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57Y1 -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957Y1
KR900008957Y1 KR2019850017514U KR850017514U KR900008957Y1 KR 900008957 Y1 KR900008957 Y1 KR 900008957Y1 KR 2019850017514 U KR2019850017514 U KR 2019850017514U KR 850017514 U KR850017514 U KR 850017514U KR 900008957 Y1 KR900008957 Y1 KR 9000089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diode
microcomputer
transistor
operational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0926U (ko
Inventor
강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7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957Y1/ko
Publication of KR870010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09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9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57Y1/ko

Links

Landscapes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상세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콤 C1-C4: 콘덴서
R1-R12: 저항 TR1-TR3: 트랜지스터
OP1, OP2: 연산증폭기
본 고안은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이콤에서 출력되는 클럭주파수가 불안정할 때 그를 검출하여 주전원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마이콤의 폭주현상과 같은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한 것이다.
종래의 마이콤을 적용한 장치에 있어서는 클럭주파수의 이상을 감지하는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으므로, 클럭주파수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마이콤의 오동작을 초래하고, 이로 인하여 주변회로의 기능을 상실시켜 제품의 이상동작을 초래하고, 전기적 또는 위험한 안전사고를 발생하게 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마이콤의 클럭주파수를 직류로 평활시킨 후 그 직류전압의 전위에 따라 클럭주파수의 이상을 검출하여 그 직류전압의 전위에 따라 클럭주파수의 이상을 검출하여 주전원회로를 차단함으로써 클럭주파수의 불안정으로 인한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콤(1)의 클럭주파수 출력단자(P1)를 콘덴서(C1) 및 저항(R1)을 통해 저항(R2) 및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의 콜렉터를 저항(R3)을 통해 저항(R4) 및 콘덴서(C2), 반전입력 단자가 저항(R5), (R6)의 접속점에 접속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하고, 그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는 저항(R7) 및 다이오드(D1)를 통하여 다이오드(D2) 및 저항(R8), 콘덴서(C3), 반전입력단자가 저항(R9-R10)의 접속점에 접속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접속한 후 그의 출력단자를 다이오드(D3), (D4)를 통하여 콜렉터에 주전원 계전기(RY7)가 접속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한편 상기 마이콤(1)의 전원유지 출력단자(P2)를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의 콜렉터를 저항(R12)을 통해 다이오드(D3), (D4)의 접속점에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도면의 설명중 미설명부호 PS1은 주전원 푸쉬버튼 스위치이고, RY11은 주전원 계전기(RY1)가 구동될 때 접속되는 계전기 접점이며, T1은 트랜스, BD1은 브리지 다이오드, IC1은 정전압 집적소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전원(AC)이 인가된 상태에서 주전원 푸쉬버튼 스위치(PS1)를 단락하면, 그 교류전원(AC)은 트랜스(T1) 및 브리지 다이오드(BD1), 정전압 집적소자(IC1)를 통해 정전압(B+)이 출력된다. 이때 마이콤(1)의 전원유지 출력단자(P2)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어 트랜지스터(TR3)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2)도 온되고, 이에따라 주전원 계산기(RY1)가 구동되어 그의 접점(RY11)이 단락되므로 상기 주전원 푸쉬버튼 스위치(PS1)가 순간적으로 접속되었다가 개방되어도 정전압(B+)은 계속 출력되게 된다.
이때, 마이콤(1)의 클럭주파수 출력단자(P1)에서 출력된 클럭주파수는 콘덴서(C1) 및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를 일정주기로 온, 오프 동작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정전압(B+)이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2)에 충전되고, 트랜지스터(TR1)가 온된 상태에서는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저항(R3)을 통해 트랜지스터(TR1)로 방전되면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비교전압으로 인가된다.
한편, 연산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저항(R5), (R6)에서 분할된 기준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마이콤(1)의 클럭주파수 출력단자(P1)에서 정상적인 클럭주파수가 출력될 때 상기와 같이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비교전압이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낮게 설정시켜 놓으면, 이때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에는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에따라 연산증폭기(OP2)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이 그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비교전압이 높게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저전위 신호가 출력되므로 트랜지스터(TR2)가 온된 상태를 유지하여 주전원 계전기(RY1)를 구동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마이콤(1)의 클럭주파수 출력단자(P1)에서 클럭주파수가 중단되면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어 콘덴서(C2)의 충전전압이 상승되므로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비교전압이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보다 높게되어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저항(R7)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콘덴서(C3)에 충전되므로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비교전압이 그의 반전입력단자에 인가되는 기준전압보다 높게되어 그의 출력단자에 고전위 신호가 출력되고, 이 고전위 신호는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역 바이아스 전압으로 인가되어 그를 오프시키므로 주전원 계전기(RY1)가 구동을 중지하여 그의 접점(RY11)이 개방된다.
따라서, 교류전원(AC)이 차단되므로 마이콤(1) 및 주변회로는 전혀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연산증폭기(OP1)에서 고전위 신호가 출력될 때 그 고전위 신호는 저항(R7)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콘덴서(C3)에 빨리 충전되고, 그 콘덴서(C3)의 충전전압이 저항(R8)을 통해 서서히 방전되게 설정시켜 놓으면, 마이콤(1)의 클럭 주파수 출력단자(P1)에서 클럭 주파수가 잠시만 출력되지 않더라도 주전원 계전기(RY1)가 확실히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마이콤의 클럭주파수 감소나 일시중단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그를 감지하여 주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마이콤의 오동작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되는 이점이 있게된다.

