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492Y1 - 로크기구 - Google Patents

로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492Y1
KR900008492Y1 KR2019860000723U KR860000723U KR900008492Y1 KR 900008492 Y1 KR900008492 Y1 KR 900008492Y1 KR 2019860000723 U KR2019860000723 U KR 2019860000723U KR 860000723 U KR860000723 U KR 860000723U KR 900008492 Y1 KR900008492 Y1 KR 900008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gwheel
holder
tape cassette
gea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0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0073U (ko
Inventor
마나부 사또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00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00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4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49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two movements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로크기구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의 로크기구인 일실시예를 적용시킨 테이프 수납하우징 장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및 평면도.
제 3a 도 및 제 3b 도는 각각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 장치의 삽입구로부터 삽이보디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
제 4a 도는 본 고안에서 중요부분인 로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b 도는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시켜 동작하는 로크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4c도는 테이프 카세트를 장착 위치에 장착하였을때의 로크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 도 및 6 도는 각각 제 1 도에 도시한 장치의 정면도 및 배면도.
제 7 도는 테이프 카세트가 삽입 완료 위치에 이동하였을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 8 도는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위치에 이동하였을때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 9 도는 홀더의 근처를 도시한 사시도.
제 10 도는 본 고안의 중요 부분이 되는 로크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프 수납 하우징 장착장치 2a : 덮개 로크 해제 버턴
2b : 덮개 2c : 홈
3 : 기록/재생장치 3b : 삽입구
5 : 홀더 5a : 저판
5b : 상판 5c : 측판
5d : 안쪽판 5e1내지 5g1: 핀
8 : 돌출핀 9 내지 12 : 브래킷
13 : 프레임 14 : 연동부재
15,16 : 잡음부재 20 : 구동전달기구
21 : 개폐 덮개 26 : 구동 모터
28 : 밸트 35 : 회전암
36 : 로크기구 38 : 활차
39 : 감속 톱니바퀴 40 : 결치톱니바퀴
40a : 결치부 40f : 걸림부
41 : 로크톱니바퀴 14a : 제1톱니바퀴부
41b : 제2톱니바퀴부 41c,41d : 돌출부
41e : 걸림부 42 : 전달 톱니바퀴
43 : 스프링
본 고안은 테이프 수납 하우징을 삽입해서 기록/재생 장치의 소정 장착 위치로 이동하는 홀더 구동용 구동기구를 로크(lock)하는 로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종래는 테이프 수납 하우징(이하, 테이프 카세트라함)이 삽입된 홀더가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하는 삽입 위치와 테이프 카세트를 기록/재생 장치내의 소정 장착위치에 장착하는 장착위치 사이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웜, 웜에 맞물리는 웜 휠을 통하여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 구성 장치에서는 웜과 웜 휠에서 이루어진 웜기어를 전달 경로의 도중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홀더가 삽입 위치 또는 장착 위치에 이르게 됨과 동시에 모터를 정지시키면, 웜 휠 또는 절달 기구의 톱니바퀴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홀더에 작용하여도 웜과의 맞물리는 관계에 의하여 웜휠이 회전하지 않고 홀더를 소정의 정지 위치에 로크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웜기어는 로크 기구로서도 동작할 수 있지만, 정지시의 부하가 웜기어에 작용하기 때문에 웜 휠 또는 웜의 톱니에 가해지는 부담이 크고 톱니가 파손하는 일도 있다. 또한, 상기 정지시의 톱니 부담을 경감함에도 불구하고 홀더 정지시에 전달 기구의 동작을 탄력적으로 흡수하여 정지시키는 탄성부재등을 삽입용과 장착용으로 따로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게 되었다.
