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182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182A
KR20030097182A KR1020020034435A KR20020034435A KR20030097182A KR 20030097182 A KR20030097182 A KR 20030097182A KR 1020020034435 A KR1020020034435 A KR 1020020034435A KR 20020034435 A KR20020034435 A KR 20020034435A KR 20030097182 A KR20030097182 A KR 200300971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shwasher
circulation
hole
ste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삼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4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97182A/ko
Publication of KR2003009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18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02Water filter means or strainer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는 순환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순환필터 상면에 음식물찌꺼기가 걸려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 내부에 용이하게 채집되도록 함은 물론, 세척조 바닥면이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순환필터의 경사면을 계단형단차면으로 형성하고, 관통공에 의한 음식물찌꺼기의 간섭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순환필터의 관통공을 상기 계단형단차면 중 경사가 급한 제2경사면에 마련함으로써, 채집필터 내부로의 음시물찌꺼기의 채집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상기와 같은 순환필터의 구조를 통해 대부분의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 내부에 채집됨에 따라, 세척종료 후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순환필터의 상면에 음식물찌꺼기가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세척조 바닥면의 청결상태가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A 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세척조 바닥면에 설치되는 순환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순환필터 상면에 음식물찌꺼기가 걸려 정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 내부에 용이하게 채집되도록 함은 물론, 세척조 바닥면이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세척조(2)가 마련된 본체(1)와, 세척조(2) 전면의 개구를 개폐하도록 하단이 본체(1)의 전면에 힌지결합된 도어(3)를 구비한다. 그리고 세척조(2)의 내부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식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바스켓(2a)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각 바스켓(2a)의 하부에는 각 바스켓(2a)에 수용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급수관(2b)과 연결된 분사노즐(2c)이 각각 결합된다. 또한, 세척조(2) 하부의 본체(1) 내부에는 세척수가 모이도록 형성된 집수통(4)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집수통(4)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 배수펌프(5) 및 순환펌프(6)가 마련되며, 배수펌프(5) 및 순환펌프(6)와 집수통(4) 사이에는 각각 배수관(5a) 및 순환관(6a)이 연결된다. 또한, 이때, 상기 순환관(6a)은 분사노즐(2c)과 연결된 상기 급수관(2b)과 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각 분사노즐(2c)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순환펌프(6)의작용에 따라 집수통(4)과 순환관(6a)을 거쳐 급수관(2b)으로 보내진 후 다시 분사노즐(2c)로 공급되며 세척기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배수펌프(5)의 작용에 의해 세척기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식기세척기 내부를 순환하게 되는 세척수에는 식기로부터 제거된 음식물찌꺼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집수통(4)에는 순환하는 세척수를 여과시키는 동시에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찌꺼기가 채집되도록 하는 필터링수단(7)이 마련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수단(7)은 세척조(2)의 바닥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집수통(4)의 상면을 덮도록 마련된 순환필터(8)와, 순환필터(8)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8a)을 통해 집수통(4) 내부에 장착되는 채집필터(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순환필터(8)는 음식물찌꺼기를 상기 채집필터(9) 측으로 안내하기 위해 중앙의 삽입공(8a)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판상으로 마련되는데, 이러한 순환필터(8)에는 판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음식물찌거기는 상면에 걸리게 하고 세척수는 통과시키도록 하는 관통공(8b)이 형성된다. 그리고 순환필터(8)의 상면에 걸러진 음식물찌꺼기는 순환필터(8)의 경사에 의해 상기 삽입공(8a) 측으로 안내된 후 채집필터(9) 내부에 채집되게 된다.
또한, 상기 채집필터(9)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며 채집필터(9)의 둘레면에는 상기 관통공(8b)처럼 음식물찌꺼기는 걸러지도록 하고 세척수는 통과되도록 하여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9) 내부에 채집되도록 하는 필터공이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기 관통공(8b)과 필터공을 통해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찌꺼기는 채집필터(9) 내부에 채집되며, 집수통(4)에 모아진 세척수는 순환펌프(6)의 작용으로 순환관(6a)과 급수관(2b) 및 분사노즐(2c)을 차례로 경유하여 다시 세척조(2) 내부로 분사된다.
