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996Y1 -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996Y1
KR900009996Y1 KR2019900012357U KR900012357U KR900009996Y1 KR 900009996 Y1 KR900009996 Y1 KR 900009996Y1 KR 2019900012357 U KR2019900012357 U KR 2019900012357U KR 900012357 U KR900012357 U KR 900012357U KR 900009996 Y1 KR900009996 Y1 KR 900009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ring bar
bite
main body
changing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23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규
Original Assignee
강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870001765A external-priority patent/KR880009721A/ko
Application filed by 강대규 filed Critical 강대규
Priority to KR20199000123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9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3Boring heads
    • B23B29/034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 B23B29/03403Boring heads with tools moving radially, e.g. for making chamfers or undercuttings radially adjustable before starting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29/00Details of boring bars or bor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04Adjustabl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부분 절개 조립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공작물의 가공상태도로서,
a도는 본체의 바이트 고정홈 일측면에 고정시킨 기준가공경으로 가공할 경우,
b도는 기준가공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공할 경우,
c도는 기준가공경보다 큰 직경을 가공할 경우를 각각 나타내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맞춤편
3 : 바이트 4, 8 : 호형면
5 : 쥠쇠 6 : 고정홈
9, 9', 10, 10', 11 : 멈춤나사
본 고안은 보오링바(Boring Bar)가 고정되는 주측대가 상, 하 , 좌, 우로 움직일 수 없는 보오링머시인으로 차량의 하우징과 같은 정밀가공부를 가공할때 보오링바아의 바이트를 조정하여 정확한 가공경을 얻을 수 있는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보오링바아를 이용하여 정밀부품을 가공함에 있어 가공경의 미세한 치수조정을 할 수 없어 공작물의 허용공차 범위내로 가공할 수 없으므로 제품의 불량률이 높아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는등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일본 실용신안공개소 57-122303호의 경우에는 조정나사에 의하여 공구의 미조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공구자체에 조정나사의 선단이 직접 가압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장시간 사용시엔 공구와 조정나사의 선단이 맞닿게되는 표면에 흠이나 결함이 발생하게되고 공구미조정의 본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하게 되며, 따라서 공구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폐단 및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트의 외주면에 위치한 죔쇠 일측에 형성된 호형면이 외접되게 본체의 고정홈에 삽입하여 멈춤나사로 고정하고 본체의 돌출맞춤핀을 보오링바아의 맞춤공에 끼우고 볼트공에 볼트를 체결형성하여 오로이 머시인의 보오링바가 맞춤공과 돌출맞춤핀에 의하여 본체의 중심이 동심이 되도록 하고 이에 의하여 가공시 떨림을 방지할 수 있어 정밀한 가공면을 얻을 수 있으며, 바이트자루의 외주면에 호형면이 형성된 죔쇠를 양측으로 기울어지게 멈춤나사로 고정할 수 있게하여 차량의 하우징과 같은 정밀부품의 가공부를 소정의 정확하고 정밀한 가공경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바이트엔 멈춤나사의 일측선단이 직접적인 가압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구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죔쇠에 의한 바이트의 협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가공후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는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돌출맞춤핀(2)을 갖는 본체(1)의 외주연에 고정볼트공(7)을 천공하고 타측에는 본체(1)의 고정홈(6)에 바이트(3)를 끼우고 멈춤나사(9)(9')(10)(10')(11)로 고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 통상의 가공경 조정장치에 있어서, 바이트(3)의 양측에는 호형면(4)을 형성하고, 상기 호형면(4)에 외접하도록 호형면(8)을 갖는 죔쇠(5)를 양측에 삽입하여 상기 멈춤나사(9)(9')(10)(10')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미설명부호로서 12는 보오링바아, 13은 보오링바아(12)의 맞춤공, 14는 본체(1)를 보오링바아(12)에 고정하기위한 보울트, 15는 바이트(3) 선단의 팁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오링바아(12)의 맞춤공(13)에 본체(1)의 맞춤핀(2)을 끼워 보오링바아(12)의 중심선과 본체(1)의 중심선이 일치되어 동심이 되도록 하고 본체(1)의 고정볼트공(7)에 보울트(14)를 끼워넣고 보오링바아(12)와 본체(1)를 체결고정형성한 다음 미도시된 보오링머시인의조작판을 조작하여 보오링바아(12)를 회동시켜 보오링바아(12)와 본체(1)의 중심선이 일치된 동심상태로 작동시키면 진동 및 떨림이 발생될 염려가 없고, 따라서 소재가공시 정밀도가 높은 가공면을 얻을 수 있으며, 이때 제3a도의 본체(1)의 타단고정홈(6)에 바이트(3)의 호형면(4)에 죔쇠(5)일측의 호형면(8)이 외접되게 삽입하여 고정홈(6)의 양측에 멈춤나사(9)(9')(10)(10')를 고정하여 본체(1)의 중심선에 일치시킨 상태를 보여준다.
제3a도의 도시한 상태의 가공경보다 작은 가공경으로 가공해야할 경우에는 전면의 멈춤나사(9')와 후면의 멈춤나사(10)를 적당하게 푼 다음 후면의 멈춤나사(10')와 전면의 멈춤나사(9)를 조여 제3b도와 같이하여 소정의 가공경치수를 조정할 수 있으며 반대로 제3a도의 상태의 가공경 보다 큰 가공경으로 가공해야할 경우에는 상기의 방법으로 전면의 멈춤나사(9)와 후면의 멈춤나사(10')를 적당하게 푼 다음 후면의 멈춤나사(10)와 전면의 멈춤나사(9)를 조여 제3c도와 같이 소정의 가공경치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주측대가 고정된 기준의 보오링머신을 사용하여 차량의 하우징과 같은 정밀부품을 소정의 가공경으로 허용공차범위내로 절삭할 수 있어 정밀도가 높고 상호 교환성이 좋으며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바이트엔 멈춤나사(9 )(9')(10)(10')의 일측선단이 직접적인 가압접촉이 이루어지지 않고 죔쇠(5)를 거쳐 간접적으로 가압되므로 죔쇠(5)에 의한 바이트(3)의 협지가 확실하게 이루어져 장시간 사용후에도 바이트(3)엔 결함이 발생되지 않고 사용수명이 크게 연장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동시에 필요한 경우엔 죔쇠(5)만 교체하면 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등의 우수한 효과를 갖는 고안인것이다.