그래서, 상기 웜기어 대신에 구동모터의 축에 활차를 설치하고, 벨트로 구동력을 구동 기구에 전달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며, 홀더가 소정 위치에 정지하였을시에 벨트가 헐거워져 구동 기구에 무리한 부하를 작용시키지 않고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테이프 수납 하우징 장착 장치가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활차와 벨트에 의하여 홀더의 구동 기구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하였을 경우, 예를들면, 장치에 진동 또는 충경력등에 의하여 소정의 삽입위치 또는 장착 위치에 정지하고 있는 홀더를 이동시키려고 하는 외력이 작용하면, 구동 기구의 톱니바퀴등이 회전하여 활차와 벨트에 의하여 구동 모터가 회전하고, 홀더가 소정 정지위치로부터 이동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로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테이프 카세트를 삽입해서 기록/재생장치의 소정 장착위치로 이동하는 홀더 구동용 구동기구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이며, 상기 로크 기구가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제1걸림부 및 결치부를 가진 제1톱니바퀴와, 제2걸림부를 가진 제1톱니바퀴에 맞물리며 홀더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톱니바퀴로 구성되고, 홀더가 장착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결치부를 제2톱니바퀴에 대향시켜 제2톱니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대기 위치에서 정지한 제2걸림부에 회전하는 제1걸림부가 서로 맞붙게 걸어맞춤되어 제2톱니바퀴가 로크되도록 구성되며, 테이프 수납 하우징을 삽입한 홀더를 소정 장착 위치에 로크하는 것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서 본 고안의 로크 기구인 일실시예를 적용시킨 테이프 수납하우징 장착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 9 도에서는 홀더의 근처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 10 도에서는 본 고안의 중요 부분이 되는 로크 기구를 사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중, 테이프 수납 하우징 장착 장치(1)는 테이프 카세트(2)의 단(短)변측을 전면으로 하여 삽입되도록 기록/재생장치(비디오 테이프 레코더)(3)내에 설치되어 있다. 제 3 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장치(1)는 기록/재생장치(3)의 전면패널(3a)에 대해 폭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기록/재생장치(3)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2)를 삽입하는 삽입구(3b)는 테이프 카세트(2)를 단 변측에서부터 삽입되는 크기가 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2)내의 자기 테이프(도시되지 않음)를 감는 회전 드럼(4)이 장치(1)의 좌측 방향에 설치되어 있으며, 테이프 카세트(2)의 덮개 로크 해제 버턴(2a)을 가지는 단 변측의 면을 전면으로 하고, 덮개(2b)를 가진 장(長)변측의 면을 좌측으로한 방향으로 삽입구(3b)에서부터 장치(1)내에 삽입하면, 제 3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2)는 일정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이점쇄선으로 도시된 소정 장착 위치에 운반되어 장착된다.
제 1 도, 제 2 도, 제 4 도, 제 5 도 및 제 9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2)가 삽입구(3b)로부터 삽입된 홀더(5)는 회전드럼(4)측을 개구로하여, 테이프 카세트(2)를 적재하는 저판(5a)과, 테이프 카세트(2)의 상면에 대향하는 상판(5b)과, 저판(5a)과 상판(5b) 사이를 접속하는 측판(5c)을 가지고 있으며, 단면자형으로 ㅕㅇ성되어 있다.
저판(5a)에는 홀더(5)가 강하할때, 기록/재생장치(3)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급측 릴대(6) 및 감는측 릴대(7)를 상대적으로 끼워 넣기 위한 장원형상의 구멍(5a1)과 테이프단을 검출하기 위한 테이프단 검출용 램프(도시 되지 않음)를 끼워 넣는 구멍(5a2)등이 뚫려져 설치되어 있고, 테이프 카세트(2)의 삽입 방향 윗중심에서부터 변위된 위치에 돌출핀(8)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핀(8)은 테이프 카세트(2)의 저면측의 장방향을 따라 중심에서부터 변위된 위치에 형성된 홈(2c)에 끼워 넣고, 테이프 카세트(2)가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2)의 미끄러져 움직임을 안내한다.
또한, 저판(5a)의 안쪽부에 수직으로 세워진 안쪽판(5d)은 상부에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2)의 상면에 대향하는 절곡부(5d1)와, 테이프 카세트(2)의 덮개 로크 해제 버턴(2a)에 서로 접하도록 삽입 방향에 절곡된 접합부(5d2)를 가진다. 저판(5a)은 단 변의 전후측과 장변의 우측에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5c 내지 5g)에 외측 측방향으로 돌출하는 핀(5e1내지 5g1)을 가지고 있다.
제 2 도 및 제 9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홀더(5)는 브래킷(9 내지 12)을 4각 틀형으로 조립 부착된 프레임(13)내에서 상하방향(화살표 Y1, Y2방향)으로 이동 자재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즉, 홀더(5)는 핀(5e1)을 끼워넣는 브래킷(9)의 L자형의 안내홈(9a), 핀(5f1, 5g1)을 끼워 넣는 안내홈(10a, 11a)에 안내되어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14)는 연동부재이고, 홀더(5)의 저판(5a)의 하면에 대향하는 저부(14a)와, 상판(5b)의 상면에 대향하는 상부(14b)와, 측판(5c)의 외측 측면에 대향하는 측부(14c)로 구성되며 단면자형으로 형성되고, 테이프 카세트(2)의 삽입, 이젝트 조작에 따라 홀더(5)의 외측을 화살표(X1, X2)방향으로 미끄러 움직인다.