그러나 종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8b)은 순환필터(8)의 판면 전체에 걸쳐 고르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순환필터(8) 상면에 걸려진 후 순환필터(8)의 경사에 의해 상기 채집필터(9) 측으로 안내되는 음식물찌꺼기는 상기 관통공(8b)에 걸려 순환필터(8)의 상면에서 정체될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관통공(8b)의 가공시 관통공(8b) 주변에는 버르(burr)와 같은 형상이 흔히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버르(burr)는 음식물찌꺼기와 같은 이물질이 순환필터(8)의 상면에 더욱 쉽게 걸려 정체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물질의 정체현상은 채집필터(9)를 통한 이물질의 채집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며, 순환필터(8) 상면에 정체된 이물질은 세척종료 후 도어(3)를 개방하였을 때, 세척조(2) 바닥면이 지저분해 보이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불쾌감을 느끼게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순환필터의 관통공에 음식물찌꺼기가 걸려 정체되지 않도록 순환필터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 내부에 용이하게 채집되도록 함은 물론, 세척조 바닥면이 보다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필터링수단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필터링수단의 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필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집수통51: 순환관
61: 배수관70: 필터링수단
80: 순환필터81: 삽입공
82: 안착부83: 계단형단차면
84: 제1경사면85: 제2경사면
86: 관통공90: 채집필터
91: 제1채집필터91a: 제1필터공
92: 제2채집필터92a: 제2필터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척조와, 세척수를 집수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통과, 상기 세척조 및 집수통 내부의 세척수가 서로 통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순환필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순환필터에는 상기 순환필터가 하향경사지도록 하는 계단형단차면이 마련되되, 상기 계단형단차면은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2경사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계단형단차면은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번갈아가며 반복 배치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경사면은 45도 이상 90도 이하의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 것ㅇ르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경사면은 수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도록 상기 순환필터를 통해 상기 집수통에 장착되는 채집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가 전면 하단측에 힌지결합된 캐비닛 형상의 본체(10)를 구비하며,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상기 도어(30)에 의해 개폐되며 식기의 수용 및 세척공간을 형성하는 세척조(20)가 마련된다.
이러한 세척조(20) 내부에는 세척조(20)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되며 식기를 수용하도록 마련된 바스켓(21,22)이 설치되는데, 상기 바스켓(21,22)은 세척조(20) 내부 상측에 마련되는 상부바스켓(21)과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바스켓(22)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각 바스켓(21,22)의 하부에는 각 바스켓(21,22)에 수용된 식기에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된 상부분사노즐(23)과 하부분사노즐(24)이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분사노즐(23,24)은 세척조(2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급수관(25)에 연결된다.
또한, 세척조(20) 하부의 본체(10) 내부에는 세척수가 모이도록 형성된 집수통(40)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집수통(40)은 상단에 마련된 걸림턱(41)이 세척조(20)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홈(26)에 체결됨으로써 세척조(20)의 하부에 고정된다. 그리고 집수통(40)의 측면과 하면에는 세척수의 순환을 위한 순환펌프(50)와 세척수의 배수를 위한 배수펌프(60)가 각각 설치되며, 순환펌프(50)와 집수통(40) 사이 및 배수펌프(60)와 집수통(40) 사이에는 각각 순환관(51)과 배수관(61)이 연결된다. 또한, 이때, 상기 순환관(51)은 분사노즐(23,24)과 연결된 각 급수관(25)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각 분사노즐(23,24)로부터 분사된 세척수는 순환펌프(50)의 작동에 따라 집수통(40) 및 순환관(51)을 거쳐 각 급수관(25)으로 보내진 후 다시 각 분사노즐(23,24)로 공급되며 세척기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뒤에는 배수펌프(60)의 작용에 의해 배수관(61)을 통해 세척기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로를 통해 식기세척기 내부를 순환하게 되는 세척수에는 식기로부터 제거된 음식물찌꺼기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집수통(40)에는 순환되는 세척수를 여과시키는 동시에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찌꺼기를 채집하기 위한 필터링수단(70)이 마련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수단(70)은 세척조(20)의 바닥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집수통(40) 상부를 덮도록 마련된 순환필터(80)와, 순환필터(80)의 중앙에 형성된 삽입공(81)을 통해 집수통(40) 내부에 장착되는 채집필터(90)를 포함한다.
