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420B1 -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420B1
KR970010420B1 KR1019950025659A KR19950025659A KR970010420B1 KR 970010420 B1 KR970010420 B1 KR 970010420B1 KR 1019950025659 A KR1019950025659 A KR 1019950025659A KR 19950025659 A KR19950025659 A KR 19950025659A KR 970010420 B1 KR970010420 B1 KR 970010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water
filter
waste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5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740A (ko
Inventor
강성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50025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420B1/ko
Publication of KR970009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7Fittings for water supply, e.g. valves or plumbing means to connect to cold or warm water lines, aqua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19Water re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3Devices for water discharge, e.g. devices to prevent siphoning, non-retur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14Water supply, recirculation or discharge arrangements; Devices therefor
    • A47L15/4225Arrangements or adaption of recirculation or discharg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식기세척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확대도.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6도는 세척시를 나타낸 단면도.
제7도는 배수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배수펌프 22 : 배수순환관
23 : 오물수납챔버 24 : 미세필터
25 : 개폐조절밸브 26 : 배수순환A관
28 : 배수순환B관 29 : 배수노즐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척수와 오물을 분리하여 세척수가 오물에 닿는 기회를 적게 하여 깨끗한 세척수를 이용하므로써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깨끗한 세척수를 사용하므로 세척수를 자주 새로운 물과 바꿀 필요가 없으므로 세척수량을 줄일 수 있게 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는 제1도에서와 같이 식기를 수납하는 랙(1)과, 그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암(2)과, 식기에서 제거된 오물을 수집하는 필터(3)구조를 가지며 세척동안 온도를 높이는 히터(4)와, 도어(5)와, 식기세척기 본체(6)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필터구조를 상술하면 제2도와 같이, 큰 오물을 거르는 큰눈필터(7)와, 작은 크기의 오물을 거르는 중간필터(8)가 섬프(sump)(9)구조내에 놓여 있다. 이들을 통과한 세척수는 순환펌프(10)를 통하여 순환관(11)을 지나 스프레이암(2)의 분사노즐(12)을 통하여 분사되며, 걸러진 오물은 배수관(13)을 거쳐 배수펌프(14)를 지나 외부 배수관(15)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큰눈필터(7)와, 중간필터(8)에 의하여 이루어지나, 세척수는 항상 이들을 지나서 세척순환 펌프에 들어가게 되므로 세척수가 재오염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깨끗한 세척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주 세척수를 바꾸어서 사용하여야 하므로 세척수 소비량이 많아지고, 재오염된 세척수를 세척기간 동안 사용하게 되므로 세척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세척수와 오물을 분리하여 세척수가 오물에 닿는 기회를 적게 하여 깨끗한 세척수를 이용하므로써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깨끗한 세척수를 사용하므로 세척수를 자주 새로운 물과 바꿀 필요가 없으므로 세척수량을 줄일 수 있게 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수펌프의 일측에 배수순환관을 형성하고, 그 배수순환관 소정의 위치에 오물수납챔버를 형성하고, 그 오물수납챔버의 상부에 미세필터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재순환된 물중에 오물은 오물수납챔버에 모으고, 미세필터를 통해 배수순환관을 나간 물은 다시 세척수로 사용되도록 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를 자세하게 나타내는 확대도이며, 제5도는 제4도의 A-A선 단면도이고,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것으로서, 제6도는 세척시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제7도는 배수시를 나타낸 단면도를 각각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는 큰눈필터와 중간필터를 통과해 다시 세척수로 순환되는 순환관에 설치된 순환펌프와, 상기 큰눈필터를 통과해 배수되는 배수관에 설치된 배수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21)의 일측에 배수순환관(22)을 형성하고, 그 배수순환관(22) 소정의 위치에 오물수납챔버(23)를 형성하고, 그 오물수납챔버의 상부에 미세필터(24)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펌프(21)에 의해 재순환된 물중에 오물은 오물수납챔버(23)에 모으고, 미세필터(24)를 통해 배수순환관을 나간 물은 다시 세척수로 사용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순환관의 오물수납챔버(23)의 하부에 개폐조절밸브(25)를 형성하여 배수펌프(21)의 정방향 회전시는 상기 밸브(25)를 닫아 오물을 수집하도록 하고, 배수펌프(21)의 역방향 회전시는 밸브(25)를 열어 오물을 외부배수관(15)으로 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구성과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배수펌프에 첨가된 것으로써 세척오물을 분리 수집할 수 있는 오물수납챔버(23)를 갖고 있는 것으로 제4도 및 제5도의 상세도와 같이, 배수펌프에서 분기한 배수순환관(22)은 두개의 관으로 나누어 지고 배수순환A관(26)은 반사판(27)을 지니며 이 관로는 오물수납챔버(23)로 통한다. 또한 오물수납챔버의 하부에 형성된 관은 개폐조절밸브(25)와 연결되며 이 밸브를 통하여 배수순환B관(28)은 배수순환A관(26)과 다시 만나 배수순환관(22)에 이르게 된다. 또한 오물수납챔버는 미세필터(24)로 덮여 있다. 이는 수납에 들어온 세척수가 세척오물을 남겨두고 다시 식기세척기 내부로 돌아가게 하기 위함이며, 이 미세필터(24)는 스프레이암(2)에 있는 배수노즐(29)에 의하여 세척이 이루어진다.
