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983Y1 -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983Y1
KR900007983Y1 KR2019870013542U KR870013542U KR900007983Y1 KR 900007983 Y1 KR900007983 Y1 KR 900007983Y1 KR 2019870013542 U KR2019870013542 U KR 2019870013542U KR 870013542 U KR870013542 U KR 870013542U KR 900007983 Y1 KR900007983 Y1 KR 9000079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pulse
bar
monostable multivibrator
nand 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871U (ko
Inventor
김학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3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983Y1/ko
Publication of KR890005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9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9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 2 도는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 엔코딩 회로.
제 3 도는 본 고안 회로도의 각부 파형도.
제 4 도는 칼라바 출력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 펄스 발생부 20 : 메트릭스
AS : 아날로그 스위치 VR1-VR10: 가변저항
IC1: 발진기 IC2: 업 카운터
IC3: 다운 카운터 SW : 스위치
MT1-MT3: 단안정멀티바이브레이터 OR1-OR4: 오아게이트
NO1-NO4: 노아게이트 N1-N4: 낸드게이트
본 고안은 칼라 엔코딩부를 포함한 비데오 카메라등의 비데오 장비에 내장되어 칼라바 신호 합성을 위한 칼라바 펄스를 발생시키는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자연계의 영상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려면 명암에 따른 휘도 신호와 색상 정보를 90위상차를 갖는 두축을 중심으로 분류시켜 평형 변조 시킨후 합성시킴으로써 전기적인 영상 신호를 얻게된다.
따라서 올바른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칼라 엔코딩 과정 및 이를 디코딩 시키는 디코딩 과정에서 높은 정밀도가 요구된다.
특히 칼라 모니터 등의 디코딩부에서는 그 변화가 심하므로 일반적으로 기준이 되는 칼라바 신호를 동기시켜 디코딩 상태를 조정하여야 하나 이는 별도의 기준 칼라바 발생기를 갖추어야만 하고 또한 동기 시켜야 되므로 장비가 거대화 되어 야외 촬영 현장에서는 신속한 대응이 곤란하고 조작도 어려운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기존의 비데오 카메라내에 내장된 엔코딩 회로를 그대로 사용하고 카메라에 동기된 칼라바 펄스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표준 칼라바(EIA)펄스를 아날로그 스위치로서 삼원색 영상신호와 절환 시키므로써 별도의 동기 및 절환 회로 없이 모니터 등의 디코딩 상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칼라바 발생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므로 트리거 발진기가 수평 블랭킹 펄스로 트리거 되어 발전되게 하고 이 출력을 프리셋트 다운 카운터에서 분주한 출력을 논리소자에 의하여 콘트롤하여 적, 녹, 청(R, G, B)칼라신호의 바 펄스를 생성하고 192진 업 카운터에 의하여 수직 기간을 분할하여 화면 하단부에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데이타를 동작시켜 I, W, Q 바 펄스를 출력 표준 칼라바(EIA)펄스를 발생시키게 한 것이다.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서 바온신호 인가시 수평블랭킹 펄스로 트리거 되어 저항(R1)과 콘덴서(C1)의 시정수로 발진하는 발진기(IC1)의 출력을 수평 블랭킹 펄스에 의해 프리셋트 되는 다운카운터(IC3)에 인가시키게 구성하고 다운 카운터(IC3)에서 분주된 출력은 노아게이트(NO1-NO4)와 낸드게이트(N2)(N4)의 논리 조합에 의하여 R, G, B바 펄스를 만들게 구성하며 상기 다운 카운터(IC3)에서 지연된 수평 블랭킹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펄스(VD)로 리셋트 되는 업 카운터(IC2)에 인가시켜 수직 기간을 분할하여 192라인 다음에 낸드게이트(N3)에서 스프리트 펄스(SPLIT)가 출력되게 구성하고 상기 스프리트 펄스(SPLIT)는 오아게이트(OR1)와 낸드게이트(N1) 및 인버터(I1)를 