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9468Y1 -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 Google Patents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468Y1
KR900009468Y1 KR2019880003229U KR880003229U KR900009468Y1 KR 900009468 Y1 KR900009468 Y1 KR 900009468Y1 KR 2019880003229 U KR2019880003229 U KR 2019880003229U KR 880003229 U KR880003229 U KR 880003229U KR 900009468 Y1 KR900009468 Y1 KR 9000094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power
transistor
overloa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070U (ko
Inventor
조성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3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468Y1/ko
Publication of KR89002007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07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4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4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제 1 도는 종래의 회로도.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21-R25 : 저항 Q21-Q23 : 트랜지스터
MICOM : 마이콤
본 고안은 위성방송 수신기의 폴라로타(Polarotar)구동부 및 안테나 구동부의 직류전원공급회로에 있어서 과부하시 전원공급 차단회로에 관한것으로써 특히 과부하시 일정전류이상을 마이콤에서 체크한 후 상기 체크신호에 의해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입력전원의 공급을 신속히 차단하고 세트의 손상을 제거할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성방송수신기의 폴라로타 구동부와 안테나 구동부는 DC전원을 공급받게 되는데 과부하가 걸렸을시 전압 및 절류를 차단시켜야 세트를 보호 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다.
종래의 과부하시 전류 및 전압 차단회로로 제 1 도와 같이 구성하여 왔는데 과부하가 걸렸을 때 출력전압단(Vo)의 전압을 다운시켜 출력전류(Io)를 일정한 정격이상으로 흐르지 못하게 하였다.
동작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입력전압단(Vi)에 소정전원이 인가되면 저항(R0, R4, R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가 온된다.
일단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저항(R3)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므로 트랜지스터(Q1)는 온이 된다.
트랜지스터(Q1)가 온되면 출력전압은 입력전압과 같게 되어(Vo=Vi)부하를 통하여 전류가 흘러간다.
이때 일정한 전류이상이 흘러가면 저항(R1)에 의해서 전압강하가 생기고, 또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에미터(VCE)간의 전압이 증가되어 출력전압단(Vo)의 전압을 줄어들게 된다.
상기 출력 전압단(Vo)의 전압이 줄어들게 되면 다이오드(D1)가 도통되고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전압도 줄어들게 되어 트랜지스터(Q2)가 오프된다.
이때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트랜지스터(Q1)은 오프된다.
다시 트랜지스터(Q1)오프에 의해 입력전압단(Vi)의 전압은 저항(R, R4, R5)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를 다시 온시킨다.
이렇게 반복하는 중에 일정한 전류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세트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트랜지스터(Q1)가 오프되면 저항(R4, R5)을 통하여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전압이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가 온되는데, 상기 트랜지스터(Q1)가 다시 온되어 출력 전압단(Vo)에 전압이 나타나 일정한 전류로 유지시켜주는 것은 부하가 쇼트되었을때에도 일정한 전류를 계속 공급하는 경우가 되므로 세트에 손상을 입히는 결과를 초래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과부하시 일정 전류이상이 전류가 흐르면 마이콤이 체크하여 전원차단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전원공급을 완전히 차단하여 세트의 손상을 제거할수 있는 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공급되는 전원을 패스함과 동시에 과부하 상태의 일정 전류이상의 흐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 감지수단의 출력상태에 따라 전원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마이콤과, 상기 감지수단을 통한 전원을 받아 세트에 공급하여 상기 마이콤의 출력신호인 제어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세트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전원공급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고안에 따른 회로도로써 전원입력단(Vi)에 트랜지스터(Q21)의 에미터를 연결하고 상기 전원입력단(Vi)노드와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간 저항(R21)을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콜렉터에 전류제어저항(R22)를 연결하여 상기저항(R22)에 제너다이오드(Z1)를 연결하여 상기 제너다이오드(Z1)의 출력이 마이콤(Micom)의 입력단으로 입력되도록 연결한다.
