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0122B1 -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0122B1
KR910000122B1 KR1019870014187A KR870014187A KR910000122B1 KR 910000122 B1 KR910000122 B1 KR 910000122B1 KR 1019870014187 A KR1019870014187 A KR 1019870014187A KR 870014187 A KR870014187 A KR 870014187A KR 910000122 B1 KR910000122 B1 KR 910000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ervice
function
function mode
sig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301A (ko
Inventor
백제인
김덕환
홍현하
경문건
이형호
박주열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 통신공사
이우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한국전기 통신공사, 이우재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870014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10000122B1/ko
Priority to JP63297226A priority patent/JPH02159898A/ja
Publication of KR890011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301A/ko
Priority to US07/469,231 priority patent/US50919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0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02Details
    • H04J3/12Arrangements providing for calling or supervisory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07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using a stored programm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제1도는 종래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의 다른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 기능 제공의 동작 수행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도.
본 발명은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교환기에서 호접속 진행에 필요한 신호를 제공하는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교환기의 서비스 기능중에서 호접속 진행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신호서비스 기능들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의 신호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신호서비스 장치는 통화로의 연결이라는 교환기의 본질적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하여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 기능중에는 개개의 중계선 통화로를 통해서 신호가 교환되는 개별선 신호방식(Channel Associated Signaling)에서 교환국간의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R2MFC(R2Multi-Frequency Compelled)신호의 송수신 기능이 있으며, 푸쉬버튼 가입자로부터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의 수신기능과 교환기에서 전화기로 호의 접속진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각종 가청신호음(Audible Tome)송신기능 등이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최근에는 새로이 소개된 교환국간 신호방식으로서 중계선 통화로와는 별도로 공통의 전용신호로를 통하여 교환국간 신호교환이 이루어지는 공통선 신호방식(Common Channel Signaling)이 사용됨에 따라 개별선 신호방식에서는 중계선 통화로와 신호로가 동일하기 때문에 신호절차 자체에 의해서 통화로의 정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공통선 신호방식에서는 중계선 통화로와 신호로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될 교환국간의 중계선 통화로에 대해서 정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속성 시험음(Continuity Check Tone)의 송수신 기능도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교환기에서 신호서비스장치는 신호서비스 기능이 제공되는 대상에 따라 가입자선에 제공되는 가입자선 신호서비스장치(1)와, 중계선에 제공되는 중계선 신호서비스장치(2)로 구성되며, 각각의 신호서비스장치는 이중화로 구성되고 제어장치(10)로부터 제어를 받아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며 서비스되는 신호는 시분할 스위치(3)와 송수신되어 각 서비스 대상에 제공된다.
제1(a)도의 중계선 신호서비스장치(2)는 다주파 신호를 수신하는 다주파 수신회로(4)과, 다주파 신호의 송신 및 중계선용 가청신호음을 제공하는 다주파 송신회로(5)과, 공통선 신호방식을 사용하는 통화로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연속성 시험음 송수신 회로팩(6)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b)도의 가입자선 신호서비스 장치부(1)는 DTMF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푸쉬버튼 수신회로팩(7)과, 가입자선에 각종 신호음을 제공하는 가청음 송신회로팩(8)과, 회의 통화 기능을 수행하는 회의 회로팩(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중계선 및 가입자선 신호서비스장치(2),(1)는 신호서비스를 제공하는 회로팩과 별도로 제어장치(10)와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회로팩(1)과, 시분할 스위치(3)와의 PCM(Pulse Code Modulation)신호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이웨이 