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49B1 - 인터리이브회로 - Google Patents

인터리이브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49B1
KR910000349B1 KR1019860003746A KR860003746A KR910000349B1 KR 910000349 B1 KR910000349 B1 KR 910000349B1 KR 1019860003746 A KR1019860003746 A KR 1019860003746A KR 860003746 A KR860003746 A KR 860003746A KR 910000349 B1 KR910000349 B1 KR 910000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ode
error
storage area
comb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3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557A (ko
Inventor
유지 다까기
이사오 사토오
타스오 스기무라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9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6Interleaving address generation
    • H03M13/2764Circuits therefo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6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 G11B20/1809Pulse code modulation systems for audio signals by interleav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03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the interleaver involving at least two direc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27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using interleaving techniques
    • H03M13/276Interleaving address generation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터리이브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일실시예의 인터리이브회로의 제1의 어드레스 순서를 설명하는 기억영역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제2의 어드레스 순서를 설명하는 기억영역도.
제3도, 제4도, 제5도는 동 실시예의 블록도.
제6도는 MLT 3의 상세한 회로도.
제7도는 Xβ의 상세한 회로도.
제8도, 제9도는 동 실시예의 동작파형도.
제10도는 동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착오패턴도.
제11도는 일반적인 곱(積)부호의 부호원리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인터리이브회로가 사용된 정보기록매체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제13도는 상기 실시예와 종래예의 인터리이브회로에 사용되는 곱부호의 부호 원리도.
제14도는 곱부호의 복호(復號)예를 설명하는 착오패턴도.
제15도는 종래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하였을 때의 착오전파의 모양을 설명하는 기억영역도.
제16도는 종래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하여 착오전파가 발생하였을 때의 곱부호의 복호예를 설명하는 착오패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터리이브제어기 2 : 기억영역
3 : 행(行)어드레스 4 : 열(列)(α)어드레스
5 : 열(β)어드레스 11 : 제어기
12 : 어드레스발생기 16 : MLT 4
17 : MLT 3 18 : 14진카운터
23 : 클록생성회로 33 : 제1의 부호
34 : 제2의 부호 39 : 인터리이브회로
36 : 제1의 부호 47 : 제2의 부호
본 발명은 광디스크파일등의 정보기록재생장치에 사용되는 곱부호의 부호, 복호장치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인터리이브회로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정보데이터의 전송 또는 기록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서 데이터에 착오가 부가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정보기기에 있어서는 이러한 착오를 방지한다고 하는 관점에서 착오정정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전송하기 위한 통신로 또는 기록하기 위한 기록매체의 신뢰성·착오특성이 그다지 양호하지 않을 경우에는 랜덤착오와 버어스트착오가 혼재하는 소위, 복합착오를 정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래서, 인터리이브에 의해 버어스트착오를 랜덤화하여, 랜덤착오정정을 행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곱부호는, 그 정정능력에 비하여 구성요소의 부호의 복호가 용이하다고 하는 특성도 가지며, 복합착오정정을 위한 인터리이브와 잘 조화하기 때문에, 디지탈정보데이터의 전송 또는 기록을 위한 착오제어에 사용된다.
제11도는 곱부호 구성원리도를 도시한 것이며, (33)은 부호길이 m인 제1의 부호, (34)는 부호길이 n인 제2의 부호, (35)는 정보데이터, (36)은 검사데이터이다. 제11도에 있어서, 먼저, 정보데이터(35)에 대하여 각 열마다 착오검출정정을 위한 여유길이를 부가함으로서, 부호길이 m인 제1의 부호(33)가 생성된다. 다음에 제1의 부호(33)에 대하여 각 행마다 착오검출정정을 위한 여유길이를 부가함으로서 부호길이 n인 제2의 부호(34)가 생성된다.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호길이 m×n인 곱부호가 생성된다. 또한, 제1의 부호(33), 제2의 부호(34)의 생성순서를 반대로, 먼저 제2의 부호화를 행하고, 제2의 부호(34)에 대하여 각 열마다 제1의 부호화를 행하였을 경우에도, 상기 곱부호와 동일한 곱부호가 생성된다. 또 제12도는 정보기록재생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37)은 곱부호의 부호회로, (38)은 곱부호의 복호회로, (39)는 인터리이브회로, (40)은 변조회로, (41)은 복조회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부호회로(37)에 의해 곱부호화된 부호데이터(7)는 인터리이브회로(39)에 이송되고, 인터리이브후, 기록데이터(9)로서 변조회로(40)에 이송되어 변조된 후 기록된다. 한편, 재생시에는, 재생데이터(45)는 복조회로(41)에 의해서 복조된 후, 인터리이브회로(39)에 의해 디인터리이브되고 복호데이터(8)로서 복호회로(38)에 입력되어 착오정정조작후, 정정데이터(43)로서 출력된다.
