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307Y1 - 회전정지 검출기구 - Google Patents

회전정지 검출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307Y1
KR910000307Y1 KR2019860017522U KR860017522U KR910000307Y1 KR 910000307 Y1 KR910000307 Y1 KR 910000307Y1 KR 2019860017522 U KR2019860017522 U KR 2019860017522U KR 860017522 U KR860017522 U KR 860017522U KR 910000307 Y1 KR910000307 Y1 KR 910000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contact
rotating body
contact portion
detection
rotation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75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466U (ko
Inventor
신사꾸 다나가
다다오 아라다
구니오 시로도
Original Assignee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filed Critical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60017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307Y1/ko
Publication of KR8800104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4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Landscapes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회전정지 검출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검출부재의 평면도.
제2도는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의 재생동작을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회전체 주변부의 종단면도.
제4도는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의 빨리보냄 동작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 내지 제10도는 각기 제2실시예 내지 제7도 실시예에 있어서의 검출부재의 평면도.
제11도는 제8도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체와 검출부재와의 관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제12도는 종래예의 리일받이 주변부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체 2 : 환상홈
3, 31, 41, 51, 61, 71, 81, 93 : 검출부재
4, 32, 42, 53a, 53b, 53c, 62, 72, 82, 92 : 탄성접촉부
33a, 33b, 33c : 접촉돌부 83 : 접촉압 유지부재(금속제 스프링)
본 고안은 회전체(예를들면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받이 등)의 회전이 정지했음을 검출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리일받이의 회전이 테이프 종단에서 정지했을 때, 이것을 회전정지 검출기구로 검출하여 자동정지나 자동역전 기구등의 일정한 기구를 동작시키는 것이다.
그 개략 구성을 제12도에 표시한다.
즉, 테이프 레코더의 주기판(10)위에 입설된 리일축(102)에는 리일받이(103)와 하단에 플랜지(104)를 갖는 슬리브(105)의 일체구조물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플렌지(104)의 상면측에는 펠트판(106)을 통하여 기어(107)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기어(107)와 리일받이(103)의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08)이 설치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플랜지(104)의 하면측에는 펠트판(109)을 통하여 판상의 검출부재(11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검출부재(110)와 주기판(10)의 사이에는 압축코일 스프링(111)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어(107)의 하면에는 걸어맞춤돌부(112)가 돌설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모터의 회전력이 기어(107)에 주어지면, 그 회전력은 상면측의 펠트판(106)을 통하여 리일받이(103)에 전달됨과 동시에, 하면측의 펠트판(109)을 통하여 검출부재(110)에 전달된다.
또 도면중 가상선으로 표시한 작동부재(113)를 검출부재(110)에 걸어맞추어, 상기 검출부재(110)의 토크를 작동부재(113)에 부여하여두고, 리일받이(103)가 과잉부하에 의하여 정지했을 때, 검출부재(110)의 토크소실에 의하여 작동부재(113)의 일부가 기어(107) 하면의 걸어맞춤돌부(112)의 회전궤도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리일받이(103)가 정지했을 때 작동부재(113)의 일부가 걸어맞춤돌부(112)의 회전궤도 위로 이동하여 기어(107)의 회전력으로 작동부재(113)를 강력하게 작동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작동부재(113)의 동작을 이용하여 자동정지 기구나 반전기구를 동작하도록 하면, 리일받이(103)의 정지에 따라 이들 소정의 기구가 모터의 회전력으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제12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회전정지 검출기구에서는 검출부재(110)에 리일받이(103)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의 토크를 주기 위하여, 리일받이(103)와 일체로된 플랜지(104)와, 검출부재(110)와의 사이에 펠트판(109)를 설치하며, 또 압축코일 스프링(111)으로 이 검출부재(110)를 상기 플랜지(104) 방향으로 밀어 올리고 있으므로, 축방향의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따라서 축의 크기를 작게하고저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또 단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스프링이나, 펠트판 등의 부품의 생략이 요망되었다.
