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1097Y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1097Y1
KR900011097Y1 KR2019860007328U KR860007328U KR900011097Y1 KR 900011097 Y1 KR900011097 Y1 KR 900011097Y1 KR 2019860007328 U KR2019860007328 U KR 2019860007328U KR 860007328 U KR860007328 U KR 860007328U KR 900011097 Y1 KR900011097 Y1 KR 9000110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orizontal
soil
retaining wall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3575U (ko
Inventor
도오 에이 지 구
Original Assignee
교와 콘크리도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구 도오 사까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와 콘크리도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구 도오 사까에 filed Critical 교와 콘크리도 고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135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35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10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0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옹벽용 블록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정면도.
제3도는 저면도.
제4도는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병용하는 블록의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시공상태를 표시한 사시도.
제8는 종단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평부 2 : 경사부
3 : 측벽부 4 : 돌기
5 : 걸림요부 6 : 받침부
7 : 요부
본 고안은, 쌓아올렸을 때 앞부분이 개방되고, 내부에는 토사가 충전되어 초목을 심어기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블록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런 종류의 녹화블록이 존재해왔다.
그 일예로서는, 수평부의 전단에 앞쪽이 올라가는 경사부를 설치하고, 수평부와 경사부에 걸쳐서 상면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2개의 종벽(終壁)이 설치되고, 그 뒤쪽에는 배면벽(背面壁)을 형성한 것이며, 시공시에는 인접한 블록의 수평부와 경사부를 대맞추는 동시에 위로 쌓아 올림으로서, 경사부의 앞쪽이 개방되는 상태가 되어, 그 내부에 토사를 충전하여 여기에 초목을 심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것은, 토사를 충전하는 공간이 독립해있고, 블록 하나하나에 토사를 충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구조에 따라서는 내부에 물이 고이게 되어, 뿌리가 썩을 우려도 있었다. 또한 앞쪽의 경사부는 시공을하면 경사부가 연장방향으로 연속하게 되어 전체가 외관상 단조롭게 되었으며 토사를 충전하는 공간이 작아서 자연히 토사의 충전량도 적게되어, 뿌리를 넓게 잡는 큰 초목은 심을 수 없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것은, 일정한 길이의 수평부의 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올라가는 경사부를 설치하고 그들의 양단에는 측벽부를 한몸체로 설치하고 그 측벽부는 수평부보다 다소 뒤쪽으로 기다랗게 형성하여 그 상면에는 돌기를 하면에는 그 돌기와 대칭위치에 걸림요부를 형성하고, 측벽부의 바깥쪽에는 수평부의 연장 선상에 받침부와 뒤쪽에는 요부를 형성한 것으로서 이를 시공할려면, 제1단 부분은 인접한 블록 사이를 다소 간격을 두어서 다수 병열하고 제2단부 부터 윗부분은 그 2개의 블록에 걸쳐서 상단의 1개의 블록을 돌기와 걸림요부를 걸어 맞춰서 순차적으로 쌓아 올리는 것이다.
이렇게 쌓아 올리면 수평부의 뒤쪽은 옹벽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생기므로 쌓아 올린 위쪽으로부터 토사를 충전하면 하부에 까지 충전하게 된다. 따라서 수분도 정체 하는 일이 없어 뿌리를 썩게 하는 일도 발생하지 않고, 토사도 다량으로 충전할 수 있음으로 어느정도 큰 초목의 식생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그 구조를 도면에 따라 설명토록 한다. (1)은 일정한 길이의 수평부이며, 이에 잇따라서 전단에는 앞쪽이 올라가는 경사부(2)가 형성되어 있다.
(3)은 수평부(1)과 경사부(2)의 양단에 한 몸체로 설치된 측벽부이며 수평부(1)보다 다소 뒤쪽으로 기다랗게 설치되어 있다.
(4)는 측벽부(3)의 상면에 설치된 돌기이다. (5)는 측벽부(3)의 하면에 설치된 걸림 요부이며 돌기(4)와 대칭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쌓아올릴 때 하부 블록의 돌기(4)에 걸어 맞추게 된다. (6)은 측벽부(3)(3)의 바깥에 설치된 받침부이며 수평부(1)의 연장선상에 설치되어 있다.
(7)은 받침부(6)의 뒤쪽에 설치된 요부이다.
(8)은 필요에 따라 병용하는 블록이며, 수평부(1)과 경사부(2)와 동일단면의 수평부(1')와 경사(2')로 되는 것이다.