종래, 곱부호를 사용한 정보기록재생장치의 인터리이브회로에 있어서는, 최대거리분리의 인터리이브가 사용되고 있다. 즉, 제11도에 있어서, 제i행, 제j열의 심볼을 sij라고 하면, 기록시에는 인터리이브회로의 기억영역에
Figure kpo00001
의 순서로 기록하고, 다음에
Figure kpo00002
의 순서로 판독함으로서, 인터리이브를 행하고, 재생시에는 인터리이브회로의 기억영역에
Figure kpo00003
의 순서로 기록하고, 다음에
Figure kpo00004
의 순서로 판독함으로서, 디인터리이브를 행하고 있다.
다음에 곱부호의 복호회로에 대해서 설명한다. 곱부호와 같은 2개 이상의 구성요소를 가지는 부호에 있어서는, 각각의 구성요소의 복호가 서로 유기적으로 관계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2개의 부호에 의해 구성된 곱부호에 있어서는, 제1의 구성요소의 부호의 복호를 한 후, 그 결과를 사용해서 제2의 구성요소의 부호의 복호를 행하고, 필요하면 제1의 구성요서의 부호의 피이드백되게 하는, 이와같은 복호조작의 반복이 필요해진다. 따라서, 곱부호의 복호에 있어서는 개개의 구성요소의 부호의 복호는 비교적 간단하나, 그들 복호를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알고리즘이 복잡해지며, 일반적인 알고리즘은 부여할 수 없다. 그러나, 곱부호의 하나인 최소거리 2 및 최소거리 t인 2개의 부호에 의해 구성되는 최소거리 2t의 곱부호의 복호방법에 대해서는, 일본 특원소 58-223601호(스기무라외)에 의해서, 이론 한계인(t-1) 심볼 이하의 착오정정 및 t 심볼 착오검출의 알고리즘이 기재되어 있다(이하, 이 특허를 스기무라 특허라 칭함).
본 발명의 인터리이브회로는, 어떠한 곱부호의 부호 및 복호회로에도 적용할 수 있으나, 이후, 설명상 복호회로를 스기무라 특허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설명을 행한다.
스기무라 특허에 의하면, 부호길이 m 최소거리 t인 제1의 부호와, 패리티 검사합계에 의해 구성된 부호길이 n, 최소거리 2인 제2의 부호에 의해서 구성되는 최소거리 2t인 곱부호의 복호에 있어서, 먼저 최초로 제1의 부호의 복호동작을 행하고, 이 제1의 부호의 복호조작의 과정으로부터 착오개수 플래그가 생성된다. 즉, 최소거리 t인 제1의 부호에 있어서는,
Figure kpo00005
개 이하의 착오정정 및
Figure kpo00006
개 이상의 착오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단 X는 X를 초과하지 않는 최대의 정수(整數)를 나타낸다. 제1의 부호의 복호조작의 과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착오개수 플래그 F1를 각 경우에 따라 어느것인가 하나 세운다.
·착오없음 : F0
·한번착오정정 : F1
·
Figure kpo00007
중(重) 착오정정 :
Figure kpo00008
·착오검출 :
Figure kpo00009
만약, 제1의 부호의 정정능력을 초과한 착오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착오정정불능으로
Figure kpo00010
이 성립되는지, 틀린 j 중(重) 착오정정을 실행하여 Fj가 성립하는지는 일정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n개의 제1의 부호의 복호를 행한다. 다음에 상기 n개의 착오개수 플래그의 통계처리를 해서 그 결과에 의해, 3개의 복호모우드로 분류한다. 먼저 착오개수 플래스 Fi를 착오개수마다 계수한다. 여기서 착오계수 플래그 Fi가 발생된 계수를 Ci라고 하면 다음식과 같이 된다.
Figure kpo00011
이하, 통계처리 및 그후의 처리의 순서를 설명한다. 지금 Ci의 첨자의 i가 큰것으로부터 높은 우선순위를 붙인다. 그리고 다음에 나타낸 바와 같은 복호모우드로 분류한다.
(i) 복호모우드 1
Figure kpo00012
2즉 착오검출을 2회이상 행하였을 경우
(ii) 복호모우드 2
영이 아닌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Ci가 1일 경우
(iii) 복호모우드 3
상기 2개의 모우드 이외의 경우
이들 3개의 복호모우드에 있어서, 제2의 부호를 사용한 착오정정조작 또는 착오검출조작은 다음과 같이 행한다.
(a) 복호모우드 1
무조건 정정불능인 착오를 검출한 것을 어서어트한다.
(b) 복호모우드 2
영이 아닌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Ci를 1로 한 착오개수 플래그 Fi가 발생된 제1의 부호의 열에 포인터를 세운다. 그리고 재생계열의 제2의 부호에 있어서의 검사합계를 취하고, 포인터가 세워진 열에 배타적 논리합으로서 가산한다. 혹은 포인터가 세워진 열을 제외하고 제2의 부호의 검사합계를 취하고 포인터가 세워진 열을 그 검사합계와 치환한다.