또한, 제 1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연동부재(14)는 홀더(5)내에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2)의 전단의 상하면을 잡는 잡음 부재(15, 16)를 측부(14C)의 안쪽측에 가지고 있으며, 상부(14b)의 단부에서부터 아래 방향으로 절곡된 테이프 카세트(2)의 전면에 서로 걸어 맞춤되는 접합부(14d)를 가지고 있다.
잡음부재(15, 16)는 각각 축(17, 18)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코일 스프링(19)의 인장력에 의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고 있다. 또한, 잡음부재(15, 16)는 테이프 카세트(2)의 삽입전에 홀더(5)의 측판(5c)의 상하연부에 설치된 경사부(5c1, 5c2)에 스프링(19)에 대향하여 올려져 있고, 테이프 카세트(2)의 상하면에 서로 걸어맞춤되지 않은 열린 상태로 떨어져 있다.
또한, 제 9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연동부재(14)의 측부(14c)의 전, 후측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핀(14c1, 14c2)이 설치되어 있다. 돌출핀(14c1)은 안내홈(9a)에 끼워 넣고, 돌출핀(14c2)은 브래킷(9)에 뚫어 설치된 L자형의 안내홈(9b)에 돌출핀(14c2)을 끼워 넣고 있다. 또한 제 1 도 및 제 10 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돌출핀(14c1)은 브래킷(9)에 설치된 구동 전달기구(20)의 회전암(35)의 긴구멍(35a)에 걸어 맞춘다.
따라서, 연동부재(14)는 회전암(35)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홈(9a, 9b)에 안내되어 수평 방향으로 홀더(5)의 외측을 연동시키고 상호로 움직일 때에는 홀더(5)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2)가 삽입되는 위치에 정지하고 있을때, 연동부재(14)에 이끌려 들어간 홀더(15)는 연동부재(14)의 돌출핀(14c1, 14c2)이 안내홈(9a, 9b)의 수평부(9a1, 9b1)단에 끼워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홀더(5)를 상하 움직이려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마음대로 이동하는 일이 없다.
제 4 A 도 및 제 10 도에서 본 고안의 중요 부분인 로크 기구를 도시한다. 제 4 A도 및 제 10 도에서, 로크기구(36)는 홀더(5)가 장착 위치로 이동하였을때, 후술하는 바와같이, 로크 톱니바퀴(41)가 결치톱니바퀴(40)와의 사이에서 로크되며, 또한, 이 로크톱니바퀴(41)의 후술하는 수단으로 연결된 홀더(5)가 로크된다.
구동 전달기구(20)는 구동 모터(26)의 축 선단에 고착된 활차(27)와 브래킷(9)에 나사 고정된 크랭크형의 브래킷(37)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활차(38) 사이에 밸트(28)를 팽팽하게 걸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활차(38)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소 톱니바퀴(39a)에는 감속 톱니바퀴(39)가 맞물림되어 있으며, 감속 톱니바퀴(39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소 톱니바퀴(39a)는 축(9d)에 지지된 결치부(40a)를 가진 결치 톱니바퀴(40)(제1톱니바퀴)에 맞물림 되어 있다.
또한, 결치 톱니바퀴(40)는 제 10 도중에 내측에 반원형 단부(40d)와 4각형의 돌출부(40e) 사이에 원호상으로 돌출하는 걸림부(40f)(제1걸림부)가 캠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40f)에 후술하는 로크 톱니바퀴(41)의 양갈래 형상의 걸림부(41e) (제2걸림부)가 맞물림 된다.
또한, 제 10 도중 결치 톱니바퀴(40)의 외측에는 모터스위치(25)를 폐쇄시키는 돌기부(40b), (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기부(40b)는 테이프 카세트(2)가 홀더(5)내에 삽입된 연동부재(14)를 소정거리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 모터 스위치(25)를 폐쇄하고 구동 모터(26)를 구동시킨다. 한편, 상기 돌기부(40c)는 테이프 카세트(2)가 삽입된 홀더(5)가 장착 위치에 이동했을때 모터 스위치(25)를 다시 개방시켜 구동모터(26)를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모터 스위치(25)에서의 신호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며, 제어부는 구동 모터(26)를 시동 또는 정지시킨다.
