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497Y1 -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497Y1
KR900008497Y1 KR2019860016528U KR860016528U KR900008497Y1 KR 900008497 Y1 KR900008497 Y1 KR 900008497Y1 KR 2019860016528 U KR2019860016528 U KR 2019860016528U KR 860016528 U KR860016528 U KR 860016528U KR 900008497 Y1 KR900008497 Y1 KR 900008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recording paper
cam
cutter shaft
paper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6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898U (ko
Inventor
김준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60016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497Y1/ko
Publication of KR8800088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8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5Details specific to handling of web-shaped media, e.g. paper or film rolls
    • H04N1/00676Cu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 2 도는 동상의 우측면도.
제 3 도는 종래의 커터축에 커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 5 도는 동상의 우측면도.
제 6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커터축에 커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커터축 12,12' : 커터
13 : 마이크로스위치 14 : 캠
14a,14b : 캠홈
본 고안은 팩시밀리에 적용되어 기록(記錄紙)를 절단하는 기록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커터축의 외주면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2개의 커터를 설치하여 커터축의 1회전시 기록지의 절단이 2회 가능하도록 한 기록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D자상의 단면을 가지는 커터축(1)의 외주면 길이방향에 커터(2)가 일정 경사각으로 압입되고, 커터축(1)을 기기본체에 고정하는 고정판(3)(3')의 사이에는 평면 커터(4)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한 커터(2)와 쌍을 이루고 있으며, 일측 고정판(3)의 내측에는 커터(2)가 일정한 원주를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싱(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커터축(1)의 우측단부에는 일측 고정판(3')의 외측으로 원판상의 캠(6)이 고정되어 일측에 축핀(7)으로 유착된 작동레버(8)에 의하여 커터(2)의 위치를 신호로 보내는 마이크로 스위치(9)를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작동레버(8)의 일측 단부에는 스프링(10)이 탄설되어 작동레버(8)가 항시 마이크로 스위치(9)를 향하여 힘을 받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록지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6)의 캠홈(6a)에 작동레버(8)의 단부가 일치되어 마이크로스위치(9)가 온(on)이 되면 기록지에는 인자장치에 의하여 기록이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기록이 완료되어 기록완료의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전달되면 커터축(1)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캠(6)이 회전함에 따라 작동레버(8)는 축핀(7)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캠홈(6a)으로부터 반경이 큰 원주면과 접촉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작동레버(8)의 하측단부가 마이크로 스위치(9)로부터 분리되어 마이크로스위치(9)가 오프(off)됨과 동시에,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기록지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커터축(1)의 횡방향으로 경사지게 압입되어 있는 커터(2)는 그와 쌍을 이루는 평면커터(4)와 마주치게 되어 기록지를 절단하게 되고, 다시 커터축(1)이 회전을 계속하여 캠(6)의 캠홈(6a)과 작동레버(8)의 단부가 일치되는 상태가 되면 작동레버(8)의 타측 단부에 탄력설치된 스프링(10)에 의하여 마이크로스위치(9)를 온시키게 되어 기록지의 공급을 계속하게 된다.
그러나, 팩시밀리에는 통상적으로 동작과 제어에 고도의 기술을 요하는 스탭펄스모터(step pulse motor)가 구동모터로 사용되고, 이러한 스탭펄스모터는 불필요한 회전을 최소화 하여야만 시스템 제어를 간단하게 할수 있음을 감안할때 커터축(1)의 1회전에 기록지의 절단이 1회만 가능하게 되어 있는 종래의 기록지 절단장치는 구동모터의 불필요한 공회전이 발생되어 시스템 제어에 부적합한 요인으로 작용할뿐 아니라 동력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장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커터축의 외주면 2개소에 커터를 설치하여 커터축의 1/2회전만으로 기록지의 절단을 1회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의 효율을 높일수 있게함과 아울러 동력 손실의 감소를 기할수 있도록 한 것인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4 도 내지 제 6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커터축(11)의 외주면 길이방향에 커터(12)가 일정 경사각으로 압입고정되고, 고정판(16)(16')의 사이에 평면커터(15)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커터축(11)의 일측단부에 캠홈(14a)을 갖는 캠(14)이 고정되고, 그 일측에 상기 캠홈(14a)에 선단부가 삽입되는 작동레버(18)가 축핀(19)으로 유착됨과 아울러 스프링(20)으로 탄력지지되며, 상기 작동레버(18)의 일측에 마이크로스위치(13)가 고정된 통상적인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축(11)의 일측면에 커터(12)와 상호 대향되는 커터(12')를 압입고정하고, 상기 캠(14)의 외주면에 캠홈(14a)과 상호 대향되는 캠홈(14b)을 각각 형성하여, 커터축(11)의 1회전으로 2회의 기록지 절단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 17은 가이드 부싱을 보인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장치는 커터축(11)의 외주면에 180°간격으로 커터(12)(12')가 압입 고정되어 있어 커터축(11)의 1/2회전으로 기록지의 절단을 1회 실시할수 있게한 것인바, 이의 작용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캠(14)의 일측캠홈(14a)에 작동레버(18)의 일측단부가 일치되어 마이크로스위치(13)가 온이 되면 기록지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인자장치에 의하여 기록이 되며, 이와같은 상태에서 기록이 완료되어 그 신호가 도시되지 않은 구동모터에 전달되면 커터축(11)이 화살표방향의 회전을 하고, 이와 동시에 캠(14)이 회전을 하여 작동레버(18)가 캠(14)의 반경이 큰 부위에 접촉이 되므로 마이크로스위치(13)는 오프가됨과 동시에 이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기록지의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이때 일측커터(12)와 평면커터(15)가 마주치면서 기록지를 절단하게 되고, 다시 커터축(11)이 회전을 하여 캠(14)의 타측캠홈(14b)과 작동레버(18)의 단부가 일치되는 순간 마이크로 스위치(13)를 온시키어 기록지의 공급을 계속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록지의 절단작업은 커터축(11)의 1/2회전으로 1회의 절단이 가능하게 되므로 커터축(11)의 1회전으로는 2회의 기록지 절단작업을 실시할수 있게되고, 이에 따라 커터축(11)의 공회전이 종래에 비하여 반으로 줄어들어 그에 따른 구동모터의 제어가 용이하게 됨은 물론 동력의 손실을 줄일수 있게 된다.