(c) 복호모우드 3
재생계열의 제1의 부호에 있어서의 검사합계를 취한다.
(가) 검사합계가 영일 경우
착오없음
(나) 검사합계가 영이 아닐 경우
정정불능의 착오를 검출한 것을 어서어트한다.
이상 설명한 스기무라 특허의 알고리즘에 따라서 곱부호를 복호함으로서, 최소거리 2t인 곱부호에 있어서, (t-1) 심볼이하의 착오정정 및 t 심볼착오검출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곱부호의 복호의 보다 구체적인 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제13도는, 부호길이 15, 최소거리 6인 제1의 부호와, 검사합계를 취함으로서 구성된 부호길이 106, 최소거리 2인 제2의 부호로 이루어진 최소거리 12인 곱부호의 부호구성도이다.
본 예의 곱부호를 상기 스기무라의 복호알고리즘에 의해 복호를 행할 경우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최초로 제1의 부호(46)의 복호를 행한다. 제1의 부호는 최소거리 6이므로, 2개 이하의 착오정정, 3개 착오검출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의 부호(46)의 복호과정에 있어서, 이하의 착오개수 플래그 Fi가 세워진다.
·착오없음 : F0
·한번 착오정정 : F1
·2중착오정정 : F2
·3중착오검출 : F3
여기서, 제14도는 6심볼이하의 모든 착오패턴을 나타낸다. 제14도에 있어서는 곱부호 전체에 발생된 착오의 개수(e)와 제1의 부호(46)에 있어서의 착오의 개수에 의할 경우(CASE)를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부호에 있어서 생성되는 착오개수 플래그를 각 경우하에 나타낸다(단 F0는 기록하지 않음).
이들 경우를 복호모우드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a) 복호모우드 1
CASE28
(b) 복호모우드 2
CASE2, 4, 6, 7, 9, 10, 11(i), 11(ii), 13, 14, 16(i), 16(ii), 17, 18(i), 18(ii), 18(iii), 20, 21, 23(i), 23(ii), 24, 26(i), 26(ii), 27(i), 29(i), 29(ii), 29(iii)
(c) 복호모우드 3
CASE1, 3, 5, 8, 12, 15, 19, 22, 25, 26(iii), 27(ii), 29(iv)
복호모우드 1의 경우는, 무조건 정정불능의 착오검출한 것을 어서어트한다. 복호모우드 2로 분류되었을 경우에는, 제2의 부호(47)의 복호에 의해 모두 정정될 수 있다. 또, 복호모우드 3으로 분류되었을 경우 CASE26(iii), 27(ii), 29(iv)일 경우는 검사합계의 검증에 의해 정정불능착오를 검출한 것을 어서어트하고, 그 이외일 경우에는 모두 정정을 행한다. 이상과 같이, 스기무라의 알고리즘에 따르면 최소거리 12인 곱부호의 논리합계인 5중착오정정, 6중착오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사용되는 최대거리분리의 인터리이브 방식의 사용에 의해 본 예에 있어서는, 인터리이브깊이가 106이므로, 최대 213심볼길이의 버어스트형상의 착오정정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곱부호를 실제로, 통신로 혹은 기록매체에 전송기록할 경우에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최근, CD(compact disk), DAT(digital audio tape) 등의 디지탈오디오, 또 광디스크파일등의 정보기록재생장치에는, 정보의 대용량화를 위하여 고밀도 기록방식이 사용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MFM나 (1, 7) RLLC나 (2, 7) RLLC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1, 7) RLL나 (2, 7) RLLC 등의 일부의 고밀도 기록방식은, 전송로상 혹은 기록매체상의 1bit 착오가 복조후에는 1bit 이상의 착오가 된다. 즉 착오전파의 성질을 나타낸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4115768호에 기재된 ENCODER 및 DECODER에 따른 (2, 7) RLLC에 있어서는 변조후에 데이터 8bit에 대해서 DECODING조작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변조후의 데이터 1bit의 착오가, 복조시에는 2bit 혹은 그 이상의 bit 착오가 부가된 상태로 복조된다.