Claims (1)

  1. 마이콤(1)의 전원유지 출력단자(P2)에 베이스측이 접속된 트랜지스터(TR3)의 콜렉터측을 다이오드(D4)를 역방향으로 통해 콜렉터에 주전원 계전기(RY1)가 접속된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마이콤(1)의 클럭주파수 출력단자(P1)를 콘덴서(C1) 및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접속한 후 그의 콜렉터를 저항(R3)을 통해 저항(R4) 및 콘덴서(C2),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하고, 그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를 저항(R7) 및 다이오드(D1)를 통해 다이오드(D2) 및 저항(R8), 콘덴서(C3),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입력단자에 공통접속한 후 그의 출력단자를 다이오드(D3)를 통해 상기 다이오드(D4)에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KR2019850017514U 1985-12-24 1985-12-24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KR9000089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514U KR900008957Y1 (ko) 1985-12-24 1985-12-24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514U KR900008957Y1 (ko) 1985-12-24 1985-12-24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26U KR870010926U (ko) 1987-07-15
KR900008957Y1 true KR900008957Y1 (ko) 1990-09-29

Family

ID=19247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514U KR900008957Y1 (ko) 1985-12-24 1985-12-24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95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0926U (ko) 1987-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957Y1 (ko) 마이콤의 오동작 방지회로
US5548462A (en) Protective circuit
US4845584A (en) Transistor protective circuit
KR940007079B1 (ko) 스위칭 모드파워 서플라이의 보호회로
SU1259233A1 (ru) Управл ем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с защитой от перегрузок и коротких замыканий
JPH0729739Y2 (ja) Fet駆動回路
KR840001276Y1 (ko) 정전압 회로의 전압판별회로
KR900008956Y1 (ko) 마이컴 리세트 안정화 회로
KR890001435B1 (ko) 전원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보호회로
SU1453390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KR930002747B1 (ko) 역상 검출회로
KR860001482B1 (ko) 회생전압 방전회로
SU1476451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с защитой
KR890006235Y1 (ko) 전원차단회로
KR900009460Y1 (ko) 마이크로 프로세서 정전검출 인터럽회로
KR0128224Y1 (ko) 무접점 계전기의 전류 리미터회로
KR910004797Y1 (ko) 리모콘 테레비젼의 과전압 보호회로
JPH0312031Y2 (ko)
KR890001657Y1 (ko) 전원 전압 변동 검출회로
KR860002286Y1 (ko) 과전압 보호 회로
KR950003490Y1 (ko) 전원 공급의 자동 차단회로
KR940007118Y1 (ko) 링-트립(Ring-Trip)검출기의 오동작 방지회로
SU10979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 и защиты многоканального блока питани
US5912793A (en) Device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PU from being damaged by overrating voltage or overrating current
JPH03101518A (ja) 負荷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02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