Claims (1)

  1. 일측엔 본체(1)의 외주연에 고정볼트공(7)을 천공하고 타측에는 본체(1)의 고정홈(6)에 바이트(3)를 끼우고 멈춤나사(9)(9')(10)(10')(11)로 고정할 수 있게 이루어진 통상의 가공경 조정장치에 있어서, 바이트(3)의 양측에는 호형면(4)을 형성하고, 상기 호형면(4)에 외접하도록 호형면(8)을 갖는 죔쇠(5)를 양측에 삽입하여 상기 멈춤나사(9)(9')(10)(10')로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하는 보오링바아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KR2019900012357U 1987-02-28 1990-08-16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KR900009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12357U KR900009996Y1 (ko) 1987-02-28 1990-08-16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70001765A KR880009721A (ko) 1987-02-28 1987-02-28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KR2019900012357U KR900009996Y1 (ko) 1987-02-28 1990-08-16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1765A Division KR880009721A (ko) 1987-02-28 1987-02-28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9996Y1 true KR900009996Y1 (ko) 1990-10-29

Family

ID=26627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2357U KR900009996Y1 (ko) 1987-02-28 1990-08-16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9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41299C (en) Drill tool assembly
BR9506424A (pt) Conjunto de ferramenta cortante
US7758286B2 (en) Insert-indexable tool
US4101239A (en) Boring tool provided with a pair of separately adjustable cutters
GB2228695A (en) Internal cutting tool and holder
JP2557675Y2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機構
US4242018A (en) Boring tool
KR900009996Y1 (ko) 보오링바 공구의 가공경 조정장치
US2669890A (en) Boring bar
US4545705A (en) Insert retaining apparatus
DE59701384D1 (de) Verbindung zwischen einem Schneidenhalter und einem Werkzeugträger eines Ausdrehkopfes
JP2003039265A (ja) 工作物位置決め用治具
GB2002273A (en) Cutting tool
US3974571A (en) Sine bar
ES264346U (es) "dispositivo de fijacion y posicionamiento de correderas sobre un soporte, en particular en maquinas herramientas".
KR0149786B1 (ko) 터릿에 장착되는 내경공구홀더의 위치조정장치
KR940005643Y1 (ko) 보오링 바이트의 돌출길이 조정장치
KR910009107Y1 (ko) 프로 파일(profile)연마기용 지그
JPS5856108Y2 (ja) カイテンカツタ−トリツケグ
JPH0623377Y2 (ja) 微調整機構を備えた転削工具
JP2872712B2 (ja) 切削工具の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のクランプ構造
JPH0623607A (ja) 切削工具用ホルダ
SU1465179A1 (ru) Резцова головка
JP2500434Y2 (ja) 切削工具
GB124646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older for a cutting tool b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