Claims (1)

  1. 커터축(11)에 커터(12)가 고정되고, 고정판(16)(16')의 사이에 평면커버(15)가 설치되며, 상기 커터축(11)의 일측 단부에 캠홈(14a)을 갖는 캠(14)이 고정되고, 그 일측에 캠(14)에 연동되어 마이크로스위치(13)를 구동시키는 작동레버(18)가 스프링(20)으로 탄력지지되어 축핀(19)으로 유착된 통상적인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터축(11)의 일측면에 커터(12)와 상호 대향되는 커터(12')를 고정하고, 상기 캠(14)의 외주면에 캠홈(14a)과 상호 대향되는 캠홈(14b)을 형성하여, 커터축(11)의 1회전으로 2회의 기록지 절단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2019860016528U 1986-10-28 1986-10-28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900008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528U KR900008497Y1 (ko) 1986-10-28 1986-10-28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6528U KR900008497Y1 (ko) 1986-10-28 1986-10-28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98U KR880008898U (ko) 1988-06-30
KR900008497Y1 true KR900008497Y1 (ko) 1990-09-22

Family

ID=1925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6528U KR900008497Y1 (ko) 1986-10-28 1986-10-28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4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898U (ko)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497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900003643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의 절단장치
JPS6362360B2 (ko)
JPS639174Y2 (ko)
KR930008262Y1 (ko) 용지절단장치
KR0129182Y1 (ko) 전자식 금전등록기의 페이퍼 절단장치
KR890001872Y1 (ko) 타이프 라이터의 d.c모우터를 이용한 리본 공급장치
KR940002179Y1 (ko) 용지 절단 장치
KR920004807Y1 (ko) 팩시밀리의 원고급지 및 절단용 구동장치
KR920000908Y1 (ko) 팩시밀리 구동장치
JPS6214421Y2 (ko)
KR940005066Y1 (ko) 팩시밀리의 로터리 커터 구동장치
JP2648016B2 (ja) 紙切断装置
KR860002461Y1 (ko) 복사기의 종이공급 로킹장치
KR850001946Y1 (ko) 급지 로울러의 관성방지 장치
JPS5848074Y2 (ja) 印刷機のオ−トカツタ−装置
JPH0616700Y2 (ja) ファクシミリにおけるカッタ駆動機構
KR100274649B1 (ko) 팩시밀리의 횡방향 이송식 기록지 절단장치
JPS60125151U (ja) 記録装置
KR870000860Y1 (ko) 타자기의 라인피이드 구동장치
JPS5939200U (ja) カツタ−の安全装置
KR200151949Y1 (ko) 기록지 자동절단기의 취부구조
KR950000147Y1 (ko) 용지절단 장치
KR100349133B1 (ko) 금전등록기용 프린터의 커터
KR960008742Y1 (ko) 레이저프린터의 정착기롤러 자동 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