통하여 시스템 블랭킹 펄스(SYS BL)와 논리 조합되어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MT3)의 리셋트 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한 후 상기 다운 카운터(IC3)에서 지연된 수평 블랭킹 펄스를 저항(R2-R4)과 콘덴서(C2-C4)에 의해 펄스폭이 조정되는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MT1)(MT2)(MT3)에 순차적으로 인가시켜 주어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MT2)(MT3)의 출력 측으로 I, W, Q바 펄스를 출력 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2 도는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 엔코딩 회로로서 바 펄스 발생부(10)는 제 1 도의 회로가 된다. 따라서 바 펄스 발생부(10)의 바 펄스가 가변저항(VR1-VR3)을 통하여 아날로그 스위치(AS)에서 R, G, B 신호와 절환되어 매트릭스(20)에서 Y, I, Q신호를 합성시키게 구성 시키고 매트릭스(20)의 Y신호는 앰프1(11)와 지연부(12)를 통하고 I, Q신호는 Q앰프(14)와 I앰프(17)를 통한후 필터(15)(18)를 통하여 위상 변환부(21)에서 위상 변환되어 앰프2(13)에 인가 시킴으로써 앰프 2(13)에서 Y신호와 가산되어 완전한 비데오 신호가 출력되게 구성시킨 것으로 이는 비데오 카메라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서 표준 칼라바(EIA)펄스를 발생 시키기 위해 바온단자를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우레벨 상태로 유지 시키게 되면 트리거 발진기(IC1)이 단자(AS)에 인가되어 트리거 발진기(IC1)를 동작 시키게 되므로 트리거 발진기(IC1)는 수평블랭킹 단자로 인가되는 수평블랭킹 펄스(제 3 도의(펄스 참조)에 의해 트리거 되어 발진 시정수 조정용 저항(R1) 및 콘덴서(C1)의 시정수에 따라 발진하여 발진기(IC1)의 출력단자(OUT)로 발진 펄스(제 3 도의 IC1의 OUT펄스 참조)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같이 트리거 발진기(IC1)에서 출력되는 발진 펄스가 8진 프리셋트 다운 카운터(IC3)의 클럭단자(CK)에 클럭 신호로써 입력되면 8진 프리셋트 다운 카운터(IC3)는 수평 블랭킹 단자로 인가되는 수평 블랭킹 펄스(제 3 도의)에 의해 프리셋트 되어 다운 카운터를 행하게 된다.
한편 다운 카운터(IC3)에서는 수평 블랭킹 펄스(제 3 도의)를 지연시켜 출력단자(C-OUT)로 출력시키게 되고 이때의 출력단자(C-OUT)출력은 192진 업카운터(IC2)의 클럭단자(CK)로 입력되는 동시에 연결단자(T1)를 통하여 오아게이트(OR2)와 연결된 단안정멀티바이브 레이터(MT1)에 입력되게 되므로써 수직드라이브 펄스(VD)로 리셋트된 업 카운터(IC2)를 카운트 업 시키고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의 출력은 순차적으로 오아게이트(OR3)(OR4)및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T2)(MT3)로 출력되어 각각의 출력단자(I0)(W0)(Q0)로 I, W, Q 바 펄스를 생성 시키게 된다.
여기서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T1-MT3)에 연결된 저항(R2-R4) 및 콘덴서(C2-C4)의 시정수에 의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T1-MT3)에서 출력되는 I, W, Q바 펄스의 폭을 조정하게 된다.
즉 192진 업 카운터(IC2)에서는 수직 드라이브 펄스(VD)로 리셋트 되어 다운 카운터(IC3)의 출력단자(C-OUT)에서 출력되는 지연된 수평 블랭킹 펄스(제 3 도의)를 카운트 업 하여 출력단자(Q7)(Q8)에서 낸드게이트(N3)에 인가시키게 되므로 결국 수직 동기후 192라인 다음에 낸드게이트(N3)에서는 로우레벨의 스프리펄스(SPLIT)를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낸드게이트(N3)에서 출력된 스프리트 펄스(SPLIT)는 스위치(SW)를 통하여 낸드게이트(N2)의 한 입력단자를 로우레벨 상태로 만들게 되므로써 뒷단의 노아게이트(NO1-NO4)가 차단되게 되어 출력단자(R0)(B0)(G0)에서의 R, G, B각 신호 출력은 중지되고 또한 스프리트 펄스(SPLIT)는 오아게이트(OR1)의 한쪽 입력단자를 로우레벨의 되게 하여 오아게이트(OR1)의 로우레벨 출력이 시스템 블랭킹 펄스(제 3 도의 SYS BL참조)가 인가되는 낸드게이트(N1)를 통한후 인버터(I1)에서 반전되어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MT3)의 리셋트 단자)에 인가되게 되므로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MT1-MT3)는 시스템 블랭킹 펄스(제 3 도의 SYS BL)의 하이레벨 구간에서 리셋트 상태가 해제되어 정상 동작하게 된다.