또한, 결치 톱니바퀴(40)는 제1톱니바퀴(41a), 양갈래 형상의 걸림부(41e) 및 제2톱니바퀴부(41b)가 형성된 로크 톱니바퀴(41)(제2톱니바퀴)의 외측의 제1톱니바퀴부(41a)와 맞물림되고 있다.
상기 로크톱니바퀴(41)는 제 10 도중 외측에 제1톱니바퀴부(41a), 내측의 제2톱니바퀴부(41b), 상기 제1톱니바퀴부(41a)와 제2톱니바퀴부(41b) 사이의 양갈래 형상의 돌출부(41c), (41d)를 갖는 걸림부(41e)(제2걸림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로크 톱니바퀴(41)는 축(9c)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축(9c) 및 (9d)은 크랭크상의 배르캣(3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로크 톱니바퀴(41)의 내측 제2톱니바퀴부(41b)는 결치 톱니바퀴(40)와 별도로 형성되며, 축(9b)에 지지되어 있는 전달 톱니바퀴(42)와 맞물림 되어 있다.
또한, 제 10 도중 전달 톱니바퀴(42)의 내측에는 긴구멍(35a)이 형성된 회전암(35)이 축(9d)에 지지되어 있다. 이 긴구멍(35a)에는 전술한 연동부재(14)의 돌출핀(14c1)이 끼워 맞춤되어 있다.
또한 전달 톱니바퀴(42)의 회전암(35) 사이에서는 일단을 회전암(35)의 걸림부(35b)에 걸어두며, 타단을 전달 톱니바퀴(42)의 구멍(42b)에 걸어둔 코일 스프링(43)이 배치 설정되어 있다. 또, 전달 톱니바퀴(42)는 원호상의 긴구멍(42c)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긴구멍(42c)에는 회전암(35)에 돌출 설치된 돌출핀(35c)이 끼워 맞춤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구동 전달기구(20)에 있어선 구동모터(26)의 회전이 벨트(28)을 거쳐서 활차(38) 및 감속 톱니바퀴(39)에 전달되는 감속 기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감속 톱니바퀴(39)의 회전이 결치 톱니바퀴(40), 로크 톱니바퀴(41), 전달 톱니바퀴(42), 회전 암(35)에 차례로 전달되며 연동부재(14)의 돌출핀(14c1)를 거쳐서 연동 부재(14)를 화살표(X1), (X2)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더불어 연동부재(14)와 연결된 홀더(5)를 후술하듯이 화살표(Y1), (Y2)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되어있다.
스프링(43)의 인장력에 의하여 회전암(35)은 화살표(A) 방향으로, 전달 톱니바퀴(42)는 화살표(B) 방향으로 각각 회전 운동하여 힘을 더하고, 돌출핀(35c)과 긴 구멍(42c)이 서로 접촉하여 서로의 위치가 정해지고 있다. 따라서, 회전암(35)과 전달 톱니바퀴(42)는 돌출핀(35c)가 긴 구멍(42c)의 걸어맞춤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회전하지만 서로 돌출핀(35c)이 긴 구멍(42c)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각도만큼 스프링(43)에 대향하여 독자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중요 부분을 이루는 로크 기구(36)는 상기 구동 모터(26)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원호형의 걸림부(40f)와 결치부(40a)를 가진느 결치 톱니바퀴(40)와 양갈래형의 걸림부(40e)를 가지고 결치톱니바퀴(40)에 맞물리어 홀더(5)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로크 톱니바퀴(41)로 구성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21)은 삽입구(3b)의 개폐 덮개이고, 양측의 축(21a, 21b)을 브래킷(9, 12)으로 축받이 되어 있고, 축(21a)에 권장된 비틀림 스프링(22)의 탄성력에 의하여 덮개가 닫혀져 있다.
(23)은 장착 위치에 강하되는 테이프 카세트(2)의 덮개(2b) 밑가장자리에 서로 접하여 덮개(2b)를 걸리게 하여 덮개를 열게하는 덮개 열기 걸림부재이며, 브래킷(11)으로부터 일체로 절곡되고 있다. 그리고, 브래킷(12)은 앞축의 브래킷(10) 상부와 안쪽의 브래킷(11) 상부를 정지해 놓고 있으며, 하방향으로 테이프 로딩을 행하기 위한 개구(24)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 구성이 되는 테이프 수납 하우징 장착장치(1)에 테이프 카세트(2)를 삽입하여 장착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제 3 A 도 및 제 3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2)의 단벽측의 덮개 로크 해제 버턴(2a)을 가지는 면을 전면으로 하여 삽입구(3b)에 할당된 테이프 카세트(2)를 화살표(X1)방향으로 누른다. 테이프 카세트(2)는 그 전면에서 개폐 덮개(21)를 스프링(22)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눌어 덮개를 열고 홀더(5)내에 삽입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2)가 홀더(5)내에 삽입될때, 테이프 카세트(2) 저면의 홈(2c)이 저판(5a)의 돌출핀(8)에 끼워 맞추고, 상기 이외의 방향으로서의 삽입을 방지한다.