회로팩(12)과 망동기클럭 공급장치(13)로부터 신호 서비스장치(1),(2)내에 신호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구성되는 각각의 회로팩(4),(5),(6),(7),(8),(9)들은 공통적으로 하이웨이 회로팩(12)과 신호서브 하이웨이가 연결되어 PCM 신호데이타가 송수신되고 제어회로팩(11)으로부터는 대개의 회로팩(4),(5),(6),(7)이 제어를 받지만 가입자선 신호서비스장치(1)내의 가청음 송신회로팩(8)과 회의회로팩(9)은 독자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교환기내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조에서, 가입자선 신호서비스장치(1)내의 가청음 송신회로팩(8)은 제어를 받지 않고 회로팩 자체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가청신호음에 대한 서비스의 규격과 형태를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과, 중계선 신호서비스장치(2)의 다주파 신호송신 회로팩(5)내에 다주파 신호와 가청신호음 송신기능을 함께 구현함에 따라 다주파 신호나 가청신호음에 관한 규격변경에 따른 회로팩의 설계시 영향을 받으며 양 서비스 기능중에서 하나의 서비스 기능이 고장시에도 회로팩 전체에 영향을 주고 서비스 기능을 중단을 초래하는 문제점과, 신호서비스를 구성하는 회로팩(4),(5),(6),(7),)(8),(9)은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때에도 신호서비스를 제공해주기 위해 사용되는 주변 회로팩(11),(12),(14)중에서 하나의 회로팩이라도 고장이 발생하면 전체의 신호서비스 기능이 중단되는 문제점과, 신호서비스 장치(1),(2)가 서비스 대상에 따라 다르게 구현되고 신호서비스장치(1),(2)를 구성하는 회로팩의 종류수가 많으며, 신호 서비스장치(1),(2)가 이중화되었기 때문에 교환기내에서의 신호서비스장치(1),(2)가 차지하는 점유면적이 증대되어 생산성과 경제성이 저하되고 제어방식이 복잡하며 유지 보수와 운용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제2도는 또 다른 종래 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조도로써 교환기에서 스위칭 모듈(인터페이스 모듈)내의 신호 서비스장치(15)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신호서비스장치(15)는 모듈제어장치(16)로부터 제어 인터페이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제어를 받아 호처리에 필요한 R2MFC신호와 DTMF신호, 연속성 시험음 및 가청신호음 등의 신호음을 발생해서 시분할 스위치(17)로 보내는 신호송신회로팩(18)과, 시분할 스위치(17)로부터의 R2MFC신호와 DTMF신호등의 신호음을 수샌해서 검출하는 신호 수신 회로팩(19)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팩(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서비스장치(15)내에 신호송신 회로팩(18)은 32채널 용량의 신호서비스를 수행함으로 교환국에 따른 트래픽과 서비스 용량에 부응해서 필요한 회포잭의 수를 구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상기 제어회로팩(20)은 모듈제어장치(16)와 시분할 스위치(17)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2개의 신호 서비스장치(15)가 부하 분산화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교환기내의 신호서비스장치(15)는 신호서비스를 위한 회로팩의 구성이 신호송신회로팩(18)과 신호수신회로팩(19)으로 구분되어 있어서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절대적으로 필요로 하는 R2MFC신호와 연속성 시험음을 서비스하기 위해 항상 신호송신회로팩(18)과 신호수신회로팩(19)을 구비해야 하고 제어회로팩(20)은 동시에 신호송신회로팩(18)과 신호수신 회로팩(19)을 제어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어방식의 복잡하며 서비스 용량의 확장과 새로운 기능의 추가시에 신호송신 회로팩(18)과 신호수신회로팩(19)을 모두 수정하여야 하므로 경제성과 운용성면에서 비효율적이며 신호서비스장치(15)가 부하 분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트래픽이 많은 교환국에서 교환기내의 신호서비스장치(15)가 부하 분산화되어 있기 때문에 신호트래픽이 많은 교환국에서 교환기내의 신호서비스장치(15)가 차지하는 점유면적이 증대되며, 신호서비스장치(15)내에 신호서비스의 송수신 기능에 대한 자체시험을 위해 신호서비스 장치내의 각종 회로팩이 항상 연동해서 사용되므로 유지보수 기능이 어렵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인바, 여러 종류의 신호서비스 기능을 교환기내에서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규격과 서비스 기능의 특성이나 수행절차 및 제공형태 등을 고찰하여 교환기의 구조와 신호서비스 기능의 이용빈도 및 신호서비스 기능간의 관련성등을 고려하여 전자교환기내에서 신호서비스 기능을 효율적으로 제공해주기 위한 신호서비스 장치를 개발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장치 구성도로서 신호 서비스장치(20),(20a)는 동일 종류의 범용회로팩(21),(21a),(22),(22a),(23),(23a)만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회로팩은 R2MFC신호와 DTMF신호, 연속성 시험음 및 가청신호음에 대한 신호서비스 기능모두에 대하여 제어장치(24),(24a)부터 제어를 받아 신호를 발생해서 스위치 네트워크(25)로 송출하는 기능과 스위치 네트워크(25)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검출, 판별하는 기능등의 시간지연없이, 실시간(Real Time)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일화된 범용회로팩(21),(21a),(22),(22a),(23),(23a)은 제어장치(24),(24a)와의 접속기능과, 스위치 네트워크(25)와의 PCM신호서브 하이웨이 접속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R2MFC신호와 DTMF신호, 연속성 시험음 및 가청신호음 등의 서비스 기능중의 임의의 기능에 대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신호서비스를 위해서 범용회로팩(21),(21a),(22),(22a),(23),(23a)의 동작은 각 기능의 서비스 특성에 따라 서로 유사한 부류로 구분된 3가지의 기능 모드 그룹과 각각의 서비스 기능별로 구분된 5가지의 기능모드를 갖는다.