제15도는, 곱부호를 종래의 최대거리분리의 인터리이브회로에 의해 인터리이브를 행하고, 상기 착오전파특성을 나타내는 변조방식에 의한 변조후, 기록, 전송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기록매체상이나 전송로 상의 1bit 착오의 복조후의 착오전파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5도에 있어서 x표시는 기록매체상 혹은 전송로상의 착오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심볼착오, △표시는 착오전파에 의한 심볼착오를 나타낸다. 제1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한 곱부호에 있어서는, 착오전파는 그 인접한 다음열의 심볼에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동일한 열에 복수개의 착오가 발생하며, 또한 착오가 착오전파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착오가 각각 다음열에 전파되기 때문에 복수개의 전파에 의한 착오가 동일한 열에 늘어선 곱부호의 착오정정능력이 대포적으로 감소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3도의 곱부호를 상기 스기무라 특허의 알고리즘을 사용해서 복호를 행할 경우, 최소거리 12인 곱부호의 논리한계인 5중착오정정, 6중착오검출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곱부호를 종래의 최대 거리분리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해서 인터리이브를 행하였을 경우에 착오전파가 발생하면, 기록매체 혹은 전송로에 있어서의 착오가 3개 발생하면 정정불능이 되는 일이 있다. 즉, 최소거리 12인 곱부호임에도 불구하고, 2중착오정정, 3중착오검출의 정정능력을 가진 것에 지나지 않는다. 제16도에 3심볼 이하의 착오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모든 착오패턴을 나타낸다. 제16도에 있어서는 모든 착오가 2심볼착오로 착오전파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곱부호 전체에 발생된 종래의 착오의 개수(e)와 제1의 부호(46)에 있어서의 착오전파에 의한 착오가 포함된 착오개수에 의해 경우(CASE)를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부호(46)의 복호에 있어서 착오개수 플래그를 각 경우하에 나타낸다(단 F0는 기록하지 않음). 또, 기록매체, 혹은 전송로상의 본래의 착오를 x표, 착오전파에 의한 착오를 △표로 나타낸다.
이들 경우를 복호모우드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a) 복호모우드 1
CASE10
(b) 복호모우드 2
CASE4, 7, 9
(c) 복호모우드 3
CASE1, 2, 3, 5, 6, 8
복호모우드 1의 경우는, 무조건 정정불능 착오를 검출한 것을 어서어트한다. 복호모우드 2와 복호모우드 3으로 분류되었을 경우는 모두 정정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곱부호를 종래의 최대거리분리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해서 기록 혹은 전송을 행하였을 경우에, 변조방식이 착오전파특성을 나타내는 것일 때, 이 곱부호의 착오정정능력이 실질적으로 대폭 감소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착오전파의 영향을 적게하고, 곱부호의 착오정정능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하기 위한 인터리이브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m×n) 행렬형상으로 배치된 기억영역과, 상기 기억영역에 제i행, 제j열의 어드레스를 (Ri, Cj)라고 할 때, 이하의 제1의 어드레스 순서:
Figure kpo00013
를 발생하는 제1의 어드레스 발생수단에 의해, 곱부호를 상기 기억영역에 기입하고, 이하의 제2의 어드레스 순서:
Figure kpo00014
단,
Figure kpo00015
(단, "V"는 "임의의"를 의미함)를 발생하는 제2의 어드레스 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영역을 판독함으로서 인터리이브를 행하는 수단과, 복조데이터를 상기 제2의 어드레스발생수단에 의해 상기 기억영역에 기입하고, 상기 제1의 어드레스발생수단에 의해 판독을 행함으로서 디인터리이브를 행하는 수단을 가진 인터리이브회로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에 의해, 곱부호에 있어서 동일한 열의 심볼에 복수개의 착오가 발생하고, 또한 각 착오가 착오전파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개의 착오가 각각 상이한 열의 심볼에 착오전파되기 때문에, 착오전파에 의한 곱부호의 착오정정능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리이브회로의 제1의 어드레스순서를 설명하는 기억영역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α, β는 각각 GF(24), GF(23)의 요소이며, 각각의 주기는 Lα=15, Lβ=7이 된다.
α4+α+1=0, β3+β+1=0으로 하였을 때의 요소의 표현을 표 1, 표 2에 나타낸다. 여기서 GF는 갈로어영역(Galois field)이다.
본 실시예는 부호길이 15인 제1의 부호와 부호길이 106인 제2의 부호로 구성되는 곱부호의 인터리이브회로이다. 제1도는(15×106)의 행렬형상의 기억영역을 나타내고, 0~14의 행 어드레스와 α의 주기 La=15와 β의 주기 La=7이 서로 소(素)의 관계에 있으므로 15×7=105종류의 GF(24)와 GF(23)가 영이 아닌 요소의 조합과(0, 0)을 더한 합계 106의 열어드레스로서 15×106=1590의 어드레스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각 기억영역내의 1~1590의 숫자는 제1의 어드레스 순서에 의해 지정되는 기억영역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어드레스를(행 어드레스, 열어드레스(α), 열어드레스(β))으로 나타내었을 때의 제1의 어드레스 순서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16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인터리이브회로의 제2의 어드레스순서를 설명하는 기억영역도이다. 각 기억영역내의 1~1590의 숫자는 제2의 어드레스순서에 의해 지정되는 기억영역의 순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 어드레스를(행어드레스, 열어드레스(α), 열어드레스(β))로 나타내었을 때의 제2의 어드레스 순서를 나타낸다.
