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950B1 -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950B1
KR0147950B1 KR1019940012062A KR19940012062A KR0147950B1 KR 0147950 B1 KR0147950 B1 KR 0147950B1 KR 1019940012062 A KR1019940012062 A KR 1019940012062A KR 19940012062 A KR19940012062 A KR 19940012062A KR 0147950 B1 KR0147950 B1 KR 01479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voltage
circuit
regula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960A (ko
Inventor
홍재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12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950B1/ko
Priority to JP7055079A priority patent/JPH0844444A/ja
Priority to US08/393,300 priority patent/US5631549A/en
Priority to CN95104763A priority patent/CN1118460A/zh
Publication of KR95003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9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9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1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voltage detecto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5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 G05F1/569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 G05F1/57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sensing a condition of the system or its load in addition to means responsive to deviations in the output of the system, e.g. current, voltage, power factor for protection with overcurrent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서 휴즈를 사용하지 않고도 과부하에 보호될 수 있도록 한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는 다수의 레귤레이터(100,200)로서, 각각의 레귤레이터(100,200)는 그의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Rk1,Rk2)에 조절된 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와, 기준 전압과 비교 전압간의 전압 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OP1,OP2)를 구비하며, 과부하 보호 회로는 상기 부하(Rk1,Rk2)와 상기 연산 증폭기(OP1,OP2)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Rk1,Rk2)에서 발생한 단락 회로에 기인한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출력전압 레벨의 강하에 따라 턴온됨으로써 상기 기준 전압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와 상기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상기 부하(Rk1,Rk2) 사이에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수의 병렬 연결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원 공급 장치의 레귤레이터 회로가 과부하에 보호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사용되던 휴즈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소요 부품의 절감, 작업의 개선, 설계의 용이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서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서 과부하를 차단하기 위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2 : 휴즈 100,200 : 제1 및 제2레귤레이터부
300 : 바이패스 회로 OP1,OP2,OPa,OPb : 연산 증폭기
QA,QB,Q1,Q2,Q3 : 트랜지스터 D1,D2 : 다이오우드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장치(power supply)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원 공급 장치에서 휴즈를 사용하지 않고 입력이나 출력 부하의 변화에 관계없이 출력전압 또는 출력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도를 도시한 것으로, 과전압 및 과전류를 차단하는 휴즈(10,20)와, 연산 증폭기(OPA,OPB), 저항(Ra,Rb,Rc,Rd,Rj1,Rj2) 및 기준전압(Vr)으로 구성된다.
휴즈(10,20)는 각각의 입력전원과 트랜지스터(Q,A,QB)의 콜렉터 단자 사이에 위치하며, 연산 증폭기(OPa,OPb)는 각각의 트랜지스터(Q,A,QB)의 베이스 단자에 위치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서 과전압 및 과전류의 보호를 위해 각 전원 공급단 마다 장착된 휴즈(10,20)는 전원 공급단으로부터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휴즈(10,12)가 단락됨으로써 전원 공급 장치내 구성 회로가 보호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전원 공급단에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여 휴즈가 끊어질 경우 이를 매번 교체해야 하는 번거러운 문제점이 있고, 휴즈의 사용으로 인해 제품의 소형화, 제품의 경량화, 재료비 상승 및 설계상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즈를 사용하지 않고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해도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는 전원 공급 장치의 과부하 보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과전압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는, 다수의 레귤레이터로서, 각각의 레귤레이터는 그의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에 조절된 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와, 기준 전압과 비교 전압간의 전압 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를 구비하며; 상기 부하와 상기 연산 증폭기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에서 발생한 단락 회로에 기인한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전압 레벨의 강하에 따라 턴온됨으로써 상기 기준 전압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산 증폭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부동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전압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와 상기 부하사이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수의 병렬 연결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부하 보호장치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를 도시한 회로 구성도로서, 그의 출력에 연결된 부하(Rk1,Rk2)에 각기 상이한 조절된(regulated) 전압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레귤레이터부(100,200)와, 부하에서 단락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한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할 때 이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전원 공급 장치의 손상을 방지하는 바이패스 회로(300)를 포함한다.
