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179Y1 - 용지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179Y1
KR940002179Y1 KR2019910009825U KR910009825U KR940002179Y1 KR 940002179 Y1 KR940002179 Y1 KR 940002179Y1 KR 2019910009825 U KR2019910009825 U KR 2019910009825U KR 910009825 U KR910009825 U KR 910009825U KR 940002179 Y1 KR940002179 Y1 KR 9400021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paper cutting
fixed
cutting device
fee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098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289U (ko
Inventor
김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도리코, 우석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도리코
Priority to KR20199100098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40002179Y1/ko
Publication of KR9300012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1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1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65Details specific to handling of web-shaped media, e.g. paper or film rolls
    • H04N1/00676Cu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용지 절단 장치
제1도의 a와 b는 종래 기술의 용지 절단 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을 나타내는 용지 절단 장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커터 고정체 7 : 암 나사
8 : 커터 이송 나사 9 : 커터 본체
10, 11 : 홈 12 : 커터 고정체 지지축
13 : 원형 커터날 14 : 중앙 홈
15, 16 : 고정 커터날 지지홈
17, 18 : 고정 커터날 지지용 돌기
19 : 고정 커터날 20, 21 : 판스프링
22 : 고정판 23 : 가이드 홈
24 : 커터 고정축 25, 26 : 지지용 홈
27 : 모터 28 : 풀리
29 : 전달기어 30 : 반달형 홈
31, 32 : 센서 33 : 커터기어
본 고안은 용지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팩시밀리에 사용되어 용지를 원하는 크기로 절단하는 용지절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지 절단 장치에는 제1도의 a와 b에 나타난 바와같이 전용 또는 송신모터나 수신모터, 송수신겸용 모터등의 기존의 것을 이용할 수 있는 겸용모터(1)와 회전커터날(2) 사이에 링크(3)를 부착하여 겸용모터(1)를 구동시킴으로서 회전커터날(2)을 동작하게 하여 용지를 절단하는 용지 절단 장치(제1도a), 또는 정전과 역전을 반복하는 전용모터(4)에 부채꼴 기어(5)를 맞물리게 하고 상기 부채꼴 기어(5)에 회전커터날(2)을 부착해서 상기 전용모터(4)를 구동시키면 회전커터날(2)이 동작하여 용지를 절단하는 용지 절단 장치(제1도b)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용지 절단 장치는 회전커터날(5)이 어떤 일정한 각도의 회전각을 가지고 회전하므로 구동원에 의한 동력을 그대로 사용하지 못하므로 비효율적이고, 링크(5)나 부채꼴기어(2)를 매개체로 사용함으로서 커터날이 커터본체의 상부에 위치하여 동력원과의 연결공간이 크게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동원에 의한 동력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강력한 용지절단력을 갖는 용지 절단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용지 절단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암나사 홀이 형성되고 하측에 가이드 홈이 형성된 커터 고정체, 상기 커터 고정체에 연결된 원형 커터날, 상기 커터 고정체의 암나사 홀에 삽입되어 상기 커터 고정체를 이송하기 위한 커터 이송 나사, 상기 커터 고정체의 가이드 홈에 삽입된 커터 고정축, 상기 커터 이송 나사와 상기 커터 고정축을 지지하는 커터 본체, 상기 커터 본체의 측면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원형 커터날과 맞물리는 고정 커터날, 상기 커터 이송 나사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 수단,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연결된 동력 수단, 상기 커터 본체의 양 측면 하측에 각각 부착된 두개의 센서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와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6은 커터 고정체, 7은 암 나사, 8은 커터 이송 나사, 9는 커터 본체, 10과 11은 홈, 12는 커터 고정체 지지축, 13은 원형 커터날, 14는 중앙 홈, 15와 16은 고정 커터날 지지홈, 17과 18은 고정 커터날 지지용 돌기, 19는 고정 커터날, 20과 21은 판스프링, 22는 고정판, 23은 가이드 홈, 24는 커터 고정축, 25와 26은 지지용 홈, 27은 모터, 28은 풀리, 29는 전달기어, 30은 반달형 홈, 31과 32는 센서, 33은 커터기어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터 고정체(6)의 중앙에 암 나사(7)를 형성하여 커터 이송 나사(8)를 상기 암 나사(7)에 삽입한 후, 커터 본체(9)의 좌, 우 측판 하측에 각각 홈(10, 11)을 뚫어 상기 커터 이송 나사(8)를 삽입한다. 또한 상기 커터 고정체(6)의 일측면에 커터 고정체 지지축(12)을 설치하여 원형 커터날(13)의 중앙 홈(14)에 상기 커터 고정체 지지축(12)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커터 고정체(6)에 가이드 홈(23)을 형성하여 커터 고정축(24)을 삽입하며 상기 커터 본체(9)의 좌, 우 측판에 지지용 홈(25, 26)을 형성하여 상기 커터 고정축(24)의 양 끝단면을 상기 지지용 홈(25, 26)에 삽입 고정한다.
상기 커터 본체(9)의 좌, 우 측판 상측에 각각 고정 커터날 지지홈(15, 16)을 형성한후 고정 커터날 지지용 돌기(17, 18)를 삽입 고정하여 고정 커터날(19)이 상기 원형 커터날(13)에 맞물리게 하며, 상기 커터 본체(9)의 상면에 두개의 판스프링(20, 21)을 상기 고정 커터날(19)에 접촉되게 부착하고 커터 본체(9)의 일측면에 고정판(22)을 부착하여 상기 고정 커터날(19)의 변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동력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27)와 상기 모터(27)의 풀리(28)에 맞물려 회전하는 전달기어(29)및, 상기 전달기어(29)에 맞물려 회전하며 중앙에 반달형 홈(30)이 형성되어 상기 커터 이송 나사(8)의 일측 끝단이 상기 반달형 홈(30)에 삽입되도록 구성된 커터기어(33)에 의해 상기 커터 이송 나사(8)를 회전 시킨다.