Figure kpo00017
이상, 제2의 어드레스 순서는 행렬형상의 기억영역의 각행의 선두 어드레스에 대하여 {(α, β), (α, β2), (α, β3), …, (α4, β5)} 곱함으로서 얻어진다. (단, 0×α11, 0×β11를 특별히 정의한 갈로어체의 승산을 행함). 이후, 이 곱하여야 할 수 {(α, β), (α, β2), (α, β3), …, (α4, β5)}를 승수라고 기록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의 어드레스 순서와 제2의 어드레스 순서의 일반형을, 제j번째의 어드레스를 ADR(j)={행어드레스, 열어드레스(α), 열어드레스(β)}라고 하고, 다음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kpo00018
[표 2]
Figure kpo00019
가) 제1의 어드레스순서
Figure kpo00020
나) 제2의 어드레스순서
Figure kpo00021
(단,
Figure kpo00022
는 j 이하의 최대의 정수로함)
제3도는 본 실시예의 인터리이브회로의 블록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1)은 인터리이브제어기, (2)는 기억영역이다. 인터리이브제어기(1)는 인터리이브시, 부호데이터(7)를 입출력버스(6)를 개재하여, 제1의 어드레스 순서에 따른, 행 어드레스(3), 열(α) 어드레스(4), 열(β) 어드레스(5)를 기억영역(2)의 어드레스로하여, 기록한다. 다음에 제2의 어드레스 순서에 따른 행 어드레스(3), 열(α) 어드레스(4), 열(β) 어드레스(5)를 어드레스로하여, 기억영역(2)으로부터 입출력버스(6)를 개재해서 기록데이터(9)로서 재생한다. 디인터리이브시에는 복조데이터(10)를 입출력버스(6)를 개재하여, 제2의 어드레스 순서에 따른 행 어드레스(3), 열(α) 어드레스(4), 열(β) 어드레스(5)를 어드레스로하여 기억영역(2)에 기록하고, 다음에, 제1의 어드레인터리이브회로 순서에 따른 행 어드레스(3), 열(α) 어드레스(4), 열(β) 어드레스(5)를 어드레스로하여, 기억영역(2)으로부터 입출력버스(6)를 개재해서 복호데이터(8)로서 재생한다. 기억영역(2)은 통상의 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4도는 인터리이브제어기(1)의 블록도이다. (11)은 제어기, (12)는 어드레스 발생기이다. 제어기(11)는, 부호데이터(7), 복호데이터(8), 기록데이터(9), 복조데이터(10) 및 입출력버스(6)의 각 버스의 절환과 어드레스 발생기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어드레스발생기(12)는 제1, 제2의 어드레스 순서에 따른 어드레스를 발생한다. 제5도에 어드레스발생기(12)를 나타낸다.
제5도에 있어서, (14)는 GF(24)에 있어서의 2승연산을 행하는 회로(SQR), (15)는 GF(23)에서 β배의 연산을 행하는 회로(Xβ), (16)은 GF(24)의 승산회로(단 0×α11의 특수해를 출력함)(MLT4), (17)은 GF(23)의 승산회로(단 0×β1×β1의 특수해를 출력함)(MLT3), (18)은 4bit의 14진카운터, (19)는 4bit병렬의 D-F. F(단, 리세트신호(27)에 의해 α=(0, 0.1, 0)을 출력함), (20)은 3bit병렬의 D-F.F(단 리세트신호(26)에 의해 β=(0, 1, 0)을 출력함), (21)은 4bit병렬의 D-F.F(단, 리세트신호(28)에 의해 0=(0, 0, 0, 0)을 출력함), 또 (22)는 3bit병렬의 D-F.F(단, 리세트신호(28)에 의해 0=(0, 0, 0)을 출력함), (23)은 상기 (19), (20), (21), (22)의 D-F. F의 클록(29), (30), (31)과 리세트신호(26), (27), (28)의 제어를 행하는 클록생성회로이다. 제1의 어드레스순서를 발생할 경우의 클록(29), (30), (31), (32)과, 리세트신호(26), (27), (28)와, 행어드레스(3), 열(α) 어드레스(4), 열(β) 어드레스(5)와, 승수(24), (25)의 타이밍을 제8도에 나타낸다. 제1의 어드레스순서는 승수(제5도의 (24), (25))를 α, β로 고정한다.
