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409Y1 -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409Y1
KR910000409Y1 KR2019880018467U KR880018467U KR910000409Y1 KR 910000409 Y1 KR910000409 Y1 KR 910000409Y1 KR 2019880018467 U KR2019880018467 U KR 2019880018467U KR 880018467 U KR880018467 U KR 880018467U KR 910000409 Y1 KR910000409 Y1 KR 9100004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door
washing
washing tank
control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8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9684U (ko
Inventor
장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8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409Y1/ko
Publication of KR900009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4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4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01Water supply, e.g. opening or closure of the water inlet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제1도는 식기 세척기의 사시도.
제2도는 일반적인 급수 제어장치의 단면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급수 제어 장치의 작용도로서 (a)는 도어 닫힘 상태 단면도이고, (b)는 도어 열림 상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도어 4′,4A : 세척조
4a : 수용부 7 : 플로우트
8 : 리드스템 9 : 제어부
15 : 유동부재 15a : 작동부
16 : 결합수단
본 고안은 식기 세척기의 급수제어장치, 더욱 상세히는 리드스템(leed stem)에 끼워져 세척부에 의해 부동(浮動)하는 플로우트(float)를 도어의 개폐와 동시에 유동되도록하여 음식 찌꺼기와 지방분에 의해 발생되는 플로우트의 작동불량을 없앨 수 있게된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기 세척기(1)는 제1도에서와 같이 전면에 도어(2)를 구비하고 분사노즐(3)이 구비된 세 척실(4)내면 양측에 그릇을 수납하는 선반을 유도할 수 있도록 레일(5)이 설치되며, 레일(5)의 하부에는 세척수의 공급량을 제한하는 급수제어장치(6)가 설치되었다.
급수제어장치(6)는 제2도에서와 같이 세척수에 의해 부동하는 플로우트(7)와, 플로우트(7)를 유도하는 리드스템(8)으로 구성된 제어부(9)의 하단을 보호틀(10) 하단의 고정부(10′)와 함께 고정구(11)로 고정시키고, 외면에는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줄 수 있도록 휠터(12′)를 구비한 보호 카바(12)를 설치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도면중 미 설명 부호 7a는 플로우트(7)에 내장된 리드스위치이고, 7b는 리드스위치(7a)를 작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nagnet)이며, 13은 누수 방지용 패킹, 4′는 세척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어부(9)는 세척조(4′)내에 공급되는 세척수에 의해 플로우트(7)의 리드스위치(7a)가 ON상태로 부상하여 적정수위에 이르면 마그네트(7b)에 의해 리드 스위치(7a)를 OFF시킴으로서 급수밸브 전원을 차단시키도록하고, 보호틀(10) 및 보호카바(12)는 분사노즐(3)에서 분사하는 세척수에 의해 플로우트(7)가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찌꺼기등의 불순물이 제어부(9)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세척시에 미세한 불순물 특히 지방분은 온수를 사용할 경우 액상으로 분해되어 쉽게 휠터(12′)사이로 투입되고, 냉수 사용시에는 플로우트(7)와 리드스템(8)사이, 또는 고정구(11)상면에서 응고되어 지방분이 갖고 있는 점착성(粘着性)에 의해 플로우트(7)의 작동을 방해하였고, 악취를 발생시키는 주 요인으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어의 개폐시에 플로우트 동시에 상하로 움직여 플로우트와 리드스템 사이에 끼워진 불순물을 제거하여 플로우트 작동 불량을 해소시킬수 있게 된 것으로, 이하에서 첨부 도면에 의해 그 구성과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3도에서와 같이 세척조(4A)에 고정구(11′) 및 기밀패킹(13)으로 감지부(9)를 설치하고, 도어(2)의 하단(2′)과 플로우트(7)의 사이에 설치되는 유동부재(15)는, 그 하부에 형성시킨 작동부(15a)와 세척조(4A)에 형성시킨 수용부(4a)로 구성된 결합수단(16)으로 조립하여서 된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재 번호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는 감지부(9)의 작동은 종래와 동일하며, 다만 세척실(4)내의 세척수가 완전히 배수된 상태에서는 플로우트(7)가 고정구(11′)가 접촉하지 못하도록 유동부재(15)가 플로우트(7)를 지지한 부분이 본 고안의 특징부이다.
즉 세척수가 완전히 배수된 상태에서는 플로우트(7)가 제3a도에서와 같이 유동부재(15)의 일단에 지지되어 불순물이 침적된 고정구(11′) 상면과의 접촉을 방지하게 되는데 이때 유동부재(15)의 타측 끝단은 도어(2)의 하단(2′)에 눌린 상태로 있게 된다.
도어(2)를 열게되면 그 하단(2′)도 제3b도에서와 같이 유동부재(15)에 가한 압력을 해지하여 유동부재(15)는 플로우트(7)의 하중에 의해 눌리면서 하부로 이동하게 되므로써 플로우트(7)와 리드스템(8) 사이에 끼워진 불순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2)의 개폐에 따라 플로우트(7)를 상, 하로 이동시키는 유동부재(15)는 그 하부에 작동부(15a)가 구비되어 세척조(4A) 바닥에 형성시킨 수용부(4a)에 조립,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므로 세척전에 세척할 용기를 넣을때나 세척후 용기를 빼낼 때 플로우트(7)를 상하로 유동시켜 불순물의 응고로 인한 작동 불량을 해소하게 됨은 물론 부수적으로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는 등의 잇점이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설명만을 목적으로 할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려함은 아닌바, 본 고안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기술 범위내에서 판단되어야 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2)