본 고안은 축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스프링이나 펠트판 등을 생략하여 저렴화를 달성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를 제공코저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축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검출부재를 접촉시켜서 검출부재에 토크를 발생시켜, 그 검출부재의 토크소실에 의하여 회전체의 정지를 검출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에는 상기 회전체에 대하여 원주방향에서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촉부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와 상기 검출부재와의 사이에 접촉압을 발생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검출부재에 형성된 탄성접촉부는 회전체에 탄성접촉하여 회전체와 검출부재의 사이에 접촉압을 발생하고 회전체의 회전에 따라서 검출부재에 회전체의 회전방향과 동일방향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2도중 부호(1)는 테이프 레코더의 리일허브를 장전할 회전체로서의 리일받이 이다.
리일받이인 회전체(1)의 하부 외주에는 제3도와 같은 환상홈(2)이 형성되며, 이 환상홈(2)에 검출부재(3)가 끼워 맞추어져 있다.
검출부재(3)는 제1도에서와 같이 C자형상의 탄성접촉부(4)를 갖는 합성수지 박판제의 것으로, 탄성접촉부(4)의 중앙에서 외측을 향하여 압압부(5)가 돌출되고, 이 압압부(5)에 탄성접촉부(4)의 내면에서 연속한 홈(6)이 형성되어 있다(단, 이 홈(6)은 탄성접촉부(4)의 개구를 벌려주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상기 탄성접촉부(4)는 개구를 벌려주면서 상기 회전체(1)의 환상홈(2)에 끼워진다.
그리고 환상홈(2)내의 외주면과 탄성접촉부(4)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탄성접촉부(4)의 탄성복귀력에 의한 접촉압이 발생하게 되어 있다.
한편 제2도, 제3도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체(1)와 동축적으로 기어(7)가 배치되며, 이 기어(7)의 회전을 펠트판등의 마찰부재(8)을 통하여 회전체(1)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어(7)는 그상면에 걸어맞춤돌부(9)를 가지며, 모터(10)에 의하여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이 기어(7)의 근방위치에는 판상의 작동부재(11)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재(11)는 일단측에 장공(12)을 가지며, 이 장공(12)을 고정핀(13)으로 끼워 맞추어 진퇴 가능하게 또는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작동부재(11)의 하단측에는 상기 회전체(1)의 반대측을 둘러싼 방향으로 만곡연장된 수압부(14)와, 이 수압부(14)에 대향하도록 돌설된 당접부(15)와, 이 당접부(15)의 기부에 연속하여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6) 등이 형성되고 있다.
또 작동부재(11)의 측방에는 전달부재(17)가 배치되며, 상기 장공(12)의 근방에는 걸어맞춤핀(18)이 돌설되며 타단측을 상기 기어(7)의 상면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상기 걸어맞춤핀(18)에는 스프링(19)의 일단을 건너질러 이 스프링(19)으로 작동부재(11)를 상시 전진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그리고 작동부재(11)는 스프링(19)으로 밀은 위치에 있을 때는 회전체(1)가 제2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이 회전체(1)의 회전에 따른 상기 검출부재(3)의 동일방향에의 회전력에 따라 검출부재(3)의 압압부(5)에서 작동부재(11)의 수압부(14)를 상시 밀어 젖힌다.
따라서 작동부재(11)는 제2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나 그 회동량은 당접(15)가 회전체(1)의 외주면에 당접함으로써 제한되어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돌부(9)가 당접부(15)를 밀어 퇴각시키면 상기 피걸어맞춤부(16)는 상기 걸어맞춤돌부(9)의 회전궤도 위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걸어맞춤돌부(9)가 당접부(15)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작동부재(11)는 재차 상기 검출부재(3)에 밀려 제2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고, 피걸어맞춤부(16)는 걸어맞춤돌부(9)의 회전궤도에서 벗어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1)가 회전하고 있는 한 걸어맞춤돌부(9)와 걸어맞춤부(16)의 걸림관계는 회피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제2도에 있어서 부호(20.2, 22)는 각 재생조작부재, 빨리보냄 조작부재, 되돌려감을 조작부재이며, 이들은 걸어붙힘판(23)에 의하여 미는 위치(작동위치)에 유지된다.