행어드레스(3)는 데이터의 전송속도에 일치된 클록(32)을 입력한다. 또, 열어드레스의 D-F.F(21), (22)의 클록(31)은 행어드레스(3)가 초기화(0)할 때에 입력한다. 이상의 제어신호를 클록생성회로(23)가 생성함으로서, 제1의 어드레스 순서가 얻어진다. 제9도에 제2의 어드레스순서를 발생할 경우의 클록(29), (30), (31), (32)과 리세트신호(26), (27), (28)와 행 어드레스(3), 열(α) 어드레스(4), 열(β) 어드레스(5), 승수(24), (25)의 타이밍을 나타낸다. 제2의 어드레스순서는 열어드레스의 D-F.F(21), (22)의 클록(31)의 데이터의 전송속도에 일치시켜서, 각 행이 끝날 때마다 승수와 행어드레스를 변화시킴으로서 얻어진다. 제6도와 제7도에 각각 MLT3(17)과 Xβ(15)의 회로예를 나타낸다. MLT4(16), SQR(14)도 각각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인터리이브회로는, 동일한 열의 서로 다른 심볼이 틀렸을 경우에 각각이 서로 다른 열의 심볼에 착오전파된다. 이때문에 착오전파에 의한 곱부호의 착오정정능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로 억제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곱부호를 종래의 최대거리분리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해서 상기 스기무라 특허의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되었을 경우에 착오전파가 발생하였을 때, 상술한 바와같이 2중 착오정정, 3중 착오검출의 정정능력을 나타내는 것에 지나지 않으나, 본 실시예의 인터리이브회로를 사용해서 곱부호를 마찬가지의 스기무라 특허의 알고리즘에 의해 복호를 행하였을 경우에 착오전파가 발생하였을 때, 4중 착오정정, 5중 착오검출의 정정능력을 지닐 수 있다. 제10도에 5심볼 이하의 착오가 발생하였을 경우의 모든 착오패턴을 나타낸다. 제10도에 있어서는 모든 착오가 2심볼 착오로 착오전파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곱부호 전체에 발생된 본래의 착오의 개수(e)와, 제1의 부호(46)에 있어서의 착오전파에 의한 착오를 포함한 착오의 개수에 의해 경우(CASE)를 분류하고 있다. 그리고, 제1의 부호(46)의 복호에 있어서 발생되는 착오개수플래그를 각 경우하에 나타낸다(단 F0는 기록하지 않음). 또, 기록매체, 혹은 전송로상의 본래의 착오를 ×표, 착오전파에 의한 착오를 △표로 나타낸다.
이들의 경우를 복호모우드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
(a) 복호모우드 1
CASE 27, 28, 29
(b) 복호모우드 2
CASE 4, 6, 8, 10, 14, 15, 16, 17(i), 17(ii), 19, 23, 24, 25, 26, 30(i), 30(ii), 32(i), 33(i), 33(ii)
(c) 복호모우드 3
CASE 1, 2, 3, 5, 7, 9, 11, 12, 13, 18, 20, 21, 22, 32(ii), 33(iii)
복호모우드 1의 경우는 무조건 정정불능의 착오를 검출한 것을 어서어트한다. 복호모우드 2와 복호모우드 3으로 분류되었을 경우는 모두 정상으로 정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인터리이브회로는 GF(23)와 GF(24)의 요소의 조합을 기억영역의 어드레스로하여, 갈로어체상의 연산을 행함으로서 어드레스를 발생하고,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착오전파의 영향이 적은 인터리이브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에 스기무라 특허의 알고리즘에 의한 복호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곱부호의 복호법에 관계없는 것이며, 곱부호를 구성하는 제1의 부호 및 제2의 부호의 각 부호길이에 따라서, 갈로어체의 요소의 주기를 적당하게 선택함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착오전파를 일으키는 변조방식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도 곱부호의 착오정정능력의 저하를 최소한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인터리이브회로를 간단한 회로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그 실용적 효과는 크다.

