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700675A - 직물특성을 물처리에 의해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직물특성을 물처리에 의해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700675A
KR900700675A KR1019890702415A KR890702415A KR900700675A KR 900700675 A KR900700675 A KR 900700675A KR 1019890702415 A KR1019890702415 A KR 1019890702415A KR 890702415 A KR890702415 A KR 890702415A KR 900700675 A KR900700675 A KR 900700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luid
primary
yarn
i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2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2697B1 (ko
Inventor
스털리브 허셀
시겔 조디엠.
미카엘 그린웨이 존
Original Assignee
프란시스제이. 클락
베라텍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란시스제이. 클락, 베라텍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란시스제이. 클락
Publication of KR900700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0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6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9/00Finishing or dressing, of textile fabric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8/00Needling machines
    • D04H18/04Needling machines with water 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물특성에 물처리에 의해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직조 및 편성직물의 물처리에 의한 특성향상을 시키는 경사스트레이트너(weft straightener), 플랫(flat) 및 드럼 물처리 특성향상모듈(drum hydroenhancing modules) 및 텐터프레임(tenter frame)을 비롯한 생산라인의 개략단면도.
제2A도는 제2B도는 제1도의 플랫 및 드럼물처리특성향상 모듈에 각각 사용하는 메쉬플레인위브리지지부재(mesh plain weave support members)36×29 90° 40×40 45°의 10배 크기사진.
제2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에 의한 물처리특성향상 전후에 미세한 폴리에스테르 직조직물 10배 크기사진.

Claims (41)

  1. 크로스 오버 포인트(Cross-over points)에서 교차되는(intersect) 스펀(spun) 및/또는 ; 스펀필라멘트얀(spun filament yarns), 1차면과 2차면 (firsts and second sides)을 구성하며 데니어(deniers) 및 길이가 각각 0.3~16.0 및 0.5~8인치의 범위이며 얀카운트(yarn counts)가 0.5s~80s의 범위인 얀섬유(yarn fibers)를 구성한 직물을 가공처리하여 특성향상처리를 하는 방법에 있어서, 1차지지부재(first support member)상에 그 직물을 지지시키고, 상기 직물의 1차면을 크로스오버포인트에서 상기 얀을 엉기게 하는 충분한 처리기간동안 연속적인 1차유체막으로 통과시켜 직물커버와 품질특성을 향상시키고, 상기 유체막이 에너지 0.1~2.Ohp-hr/1b로 상기 직물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하는 처리공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막은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간격 약 0.017인치, 상기 1차 지지부재로부터의 간격 약 0.5인치의 주상유체젯오리피스(columnar fluid jet orifices)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유체젯은 상기 직물을 유체압력 약 1500psi로 충격을 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1차방향으로 배열되고, 밀접한 간격의 유체투과성 개방영역의 패턴(pattern)을 구성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유체가 통과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의 약 17~40%로 점유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서, 상기 특성향상직물을 2차 지지부재상에 지지시켜, 직물커버(fabric cover)의 특성을 더 향상시켜 균일한 직물가공을 하는 충분한 기간동안 연속적인 2차 유체막으로 2차직물 특성향상처리단계에서 상기 특성향상직물의 2차면을 통과시키고, 상기 2차 특성향상처리단계에서는 상기 직물을 에너지 0.1~2.Ohp-hr/lb의 범위에서 충격을 가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체막은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 간격 약 0.017인치의 주상유체젯(columnar fluid jets) 