걸어붙힘판(23)은 스프링(24)에 의하여 누름조작된 조작부재를 걸어붙히는 방향으로 항상 탄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없는 정지조작부재의 누름조작으로 반탄지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걸어붙힘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걸어붙힘판(23)의 일부에는 연장부(25)가 형성되어, 이 연장부(25)를 상기 작동부재(11)의 측방의 전달부재(17)에 대향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작동부재(11)가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크게 활동할 때는, 이 전달부재(17)에 의해 상기 연장부(25)가 밀어져, 걸어붙힘판(23)이 반탄지 방향, 즉 조작부재에 대한 걸어붙힘 상태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제2도의 부호(26)는 상기 빨리보냄 조작부재(21), 되돌려 감음 조작부재(22)가 모두 누름조작 되었을 때, 이에 눌리워서 전진 이동되는 판상의 가동부재이다.
이 가동부재(26)는 축(27)의 둘레로 회동가능한 연결부재(28)의 일단에 걸어 맞추어져 있고 연결부재(28)의 타단은 상기 작동부재(11)에 형성된 걸어맞춤핀(18)에, 상기 스프링(19)과는 반대측으로부터 대향시켜져 있다.
그러므로, 상기 빨리보냄 조작부재(21) 또는 되돌려감은 조작부재(22) 모두가 누름조작되었을 때, 가동부재(26)는 그 조작부재에 눌리워 전진 이동하고, 연결부재(28)를 통하여 작동부재(11)를 밀어 되돌린다.
이와같이 되면 제4도와 같이 작동부재(11)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16)는 기어(7)에 형성된 걸어맞춤돌부(9)의 회전궤도에서 크게 벗어나, 작동부재(11)는 어떠한 회동위치에 있어서도 벌써 걸어맞춤돌부(9)와 피걸아맞춤부(16)와의 걸림관계는 끊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는, 재생 또는 녹음 동작 모드일 때는, 회전체(1)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는 회전체(1)의 회전으로 검출부재(3)에 발생한 회전력으로 기어(7)의 걸어맞춤돌부(9)와 작동부재(11)의 피걸어맞춤부(16)와의 걸림관계는 회피된다.
그런데 회전체(1)가 정지하여 검출부재의 회전력이 소실하면 상기 걸어맞춤돌부(9)와 피걸어맞춤부(16)가 걸려서 작동부재(11)는 도면중 시계방향으로 크게 회동하고, 걸어붙힘판(23)을 걸어붙힘 해제방향에 이동시켜서 재생조작부재(20)를 누름 위치에서 복귀시켜 정지상태로 된다.
한편 재생 또는 녹음 이외의 동작모드, 예를들면 빨리보냄 조작부재(21)를 눌러서 FF동작모드로 한 경우, 또는, 되돌려 감음 조작부재(22)를 눌러서 반전동작 모드로 했을 경우에는, 작동부재(11)는 비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므로, 회전체(1)의 회전중은 물론, 테이프 종단에서 회전체(11)가 정지했을 때도 걸어맞춤돌부(9)와 피걸어맞춤부(16)의 걸림 관계는 형성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재생 또는 녹음 이외의 동작모드에 있어서 작동부재(11) 등의 존재가 테이프 주행에 악영향을 미치는 사례는 없다.
따라서 설계도 용이하고 저렴화를 기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와 같이 C자형상의 탄성접촉부(4)를 갖는 검출부재(3)를 형성, 탄성접촉부(4)의 개구를 탄성변형으로 밀어 개구시키면서 리일받이에 형성된 환상홈(2) 내에 끼워 맞추어, 그 외주면에 탄성접촉부(4)의 내면을 접촉하도록 함으로, 제12도와 같은 스프링(111) 아니 펠트판(109) 등의 부품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측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생산단가를 절감하게 된다.
다음에 제5도에 표시한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이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는 상이한 형상의 검출부재(3)를 사용한 예이다.
즉, 검출부재(31)는 제5도에서와 같이 C자형상의 탄성접촉부(32)를 갖는 합성수지 박판제의 것이나, 그 탄성접촉부(32)는 양단부와, 그 일방에 편재한 부위와의 3개소에 각각 잡촉돌부(33a, 33b, 33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각 접촉돌부(33a, 33b, 33c)를 회전체(1)의 환상홈(2) 외주면에 탄성 접촉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형상의 검출부재(31)는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하면 극히 유효하다.