제1레귤레이터부(100)는 그의 입력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전류증폭용 스위칭 트랜지스터(Q1)와 (+)입력단에 기준전압(Vref)이 입력되고 (-)입력단에 분압 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V2)을 입력받아 이들간의 전압차를 이용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단자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연산 증폭기(OP1)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2레귤레이터부(200)는 그의 입력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원을 스위칭하는 전류증폭용 스위칭 트랜지스터(Q2)과, (+)입력단에 기준전압(Vref)이 입력되고 (-)입력단에 분압 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전압(V4)을 입력받아 스위칭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연산 증폭기(OP2)로 이루어진다.
바이패스 회로(300)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와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D1,D2)를 구비하며,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단자는 연산 증폭기(OP1, OP2)의 (+)입력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단자는 접지와 연결되며, 병렬 연결된 다이오드(D1,D2)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와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의 콜렉터 단자 및 부하(Rk1,Rk2)사이에 각각 순방향으로 접속된다. 부하(Rk1,Rk2)에서 단락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레귤레이터부(100,200)의 출력 전압 레벨이 강하되므로, 각각의 다이오드(D1,D2)는 순방향으로 도통되어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를 턴온 상태로 만들어주며,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는 연산 증폭기(OP1,OP2)에 제공되는 기준 전압(Vref)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장치는 레귤레이터의 개수가 추가될 때마다 바이패스 회로(300)내의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에 다이오드가 추가 접속된다. 물론 다이오드와는 서로 병렬로 접속되어 여러 출력 전압 중 어느 한 부하에서 단락 현상이 발생되어도 트랜지스터(Q1,Q2)의 베이스 단자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회로가 안정하게 해준다.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해도 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전압 공급 장치의 부하 저항, 예로 (Rk1)에서 단락 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부하(Rk1)에 인가되는 전압이 접지로 쇼트된다. 따라서, 레귤레이터부(100,200)의 출력 전압 레벨이 강하되고, 부하 저항(Rk1)과 다이오우드(D1)가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에 로우가 되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그러면, 연산 증폭기(OP1)에 제공되는 기준전압(Vref)은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 단자를 통하여 콜렉터 단자에 인가되는데, 이때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0V가 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OP1)의 출력단자에는 로우레벨 신호가 스위칭 신호로서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되어 동작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의 출력측에서 단락되어 부하 저항(Rk2)에 과전압 및 과전류가 발생하면, 부하 저항(Rk2)과 다이오우드(D2)가 순방향으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 단자에 로우 신호가 제공되어 트랜지스터(Q3)가 턴온된다. 그러면, 기준전압(Vref)이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 단자에 인가되고, 콜렉터 단자가 접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0V가 된다. 따라서 제2레귤레이터부(200)내의 연산 증폭기(OP2)의 출력단자로부터 로우 레벨의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어 스위칭 트랜지스터(Q2)가 동작하지 않으므로 회로를 과전압 및 과전류에 대하여 보호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수행한 본 발명의 과부하 보호장치는 전원 공급 장치의 회로에 과전류 및 과전압이 발생하더라도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턴오프되어 레귤레이터부의 각 회로가 과부하에 보호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과부하 보호장치에 사용되던 휴즈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소요 부품의 절감, 작업의 개선, 설계의 용이성 및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Claims (2)

  1. 과전압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레귤레이터부(100,200)로서, 각각의 레귤레이터부(100,200)는 그의 출력단에 연결된 부하(Rk1,Rk2)에 각기 상이한 조절된 전압을 제공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와, 기준 전압과 비교 전압간의 전압 차를 이용하여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1,Q2)를 구동시키는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는 연산 증폭기(OP1,OP2)를 구비하며; 상기 부하(Rk1,Rk2)와 상기 연산 증폭기(OP1,OP2)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부하(Rk1,Rk2)에서 발생한 단락 회로에 기인한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전압 레벨의 강하에 따라 턴온됨으로써 상기 기준 전압을 접지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산 증폭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를 부동작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바이패스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와 상기 부하(Rk1,Rk2) 사이에서 상기 레귤레이터부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의 순방향으로 접속된 다수의 병렬 연결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압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KR1019940012062A 1994-05-31 1994-05-31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KR01479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062A KR0147950B1 (ko) 1994-05-31 1994-05-31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JP7055079A JPH0844444A (ja) 1994-05-31 1995-02-20 レギュレータ装置
