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532B1 -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532B1
KR960012532B1 KR1019930009826A KR930009826A KR960012532B1 KR 960012532 B1 KR960012532 B1 KR 960012532B1 KR 1019930009826 A KR1019930009826 A KR 1019930009826A KR 930009826 A KR930009826 A KR 930009826A KR 960012532 B1 KR960012532 B1 KR 960012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haft
fixed
movable blade
ca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354A (ko
Inventor
이이철
홍진완
Original Assignee
삼천리열처리 주식회사
이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열처리 주식회사, 이이철 filed Critical 삼천리열처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09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532B1/ko
Publication of KR950002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5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구동부 작용설명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용도로서 양측인부가 개구된 상태의 평면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용도로서 양측인부가 폐쇄된 상태의 평면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정날1',8' : 인부
2 : 축수2' : 장축공
3 : 브라켓3' : 축공
4 : 나사축5 : 비틀림 코일스프링
6 : 핀축7 : 고정구
8 : 가동날9 : 캠판
10 : 안내장공11 : 관통공
12 : 체결공
본 발명은 팩시밀리(Facsimile)의 내부에 장착하여 수신용 기록지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팩시밀리의 내부에 수용되는 수신용 기록지는 일정규격의 용지가 낱장으로 공급되는 낱장공급방식이 있으나, 대부분 롤(Roll) 형태로 감겨진 감열지(感熱紙)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연속공급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연속공급방식은 수신용 기록지를 송신지의 규격과 일치되도록 절단할 것이 요구되어 현재 가동날과 고정날이 교차되도록 하여 수신용 기록지를 절단하는 방식과 가동날이 폭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신용 기록지를 절단토록 한 슬라이드 방식이 제안된 바 있으나,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교차절단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1992년 특허출원 제11883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함)를 개량한 것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출원 발명은 고정날과 가동날이 접촉함에 있어, 이들이 예각에서부터 직각에 이르기까지는 아무런 문제거 없으나, 직각을 넘어서 둔각을 이루기 시작하면 양날의 인부(刃部)가 접촉할 수 없게 되므로, 양날이 직각으로 교차되는 지점으로부터 끝부분에 이르기까지 인부의 접촉을 위하여, 고정날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이를 판스프링이 내측방향으로 탄지토록 하였는 바, 이는 고정날을 강제로 내향절곡시킨 상태에서 가동날이 강제로 밀어주며 교차되므로서, 각 인부가 쉽게 마모되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판스프링의 탄력이 너무 높을 경우 양측 인부가 서로 접촉 압력에 의해 절삭되는 상황이 발생되었으며, 반대로 판스프링의 탄력이 약화될 경우 양측 인부가 교차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한편, 선출원 발명은 캠판을 별도로 구비하여, 이를 고정나사와 보스 및 핀축등으로 고정날의 축수 및 가동날에 고정토록 하였는 바, 이는 제작공정은 물론 조립공정이 복잡하였으며 사용시 약간의 풀림현상이 발생되더라도 가동날의 회전각도에 오차가 발생하여 수신용 기록지가 진입하는데 장애요인이 되거나 완벽한 절단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던 것이다.
또한, 캠판의 안내장곡이 양측 모두가 폐쇄된 형태로 형성되므로서, 보수를 위하여 기어를 분리시켜야 할 경우 측방향으로서 분리가 불가능하므로 브라켓 전체를 분리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출원 발명의 결점을 개량한 것으로, 구성 각부를 간소화하여 고장율을 극소화함은 물론 고정날과 가동날이 효율적으로 접촉토록 하므로서 인부의 마모율을 극소화 한 것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냉간압연강(KS SPCl)을 가스(Gas) 연질화 열처리하여 ㄴ자형으로 절곡하므로서 인부(1')(8')를 갖는 고정날(1)과 가동날(8)을 형성하되, 고정날(1)의 일측에 다소 낮은 높이를 갖도록 축수(2)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다소 높은 높이를 갖는 브라켓(3)을 설치하며, 가동날(8)의 양측에는 각기 체결공(12)과 안내장공(10)을 갖는 팸판(9)을 일체로 절곡형성한다.
상기 축수(2)와 브라켓(3)에는 각기 장축공(2')과 축공(3')을 형성하며, 장축공(2')에는 비틀림 코일스프링(5)을 개재한 나사축(4)을 관통시켜 가동날(8)의 체결공(12)에 체결하고, 축공(3')에는 핀축(6)을 관통시켜 고정구(7)로 고정하되 끝단을 가동날(8)의 관통공(11)에 관통 설치한다.
