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28Y1 -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 Google Patents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28Y1
KR910000428Y1 KR2019870006357U KR870006357U KR910000428Y1 KR 910000428 Y1 KR910000428 Y1 KR 910000428Y1 KR 2019870006357 U KR2019870006357 U KR 2019870006357U KR 870006357 U KR870006357 U KR 870006357U KR 910000428 Y1 KR910000428 Y1 KR 910000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oilet
injection hole
injection
operation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6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9816U (ko
Inventor
김세원
Original Assignee
김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원 filed Critical 김세원
Priority to KR2019870006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28Y1/ko
Publication of KR880019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98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a,b도는 본 고안의 작동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변기 2 : 변체
2′ : 유출구멍 2″ : 반원곡면부
3 : 분사구 3′ : 배출구멍
3″ : 원형부 4,4′ : 작동끈
5 : 물공급관 6 : 약액통
7 : 작동판 8 : 변
A : 밑면 B : 윗면
본 고안은 소변후 간단히 국부를 세척할 수 있는 양변기의 비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몸체의 상단 윗부분이 삼각형 모양을 이루고 끝부분에 고정용 패킹 및 걸고리가 좌판을 위.아래로 완전히 밀착하고 걸고리에 고정용 나사가 있어서 분사구를 좌변기의 좌판에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자압식 세척기의 분사장치가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125호, 공개번호86-14857호로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고정장치가 매우 복잡한 구조로 되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고정시 걸고리 및 나사가 좌판 윗쪽으로 돌출되므로 외관미가 양호하지 못하고 물공급관과 밸브도 좌판부위에 설치해야 되게 되므로 그 만큼 좌판의 면적이 좁아져 많은 불편이 따르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변체를 양변기의 내측 후면에 고정하여 분사구를 절첩시에는 자동적으로 분사가 중단되고 분사구를 전개시에는 자동적으로 변체의 유출구멍과 분사구의 배출구멍이 일치됨과 동시에 물이 분사되게 한 매우 합리적인 구조의 양변기의 비데 장치를 안출하게 된 것인데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지의 양변기(1)의 뒷쪽내벽면에 유출구멍(2′)이 물공급관(5)과 연통되게 변체(2)를 고정하여 변체(2)의 반원곡면부(2″)에는 분사구(3)의 원형부(3″)를 회전자유롭게 유착하고 분사구(3)의 밑면(A)에는 작동끈(4)을, 윗면(B)에는 작동끈(4′)을 고정하여 상기 작동끈(4)(4′)의 단부는 외부에 위치시켜 작동끈(4)(4′)을 당김에따라 분사구(3)의 배출구멍(3′)이 유출구멍(2′)과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하고 물공급관(5)에는 작동판(7)과 변(8)이 유착된 약액통(6)을 개재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분사구(3)가 제2a도와 같이 절첩된 상태에서 양변기(1)에 앉아 소변을 본 후 국부를 세척코져 할때는 분사구(3)의 밑면(A)에 고정되어 외부에 노출된 작동끈(4)을 당기게 되면 절첩되어 있던 분사구(3)는 제2b도의 화살표방향으로 전개됨과 동시에 분사구(3)의 배출구멍(3′)은 변체(2)의 유출구멍(2′)과 일치되어 물은 분사 되어지게 되며, 세척 완료 후에는 분사구(3)의 윗면(B)에 고정된 작동끈(4′)을 당기면 전개되어 있던 분사구(3)는 제2a도와 같이 절첩됨과 동시에 배출구멍(3′)은 유출구멍(2′)과 어긋나 물의 배출은 정지하게 된다.
상기의 작동에 있어 분사구(3)로 물이 분사될때에는 물공급관(5)에 개재된 약액통(6)의 작동판(7)은 제3도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8)은 상승되어 약액통(6)의 약액은 물공급관(5)으로 유출되어 물과 섞여 국부를 소독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변체(2)는 양변기(1)의 내면에 고정되었으므로 변체(2)로 인하여 좌판의 앉는 자리가 좁아지게 되므로 인한 불편이 따르게 될 염려가 없고, 또한 분사구(3)는 절첩구조로 되었으므로 변이 묻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분사구(3)가 절첩시에는 분사가 자동적으로 중단되고 분사구(3)가 전개시에는 자동적으로 소독약액이 섞인 물이 분사되게 되므로 사용이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지의 양변기(1)의 뒷쪽 내벽면에 유출구멍(2′)이 물공급관(5)과 연통되게 변체(2)를 고정하여 변체(2)의 반원곡면부(2″)에는 분사구(3)의 원형부(3″)를 회전자유롭게 유착하고 분사구(3)의 밑면(A)에는 작동끈(4)을, 윗면(B)에는 작동끈(4′)을 고정하여 상기 작동끈(4)(4′)의 단부는 외부에 위치시켜 작동끈(4)(4′)을 당김에 따라 분사구(3)의 배출구멍(3′)이 유출구멍(2′)과 일치되거나 어긋나도록 하고, 물공급관(5)에는 작동판(7)과 변(8)이 유착된 약액통(6)을 개재시켜서 된 양변기의 비데 장치.
KR2019870006357U 1987-04-28 1987-04-28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KR910000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357U KR910000428Y1 (ko) 1987-04-28 1987-04-28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6357U KR910000428Y1 (ko) 1987-04-28 1987-04-28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816U KR880019816U (ko) 1988-11-28
KR910000428Y1 true KR910000428Y1 (ko) 1991-01-21

Family

ID=1926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6357U KR910000428Y1 (ko) 1987-04-28 1987-04-28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9816U (ko)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1677Y2 (ja) 一般的な浴槽用自浄式還流システム
EP0204887A3 (en) Bidet attachment for water closets
US4918769A (en) Flush tank for a water closet having self contained washing means
US3044076A (en) Hygienic spray toilet seat
KR910000428Y1 (ko) 양변기의 비데(bidet) 장치
US4876750A (en) Water closet and bidet apparatus
US3122011A (en) Diaper rinser
US4819280A (en) Portable handheld urinal and complementary flush system for same
KR920000832Y1 (ko) 좌변기의 항문 세척장치
JPH0538149Y2 (ko)
JPH06240726A (ja) 衛生洗浄装置
JPH0161275U (ko)
JPH0540143Y2 (ko)
JPH0193273U (ko)
JPS6319381U (ko)
JPH0137016Y2 (ko)
JP3026695U (ja) 噴射式洗浄便器
KR940002096Y1 (ko) 좌변기의 좌대세척장치
KR0114258Y1 (ko) 화장실용 세척기
JPH0218128Y2 (ko)
JPH0312855Y2 (ko)
KR870001516Y1 (ko) 수세관이 형성된 좌변기
JPH04215725A (ja) 洗面器洗浄装置付き洗面台
KR20230080252A (ko) 이동식 세정변기
JPH013701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