Claims (5)

  1. (m×n)의 행렬형상으로 배치된 기억영역과, 상기 기억영역의 제i행, 제j열의 어드레스를 (RiCj)라고 할 때, 이하의 제1의 어드레스 순서:
    Figure kpo00023
    를 발생하는 제1의 어드레스발생수단과, 이하의 제2의 어드레스 순서:
    Figure kpo00024
    (단, "V"는 "임의의"를 의미함)
    을 발생하는 제2의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부호길이 m인 제1의 부호와 부호길이 n인 제2의 부호(여기서, m과 n은 양의 정수)에 의해 구성된 곱부호를 상기 제1의 어드레스순서에 의해 상기 기억영역에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1의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결합한 제1의 기록수단과 상기 제2의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결합한 제1의 판독수단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기억영역과 결합하여 정보를 인터리이브하는 인터리이브 수단과, 상기 제2의 어드레스 순서에 의해 상기 기억영역에 복조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상기 제2의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결합한 제2의 기록수단과 상기 제1의 어드레스 순서에 의해 상기 복조데이터를 판독하여 복호 데이터를 송출하기 위해 상기 제1의 어드레스 발생수단과 결합한 제2의 판독수단으로서 구성되고 상기 기억영역과 결합하여 디인터리이브를 행하는 디인터리이브 수단으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이브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m×n)의 행렬형상으로 배치된 기억영역의 열어드레스를, 상이한 갈로어체의 각 요소 α1, α2, …, α1[단, α1, α2, …, α1의 주기를 L1, L2, …, L1이라고 할 때, n=L1×L2×…×L1(L1, L2, …, L1는 서로 소(素))]을 독립변수로 하고, 각 갈로어체로부터의 0이 아닌 본래의 요소의 조합에 의해 정의할 때, 제1의 어드레스 발생수단 및 제2의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갈로어체의 승산에 의해 열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이브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제2의 어드레스발생수단은, 제2의 어드레스 순서의 열어드레스를
    Figure kpo00025
    의 생성규칙에 의해 생성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이브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m×n)의 행렬형상으로 배치된 기억영역의 열어드레스를, 상이한 갈로어체의 각 요소 α1, α2, …, α1[단, α1, α2, …, α1의 주기를 L1, L2, …, L1이라고 할 때, n=L1×L2×…×L1+1(L1, L2, …, L1는 서로 소)]을 독립변수로 하고, 각 갈로어체로부터의 0이 아닌 본래의 요소의 조합과, 모두가 본래 0인 요소의 조합에 의해 정의할 때, 제1의 어드레스 발생수단 및 제2의 어드레스 발생수단은 상기 갈로어체의 승산에 의해 열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이브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제2의 어드레스발생수단은, 제2의 어드레스 순서의 열어드레스를
    Figure kpo00026
    의 생성규칙에 의해 생성하는 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리이브회로.
KR1019860003746A 1985-05-14 1986-05-14 인터리이브회로 KR9100003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01823A JPH0697542B2 (ja) 1985-05-14 1985-05-14 インタ−リ−ブ回路
JP60-101823 1985-05-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557A KR860009557A (ko) 1986-12-23
KR910000349B1 true KR910000349B1 (ko) 1991-01-24

Family

ID=14310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746A KR910000349B1 (ko) 1985-05-14 1986-05-14 인터리이브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42517A (ko)
EP (1) EP0202571B1 (ko)
JP (1) JPH0697542B2 (ko)
KR (1) KR910000349B1 (ko)
DE (1) DE3685255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82148A (en) * 1985-11-27 1997-10-28 Seiko Corporation Paging system with message numbering prior to transmission
US4897835A (en) * 1985-11-27 1990-01-30 At&E Corporation High capacity protocol with multistation capability
JPS63225837A (ja) * 1987-03-13 1988-09-20 Fujitsu Ltd 距離付きベクトルアクセス方式
JP2713902B2 (ja) * 1987-04-28 1998-02-16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ドレス発生回路
US4845714A (en) * 1987-06-08 1989-07-04 Exabyte Corporation Multiple pass error correctio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t codes
JP2597873B2 (ja) * 1988-02-22 1997-04-09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音声デコーダ
US4901319A (en) * 1988-03-18 1990-02-13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mission system with adaptive interleaving
US5042033A (en) * 1989-06-05 1991-08-20 Canadian Marconi Corporation RAM-implemented convolutional interleaver
US5247523A (en) * 1989-07-12 1993-09-21 Hitachi, Ltd. Code error correction apparatus
US5257271A (en) * 1989-07-29 1993-10-26 Sony Corporation Sample data transmission apparatus
US5111463A (en) * 1989-11-09 1992-05-05 Exabyte Corporation Error correction method and apparatus
US5305324A (en) * 1990-09-26 1994-04-19 Demografx Data scrambling interface for correcting large burst errors in high speed, high capacity tape drives
US5392288A (en) * 1991-02-08 1995-02-21 Quantum Corporation Addressing technique for a fault tolerant block-structured storage device
US5263030A (en) * 1991-02-13 1993-11-16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data for storage on magnetic tape
US5392299A (en) * 1992-01-15 1995-02-21 E-Systems, Inc. Triple orthogonally interleaed error correction system
US5636224A (en) * 1995-04-28 1997-06-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leave/de-interleave addressing in data communication circuits
US5898710A (en) * 1995-06-06 1999-04-27 Globespan Technologies, Inc. Implied interleaving, a family of systematic interleavers and deinterleavers
JPH1051354A (ja) * 1996-05-30 1998-02-20 N T T Ido Tsushinmo Kk Ds−cdma伝送方法
KR100186627B1 (ko) * 1996-09-21 1999-05-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베이스 밴드 인터리버
JPH1117557A (ja) * 1997-05-01 1999-01-22 Mitsubishi Electric Corp 誤り訂正方法及び誤り訂正装置