US08/393,300 US5631549A (en) 1994-05-31 1995-02-23 Linear regulator power supply with an overcurrent protection device
CN95104763A CN1118460A (zh) 1994-05-31 1995-04-22 带有过电流保护装置的稳压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062A KR0147950B1 (ko) 1994-05-31 1994-05-31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960A KR950034960A (ko) 1995-12-28
KR0147950B1 true KR0147950B1 (ko) 1998-10-01

Family

ID=19384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062A KR0147950B1 (ko) 1994-05-31 1994-05-31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31549A (ko)
JP (1) JPH0844444A (ko)
KR (1) KR0147950B1 (ko)
CN (1) CN11184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21740A (en) * 1996-02-15 1998-10-13 Harris Corporation DC-to-DC converter having fast over-current detection and associated methods
EP0793343B1 (en) * 1996-02-29 2001-07-18 Co.Ri.M.Me. Consorzio Per La Ricerca Sulla Microelettronica Nel Mezzogiorno Current limitation programmable circuit for smart power actuators
KR100427419B1 (ko) * 2001-06-21 2004-04-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이상전압 차단기능을 가진 자동차용 전압조정기
TWM285800U (en) * 2005-08-16 2006-01-11 Universal Scient Ind Co Ltd Power supply switch circuit having leakage current protection
CN102969757B (zh) * 2012-11-08 2015-03-25 中国电器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微电流恒压装置
JP6520102B2 (ja) * 2014-12-17 2019-05-29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電流制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6469A (en) * 1972-02-14 1973-05-29 Rca Corp Switching regulator overload protection circuit
US4428015A (en) * 1981-12-22 1984-01-24 Hughes Aircraft Company Overcurrent limiter circuit for switching regulator power supplies
CA1259405A (en) * 1983-01-17 1989-09-12 Peter R. Stanton Tape recorder cleaner
US5023542A (en) * 1989-08-03 1991-06-1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urrent limiting arrangement in a power converter
US5499154A (en) * 1994-12-20 1996-03-12 Stewart Electronics Protective shut-down system for switch-mode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44444A (ja) 1996-02-16
CN1118460A (zh) 1996-03-13
KR950034960A (ko) 1995-12-28
US5631549A (en) 1997-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950B1 (ko) 과부하 보호 회로를 갖는 전원 공급 장치
EP0238803B1 (en) Stabilized power-supply circuit
EP0593588B1 (en)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US4845584A (en) Transistor protective circuit
US6034515A (en) Current limiting circuit
HU202688B (en) Circuit arrangement for the power amplification
US5550700A (en) Interchange circuit overload protection using driver current limiting
US4445160A (en) Fault-powered low-level voltage clamp circuit
JPH01220915A (ja) トランジスタの出力短絡保護回路
KR100265668B1 (ko) 인버터 회로의 과전류 검출 회로
SU991391A1 (ru)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KR900009468Y1 (ko) 과부하시 전원 차단회로
JP3555116B2 (ja) 過電圧保護回路
SU1238047A1 (ru) Многоканаль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с защитой (его варианты)
SU1711284A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 жений нагрузки
SU1652621A1 (ru) Система питани с искробезопасным выходом
JP2811904B2 (ja) 電源保護装置
SU1453390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SU1034025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H0714130B2 (ja) 信号線路に生じる障害電圧に対するモノリシック集積化された保護回路装置
RU1791802C (ru) Вторич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SU1689932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SU1597878A1 (ru) Источник электропитани
SU1501013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ки по току
KR890000650Y1 (ko) 다출력 스위칭 전원장치의 과전류 차단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