상기저항(R21)과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 연결노드(10)에 트랜지스터(Q22)의 베이스를 저항(R23)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트랜지스터(Q22)의 에미터를 직접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2)의 콜렉터 구동전원출력단(Vo)에 세트의 전원공급단이 연결한다.
상기 마이콤(Micom)의 출력단(Out)에 저항(R25)을 통해 트랜지스터(Q23)의 베이스를 연결하며 상기 트랜지스터(Q23)의 콜렉터로부터 저항(R24)을 접속하여 상기 트랜지스터(Q22)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제 2 도의 구성과 같은 파워(Power)트랜지스터(Q22)의 대개가 마이콤(Micom)에 의해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본 고안도 마이콤(Micom)의 제어에 의해 과부하시 과부하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에 따라 입력되는 전압을 제너다이오드(Z1)에 의해 적정 레벨로 읽어들여 위성방송 수신기의 폴라로타 및 안테나 구동부를 과부하 전원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사용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콤(Micom)의 출력단(Out)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로우"이면 트랜지스터(Q23)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2)도 오프가 되어 출력단(Vo)의 전압과 전류(Io)는 0가 된다.
이때 저항(R21)에 흐르는 전류도 0가 되어 저항(R21)에 걸리는 전압이 0이되고 트랜지스터(Q21)가 오프되어 마이콤(Micom)의 입력단(Iin)으로 입력되는 신호는 "로우"가 된다.
마이콤(Micom)는 입력단(Iin)의 신호를 소정 타임으로 체크하여 입력신호에 따라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하여 출력단(Out)으로 적정 제어신호를 발생된다.
즉 마이콤(Micom)은 입력포트를 통해 입력단(Iin)의 상태를 입력한후 프로그램상에 세팅된 데이터와 비교 검색에 의해 처리한후 소정 제어신호를 발생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세트에서 전원을 필요하지 않는 경우가 되며, 세트에서 전원을 필요로 할 때 세트에 전원공급을 위한 사용자의 스위치조작 및 명령어를 입력하면(도시하지 않았음) 마이콤(Micom)에서 상기 스위치 및 명령어를 체크하여 마이콤(Micom)의 출력단(Out)으로 "하이"를 출력하며 트랜지스터(Q23)이 온되어 트랜지스터(Q23)의 콜렉터가 "로우"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22)를 온시킨다.
이때 출력단(Vo)의 출력전압은 입력전원단(Vi)의 전압과 거의 일치되며, 전류(Io)는 부하가 RL이라 할 때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저항(21)에 걸리는 전압은가 된다.
정상상태에서 출력 트랜지스터(Q22)의 온된 통로를 흐르므로 저항(R21)에 걸리는 전압이가 되어 0.7V 보다 적으므로 트랜지스터(Q21)를 오프되어 마이콤(Micom)의 입력단(Iin)는 계속 "로우"가 되어 마이콤(Micom)이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과부하시 저항(R21)을 통해 과대 전류가 흐르게 되면 상기 과대 전류로 인해 트랜지스터(Q21)의 에미터와 베이스간 걸리는 전압은 0.7V보다 크게되어 트랜지스터(Q21)를 온시켜 마이콤(Micom)의 입력단(Iin)으로 "하이"를 인가하게 되는데 이때 전류제어 저항(R22)와 제너다이오드(Z1)에 의해 TTL레벨 "하이"상태인 5V정도로 입력된다.
마이콤(Micom)은 상기 "하이"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여 마이콤(Micom)의 출력단(Out)으로 "로우"를 출력하면 트랜지스터(Q23)는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2)를 오프 시킨다.
이때 출력단(Vo)의 출력은 0V로 전류의 흐름이 차단된다.
이때 저항(R21)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21)은 오프되어 마이콤(Micom)의 입력단(Iin)에는 "로우"가 입력되어 과부하에 따라 잔원을 차단하여 세트를 보호할수 있다.