상기 캠판(9)의 안내장공(10)에는 모우터(18)에 의해 회전되는 워엄(19)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도록 한 기어(16)의 구동핀(17)을 삽입 설치하여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3a, 13b는 기판이고, 13'는 체결부이며, 14는 체결나사이고, 15는 기어를 고정키위한 고정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나사를 이용하여 팩시밀리 본체에 체결부(12')를 체결하므로서 고정날(1)을 고정한 다음 모우터(18)에 통상의 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를 연설사용케 되는 것으로, 송신측 팩시밀리에서 송신되는 원고의 규격을 수신측 팩시밀리가 인지하므로서 구동회로가 모우터(18)를 구동시켜 기어(16)를 1회전시켜 캠판(9)을 각운동시키게 되는데, 캠판(9)은 도면의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는 핀축(6)을 지점으로 상사점까지 상승한 상태에서 구동핀(17)의 회전에 따라 하사점까지 하강하였다가 다시 상사점으로 상승된 상태에서 회전을 멈추게 되므로 이 캠판(9)에 핀축(6)으로 연설된 가동날(8)이 동일한 각운동을 하게 되어 고정날(1)과 가변 점접촉을 하게 되므로 각 인부(1')(8') 사이로 공급되는 수신용 기록지를 양 인부(1')(8')가 교차하면서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양 인부(1')(8')의 점접촉을 위하여 축공(3')과 장축공(2')이 높낮이가 다르게 형성되므로서 가동날(6)이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바, 이 가동날(8)이 캠판(9)에 의해 각 운동을 하게 되면 인부(8')의 단부가 원호를 그리게 되므로 고정날(1)과 가변접점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 나사측(4)의 중심이 변화되도록 하였다. 즉, 고정날(1)의 축수(2)에 장축공(2')을 형성하고 이를 관통하는 나사축(4)에 비틀림 코일스프링(5)을 설치하여 나사축(4)이 항시 고정날(1)축으로 탄지되도록 하므로서, 가동날(8)이 회전하며 고정날(1)과 가변접점을 이루게 되는데 대응하여 핀축(6)이 장축공(2')내에서 탄동되므로 가동날(8)은 고정날(1)과 완벽한 가변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가동날(8)의 인부(8')는 일정두께를 갖기 때문에 가동날(8)이 고정날(1)과 직각을 이룰때까지는 접점이 이루어지거나 직각을 벗어나 둔각을 이루기 시작하면 가동날(8) 인부(8')의 상단이 접촉되게 되므로 수신용 기록지가 완벽하게 절단될 수 없기 때문에 고정날(1)의 일부 즉, 고정날(1)과 가동날(8)이 직각으로 만나 둔각으로 변화되는 이후부분을 도면의 제3도와 같이 가동날(8)을 고정날(1)에 겹쳐지게 형성하므로서, 가동날(8)이 직각 이상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도면의 제4도와 같이 핀축(6)이 휘어지면서 관통공(11)의 중심이 외방으로 이동되므로 각 인부(1')(8')는 예리한 부분이 계속적인 접점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절단이 완료되면 캠판(9)이 모우터(18)의 구동으로 인해 상사점까지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가동날(8)은 고정날(1)과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핀축(6)의 탄력에 의해 가동날(8)이 되면의 제3도와 같이 원상 복귀되는 것이다.
또한, 캠판(9)의 안내장공(10)은 일측이 개구된 상태이어서, 구동핀(17)의 삽입 및 이탈을 측방향에서 수행할 수 있어 브라켓(3)을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이나 보수작업에 잇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구성각부를 간소화 하므로서 제조공정을 단순화 함은 물론 인력 및 원자재를 절감토록 하고 조립 및 보수작업을 간편, 용이하게 하며, 수신용 기록지를 원활하면서도 완벽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지대한 효과를 제공케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인부(1')(8')를 갖는 고정날(1)과 가동날(8)을 별도로 구비하여 이들을 일측에 비틀림 코일스프링(5)을 개재하여 나사축(4)으로 결합토록 한 것에 있어서, 고정날(1)의 일측에 축공(3')을 갖는 브라켓(3)을 고정하여 축공(3')에 핀축(6)을 고정구(7)로 고정하되, 끝단을 캠판(9)의 관통공(11)에 삽입설치하여서 된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캠판(9)을 가동날(8)에 일체로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캠판(9)에 일측이 개방되는 안내장공(10)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KR1019930009826A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KR960012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826A KR960012532B1 (ko)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826A KR960012532B1 (ko)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54A KR950002354A (ko) 1995-01-04
KR960012532B1 true KR960012532B1 (ko) 1996-09-20

Family

ID=1935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826A KR960012532B1 (ko) 1993-06-01 1993-06-01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5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3396B1 (ko) 2019-10-15 2022-04-19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파관
KR102377782B1 (ko) 2019-11-21 2022-03-24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파관
KR102588847B1 (ko) 2020-10-30 2023-10-16 주식회사 아모센스 도파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354A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75012B (zh) 电动操作的手持往复式锯及其锯条夹紧装置
KR960012532B1 (ko) 팩시밀리의 수신용 기록지 절단장치
CN113211553B (zh) 便于锯链安装的一体化链锯切割系统及链锯
US5826471A (en) Cutting method for coil conductor
JP4007421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EP1105239A4 (en) QUICK RETURN ADVANCE FOR MACHINE TOOL
JP4359820B2 (ja) 駆動力伝達ベルト固定機構
EP0962273A1 (en) Band-blade cutting tool and a band-blade working apparatus
JP3005890B2 (ja) サークルカッター
JP2006272542A (ja) 糊付機用スリッター
KR200259598Y1 (ko) 자동청사진기의절단장치
CN219817745U (zh) 折弯机换刀夹具
JPH09117891A (ja) サークルカッター
JP3556792B2 (ja) ロータリダイカッタの切断具取付構造
JP2724971B2 (ja) シート切断装置
JP2001347484A (ja) シート材切断装置
CN218080711U (zh) 一种板材剪切尺寸控制组件
JP4076602B2 (ja) シート材切断装置
KR0159844B1 (ko) 코일선의 커터장치 및 절단방법
KR100468363B1 (ko) 스크류결합장치 및 그 결합방법
JP3017880B2 (ja) シート切断装置
JPS6039842Y2 (ja) 線材切断装置
JP2574794Y2 (ja) 切断装置
KR900003643Y1 (ko) 팩시밀리의 기록지의 절단장치
JP2000015598A (ja) ロ―タリパンチ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