각각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유체막을 상기 1차 및 2차 지지부재에서 약 0.5인치의 간격으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유체젯은 상기 직물을 유체압력 약 1500psi로 충격을 가하도록 하고, 상기 1차 및 2차 지지부재는 각각 1차 및 2차방향으로 각각 배열되고, 밀접한 간격으로 구성된 유체투과성 개방영역의 패턴을 구성하며, 상기 개방영역은 직물에 패턴효과를 제공함이 없이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유체가 통과하도록 한 크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1차 및 2차지지부재 각각의 약 17-40%를 점유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지지부재는 각각 평형 및 드럼형 구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지지부재는 드럼형구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방향은 약 45로 오프셋(offset)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방향은 약 45로 오프셋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처리공정상에서의 직물특성향상처리를 한 다음에는 장력하에 특정너비로 특성향상처리를 한 직물을 건조시키는 공정을 더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3. 제6항의 방법으로 얻어진 특성향상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데니어와 길이가 각각 0.3~16 및 0.5∼8인치의 범위, 드레드카운트(thread counts) 0.5s~80s의 얀섬유를 구성하며, 그 직물위브(fabric meavre)에서의 그 얀 크로스 오버포인트는 간개방영역(間開放領域 : interstitial open areas)을 구성하며, 여기서 그 프로세스는 그 간개방영역에서의 얀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직물커버의 특성을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14.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특성향상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데니어와 길이가 각각 0.5~6과 0.5~8인치이고 드레스카운트가 0.5s-50s의 범위인 얀섬유를 포함하며, 그 직물위브에서의 얀 크로스오버포인트는 간개방영역을 구성하고, 여기서 그 프로세스는 간개방영역에서의 얀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직물커버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직물의 공기투과도 10~90%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15. 제6항의 방법에서 얻어진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폴리에스테르 직조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조직물에는 2데니어, 1.9인치 폴리에스테르섬유를 포함하며, 개방-엔드 면 방적사(open-end cotton spun yarn)는 얀넘버(yarn number)17s, 얀카운트인치당 49×23을 가지며, 그 프로세스에서는 직물에서의 공기투과도 약 48%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6.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직물특성을 향상시킨 아크릴직조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서는 3데니어, 1.5인치의 섬유를 포함하며, 얀넘버 9s, 인치당 28엔드(ends), 3데니어, 3인치아크릴섬유를 가진 개방-엔드면 경사얀을 포함하고, 얀넘버 4s. 1인치당 16픽(picks)을 가진 개방-엔드 우울 스펀 필 얀(open-end wool spun fill yarn)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스에서는 그 직물에서의 공기투과도 약 36%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직물.
  17.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아크릴제 랩스펀직물(wrap spun fabric)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3데니어, 3.0인치의 아크릴섬유를 포함하며, 얀넘버 4s, 얀카운트 인치당 14×16의 폴리에스테르제 00데니어 텍스쳐드얀을 가진 랩스펀(wrap spun)을 포함하고, 그 프로세스에서는 그 직물의 공기투과도 약 65%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18.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은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아크릴제 직조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3데니어, 1.5인치 아크릴섬유를 포함하며, 얀넘버 9s, 인치당 28엔드(ends), 3데니어, 3인치 아크릴섬유, 중공의 경사 스펀필얀, 4s, 인치당 16픽(picks)을 가진 1인치당 6연사(twists)를 가진 개방-엔드면 스펀경사얀을 포함하며, 그 프로세스에서는 그 직물의 공기투과도 약 48''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직물.