상기 과부하를 제거하고 전원키를 누르면 마이콤(Micom)의 출력단(Out)의 상태가 다시 "하이"가 되어 트랜지스터(Q22,Q23)을 온시켜 전원을 공급하고 트랜지스터(Q21)은 오프이므로 마이콤(Micom)의 입력단(Iin)은 "로우"를 인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과부하시 전류 및 전압을 완전히 차단하여 세트의 손상을 방지하고 마이콤에 의해 제어되어 신뢰성이 높고 보호회로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의 이점이 있다.

Claims (5)

  1. 시스템 전원공급 파워 스위칭 회로를 구비한 위성방송 수신기의 폴라로타와 안테나 구동부의 과부하시 전원차단 회로에 있어서 상기 위성방송수신기의 폴라로타 및 안테나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파워스위칭회로에 전원공급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과부하에 따른 신호를 검색하여 전원공급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전원공급제어신호를 드라이빙하여 상기 파워 스위치회로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드라이브수단과 상기 전원공급 파워 스위칭회로에 입력공급전원을 전달하고 과부하에 따른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수단과 상기감지수단의 출력에 따라 스위칭되어 상기 제어수단으로 과부하에따른 신호를 공급하는 센스 스위칭 수단과 상기 센스스위칭 수단 출력 전압을 낮춰 상기 제어수단이 읽어 들일수 있도록 변환하는 변환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제어수단이 고정 기본데이타를 내장하여 입력되는 값에따라 비교하여 처리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제어장치가 마이콤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수단이 상기세트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감지되도록 저항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변환수단이 상기 제어수단의 과부하에 따른 감지신호변환을 제너효과에 의해 얻어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2019880003229U 1988-03-11 1988-03-11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KR9000094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29U KR900009468Y1 (ko) 1988-03-11 1988-03-11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3229U KR900009468Y1 (ko) 1988-03-11 1988-03-11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070U KR890020070U (ko) 1989-10-05
KR900009468Y1 true KR900009468Y1 (ko) 1990-10-12

Family

ID=1927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229U KR900009468Y1 (ko) 1988-03-11 1988-03-11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46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351B1 (ko) * 1997-11-13 2005-07-07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과부하 보호기능을 갖는 펄스폭 변조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070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9493A (en) Multiple power supply system
KR100286509B1 (ko) 전력트랜지스터용 제어 전극 디스에이블 회로
US4695915A (en) Short circuit and overload protection circuit for output stage transistors
US5543996A (en) Protective circuit for protecting transistor from thermal destruction
KR900009468Y1 (ko)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USRE33941E (en) Power driver having short circuit protection
US5548462A (en) Protective circuit
KR0147950B1 (ko)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US5091816A (en) Procedure and device for overload and short-circuit protection of output drivers
KR970000787B1 (ko) 위성방송수신기의 엘.엔.비.용 전원 보호회로
JP2755391B2 (ja) 過電流保護回路
KR0154824B1 (ko)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갖는 전류제한 보호회로
JPH0795247B2 (ja) 直流電源装置
KR100265668B1 (ko) 인버터 회로의 과전류 검출 회로
KR0119365Y1 (ko) 전원 차단 제어 장치
KR19980026204A (ko) 과전류 차단장치
KR100226626B1 (ko) 과전류 보호회로
JPS5928936B2 (ja) 光電スイッチ
JPH0611011U (ja) 電源回路
JP2604403Y2 (ja) 電流制限トランジスタ回路
KR840001276Y1 (ko) 정전압 회로의 전압판별회로
JP3475546B2 (ja) Mosfetの駆動回路
KR890006235Y1 (ko) 전원차단회로
KR910002763Y1 (ko) 온. 오프 제어 가능한 과전류 보호회로
KR850001611Y1 (ko) 마이크로 컴퓨터의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