즉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에서는 오아게이트(OR2)를 통하여 인가되는 다운 카운터(IC3)의 출력단자(C-OUT)출력에 의해 동작되어 저항(R2)와 콘덴서(C2)에 의한 펄스폭 조정에 따라서 출력단자(I0)로 I바펄스를 출력시키는 한편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의 출력은 오아게이트(OR3)를 통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2)에 인간되므로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2)에서는 저항(R3)과 콘덴서(C3)에 의한 펄스폭 조정에 따라서 출력단자(W0)로 W바 펄스를 출력시키며 또한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2)의 출력은 오아게이트(OR4)를 통하여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3)에 인가 되므로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3)에서는 저항(R4)과 콘덴서(C4)에 의한 펄스폭 조정에 의하여 출력단자(Q0)로 Q바 펄스를 출력시키게 된다.
즉 업카운터(IC2)가 192라인을 카운트하면 낸드게이트(N3)가 로우레벨이 되고 이때에는 오아게이트(OR1)이 입력의 로우레벨이 되므로 상기된 바와 같이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MT2)(MT3)가 구동되어 저항(R2-R4)과 콘덴서(C2-C4)에 의해 결정된 펄스폭을 갖는 I, W, Q 바 펄스(제 3 도의 I0, W0, Q0참조)를 출력시킴으로써 제 4 도와 같은 표준칼라바(EIA)펄스를 출력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같이 출력된 바 펄스는 제 2 도와 같이 바 펄스발생부(10)에서 출력되는 것으로 이는 가변 저항(VR1-VR3)에서 적정한 레벨로 조정된후 아날로그 스위치(AS)에 인가되어 R, G, B칼라 비데오 신호와 절환되어 저항 매트릭스(20)에 인가되므로써 매트릭스(20)에서는 Y, I, Q신호를 합성시키게 된다.
매트릭스(20)에서 합성된 휘도 신호(Y)는 동시 신호(SYNC) 및 시스템 블랭킹 펄스(SYS BL)와 가산되어 앰프 1(11)에서 증폭시킨후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지연부(12)에서 지연시켜 앰프 2(13)에 인가시킨다.
한편 매트릭스(20)에서 합성된 I, Q신호는 각각 Q앰프(14)와 I앰프(17)에서 증폭시킨후 일정 대역제한을 위해 필터(15)(18)를 통과시키고 이는 다시 I복조부(16)와 그 복조부(19)를 통하여 위상 변조부(21)에서 90°위상차로 변조되어 앰프2(13)에 인가시킴으로써 앰프2(13)에서는 지연부(12)에서 인가되는 Y신호와 합성되어 완전한 비데오 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PAL방식에서 사용할때에는 스위치(SW)로서 스프리트 펄스(SPLIT)출력은 단선 시키고 각 입력단자가 하이레벨이 되게 고정시키면 노아게이트(NO1-NO4)로 풀(PULL)칼라바를 얻을 수 있으며 칼라 모니터의 색상조절시에는가 로우레벨이 되게 하면 청색 바만이 출력되므로 이 청색바에 의하여 여러장비 및 모니터의 색상을 조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제 4 도와 같은 칼라바를 출력시킬 때 발진기(IC1)의 발진 출력이 다운 카운터(IC3)를 구동시키고 각각의 논리소자를 통하여 칼라바신호가 출력되게 하며 업 카운터에서 192개 라인 출력점을 감지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를 구동시켜 I, W, Q신호가 출력되게 한 것으로 기존의 비데오 카메라에 내장된 회로를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회로의 단순화를 기할 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비데오 카메라의 운용시 카메라의 엔코딩 상대의 감지가 용이한 동시에 주변장비(모니터, VTR)등의 시험 및 조정용 기준 신호를 손쉽게 얻을 수 있어 현장에서 촬영시 편리한 칼라바 펄스 발생기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평 블랭킹 펄스로 트리거 되어 저항(R1)과 콘덴서(C1)의 시정수로 발진하는 발진기(IC1)의 출력을 수평 블랭킹 펄스에 의해 프리셋트 되는 다운 카운터(IC3)에 인가시키게 구성하고 상기 다운카운터(IC3)에서 분주된 출력은 시스템 블랭킹 펄스(SYS BL)가 인가되는 낸드게이트(N2)(N4)의 출력과 노아게이트(NO1-NO4)에서 논리조합되어 