또한, 테이프 카세트(2)는 돌출핀(8)에 삽입 방향으로 규제하면서 화살표(X1) 방향으로 삽입되어 연동부재(14)의 접합부(14d)에 서로 접합시킨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2)의 후측을 기록/재생장치(3) 전면(3A)과 대략 동일 평면위치로 될때까지 누르면, 연동부재(14)가 테이프 카세트(2)에 눌려져 화살표(X1) 방향으로 미끄러움직인다. 또,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이프 카세트(2)는 우측 앞쪽 상하면의 경사부(5c1, 5c2)를 통과하여 스프링(19)의 인장력에 의하여 닫힌 상태로 변위된 잡음 부재(15, 16)에 끼이게 된다.
다음에, 제 7 도 및 제 4 B 도 및 제 10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연동부재(14)의 화살표(X1) 방향으로의 변위와 함께 핀(14c1)이 회전암(35)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구동 전달 기구(20)의 돌기부(40b)가 모터스위치(25)의 접합 조작부(25a)에 서로 접하여 스위치(25)를 폐쇄한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2)의 삽입으로부터 연동부재(14)를 화살표(x1) 방향으로 삽입 변위시킬때, 핀(14c1)과 긴 구멍(35a)과의 걸어 맞춤에 의하여 구동 전달 기구(20)의 회전암(35)이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수반하여, 회전암(35)은 상기한 구성으로 다른 전달톱니바퀴(42), 로크톱니바퀴(41), 결치톱니바퀴(40), 감속 톱니바퀴(39), 활차(38), 벨트(28), 활차(27), 모터(26)등을 회전시킨다.
스위치(25)가 폐쇄하면 브래킷(9)의 단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6)가 회전하고, 모터(26)의 회전력이 활차(27), 벨트(28)를 통하여 구동전달 기구(20)의 활차(38)에 전달된다.
회전암(35)은 구동 전달기구(20)의 각 톱니바퀴등을 통하여 감속된 모터(26)의 회전 구동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연동부재(14)를 제 7 도에서 도시된 삽입완료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테이프 카세트(2)는 잡음부재(15, 16)에 상, 하면을 끼게한 상태로 연동부재(14)와 함께 화살표(X1)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같이 하여, 테이프 카세트(2)가 홀더(5)내에 끌려들어가서 삽입완료 위치에 이르면, 덮개 로크 해제 버턴(2a)이 접합부(5d2)에 서로 접하여 로크 해제 위치로 변위된다. 또, 테이프 카세트(2)의 앞쪽 상면이 절곡부(5d1)에 대향한다.
다시, 회전암(35)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동부재(14)의 핀(14c1, 14c2)이 안내홈(9a, 9b)의 수평부(9a1, 9b1)로부터 수직부(9a2, 9b2)에 따라 강하된다.
제 8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홀더(5)내에 삽입된 테이프 카세트(2)는 안내홈(9a, 9b)에 따라서 이동하는 연동부재(14)와 함께 장착 위치에 이르기까지 화살표(Y1) 방향으로 강하된다.
테이프 카세트(2)가 강하될때, 제 5 도 및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덮개(2b)의 밑가장자리가 덮개 열기 걸림부재(23)의 경사부(23a)에 서로 접하고, 상대적으로 밀어 올려져 덮개(2b)가 열리게 된다. 또, 장치(1)에는 홀더(5)의 핀(5e1)에 걸어 맞추어서 브래킷(9)에 지지된 암(29a, 29b)과, 일단이 핀(5f1)에 걸어 맞춤되고 타단이 암(29a)에 연결되는 브래킷(10)에 지지된 암(29c)고, 일단이 핀(5g1)에 걸어 맞춤되고 타단이 암(29b)과 연결되는 브래킷(11)에 지지된 암(29d)으로 구성되는 상하 이동 기구(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문에, 홀더(5)가 삽입완료 위치부터 장착 위치까지 강하될대, 테이프 카세트(2)를 적재한 저판(5a)은 상하 이동 기구(31)의 각 암(29a 내지 29d)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각 핀(5e1내지 5g1)이 동일 높이 위치에서 변위하여 수평상태로 안정적으로 강하된다.