  19.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아크릴 직조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3데니어, 1.5인치 아크릴섬유를 포함하며, 얀넘버 4s, 인치당 14엔드, 3데니어 3인치 아크릴섬유를 가진 개방-엔드 우울스펀경사얀을 포함하고, 얀넘버 2.6s, 인치당 16픽을 가진 개방엔드우울스펀필얀을 포함하고, 그 프로세스에서는 그 직물에서의 공기투과도 약 48%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0.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직조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2×1 투윌위브(twile weave)에서 80% 우울/20% 나일론을 포함하며, 그 프로세스에서는 그 직물에서의 공기투과도 약 49.5%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1.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직물특성을 향상시킨 53%폴리에스테르/47%면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3×1 트윌위브, 트레드카운트 120엔드×38픽업을 포함하며, 그 프로세스에서는 직물의 공기투과도 약 50.6%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2.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50%폴리에스테르/50% 면 2중직 직물에 있어서, 상기 직물에는 100데니어 폴리에스테르경사를 가진 경사방적사를 포함하며, 그 프로세스에서는 그 직물의 공기투과도 약 16%의 감소를 발생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3.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직조 또는 편성직물에 있어서, 크로스오버포인트(cross-over points)에서 교차시켜 간개방영역(interstiltial open areas)을 구성하는 스펀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구성시켜, 상기 얀에는 데니어와 길이가 각각 0.5∼6 및 0.5∼5인치인 섬유를 포함하며, 상기 얀은 0. 1~2.0hp-hr/lb의 범위의 유체에너지를 사용하여 상기 간개방영역내에서 유체에 의해 엉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4. 제23항에 의한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직조 또는 편성직물에 있어서, 상기 얀은 면(cotton)으로 방적(spu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5. 제23항에 의한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직조 또는 편성직물에 있어서, 상기 얀은 랩(wrap)으로 방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6. 제23항에 의한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직조 또는 편성직물에 있어서, 상기 얀은 우울(wool)로 방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27. 복합직물을 형성하며 그 직물에는 크로스-오버포인트에서 서로 교차되는 얀을 포함하는 구성패턴에서 방적사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는 직조 또는 편성직물을 물처리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직물의 1차 및 2차면을 냅핑(napping)시켜 그 표면섬유를 돌출시키며, 반대로 겹쳐 성층이 되게 상기 1차 및 2차표면을 배열시키고, 그 성층직물을 지지부재상에서 지지시키며, 상기 성층직물의 한쪽면을 상기 1차 및 2차 표면에서 상기 돌출면섬유를 엉키도록 하는 충분한 기간동안에 연속적인 1차 유체막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유체막은 0.1~2/0 hp-hr/lb의 에너지레벨로 상기 직물에 충격을 가하는 공정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막은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간격 약 0.017인치의 주상유체젯오리피스(columnar fluid jet orifices)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유체막은 유체압력 약 1500psi으로 상기 직물에 충격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는 1차방향으로 배열되고 밀접한 간격으로 구성된 유체가 통과하는 개방영역의 패턴을 포함시켜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유체가 통과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지지부재의 약 17-40%를 차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2차지지부재상에서 상기 성층직물을 지지시켜, 상기 성층직물의 다른쪽 면을 2차직물 엉킴단계에서 연속적인 2차 유체막으로 이동시켜 균일한 복합직물을 접합, 가공시키며, 상기 2차 직물엉킹단계에서는 상기 성층직물을 0.1~2.0hp-hr/lb의 에너지로 충격을 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유체막은 직경 약0.005인치, 중심-중심 간격 약 0.017인치의 주상유체젯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유체젯은 약 1500psi의 유체압력으로 상기 직물에 층격을 가하며, 상기 1차 및 2차지지부는 각각 1차 및 2차방향으로 배열되고, 밀접한 간격에서 유체가 투과될수 있는 개방영역의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영역은 상기 직물에 패턴효과를 골고루 제공함이 없이 상기 지지부재를 통하여 유체가 통과되도록 하는 크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3.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킨 직조 또는 편성복합직물에 있어서, 크로스-오버포인트에서 서로 교차되는 얀의 구조적인 패턴에서 방적사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직물층을 구성시키며, 상기 직물층에는 표면섬유를 돌출시킨 1차 및 2차 냅표면(napped surfaces)를 포함하며, 상기 냅표면은 서로 대향지게 설정할수 있도록 배열시켜 상기 1차 및 2차표면에서 상기 돌출표면섬유를 엉키도록 함으로써 동적유체에너지에 의해 서로 접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직물.