R, G, B바 펄스를 출력시키게 구성하며 상기 다운카운터(IC3)에서 지연된 수평블랭킹 펄스는 수직 드라이브 펄스(VD)로 리셋트 되는 업카운터(IC2)에 의하여 수직 기간을 분할하여 192라인 다음에 낸드게이트(N3)에서 스프리트 펄스(SPLIT)를 출력시키게 구성한후 상기 낸드게이트(N3)의 출력은 오아게이트(OR1)를 통하고 시스템 블랭킹 펄스가 인가되는 낸드게이트(N1)와 인버터(I1)를 통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 레이터(MT1-MT3)의 리셋트 단자에 인가되게 구성하며 상기 다운 카운터(IC3)에서 지연된 수평 블랭킹 펄스를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MT3)에 순차적으로 인가시켜 주어 상기 단안정 멀티 바이브 레이터(MT1)(MT2)(MT3)의 각 출력 측으로 저항(R2-R4)과 콘덴서(C2-C4)에 의해 결정된 펄스폭을 갖는 I, W, Q바 펄스가 출력되게 구성시킨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KR2019870013542U 1987-08-12 1987-08-12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KR9000079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42U KR900007983Y1 (ko) 1987-08-12 1987-08-12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542U KR900007983Y1 (ko) 1987-08-12 1987-08-12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71U KR890005871U (ko) 1989-04-21
KR900007983Y1 true KR900007983Y1 (ko) 1990-09-03

Family

ID=19266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542U KR900007983Y1 (ko) 1987-08-12 1987-08-12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9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10Y1 (ko) * 2023-07-03 2024-01-04 (주)삼진장식 가구용 높이조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610Y1 (ko) * 2023-07-03 2024-01-04 (주)삼진장식 가구용 높이조절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71U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20109B2 (ja) ビデオ信号混合装置
KR960011562B1 (ko) 자동 동기 극성 제어 회로
KR900007983Y1 (ko) 비데오 카메라의 칼라바 펄스 발생기
EP0159893B1 (en) Signal generator circuits
US4531154A (en) Interface for a video display processor arranged to provide an overlay on a video display
JPH10229504A (ja) 同期処理回路
KR0161400B1 (ko) 디지탈 영상 신호 처리용 안정된 영상 제어 신호 발생 장치
EP0349300B1 (en) A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KR950002666B1 (ko) 문자 표시 장치
JPH04154383A (ja) 水平同期信号保護回路
KR0132889B1 (ko) 비데오 칼라바 발생방법과 그 장치
EP0290183B1 (en) Pal video signal processing device
KR910006315Y1 (ko) 모니터의 화면 분할회로
KR0123651Y1 (ko) 문자 표시용 발진기의 동작 제어회로
JPS6076813A (ja) Pll回路
JPS6340518B2 (ko)
SU1415467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телевизионного стандарта
JP2962421B2 (ja) スーパーインポーズ回路
JPH02262776A (ja) スーパーインポーズ制御回路
JPH0452037B2 (ko)
JPH0456481A (ja) 映像処理回路
JPS6426884A (en) Monitor tv simulator
JPH01106587A (ja) カメラ一体型vtr
JPS6041371A (ja) 固体撮像装置用の駆動パルス発生回路
JPS62213488A (ja) ミユ−テイング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