이때 커터 이송 나사(8)의 일측 끝단은 상기 반달형 홈(30)에 삽입되도록 반달형으로 절단한다. 또한 상기 커터 본체(9)의 좌, 우 측판에 각각 센서(31, 32)를 설치하여 상기 커터 고정체(6)가 상기 센서(31, 32)에 접촉될때 커터 고정체(6)의 위치를 알수 있게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동작을 설명한다.
모터(27)의 동력에 의해 상기 커터 기어(33)가 회전하게 되고 커터 이송 나사(8)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터 이송 나사(8)가 회전함에 따라 커터 고정체(6)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회전 커터날(13)은 상기 고정 커터날(19)에 맞물려 이동하면서 용지를 절단하게 된다. 상기 이동 커터날(13)이 용지를 완전히 절단하고 난 후에도 상기 커터 고정체(6)는 우측 끝단까지 이동하게 되어 상기 센서(32)에 압력을 가하게 됨으로서 커터 고정체(6)가 우측 끝단에 있음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 커터 고정체(6)가 우측 끝단에 있음을 감지하게 되면 모터(27)가 멈추게 되고 다음 용지를 절단하기 위해 준비상태로 있다가 용지 절단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모터(27)가 역전하여 상기 커터 고정체(6)가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커터날(13)에 의해 용지가 절단되고 용지절단이 끝난 후에도 커터 고정체(6)는 좌측 끝단에 있는 상기 센서(31)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센서(31)에 압력을 가함으로서 상기 커터 고정체(6)가 좌측 끝단에 위치함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37)의 동력을 정지시켜 상기 커터 고정체(6)의 이동을 멈추게 하고 다음 용지를 절달하기 위한 준비상태를 돌입한다. 결국 상기한 과정을 반복 실행함으로서 용지를 연속적으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구동원에 의한 동력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용지절단력이 강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용지절단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암나사 홀(7)이 형성되고 하측에 가이드 홈(23)이 형성된 커터 고정체(6), 상기 커터 고정체(6)에 연결된 원형 커터날(13), 상기 커터 고정체(6)의 암나사 홀(7)에 삽입되어 상기 커터 고정체(6)를 이송하기 위한 커터 이송 나사(8), 상기 커터 고정체(6)의 가이드 홈(23)에 삽입된 커터 고정축(24), 상기 커터 이송 나사(8)와 상기 커터 고정축(24)을 지지하는 커터 본체(9), 상기 커터 본체(9)의 측면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원형 커터날(13)과 맞물리는 고정 커터날(19), 상기 커터 이송 나사(8)에 연결되는 동력 전달수단(29, 33), 상기 동력 전달수단(29, 33)에 연결된 동력수단(27), 상기 커터 본체(9)의 양측면 하측에 각각 부착된 두개의 센서(31, 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절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 본체(9)는 본체 상면에 부착된 두개의 판 스프링(20, 21), 본체 측판 일측에 부착된 고정판(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절단 장치.
KR2019910009825U 1991-06-28 1991-06-28 용지 절단 장치 KR9400021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25U KR940002179Y1 (ko) 1991-06-28 1991-06-28 용지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09825U KR940002179Y1 (ko) 1991-06-28 1991-06-28 용지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89U KR930001289U (ko) 1993-01-21
KR940002179Y1 true KR940002179Y1 (ko) 1994-04-08

Family

ID=1931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09825U KR940002179Y1 (ko) 1991-06-28 1991-06-28 용지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400021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89U (ko) 199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9449B2 (en) Powered tube cutter
ES2029858T3 (es) Disposicion de raspador o util cortador para triturar alimentos en especial para aparato de cocina.
WO2017054664A1 (zh) 切刀装置及使用其的打印机
KR19980041910A (ko) 소형 프린터의 용지 절단 장치
EP0543460B1 (en) Electric shaver
GB2281717A (en) Instrument for generating circle or ellipse.
KR940002179Y1 (ko) 용지 절단 장치
WO2014094554A1 (zh) 切刀装置及使用该切刀装置的打印机
JPS63251194A (ja) 切断部材を位置決めする装置
CN114055962A (zh) 用于打印装置对打印纸进行自动剪切的装置
KR930008262Y1 (ko) 용지절단장치
CN111038120B (zh) 切刀装置及打印机
US4662069A (en) Cutting tool having parallel cutting blades
KR960012532B1 (ko)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JPH05177585A (ja) シート材切断装置
KR100274649B1 (ko) 팩시밀리의 횡방향 이송식 기록지 절단장치
JPH0318158Y2 (ko)
KR0149489B1 (ko) 자동 공급용지 절단장치
KR200259598Y1 (ko) 자동청사진기의절단장치
KR900008497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 절단장치
KR200155587Y1 (ko) 팩시밀리 기록지 절단장치
EP0780198B1 (en) Sheet cutting apparatus
KR900003643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의 절단장치
KR200186485Y1 (ko) 절선기의 절선깊이 조절장치
JP3344867B2 (ja) ロール紙のカ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4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