(9)은 충전하는 토사이다. (10)은 그 기초가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임으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단부의 블록은, 기초(10)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블록을 재치하고, 잇따라 제1단부는 제1단부의 블록 2개의 걸쳐서 1개를 블록의 걸림요부(5)(5)를, 제1단부의 인접 블록2개의 돌기(4)(4)에 걸어맞추도록 쌓아 올리고, 제3단부 이상도 순차적으로 이와 같이 쌓아올리는 것이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인접 블록의 받침부(6)과 요부(7)에 병용하는 블록(8)의 수평부(1')를 재치하여 걸어 맞추는 것이다. 또 쌓아 올린 블록 내부에는 토사(9)를 충전, 토사(9)에다 초목을 심는 것이다. 본 고안의 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쌓아 올리게 됨으로, 쌓아 올려진 블록의 상부로부터 토사(9)를 충전하면 수평부(1)의 뒤쪽은 옹벽면과의 사이에 공간이 생겨 토사(9)는 아래바닥까지 낙하함으로 토사의 충전이 용이하여 토사(9)는 상하 블록전체의 토사가 일체로 되므로 불필요한 수분은 아래쪽으로 침투하여 배출되고, 필요이상의 수분은 저장되지 않게 되어 식물의 뿌리부폐가 발생하지 않으며 쌓아 올린 블록 내부에는 블록 2개분 크기의 공간이 생겨서 토사(9)를 대량 저장할 수가 있으며, 토사(9)는 상하의 것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정도 큰 초목류의 식생도가능하고, 그 식물의 뿌리 부분은 하부좌우 블록에도 침입하게 되어 견고한 옹벽이 이루어진다.
또한, 본 고안의 블록은 상하가 돌기(4)와 걸림요부(5)가 서로 걸러 맞추어져 있으므로, 전후좌우로부터 외압을 받더라도 단일블록이 섣불리 튀어 나오는 일이 없으며, 또 하중은 피라밑형으로 분포되므로 견고한 옹벽을 구성할 수 있고, 돌기(4)와 걸림요부(5)의 걸림맞춤으로 쌓아 올릴수가 있어서 시공할 때 이렇다할 기술은 필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를 달성한다.
더욱이, 식물의 종류에 따라 작은 공간이 필요할때는 블록(8)을 제7도에 표시한 제1단, 최상단의 모양과 같이 인접블록의 받침부(6)와 요부(7)에 가설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일정한 길이의 수평부(1)의 전단으로부터, 앞쪽으로 올라가는 경사부(2)를 설치하고, 그들의 양단에는 측벽부(側壁部)(3)(3)을 한몸체로 설치하며 당해 측벽부(3)는 수평부(1)보다 다소 뒤쪽으로 기다랗게 형성하고, 그 상면에는 돌기(4)를, 하면에는 그 돌기(4)와 대칭위치에 걸림요부(傑琳凹部)(5)를 형성하고, 측벽부(3)(3)의 바깥쪽에는, 수평부(1)의 연장선상에 받침부(6)와 그 뒤쪽에 패임부(凹部)(7)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블록.
KR2019860007328U 1986-02-04 1986-05-26 옹벽용 블록 KR90001109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15056U JPH0410285Y2 (ko) 1986-02-04 1986-02-04
JP15056 1986-0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3575U KR870013575U (ko) 1987-09-09
KR900011097Y1 true KR900011097Y1 (ko) 1990-12-15

Family

ID=30805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328U KR900011097Y1 (ko) 1986-02-04 1986-05-26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0285Y2 (ko)
KR (1) KR900011097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15064C2 (de) * 1977-04-04 1984-12-13 Fortuna-Werke Maschinenfabrik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m Fertigen von Schuhen
JPS6032444U (ja) * 1983-08-05 1985-03-05 共和コンクリ−ト工業株式会社 緑化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10285Y2 (ko) 1992-03-13
KR870013575U (ko) 1987-09-09
JPS62129449U (ko) 198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47695A (en) Soil filled wall
US4521138A (en) Building blocks
US4684294A (en) Retaining wall construction element
US4193718A (en) Earth retaining wall of vertically stacked chevron shaped concrete blocks
US4281473A (en) Landscaping bed divider
USRE39922E1 (en) Segmental retaining wall system
US4968186A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system and method of making same
ATE49787T1 (de) Element zum erstellen begruenbarer steilboeschungen.
US4244665A (en) Structural element system
US20040182038A1 (en) Protruding planter block for retaining wall
KR900011097Y1 (ko) 옹벽용 블록
ATE55435T1 (de) Schallschutzmauer.
JP2872660B1 (ja) 篭シート及びそれにより構築した擁壁
KR102263635B1 (ko) 수직벽 녹화장치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JPH052669Y2 (ko)
JPS602256Y2 (ja) 護岸用ブロツク
JP2003147788A (ja) 擁壁ブロック
JPH0728181Y2 (ja) ふとん籠
JP2767397B2 (ja) 魚巣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を使用した護岸体
JP2980582B2 (ja) 擁壁工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擁壁用ブロック
JPS6323474Y2 (ko)
KR200299544Y1 (ko) 옹벽용 조립식 블록
KR100208064B1 (ko) 비닐하우스의 구조
GB2093884A (en) Set of prefabricated parts for constructing noise-damping wa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3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