  1. 세척조(4)에 리드스템(8)과 플로우트(7)로 구성된 제어부(9)를 고정시킨 식기 세척기의 급수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4A)에 결합수단(16)으로 설치되고 도어(2)의 개폐시에 플로우트(7)를 상하로 유동시키는 유동부재(15)를 갖추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16)이 유동부재(15) 하단에 형성시킨 작동부(15a)와, 작동부(15a)를 회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세척조(4A)에 형성시킨 수용부(4a)로 구성된것.
KR2019880018467U 1988-11-12 1988-11-12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KR9100004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67U KR910000409Y1 (ko) 1988-11-12 1988-11-12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8467U KR910000409Y1 (ko) 1988-11-12 1988-11-12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684U KR900009684U (ko) 1990-06-01
KR910000409Y1 true KR910000409Y1 (ko) 1991-01-21

Family

ID=1928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8467U KR910000409Y1 (ko) 1988-11-12 1988-11-12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4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684U (ko) 1990-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A018148B1 (ru) Промы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ки компонента сушильной машины и сушильная машина
CN204379205U (zh) 水槽式清洗机的透气、溢水保护和清洗剂添加装置
KR20070088212A (ko) 세탁기 및 세제공급기구의 세척방법
US4086929A (en) Door and drain control interlock
KR910000409Y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CA1084812A (en) Door and drain control interlock
JP2858373B2 (ja) 食器洗浄機
GB2111537A (en) Automatic washing machine
EP0710464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feed of washing liquid in a dishwasher machine
KR910000408Y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 제어 장치
JP2000139797A (ja) 食器洗浄機
KR100922216B1 (ko) 식기세척기의 급수차단장치
JP3559352B2 (ja) 衛生洗浄装置の安全装置
KR920004790Y1 (ko) 식기세척기의 수위제어장치
KR200152151Y1 (ko) 오버 플로우 방지장치
JP3368711B2 (ja) 炊飯器
EP0153655B1 (en) Dishwashing machine having liquid level-control means of the overflow type
JPS592764Y2 (ja) 食器洗い機における水位制御装置
JP2006346313A (ja) 食器洗浄機
JP2550593Y2 (ja) 食器洗浄機
KR900004600Y1 (ko) 식기 세척기의 수위 제어장치
KR810002523Y1 (ko) 수세식 변기의 급수량 조절판
KR970010420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GB1591535A (en) Dishwashers
JPS59120921A (ja) 食器洗い機のフロ−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