또, 홀더(5)가 장착 위치에 이르면 핀(14c2)이 안내홈(9b)의 수직부(9b2)단에 서롤 접하고, 홀더(5)가 장착 위치에 정지된다.
핀(14c2)이 안내홈(9b)의 수직부(9b2)에 서로 접한후에도 회전력이 전달 톱니바퀴(42)에 전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전달 톱니바퀴(42)는 홀더(5)와 함께 정지된 회전암(35)에 대해 스프링(43)의 인장력에 대향하여 화살표(A) 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따라서, 전달 톱니바퀴(42)의 상기 회전에 의하여 연동부재(14)를 하방향으로 누르는 회전암(35)의 누르는 힘이 크게 되어, 홀더(5)가 장착 위치에 안정하고 확실하게 위치가 정해진다.
그리고, 스프링(43)의 인장력은 회전암(35), 연동부재(14)를 통하여 홀더(5)를 하방향으로 누르고, 다시 핀(5e1)을 걸어 맞추는 암(29a 내지 29d)을 통하여, 홀더(5)의 장변 중앙과 양측 단변을 하방향으로 누르고, 홀더(5)가 장착 위치에 안정적으로 눌리어져 유지된다.
여기서, 홀더(5)가 장착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결치 톱니바퀴(40)의 결치부(40a)가 로크 톱니바퀴(41)의 제1톱니바퀴(41a)에 대향하며,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하는 로크 톱니바퀴(41) 및 전달 톱니바퀴(42)가 제 8 도 및 제 4 c 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정지된다.
양갈래형의 돌출부(41c, 41d)는 결치 톱니바퀴(40)의 중심을 향한 위치에서 대기하고 있으며, 이 대기 위치에서 정지한 돌출부(41c, 41d)에, 화살표(A)방향으로 회전하는 결치 톱니바퀴(40)의 걸림부(40f)가 서로 접하여 걸어 맞춤하게 된다.
즉, 결치 톱니바퀴(40)는 원호형의 걸림부(40f)의 단부(40d)를 정지하고 있는 로크 톱니바퀴(41)의 돌출부(41c)를 통과시키고, 돌출부(40e)를 돌출부(41d)에 서로 접합시켜서 정지된다.
결치 톱니바퀴(40)의 정지와 거의 동시에 돌기부(40c)가 스위치(25)의 접합 조각부(25a)에 서로 접하여 스위치(25)를 폐쇄하여 모터(26)를 정지시킨다.
따라서, 로크 톱니바퀴(41)는 돌출부(41c)가 결치 톱니바퀴(40)의 걸림부(40f)의 단부(40d)에 서로 접하여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을 저지하고, 돌출부(41d)와 걸림부(40f)의 돌출부(40e)와 서로 접하여 화살표(C) 방향으로 회전을 저지한다. 즉, 로크 톱니바퀴(41)는 제 8 도 및 4 c 도에 도시된, 걸림부(40f)를 접하게하고 걸어 맞춤하여 회전불가 상태로 로크된다.
따라서, 진동 또는 충격등의 외력이 장치(3)에 부가되고, 장착 위치에 장착된 홀더(5)를 상하로 움직이려는 힘이 작용하여도, 로크 톱니바퀴(41)의ㅏ 로크에 의하여 홀더(5)는 장착 위치에 확실히 로크된다.
그리고, 브래킷(9, 12) 사이에 회전 자재로 설치된 눌림부재(32)가 홀더(5)에 걸린 코일 스프링(33)에 인장되고 있으며, 홀더(5)의 강하 이동과 함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장착 위치에 강하된 테이프 카세트(2)는 상면을 스프링(33)에 부가한 눌림부재(32)에 눌리게 되고 덜거덕 거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이젝트 조작하면 모터(26)가 상기와 역 방향으로 회전하여 구동 전달기구(20)를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모터(26)의 역방향 회전에 의하여 결치 톱니바퀴(40)가 화살표(B) 방향으로 회전하고, 걸림부(40f)가 돌출부(40c, 41f)에 서로 접하여 로크 톱니바퀴(41)를 로크하는 위치부터 이탈되고 로크를 해제한다. 다음에, 결치부(40a)가 로크 톱니바퀴(41)의 제1톱니바퀴부(41a)에 대향하는 위치부터 회전하고, 결치 톱니바퀴(40)는 제1톱니바퀴부(41a)에 맞물리고 로크 톱니바퀴(41), 전달 톱니바퀴(42)를 통하여 회전암(35)을 화살표(B)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연동부재(14)는 회전암(35)의 화살표(B) 방향의 회전에 의하여 L자형의 안내홈(9a, 9b)에 따라서 화살표(Y2)방향으로 상승 이동하여 삽입완료 위치에 이르고, 다시 화살표(X2)방향으로 수평이동한다.