3가지의 기능 모드 그룹은 R2MFC신호, DTMF신호 및 연속성 시험음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음 송수신 기능모드 그룹(21),(21a)과 신호의 송신 기능만을 필요로 하는 가청신호음을 제공하기 위한 가청음 송신 기능모드 그룹(22),(22a), 신호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위해서 여분의 회로팩을 실장하였을 경우에 서비스 기능수행을 대기중인 대기용 기능모드(23),(23a) 등이다.
그리고 5가지의 기능모드는 R2MFC송수신 기능모드, DTMF 송수긴 기능모드, 연속성 시험은 송수신 기능모드, 가청음 송신기능 모드, 대기용 기능모드 등이다.
상기 3그룹의 기능동작모드를 구비한 범용회로팩(21),(21a),(22),(22a),(23),(23a)이 사용됨에 따라 신호서비스장치(20)는 3그룹의 기능모드에 부응하는 각각의 범용회로팩(21),(21a),(22),(22a),(23),(23a)을 구비한 구조로 구현하였고, 제어장치(24),(24a)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서 2개의 신호서비스 장치(20),(20a)가 부하 분산화된 구조로 구성하였는바 가청신호음의 경우는 이 신호음을 통하여 교환기의 응답을 가입자에게 직접 전달하기 때문에 서비스 품질에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중요성에 따라 부하분산화된 양쪽의 신호서비스장치(20),(20a)에 모두 범용회로팩(22),(22a)은 서로 독립적으로 신호서비스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개의 PCM신호 서브하이웨이를 통해서 스위치 네트워크(25)와 신호를 송수신하며, 부하 분산화된 2개의 제어장치(24),(24a)중의 어느 하나로부터 제어를 받는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서비스 장치(20),(20a)를 구성하는 각 범용회로팩(21),(21a),(22),(22a),(23),(23a)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도로서 범용회로팩(21)∼(23a)이 신호서비스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과정은 다음과 같다.
R2MFC신호와 DTMF신호, 연속성 시험음 및 가청신호음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과 대기음의 기능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들 5가지의 서비스 기능모드별로 프로그램을 모듈화하고 신호서비스 특성에 따라 상기 3가지의 기능모드 그룹으로 나누어서 범용회로팩(21)∼(23a)이 초기화된 후에(단계 30) 상기 3가지의 기능모드 그룹중에서 하나의 기능모드 그룹을 선택해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단계 31).