상기 채집필터(90)는 순환필터(80)의 상기 삽입공(81)을 통해 집수통(40) 내부에 장착되고, 각각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설치되는 제1채집필터(91)와 외측에 마련되는 제2채집필터(92)로 구분된다. 또한, 외측에 마련되는 상기 제2채집필터(92)의 상단 일측에는 채집필터(90)의 착탈시 채집필터(90)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93)가 형성되며, 제1 및 제2채집필터(91,92)의 각 둘레면에는 제1필터공(91a)과 제2필터공(92a)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채집필터(90) 내부의 음식물찌꺼기는 상기 각 필터공(91a,92a)을 통해 채집필터(90) 내부에 채집되며 채집필터(90) 내부의 세척수는 채집필터(90) 외부로 유출되는데, 이때, 상기 제1채집필터(91)에 형성되는 제1필터공(91a)은 1차적으로 큰 음식물찌꺼기를 채집하도록 비교적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2채집필터(92)에 형성되는 제2필터공(92a)은 제1필터공(91a)을 통과한 미세한 음식물찌꺼기를 2차적으로 채집하도록 상기 제1필터공(91a)보다 작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필터(80)는 사각형상을 갖는 얇은 판상으로 마련되고, 중앙에는 상기 채집필터(90)의 장착을 위해 원형으로 마련되는 상기 삽입공(81)이 설치되며, 상단 테두리에는 세척조(20) 바닥 일측에 형성된 안착홈(27)에 걸려 지지되도록 하는 안착부(82)가 마련된다. 또한, 순환필터(80)의 안착부(82)와 상기 삽입공(81) 사이에는 순환필터(80)가 중앙에 마련된 상기 삽입공(81)을 향해 하향경사지도록 마련되며 다단의 계단형상으로 형성되는 계단형단차면(83)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계단형단차면(83)에 의해 상기 순환필터(80)는 그 전체적인 형상이 중앙부는 낮고 테두리 측은 높은 깔때기 형상을 이루게 된다.
상기 계단형단차면(83)은 제1경사면(84) 및 상기 제1경사면(84)보다 큰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 제2경사면(85)을 포함하며, 이러한 제1경사면(84)과 제2경사면(85)이 번갈아가며 반복 배치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경사면(85)에는 세척조(20) 내부로부터 집수통(40) 내부로 유통되는 세척수를 여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관통공(86)이 마련된다.
따라서 순환펌프(50)의 작동시 상기 관통공(86)을 통과한 세척수는 집수통(40) 내부로 유입되어 세척기 내부를 순환하게 되고, 관통공(86)을 빠져 나가지 못한 음식물찌꺼기는 제1경사면(84)의 경사에 의해 계단형단차면(83)의 상면을 따라 삽입공(81) 측으로 안내된 후 채집필터(90) 내부에 채집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관통공(86)이 형성된 제2경사면(85)은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수직에 가깝도록 45도 이상 90도 이하의 경사를 갖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제2경사면(85)의 경사가 급하면 급할수록 계단형단차면(83)의 상면을 따라 채집필터(90)측으로 이동되는 음식물찌꺼기와 제2경사면(85)의 접촉이 감소되어, 제2경사면(85)에 형성된 관통공(86)에 의한 음식물찌꺼기의 간섭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사가 급한 제2경사면(85)에 형성되는 관통공(86)은 계단형단차면(83)의 상면을 따라 채집필터(90) 측으로 이동하는 음식물찌꺼기에 대한 간섭을 최대한 억제하여, 순환필터(80)를 통해 채집필터(90) 내부로 채집되는 음식물찌꺼기의 채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순환필터(80)를 통해 대부분의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90) 내부에 채집됨에 따라, 세척종료 후 도어(30)를 개방하였을 때, 순환필터(80)의 상면에 음식물찌꺼기가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세척조(20) 바닥면의 청결상태는 보다 향상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동작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순환펌프(50)의 작동시, 우선 각 분사노즐(23,24)을 통해 식기 측으로 분사된 세척수는 낙하되며 세척조(20) 바닥에 모이게 되는데, 이러한 세척수 중 일부는 순환필터(80)의 관통공(86)을 통해 집수통(40) 내부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일부는 음식물찌거기와 함께 순환필터(80)의 계단형단차면(83)을 따라 채집필터(90)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채집필터(91,92)의 각 필터공(91a,92a)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척수에 포함된 음식물찌꺼는 제1 및 제2채집필터(91,92) 내부에 크기별로 채집되며, 각 필터공(91a.92a)을 통과한 세척수는 상기 관통공(86)을 통해 집수통(40)으로 유입된 세척수와 함께 순환관(51)과 급수관(25)을 경유하여 다시 각 분사노즐(23,24)로 공급된후 세척조(20) 내부로 분사된다. 그리고 이러한 세척수의 순환 반복이 소정시간 이상 경과한 뒤에는 배수펌프(60)가 작동하게 되고, 배수펌프(60)의 작동에 의해 세척기 내부의 세척수는 상기 배수관(61)을 통해 세척기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이때, 계단형단차면(83)의 제2경사면(85)에 형성된 관통공(86)은 순환필터(8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음식물찌꺼기에 대한 간섭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하여, 채집필터(90)에 의한 음식물찌꺼기의 채집이 보다 용이하게 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순환필터의 경사면을 계단형단차면으로 형성하고, 관통공에 의한 음식물찌꺼기의 간섭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순환필터의 관통공을 상기 계단형단차면 중 경사가 급한 제2경사면에 마련함으로써, 채집필터 내부로의 음식물찌꺼기의 채집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이러한 순환필터를 통해 대부분의 음식물찌꺼기가 채집필터 내부에 채집됨에 따라, 세척종료 후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순환필터의 상면에 음식물찌꺼기가 남아 있지 않게 되므로, 세척조 바닥면의 청결상태가 보다 향상되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5)