연동부재(14)의 제 3 도에 도시하는 이젝트 위치로 되돌아가면, 잡음 부재(15, 16)는 경사부(5c1, 5c2)를 연동하여서 테이프 카세트(2)의 상하면으로부터 이탈하여 끼워지게 도는 것을 해제한다. 그리고, 후측의 단부를 삽입구(3b)로부터 돌출하는 위치까지 눌러서 테이프 카세트(2)가 되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모터(26)는 이젝트 동작시에 결치 톱니바퀴(40)의 돌기부(40b)가 접합 조각부(25a)에 서로 접하여 모터스위치(25)를 폐쇄하지만, 이때의 스위치(25)로부터 신호가 공급되어도 제어부는 모터(26)를 정지시키지 않고, 테이프 카세트(2)를 이젝트 위치까지 되돌려줄때까지 구동 전달기구(20)를 구동한다.
또, 테이프 카세트(2)를 이젝트 할때, 테이프 카세트(2)가 장착 위치로부터 삽입 완료위치에 상승 이동하는 동안에, 회전암(20a)의 핀(20a1)이 덮개 열기 레버(34)에 서로 접하여 덮개 열기 레버(34)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개폐덮개(25)를 열게 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2)가 삽입구(3b)로부터 반환되었을대, 개폐 덮개(21)가 열리고 테이프 카세트(2)의 반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서 로크 기구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고 제1걸림부와 결치부를 가지는 제1톱니바퀴와, 제2걸림부를 가지고서 제1톱니바퀴에 맞물리고 홀더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톱니바퀴로부터 이루어지며, 홀더가 장착 위치에 이르는 직전에 결치를 제2톱니바퀴에 대향시키고 제2톱니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대기 위치에서 정지한 제2걸림부에 회전하는 제1걸림부가 서로 접하게 걸어 맞춤하여 제2톱니바퀴가 로크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홀더가 장착 위치에 이르면 모터의 회전력에 의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는 전달 기구를 확실하게 로크하여, 제2톱니바퀴의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저지할 수 있고, 따라서, 장착 위치의 홀더를 상하 움직이려고 하는 외력이 부가되어도 전달 기구가 동작하여 홀더가 장착 위치부터 마음대로 이동하는 불편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우기 홀더를 소정의 장착 위치에 안정하고 공고히 위치를 정하여 유지할 수 있고, 특히 간단한 구성을 이루며 벨트를 통하여 구동하는 기구에 매우 적합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1)

  1. 구동 모터(26)와 연결된 연동부재(14)를 거쳐서 테이프 수납 하우징(2)를 홀더(5)에 수납하며, 상기 연동부재(14)와 연결된 상기 홀더(5)를 기록/재생 장치(3)위 소정 장착위치로 이동시켜서 상기 홀더(5)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6)의 회전력에 의해 감속기구(27, 28, 38, 39)를 거쳐서 회전 구동하는 제1걸림부(40f)와 결치부(40a)를 가진 제1톱니바퀴(40)와, 상기 제1톱니바퀴(40)에 맞물림됨과 더불어, 사기 제1톱니바퀴(40)와 동축(9d)인 전달 톱니바퀴(42)에 맞물림되는 제2걸림부(41e)를 가진 제2톱니바퀴(41)와, 상기 제1톱니바퀴(40) 및 상기 전달 톱니바퀴(42)와 동축이며 상기 전달 톱니바퀴(42)와 걸어 맞춤 핀(14c1)을 거쳐서 연결되며 상기 연동부재(14)와 걸어 맞춤핀(14c1)을 거쳐서 연결된 회전암(35)으로 구성되며, 상기 연동부재(14)와 연결된 상기 홀더(5)가 장착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상기 제1톱니바퀴(40)의 상기 결치부(40a)를 상기 제2톱니바퀴(41)에 대향시키며, 제2톱니바퀴(41)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대기 위치에서 정지한 상기 제2걸림부(41e)에 회전하는 상기 제1걸림부(40f)가 서로 맞붙여 걸어 맞춤되어 상기 제2톱니바퀴(41)가 로크됨과 더불어 상기 홀더(5)가 로크되게 구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크기구.