상기 각 기능모드 그룹중에서 가청신호음 송신 기능모드 그룹과 대기용 기능모드 그룹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각각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면서(단계 32),(단계 33) 기능모드 그룹 변경여부를 검사하여(단계 34),(단계 35)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이 없으면 본래의 선택된 기능모드 그룹으로 동작으로,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이 발생시에는 변경된 기능모드 그룹을 선택해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며, 반면에 신호음 송수신 기능모드 그룹으로 선택된 경우에는 다시 R2MFC송수신 기능모드와 DTMF송수신 기능모드 및 연속성 시험을 송수신 기능모드 중에 하나의 기능모드를 선택해서(단계 36) 각기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면서(단계 37),(단계 38),(단계 39) 기능모드 그룹변경 여부를 검사하여(단계 40)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이 없으면 본래의 선택된 신호음 송수신 기능모드 그룹에서 다시 R2MFC송수신 기능모드, DTMF송수신 기능모드 및 연속성 시험음 송수신 기능모드 중에 하나의 기능모드를 선택해서(단계 36) 각기 기능을 수행하고(단계 37,38,39)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이 발생시에는 변경된 기능모드 그룹을 선택해서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며, 이와 같은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단계 34,35,40)은 서비스 기능 수행중에 제어장치(24),(24a)로부터 제어에 따라 이루어지며 서비스 기능 수행중에 기능모드를 바꾸어서 새로운 기능모드로 선택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신호서비스장치(20),(20a)내에 대기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기용 범용회로팩(23),(23a)을 구비하여 신호서비스 기능을 수행중이던 범용회로팩(21),(21a),(22),(22a)에 고장이 발생하면 서비스를 제공하던 서비스 기능에 관계없이 제어장치(24),(24a)로부터 기능모드그룹 지정정보를 받아서 서비스 기능을 대신해서 수행하게 되며 고장이 발생된 범용회로팩이 정상으로 복구되면 복구된 범용회로팩이 대기용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범용회로팩(21)∼(23a)의 사용으로 가청신호음을 제외한 모든 신호 서비스 기능에 대해서 회로팩내의 자체 시험이 가능하고 시험 결과를 손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신호서비스장치(20),(20a)구조는 부하 분산화된 신호서비스장치(20),(20a)중에서 한쪽에 고장이 발생하여도 다른 한쪽의 신호서비스장치로써 계속 신호서비스 기능이 가능하고 부하 분산화된 신호서비스장치(20),(20a)별로 전용의 제어장치(24),(24a)가 사용됨에 따라 한쪽의 제어장치에 고장이발생하여도 나머지 제어장치가 양쪽의 신호서비스장치(20),(20a)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서비스 장치가 부분적으로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신호서비스 기능이 지속될 수 있으며, 범용 회로팩(21)∼(23a)단위로 고장이 나는 경우에는 여기에 해당되는 서비스 용량만 감소된 상태에서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신뢰도가 높은 장점이 있으며, 범용회로팩에 지정된 신호서비스 기능이 불필요하고, 서비스를 요구하는 필요한 용량에 따라 자동적으로 해당신호서비스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신호서비스 종류별로 별도의 신호서비스 용량을 계산할 필요가 없이도 신호서비스 용량이 자동적으로 최적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한종류의 범용회로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신호서비스 기능의 추가와 용량의 확장이 용이하고 교환국의 설계시 다른 회로의 추가 변경없이 신호트래픽에 따라 필요한 용량의 범용회로팩 개수만을 변경시키므로써 해당되는 신호서비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신호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하고 앞으로 교환기가 대용량화되고 수용용량이 분산 모듈화 되어가는 추세에 융통성있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스위치 네트워크와 제어장치 및 신호서비스 장치를 구비한 전자교환기의 신호서비스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네트워크(25)에 PCM신호서브 하이웨이를 통하여 공통으로 연결된 부하분산용 2개의 신호서비스장치(20),(20a)에 각각 전용의 제어장치(24),(24a)를 연결하되, 각 신호서비스장치(20),(20a)에는 서비스의 수행절차에 따라 각 신호서비스 장치(20),(20a)에는 서비스의 수행절차에 따라 R2MFC신호와 DTMF신호 및 연속성 시험음을 제공하기 위한 신호음 송수신 기능모드용 범용회로팩(21),(21a)과, 신호의 송신기능만을 필요로 하는 가청신호음을 제공하는 가청음 송신기능 모드용 범용회로팩(22),(22a)과, 신호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위해 서비스 기능 수행을 대기하는 대기용 기능모드용 범용회로팩(23),(23a)을 각각 보유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신호서비스장치(20),(20a)는 범용회로팩(21)∼(23a)을 초기화하는 단계와, 가청음 송신기능모드 그룹과 대기용 기능모드 및 신호음 송수신 기능모드 그룹중 어느 서비스기능 모드인가를 선택하는 단계와, 가청음 송신기능모드 그룹 또는 대기용 기능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각각의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와, 서비스 기능을 수행한 다음에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 여부를 확인하여 계속 서비스기능을 수행하거나 서비스 기능모드를 선택하도록 하는 단계와, 신호음 송수신 기능모드 그룹이 선택된 경우에는 다시 R2MFC와 DTMF 및 연속성 시험음중 어느 송수신 기능모드인가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기능모드를 수행하는 단계와, 기능모드를 선택한 다음에 상기의 기능모드 그룹의 변경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들에 의하여 신호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 장치.