즉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좌우의 리일받이가 교호로 감는 측과 공급측이 되나, 리일받이와 검출부재의 사이의 접촉압이 감는 측에는 리일받이의 정지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토크를 발생하는 작용을 하고, 공급측에서는 자기 테이프에 대하여 이른바 복귀장력을 주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검출토크는 리일받이가 정지했을 때, 확실하게 이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어느정도 큰것이 요망됨에 대하여, 복귀장력은 테이프를 구동하는데서 저항력이 되는 부작동도 있으므로 극력 작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리일받이의 회전방향이 변화해도 검출부재에는 항상 일정한 토크만 주는 구조에서는 충분한 검출토크를 얻지 못하거나, 복귀장력이 지나치게 커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고 설계에도 곤란을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도면에서와 같이 중간에 위치한 접촉돌부(33c)가 일방의 돌부(33b)측에 편재하고 있으며, 회전체(1)가 실선화살표 방향에 회전할 때는 접촉돌부(33b)를 환상홈(2)내에 있어서의 회전체 외주에 강하게 접촉시켜서 탄성접촉부(32)에 대하여 개구를 좁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므로, 검출부재(31)에는 비교적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고, 반대로 회전체(1)가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탄성접촉부(32)에 대하여 그 개구를 벌리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므로 검출부재(31)에는 비교적 작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검출부재(31)를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의 좌우 리일받이에 조립한 경우, 큰 토크를 발생시키는 방향이 테이프 감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하므로서, 검출토크와 복귀장력을 소망의 크기로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제6도에 표시한 제3실시예와 제7도에 표시한 제4실시예에 의하여도 제2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제3실시예의 검출부재(41)는 탄성접촉부(42)의 내측에 일정방향성을 가진 다수의 접촉돌부(43)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회전체(11)가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접촉돌부(43)는 환상홈(2) 내에 있어서의 리일받이 외주면에 먹어 들어가도록 작용하여 탄성접촉부(42)에 대하여 그 개구를 좁히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므로, 검출부재(41)에는 비교적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고, 반대로 회전체(1)가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접촉돌부(43)의 먹어들어가는 방향과 반대가 되므로, 검출부재(41)에는 비교적 작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또 제7도에 표시한 제4실시예의 검출부재(51)는 환상체(52)의 내측 등간격 부위에서 일정한 회전방향으로 향하여 3개의 탄성접촉부(53a, 53b, 53c)를 연출시켜 각 탄성접촉부(53a, 53b, 53c)의 선단에 환상홈(2)내에 있어서의 리일받이 외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돌부(54a, 54b, 54c)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회전체(1)가 실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접촉돌부(54a, 54b, 54c)가 환상홈(2) 내에 있어서 리일받이 외주면에 먹어들어가도록 작용하므로, 검출부재(51)에는 비교적 큰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고, 반대로, 회전체(1)가 파선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접촉돌부(54a, 54b, 54c)의 먹어들어가는 방향과는 반대로 되므로, 검출부재(51)에는 비교적 작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3, 제4실시예의 검출부재(41, 51)에 있어서도, 이것을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의 좌우 리일받이에 조립할 경우, 큰 토크를 발생시키는 방향이 테이프 감는 방향과 일치하도록 설정하므로서, 검출토크와 복귀장력을 소망한 크기로 설정할 수가 있는 특별한 효과를 얻게 된다.
특히 제7도에 표시한 제4실시예에서는, 3개의 탄성접촉부(54a, 53b, 53c)가 환상체(5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각 탄성접촉부(54a, 53b, 53c)의 탄성이 약화되지 않는 구조로 됨과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효과도 얻게 된다.
또 탄성접촉부의 내구성을 높일 대책으로서는 제4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8도에 표시한 제5실시예의 검출부재(61)는 C자형상을 이룬 탄성접촉부(62)의 외측을 환상체(63)들로 둘러싼 형상으로 탄성접촉부(62)를 보호하여, 그 내구성을 높인 것이다.
제9도에 표시한 제6실시예의 검출부재(71)는 탄성접촉부(72) 자체를 환상으로 형성하고, 그 내측의 상대한 2개소에 환상홈(2) 내에 있어서의 리일받이 외주면에 접촉한 접촉부(73a, 73b)를 형성한 것으로 탄성접촉부(72) 자체는 환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그 내구성이 높아진다.