KR2019860000723U 1985-01-29 1986-01-24 로크기구 KR90000849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04 1985-01-29
JP1985010704U JPH0356901Y2 (ko) 1985-01-29 1985-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073U KR860010073U (ko) 1986-08-16
KR900008492Y1 true KR900008492Y1 (ko) 1990-09-22

Family

ID=1175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0723U KR900008492Y1 (ko) 1985-01-29 1986-01-24 로크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768113A (ko)
EP (1) EP0190044B1 (ko)
JP (1) JPH0356901Y2 (ko)
KR (1) KR900008492Y1 (ko)
DE (2) DE190044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998Y2 (ko) * 1985-09-13 1992-06-29
AT384687B (de) * 1986-02-24 1987-12-28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
JPS63184440U (ko) * 1987-05-18 1988-11-28
JP2521335B2 (ja) * 1987-09-30 1996-08-07 三星電子株式会社 テ―プレコ―ダのカセットロ―ディング空回転装置
JPH07114050B2 (ja) * 1988-03-28 1995-12-06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JPH02177048A (ja) * 1988-12-27 1990-07-10 Toshiba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2177046A (ja) * 1988-12-27 1990-07-10 Toshiba Corp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75600B2 (ja) * 1988-12-27 1997-11-12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2177163A (ja) * 1988-12-28 1990-07-10 Toshiba Corp カセット装填装置
JP2693541B2 (ja) * 1988-12-28 1997-12-24 株式会社東芝 カセット装填装置
US5196971A (en) * 1988-12-28 1993-03-23 Kabushiki Kaisha Toshiba Tape loading mechanism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ape control features for preventing damage to tape
JP2727657B2 (ja) * 1989-05-31 1998-03-11 ソニー株式会社 カセット装着装置
US5430587A (en) * 1993-07-08 1995-07-04 Tandberg Data Storage A/S Cassette-activated mechanism for inwardly opening recorder door
JP3229212B2 (ja) * 1995-12-15 2001-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蓋体開閉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記録再生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7010A (ko) * 1973-11-30 1975-07-12
US4018403A (en) * 1976-01-19 1977-04-19 Odetics, Inc. Cassette loader for video recorder/reproducer
JPS5634165A (en) * 1979-08-23 1981-04-06 Victor Co Of Japan Ltd Loader for tape containing case
JPH07118123B2 (ja) * 1982-06-23 1995-12-18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における操作切換機構
DE3404099A1 (de) * 1983-02-08 1984-08-16 Victor Company Of Japan, Ltd., Yokohama, Kanagawa Lade- und auswerfvorrichtung fuer eine magnetbandkassette in einem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JPS60647A (ja) * 1983-06-15 1985-01-05 Hitachi Ltd カセツト装着装置
US4641210A (en) * 1983-09-24 1987-02-03 Sony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H0619885B2 (ja) * 1984-12-20 1994-03-16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ツトロ−デイング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0073U (ko) 1986-08-16
DE190044T1 (de) 1987-01-15
JPH0356901Y2 (ko) 1991-12-24
JPS61126444U (ko) 1986-08-08
EP0190044A2 (en) 1986-08-06
EP0190044A3 (en) 1988-09-28
EP0190044B1 (en) 1991-10-16
DE3681932D1 (de) 1991-11-21
US4768113A (en)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8492Y1 (ko) 로크기구
EP0431966B1 (e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video cassette recorder
CS122187A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4786998A (en) Disk driving device
EP0232111B1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improved side plates
EP0215663B1 (en) Tape cassette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having a lock mechanism
JPH0237164Y2 (ko)
JPS6327792B2 (ko)
JPH0135414B2 (ko)
EP0633569A2 (en) Door opening mechanism for ejection of magnetic tape cassette
JPH07114050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機構
US6201660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237165Y2 (ko)
US5249088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with resilient guide slot for prevention of jamming
US618854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JPH042443Y2 (ko)
JPH0356902Y2 (ko)
JPS6215894Y2 (ko)
KR200160653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도어 안전장치
JPS6349893Y2 (ko)
JP2803228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KR910007258Y1 (ko) 디지탈 오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트레이 후진 방지장치
JP2596147B2 (ja) カセット装着装置
EP0557195B1 (en) A tape cassette
JP2737167B2 (ja) カセットロ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7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