US6198733B1 (en) 1998-03-13 2001-03-06 Lucent Technologies Inc. Forward-link sync-channel interleaving/de-interleaving for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closed-form expressions
US6195344B1 (en) * 1998-03-13 2001-02-27 Lucent Technologies Inc. Forward-link traffic/paging-channel de-interleaving for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closed-form expressions
US6198732B1 (en) * 1998-03-13 2001-03-06 Lucent Technologies Inc. Forward-link traffic/paging-channel interleaving for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closed-form expressions
US6295287B1 (en) 1998-03-13 2001-09-25 Agere System Guardian Corp. Reverse-link interleaving for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closed-form expressions
US6185200B1 (en) 1998-03-13 2001-02-06 Lucent Technologies Inc. Reverse-link de-interleaving for communication systems based on closed-form expressions
US6347385B1 (en) * 1998-08-03 2002-02-12 Nortel Networks Limited Interleavers for turbo code
EP1650873B1 (en) 1999-02-26 2011-05-11 Fujitsu Ltd. Turbo decoding apparatus and interleave-deinterleave apparatus
US6772383B1 (en) * 1999-05-27 2004-08-03 Intel Corporation Combined tag and data ECC for enhanced soft error recovery from cache tag errors
US8656246B2 (en) * 2001-04-16 2014-02-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n apparatus for use of codes in multicast transmission
JP3993035B2 (ja) 2001-07-19 2007-10-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ータ記録方法、記録媒体、および再生装置
TWI229334B (en) * 2002-03-15 2005-03-11 Toshiba Corp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US8077743B2 (en) * 2003-11-18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ffset interleaving of vocoder frames
KR20210132784A (ko) * 2020-04-27 2021-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장치 및 메모리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읽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2998A (en) * 1970-03-01 1972-03-28 Codex Corp Interleavers
GB2059723A (en) * 1979-09-19 1981-04-23 Marconi Co Ltd Interleavers for digital data signals
US4394642A (en) * 1981-09-21 1983-07-19 Sperry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leaving and de-interleaving data
US4534031A (en) * 1982-08-02 1985-08-06 News Log International Coded data on a record carrier and method for encoding same
JPH0634306B2 (ja) * 1983-04-15 1994-05-02 ソニー株式会社 インタ−リ−ブ回路
US4559625A (en) * 1983-07-28 1985-12-17 Cyclotomics, Inc. Interleavers for digital communications
US4653051A (en) * 1983-09-14 1987-03-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correcting errors on product codes
US4633471A (en) * 1983-09-19 1986-12-30 Storage Technology Partners Ii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in an optical storage system
JPS60142430A (ja) * 1983-12-28 1985-07-27 Fujitsu Ltd 誤り訂正・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2571A2 (en) 1986-11-26
DE3685255D1 (de) 1992-06-17
JPH0697542B2 (ja) 1994-11-30
JPS61260468A (ja) 1986-11-18
KR860009557A (ko) 1986-12-23
EP0202571A3 (en) 1989-07-05
US4742517A (en) 1988-05-03
EP0202571B1 (en) 1992-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349B1 (ko) 인터리이브회로
EP0117287B1 (en) Method for correcting errors in digital data and system employing such method
US47062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multibyte errors having improved two-level code structure
EP0551973B1 (en) Triple orthogonally interleaved error correction system
EP0864125B1 (en) Data integrity and cross-check code with logical block address
US4907215A (en) Integral optical recording of product code in data areas
KR850006950A (ko) 정보전달 장치 및 그 방법과 디코딩 장치 및 그 방법
US20080288833A1 (en) Method of Recording/Reproducing Digital Data and Apparatus for Same
JP2920065B2 (ja) データ記録方法、記録装置、再生装置及び再生方法
US4107650A (en) Error correction encoder and decoder
KR100255105B1 (ko) 에러정정곱부호블록을생성하기위한데이타처리방법,그데이타를기록매체에기록하기위한데이타처리방법,그데이타처리장치및그데이타가기록된광디스크재생장치
US5717535A (en) Block address integrity check for storage medium
JP3941305B2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US7159166B2 (en) Error correction method, error correction circuit and information-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US5748649A (en) System enabling a magnetic code recorded on a magnetic track to be properly decoded in the form of a binary message
JP3813337B2 (ja) 消失誤り訂正方法とその装置
Reno et al. Optical disc recording at 50 megabits/second
Lee et al. Error control scheme for high-speed DVD systems
Chien et al. Analysis and improvement of photostore error rates
JP2002237756A (ja) 符号化方法、復号方法、符号化回路、復号回路、記憶装置、記憶媒体、通信装置
US20040184611A1 (en) Copy protection of digital data
JP3653315B2 (ja) エラー訂正方法及びエラー訂正装置
Al-Shahrani et al. An efficient multiple-errors and multiple-erasures decoding algorithm for multitrack magnetic recording channels
Nugent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Systems For Optical Disk: Issues Of Media Defect Distribution, Defect Growth, Error Management, And Disk Longevity
JPS6187279A (ja) 復号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1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