제10도는 표시한 제7실시예의 검출부재(81)는 C자형상을 이룬 탄성접촉부(82)에 대체로 같은 형상의 금속제 스프링(83)을 접촉압 유지부재로서 형성하고, 탄성접촉부(82)의 탄성의 약화를 방지하여 그 내구성을 높인 것이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속제 스프링(83)이 탄성접촉부(82)의 탄성을 유지하는 기능과, 회전체(1)에 대한 접촉압을 강화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이상 설명한 제1 내지 제7실시예는, 모두 검출부재측에 탄성접촉부를 형성한 것이었으나, 반대로, 제11도에 표시한 제8실시예와 같이, 회전체(91)측에 탄성접촉부(92)를 형성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 탄성접촉부(92)를 검출부재(93)의 환상부(94) 내주면에 자체의 탄성으로 압접하도록 하면, 상기 실시예와 같이 검출부재(93)에는 회전체(91)의 회전방향과 동일 방향의 토크를 줄 수가 있다.
이상 다수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테이프 레코더의 분야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체의 정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장치에는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측방향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품수를 감소시켜 저렴가로 회전장치 검출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축심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에 검출부재(3, 31, 41, 51, 61, 71, 81)를 접촉시켜서 검출부재(3, 31, 41, 51, 61, 71, 81)에 토크를 발생시켜, 그 검출부재(3, 31, 41, 51, 61, 71, 81)의 토크소실에 의하여 회전체(1)의 정지를 검출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3, 31, 41, 51, 61, 71, 81)에는 상기 회전체(1)에 대하여 원주방향에서 탄성 접촉하는 탄성접촉부(4, 32, 42, 53a-53c, 62, 72, 82)를 형성하여, 상기 회전체(1)와 상기 검출부재(3, 31, 41, 51, 61, 71, 81)와의 사이에 접촉압을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4, 32, 42, 62, 82)는 C자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재(3, 31, 41, 51, 61, 71, 81)는 합성수지 박판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32)는 3개의 접촉돌부(33a, 33b, 33c)에서 회전체에 접촉하고, 중앙의 접촉돌부(33c)에서 양측의 접촉돌부(33a, 33b)까지의 거리를 각각 상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82)의 양단자간에 별도 부재로된 유지부재(83)를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부재로된 접촉압 유지부재(83)는 금속제 스프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접촉부는 원주방향과 동일방향에 연재한 3 이상의 탄성접촉부(53a, 53b, 53c)로 구성되며, 각 탄성접촉부의 선단부를 상기 회전체(1)에 탄성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정지 검출기구.
KR2019860017522U 1986-11-10 1986-11-10 회전정지 검출기구 KR910000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522U KR910000307Y1 (ko) 1986-11-10 1986-11-10 회전정지 검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7522U KR910000307Y1 (ko) 1986-11-10 1986-11-10 회전정지 검출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66U KR880010466U (ko) 1988-07-27
KR910000307Y1 true KR910000307Y1 (ko) 1991-01-18

Family

ID=1925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7522U KR910000307Y1 (ko) 1986-11-10 1986-11-10 회전정지 검출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100003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466U (ko) 1988-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50016B2 (ko)
US4225893A (en) Cleaner for a playing head of a cassette player
CA1094680A (en) Cleaner for a playing head of a cassette player
KR960010030B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조그장치
KR910000307Y1 (ko) 회전정지 검출기구
KR900007310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KR930006067B1 (ko) 차단기구
US4975790A (en) Tape recorder have reel stop detecting mechanism
US4603358A (en) Auto-revers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150984B2 (ko)
KR900002064Y1 (ko) 회전 정지 검출기구
JPH0433565Y2 (ko)
KR100209476B1 (ko)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US5308016A (en) Tape transport with differential torque between takeup and feed reels
KR0116960Y1 (ko) Vcr의 브레이크 장치
JPH031741B2 (ko)
KR100279210B1 (ko) 테이프덱브레이크장치
JPH042434Y2 (ko)
KR0133879Y1 (ko) 기록/재생장치의 릴
JPH0235646A (ja) テープ終端検出装置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KR910001555Y1 (ko) 테이프 주행장치의 자동 정지장치
JPS5928524Y2 (ja) 検出機構
KR890006619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릴 브레이크 장치
GB2223121A (en) Auto-stop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7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