11-28 Diehl Gmbh & Co Tarn- und taeusch-einrichtung
DE4327976C1 (de) * 1993-08-19 1995-01-05 Buck Chem Tech Werke Flaremasse zur Scheinzielerzeugung
DE19601506C2 (de) * 1996-01-17 2000-05-18 Rheinmetall W & M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r Sichtsperre mit Hilfe eines künstlichen Nebels
DE19914033A1 (de) 1999-03-27 2000-09-28 Piepenbrock Pyrotechnik Gmbh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im infraroten Spektralbereich einseitig transparenten Tarnnebels
DE19914097A1 (de) * 1999-03-27 2000-09-28 Piepenbrock Pyrotechnik Gmbh Pyrotechnische Wirkmasse zur Erzeugung eines im Infraroten stark emissiven und im Visuellen undurchdringlichen Aerosols
DE10152023B4 (de) * 2001-10-22 2005-06-16 Buck Neue Technologien Gmbh Schockunempfindliche Nebelwurfkörper
DE10308307B4 (de) * 2003-02-26 2007-01-04 Buck Neue Technologien Gmbh Geschoß sowie Submunition mit Vorspannkörper
JP4969841B2 (ja) * 2005-01-19 2012-07-04 日本工機株式会社 赤外線遮蔽発煙組成物
JP4969842B2 (ja) * 2005-12-09 2012-07-04 日本工機株式会社 赤リン系発煙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021865A (zh) * 2017-05-26 2017-08-08 北京理工大学 可干扰可见光、红外及毫米波的宽频段烟幕材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8780C (de) * 1922-05-03 1923-08-01 Harry James Nichols Rauchentwickler
GB1454258A (en) * 1972-08-23 1976-11-03 Secr Defence Smoke generating compositions
DE3012405A1 (de) * 1980-03-29 1981-10-01 Pyrotechnische Fabrik F. Feistel GmbH + Co KG, 6719 Göllheim Kombinationsne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526488A0 (es) 1985-12-01
ES8602564A1 (es) 1985-12-01
JPS59131592A (ja) 1984-07-28
CA1237581A (en) 1988-06-07
FI833595A0 (fi) 1983-10-04
AR231962A1 (es) 1985-04-30
DE3238444A1 (de) 1984-08-02
FI76066B (fi) 1988-05-31
NO158375B (no) 1988-05-24
FI833595A (fi) 1984-04-17
FI76066C (fi) 1988-09-09
EP0106334B1 (de) 1989-01-18
DK426783A (da) 1984-04-17
DK164665C (da) 1992-12-14
EP0106334A3 (en) 1985-12-04
DK164665B (da) 1992-07-27
DE3378977D1 (en) 1989-02-23
IL69859A (en) 1989-01-31
KR840006473A (ko) 1984-11-30
EP0106334A2 (de) 1984-04-25
SG80491G (en) 1991-11-15
NO158375C (no) 1988-08-31
ATE40101T1 (de) 1989-02-15
NO833739L (no) 1984-04-17
ZA837647B (en) 1984-07-25
JPS6042194B2 (ja) 1985-09-20
DK426783D0 (da) 1983-09-19
DE3238444C2 (de) 1986-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506B1 (ko) 화염성 매연 발생물
DE3326884C2 (de) Verfahren zum Verdecken sichtbarer und infraroter Strahlung und Nebelmunition zur Durchführung dieses Verfahrens
EP1173394B9 (de) Pyrotechnische wirkmasse zur erzeugung eines im infraroten stark emissiven und im visuellen undurchdringlichen aerosols
JP3592714B2 (ja) カムフラージュのための火煙術用煙幕組成物と、煙幕エレメントでのその利用
US4210555A (en) Process for the generation of dense clouds for camouflage purposes
EP0329718B1 (de) Pyrotechnische mischung zur erzeugung eines tarnnebels
GB2191477A (en) Pyrotechnic device
DE4030430C1 (de) IR-undurchlässigen Nebel erzeugende Zusammensetzung
EP1173395B1 (de) Pyrotechnischer nebelsatz zur erzeugung eines im sichtbaren, infraroten und im millimeterwellen-bereich undurchdringlichen aerosols
EP2468700B1 (de) Pyrotechnische Scheinzielwirkmasse für Infrarotscheinziele
GB2158061A (en) Smoke generating pyrotechnic composition
US4728375A (en) Pyrotechnic composition for producing radiation-blocking screen
US3856933A (en) Pyrotechnic disseminating system
US5098488A (en) Composition
US5071497A (en) Composition for use in flares
RU2090548C1 (ru)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й состав для вызывания осадков
US20110168307A1 (en) Smokeless flash powder
DE102010053812A1 (de) Pyrotechnische Scheinzielwirkmasse für Infrarotscheinziele
US5049214A (en) Aerosol-forming pyrotechonic composition
JPH07172970A (ja) 発煙組成物
USH1194H (en) Riot control agent
DE102013003172A1 (de) Sprengstoffwirkmasse für eine Gefechtsmunition
KR20130094090A (ko) 연소형 적외선 차장 연막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