  34. 방적사 및/또는 스펀필라멘트얀을 포함하고, 크로스-오버포인트에서 서로 교차되는 얀과, 1차 및 2차측면을 포함하는 직조 및 편성직물을 가압유체젯으로 충격을 가함으로써 상기 직물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가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1차 특성향상스테이션(first enhancing station)을 포함하는 생산라인을 통해서 종방향("MD")으로 상기 직물을 이동시키며, 상기 직물을 상기 1차 특성향상스테이션에 설정시키는 1차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컨베이어 장치(conveyor means)와; 유체막을 가하는 상기 1차 지지부재에서 상기 직물의 1차측면으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고압유체젯을 분사하는 다수의 밀접한 간격으로 구성한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유체막수단(curtain means)과 상기 1차지지부재와 공동작동을 하여 그 크로스오버포인트에서 직물얀을 엉키도록 하여 직물커버의 특성을 향상시키며 균일한 가공을 그 직물에 제공하도록 하는 상기 유체막장치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오리피스에는 직경 약 0.005인치, 중심-중심간격 약 0.17인치의 주상구조(columnar configuration)를 구비하고, 에너지 약 0. 1~2.0hp-hr/lb를 상기 직물에 제공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젯은 약 1500psi의 스프레이압력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제2 특성향상스테이션(second enhancing station)과, 상기 직물을 설정시키며 상기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생산라인상에서 이동하는데 지지시키는 2차 지지부재와, 상기 직물의 2차 측면에 유체막을 직진시키는 상기 2차 지지부재에서 간격을 둔 2차 유체막 장치를 구성시키며, 상기 2차 유체막장치에는 고압유체젯을 분사하는 다수의 밀접한 간격으로 형성된 2차 오리피스를 구비하여 그 직물의 특성을 더 향상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체막은 각각 에너지 약 0.1~2.0 hp-hr/lb를 상기 직물에 제공시킴을 특징으로하는 상기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2차지지부재는 유체를 통과시킬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생산라인의 종방향에 대하여 바이어스(bias)되게 배열한 개방영역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유체막장치는 상기 1차 및 2차지지부재에서 약 0.5인치의 간격으로 떨어지게 구성되며, 상기 유체젯은 약 1500psi의 스프레이압력을 가지며, 컨베이어장치속도는 약 180fpm임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및 2차 지지부재는 각각 일반적으로 평형 및 원통형 구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90702415A 1988-04-21 1989-04-14 직물의 수처리식특성개량방법, 그 장치 및 특성개량된 직물 KR94000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435088A 1988-04-21 1988-04-21
US184,350 1988-04-21
PCT/US1989/001593 WO1989010441A1 (en) 1988-04-21 1989-04-14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0675A true KR900700675A (ko) 1990-08-16
KR940002697B1 KR940002697B1 (ko) 1994-03-30

Family

ID=2267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2415A KR940002697B1 (ko) 1988-04-21 1989-04-14 직물의 수처리식특성개량방법, 그 장치 및 특성개량된 직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412099B1 (ko)
JP (1) JP3212595B2 (ko)
KR (1) KR940002697B1 (ko)
CN (1) CN1031079C (ko)
AT (1) ATE142290T1 (ko)
AU (1) AU3544189A (ko)
CA (1) CA1313453C (ko)
DE (1) DE68927102T2 (ko)
ES (1) ES2010941A6 (ko)
RU (1) RU2043434C1 (ko)
WO (1) WO19890104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5733A (en) * 1984-09-28 1993-08-17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atterning fabrics and products
US5080952A (en) * 1984-09-28 1992-01-14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Hydraulic napping process and product
US5136761A (en) * 1987-04-23 1992-08-1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US5066535A (en) * 1987-05-01 1991-11-19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Fabric patterning process and product
US5142752A (en) * 1990-03-16 1992-09-01 International Paper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textured nonwoven fabric
NZ254632A (en) * 1992-07-27 1997-02-24 Procter & Gamble Textured laminated pad, comprising a paper layer and a synthetic fiber non-woven layer, for use in topical applications
GB9602313D0 (en) * 1996-02-06 1996-04-03 Courtaulds Eng Ltd Nonwoven fabric manufacture
GB2313851B (en) * 1996-02-06 1998-12-02 Courtaulds Eng Ltd Nonwoven fabric manufacture
CN1195624C (zh) * 1999-06-25 2005-04-06 美利肯公司 起绒织物及其加工方法