작동하는 방법은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세척시 큰눈필터(7)와 중간필터(8)에 의해 일부 걸러져 나온 오물들은 배수관(13)을 지나 배수펌프(21)로 가게 된다. 여기서 배수펌프(2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세척오물은 배수순환관(22)을 지나서 배수순환A관(26)으로 가게 된다. 이때는 밸브(25)가 닫혀 있으므로 배수순환B관(28)으로 갈수는 없다. 배수순환A관(26)으로 옮겨진 세척오물은 반사판(27)에 도달하여 방향을 전환하게 된다. 이렇게 된 세척오물은 세척오물수납 구조의 형상에 의해서 밀려 올라온 압력으로 계속 이동하여 세척오물수납챔버(23)에 수집되게 되며, 오물을 옮겨온 세척수는 미세필터(24)를 통하여 식기세척기 내부로 순환되게 된다. 따라서 세척시간동안 오물수납챔버(23)에는 오물이 모여있게 되어 세척수와 분리되게 된다. 또한 스프레이암(2)이 회전함에 따라 배수노즐(29)에 의하여 미세필터(24)는 세척되어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 배수시의 작동은 제7도와 같이 밸브(25)가 열리고 배수펌프(2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섬프(9)와 오물수납챔버(23)에 수집되었던 세척수와 오물이 배수관(13)과 배수순환B관(28)을 통하여 외부배수관(15)으로 보내지게 되어 오물을 제거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는 큰눈필터와 중간필터를 통과해 다시 세척수로 순환되는 순환관에 설치된 순환펌프와, 상기 큰눈필터를 통과해 배수되는 배수관에 설치된 배수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의 일측에 배수순환관을 형성하고, 그 배수순환과 소정의 위이에 오물수납챔버를 형성하고, 그 오물수납챔버의 상부에 미세필터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재순환된 물증에 오물을 오물수납챔버에 모으고, 미세필터를 통해 배수순환관을 나간 물은 다시 세척수로 사용되도록 하므로써, 세척수와 오물을 분리하여 세척수가 오물에 닿는 기회를 적게 하여 깨끗한 세척수에 의해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고, 또한 깨끗한 세척수를 사용하므로 세척수를 자주 새로운 물과 바꿀 필요가 없으므로 세척수량을 줄일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큰눈필터와 중간필터를 통과해 다시 세척수로 순환되는 순환관에 설치된 순환펌프와, 상기 큰눈필터를 통과해 배수되는 배수관에 설치된 배수펌프를 구비한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의 일측에 배수순환관을 형성하고, 그 배수순환관 소정의 위치에 오물수납챔버를 형성하고, 그 오물수납챔버의 상부에 미세필터를 형성하여,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재순환된 물중에 오물을 오물수납챔버에 모으고, 미세필터를 통해 배수순환관을 나간 물을 다시 세척수로 사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순환관의 오물수납챔버의 하부에 개폐조절밸브를 형성하여 배수펌프의 정방향 회전시는 상기 밸브를 닫아 오물을 수집하도록 하고, 배수펌프의 역방향 회전시는 밸브를 열어 오물을 외부 배수관으로 보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1019950025659A 1995-08-21 1995-08-21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970010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659A KR970010420B1 (ko) 1995-08-21 1995-08-21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5659A KR970010420B1 (ko) 1995-08-21 1995-08-21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40A KR970009740A (ko) 1997-03-27
KR970010420B1 true KR970010420B1 (ko) 1997-06-26

Family

ID=19423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5659A KR970010420B1 (ko) 1995-08-21 1995-08-21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4298A1 (en) * 2012-12-28 2015-06-18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4298A1 (en) * 2012-12-28 2015-06-18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0524633B2 (en) * 2012-12-28 2020-01-07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740A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423B1 (ko) 식기세척기의 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29879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 청소장치
KR100441019B1 (ko) 식기세척기
US3949772A (en) Door type dishwasher
KR100606823B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장치
US6234184B1 (en) Secondary filter system
KR970010420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EP0684008B1 (en) Method of operating a warewasher drain valve
KR0186118B1 (ko) 식기세척기의 오물수집장치
KR940006841Y1 (ko)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KR970010424B1 (ko) 식기세척기의 미세필터 세척장치
KR0176946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수 분사유로구조
KR100246388B1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처리장치
CN217524988U (zh) 一种自清洗的清洁系统
KR950002705A (ko) 식기세척기의 급배수장치
KR101138877B1 (ko) 식기세척기
JPS6149598B2 (ko)
KR20030097182A (ko) 식기세척기
KR200324605Y1 (ko) 식기 세척기의 배수장치
KR100214259B1 (ko) 식기세척기의 세척찌꺼기 배출장치
FI79242B (fi) Tvaett- och spolanordning.
KR0118904Y1 (ko) 식기세척기의 급, 배수장치
JPH04193248A (ja) 食器洗浄装置
KR200290163Y1 (ko) 식기세척기용 음식물 찌꺼기 뜸 방지장치
KR0141520B1 (ko) 부압을 이용한 식기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