  1. 세척조와, 세척수를 집수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설치되는 집수통과, 상기 세척조 및 집수통 내부의 세척수가 서로 통하도록 상기 세척조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순환필터를 구비하는 식기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순환필터에는 상기 순환필터가 하향경사지도록 하는 계단형단차면이 마련되되, 상기 계단형단차면은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보다 큰 경사를 갖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제2경사면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형단차면은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번갈아가며 반복 배치되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은 45도 이상 90도 이하의 경사를 갖도록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경사면은 수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기세척기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채집하도록 상기 순환필터를 통해 상기 집수통에 장착되는 채집필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20034435A 2002-06-20 2002-06-20 식기세척기 KR200300971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35A KR20030097182A (ko) 2002-06-20 2002-06-20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4435A KR20030097182A (ko) 2002-06-20 2002-06-2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182A true KR20030097182A (ko) 2003-12-31

Family

ID=3238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435A KR20030097182A (ko) 2002-06-20 2002-06-2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9718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2156B2 (en) 2008-11-20 2011-05-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creen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WO2015165610A1 (en) * 2014-04-30 2015-11-05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filtering plate
CN112638227A (zh) * 2018-03-29 2021-04-0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沉入式餐具篮的洗碗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430A (en) * 1987-08-13 1989-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lter apparatus of tableware washing machine
KR950032213U (ko) * 1994-05-25 1995-12-14 식기세척건조기용 필터
KR970010423A (ko) * 1995-08-30 1997-03-27 한승준 자동차용 범퍼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46430A (en) * 1987-08-13 1989-0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ilter apparatus of tableware washing machine
KR950032213U (ko) * 1994-05-25 1995-12-14 식기세척건조기용 필터
KR970010423A (ko) * 1995-08-30 1997-03-27 한승준 자동차용 범퍼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42156B2 (en) 2008-11-20 2011-05-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creening arrangement for a dishwashing appliance, and associated apparatus
WO2015165610A1 (en) * 2014-04-30 2015-11-05 Arc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comprising a filtering plate
CN112638227A (zh) * 2018-03-29 2021-04-09 伊利诺斯工具制品有限公司 具有沉入式餐具篮的洗碗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1019B1 (ko) 식기세척기
KR100529879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 청소장치
JPH0984737A (ja) 食器洗浄器の汚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US4848382A (en) Tub bottom soil separator for dishwasher
DE102007046073A1 (de) Geschirrspüler
EP0990413B1 (en) A method of filtering the washing and/or rinsing liquid in a dishwash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200196942Y1 (ko) 식기세척기
US8834647B2 (en) Manual removable filter system for a dishwasher
KR20060101086A (ko) 식기세척기의 필터 세척장치 및 방법
KR20030097182A (ko) 식기세척기
KR20180106057A (ko) 식기세척기
KR200196940Y1 (ko) 식기세척기
KR940006841Y1 (ko)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1054436B1 (ko) 식기 세척기
KR970010424B1 (ko) 식기세척기의 미세필터 세척장치
JP3286975B2 (ja) 食器洗浄装置
CN210871376U (zh) 餐具清洗机
KR200196939Y1 (ko) 식기세척기
CN210902886U (zh) 餐具清洗机
CN113892886A (zh) 餐具清洗机及控制方法
KR101356295B1 (ko) 식기 세척기의 섬프
KR20060060123A (ko) 식기 세척기의 오물 채집 구조
KR0165044B1 (ko) 식기세척기
KR20000002679A (ko) 일체형 펌프를 가진 식기세척기의 필터장치
KR200368995Y1 (ko) 식기 세척기의 집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