JP2002235263A (ja) * 2001-02-08 2002-08-23 Unitica Fibers Ltd 防風性に優れたソフトな風合いの編物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05007757A1 (de) * 2005-02-18 2006-08-31 Fleissner Gmbh Vorrichtung zur Musterung und Verfestigung einer Warenbahn mit austauschbarer Musterschale
JP5520091B2 (ja) * 2010-03-10 2014-06-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積層体処理装置
CN102701133B (zh) * 2012-06-27 2014-10-29 际华三五三四制衣有限公司 一种自动棉胎生产流水线
DE102016119480A1 (de) * 2016-10-12 2018-04-12 TRüTZSCHLER GMBH & CO. KG Düsenbalken für die Bearbeitung von Fasern mit Wasserstrahlen
RU2682810C1 (ru) * 2017-12-08 2019-03-21 Лариса Александровна Соболева Узел соединения войлочного застила с тканью, элементы конструкции узла и способ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13358855B (zh) * 2021-08-11 2021-10-22 南通永盛汇维仕纤维新材料有限公司 一种低熔点聚酯长丝粘结性检测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739652A (en) * 1966-08-02 J. Evans Franklin Jet stitching of batt
US3873255A (en) * 1971-01-27 1975-03-25 Johnson & Johnson Apparatus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
US3747161A (en) * 1971-08-20 1973-07-24 Johnson & Johnson Method for producing a rearranged fabric having improved cross-strength
JPS5411433A (en) * 1977-06-28 1979-01-27 Hitachi Maxell Alkaline cell
JPS5735051A (en) * 1980-08-06 1982-02-25 Mitsubishi Rayon Co Three dimensional nonwoven structure reinforced by base cloth and method
AU1570083A (en) * 1982-06-11 1983-12-15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Surface treatment
JPH0673445B2 (ja) * 1984-08-31 1994-09-21 麒麟麦酒株式会社 酒類の製造法
IL76495A (en) * 1984-09-28 1990-09-17 Milliken R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uring fabrics
JPS61252339A (ja) * 1985-04-30 1986-11-10 東レ株式会社 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544189A (en) 1989-11-24
CN1031079C (zh) 1996-02-21
EP0412099A1 (en) 1991-02-13
JP3212595B2 (ja) 2001-09-25
ATE142290T1 (de) 1996-09-15
JPH03504990A (ja) 1991-10-31
RU2043434C1 (ru) 1995-09-10
EP0412099B1 (en) 1996-09-04
EP0412099A4 (en) 1991-04-10
ES2010941A6 (es) 1989-12-01
KR940002697B1 (ko) 1994-03-30
CA1313453C (en) 1993-02-09
DE68927102T2 (de) 1997-02-13
CN1040070A (zh) 1990-02-28
WO1989010441A1 (en) 1989-11-02
DE68927102D1 (de) 199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674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EP055626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
US58061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finishing of continuous filament fabrics
KR900700675A (ko) 직물특성을 물처리에 의해 향상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US6253429B1 (en) Multi-vane method for hydroenhancing fabrics
US3494821A (en) Patterned nonwoven fabric of hydraulically entangled textile fibers and reinforcing fibers
US3498874A (en) Apertured tanglelaced nonwoven textile fabric
US3788936A (en) Nonwoven laminate containing bonded continuous filament web
US5657520A (en) Method for tentering hydroenhanced fabric
US3434188A (en) Process for producing nonwoven fabrics
JPS62117863A (ja) パタ−ンつきコツトン不織布
US3353225A (en) Process of forming nonwoven fabric with opposed jets
US3537945A (en) Nonwovens from bulk-yarn warps
US6671936B1 (en) Method of fabricating fibrous laminate structures with variable color
EP0132028B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cotton fabrics having a patterned structure
US6701591B2 (en) Diaphanous nonwoven fabrics with improved abrasive performance
US5425162A (en) Method and apparatus to create an improved moire' fabric
JPH08269855A (ja) 伸縮性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RU1804512C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 нетканого материала
JP2023143243A (ja) 不織布製造用支持体
MXPA9700964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ydraulic finishing of telasfilamento
JPS61225361A (ja) 繊維層被設織物の製造方法
JPH0730644U (ja) 農業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