KR1019870014187A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KR910000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187A KR910000122B1 (ko)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JP63297226A JPH02159898A (ja) 1987-12-11 1988-11-26 電子交換機の汎用信号サービス装置
US07/469,231 US5091904A (en) 1987-12-11 1990-01-24 General signaling service unit of electronic switch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4187A KR910000122B1 (ko)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01A KR890011301A (ko) 1989-08-14
KR910000122B1 true KR910000122B1 (ko) 1991-01-21

Family

ID=19266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187A KR910000122B1 (ko) 1987-12-11 1987-12-11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91904A (ko)
JP (1) JPH02159898A (ko)
KR (1) KR9100001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420B1 (ko) * 1992-12-14 1996-09-20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전전자 중계 교환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호 처리 방법
KR960040039A (ko) * 1995-04-03 1996-11-25 김주용 디지탈 이동통신 교환기 (msc)의 가청 톤 전용 신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206474B1 (ko) * 1997-02-26 1999-07-01 윤종용 클럭발생장치의 상태 및 이중화 관리방법
US6233237B1 (en) * 1998-02-02 2001-05-15 3Com Corporation Method and protocol for connecting data calls using R2 signaling
JPH11355869A (ja) * 1998-06-05 1999-12-24 Nec Corp 大容量電子交換装置及び方法
US6449286B1 (en) * 1998-09-10 2002-09-10 Rockwell Semiconductor Systems, Inc. R2 multi-frequency compelled signalling using a DSP on a network termination card
KR100386556B1 (ko) * 1999-05-28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의 회로팩 이력관리 방법
US7499532B2 (en) * 2003-08-11 2009-03-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to a caller on a telephone network by superimposing an audible information message over a dial tone
CN101465693B (zh) * 2008-12-17 2011-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在微波系统中发射/接收信号的方法及装置
WO2010149216A1 (en) * 2009-06-26 2010-12-29 Nokia Siemens Networks Oy Wake up procedure for a base sta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9563A1 (fr) * 1976-07-22 1978-02-17 Lannionnais Electronique Central de telecommunication temporel
US4146749A (en) * 1977-09-16 1979-03-27 Wescom Switching, Inc. Telecommunications network having multi-function spare network block
FR2513468B1 (fr) * 1981-09-18 1986-02-14 Cit Alcatel Dispositif de defense d'un autocommutateur a commande repartie
CN86101707B (zh) * 1985-02-13 1988-12-14 日本电气株式会社 分布控制式电子交换系统
JPS6348993A (ja) * 1986-08-18 1988-03-01 Sanyo Electric Co Ltd デイジタル信号発生器
JPS6361594A (ja) * 1986-09-01 1988-03-17 Hitachi Ltd 信号送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301A (ko) 1989-08-14
US5091904A (en) 1992-02-25
JPH02159898A (ja) 1990-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9555A (en) Cellular high capacity mobile radiotelephone system with fleet-calling arrangement for dispatch service
JP3860500B2 (ja) 多重回線電話通信に対する分散制御交換ネットワーク
JP4008941B2 (ja) 分散交換ネットワークに対する同報通信システム
KR910000122B1 (ko) 전자교환기의 범용신호 서비스장치
US5533024A (en) Radio channel selection method and system
US4356563A (en) Automatic digital telephone exchange
US5333187A (en) Switching system for electronic switcher
JPS596696A (ja) 分散制御電話交換のためのモジユ−ル型自己経路選定pcm切替回路網
US6373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CAMA interface in PCX system
KR100260401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보코더 성능 시험 방법
KR100321441B1 (ko) 교환기의 중계선 감시 기능 수행 방법
GB210390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unction check of peripheral units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2255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디바이스 이중화 장치
JP2564955B2 (ja) 加入者線試験方式
JP3048293B2 (ja) 移動通信交換装置
JPS6093868A (ja) デ−タテレホン端末試験装置
JP3003286B2 (ja) 制御チャネル切替え機能を備えた移動無線システム
KR920007490B1 (ko) 전자교환기용 범용신호 송수신 회로팩의 신호서비스 방법
JPH088587B2 (ja) 移動通信パケット交換システム
JPS595796A (ja) 遠隔局制御交換方式
KR20020009222A (ko) 교환기에서의 중계선 링크 자동 감시방법
JPS60140957A (ja) 回線交換機用網間接続方式
JPS6234449A (ja) デイジタル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局間信号方式
JPS61245755A (ja) 共通線信号方式
JPH01136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2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