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48Y1 -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 Google Patents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48Y1
KR900007848Y1 KR2019870003905U KR870003905U KR900007848Y1 KR 900007848 Y1 KR900007848 Y1 KR 900007848Y1 KR 2019870003905 U KR2019870003905 U KR 2019870003905U KR 870003905 U KR870003905 U KR 870003905U KR 900007848 Y1 KR900007848 Y1 KR 900007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ransistor
constant voltage
base
imag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3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5588U (ko
Inventor
히데오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와타리 스기이치로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15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55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27Center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6Switching arrangements for passing the current in either direction at will; Switchin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current at will
    • H03K17/661Switching arrangements for passing the current in either direction at will; Switchin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current at will connected to both loa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수직화상 위치 조정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의 동작특성예를 나타낸 특성도.
제4도 내지 제7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제8도는 종래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7, 23 : 직류전원 2 : 수직구동회로
3a, 3b : 수직출력용 트랜지스터 4 : 수직편향코일
5 : 캐패시터 6, 7, 9, 11, 12, 15, 16, 19, 22 : 저항
10a, 10b, 18a, 18b : 트랜지스터 13, 14 : 제너다이오드
13', 14' : 바리스터
본 고안의 텔레비젼수상기 및 CRT디스플레이 장치등에서 파라볼라전압에 의한 리플전류를 완전하게 제거해줄수 있을 뿐만아니라 직선성이 양호한 편향전류를 공급하도록된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수상기와 같이 CRT를 갖춘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CRT의 비임스폿트의 위치어긋남에 기인되는 화상위치의 어긋남을 보정해주거나, 적절하게 화상위치를 보정해 줄수 있도록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가 설치되게 되는데, 종래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에는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전원(1)의 양단사이에 2개의 수직출력용 트랜지스터(3a), (3b)가 푸쉬풀 형식으로 접속되면서 이들 트랜지스터(3a), (3b)가 수직구동회로(2)로부터 송출된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트랜지스터(3a), (3b)의 접속점에는 수직편향코일(4)과 캐피시터(5) 및 저항기(6)의 직렬회로가 접속되어 회로 구성되어져 있어서 상기 편향코일(4)에 수직편향전류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직류전원(1)의 양단에는 저항기(7)와 가변저항(8) 및 저항기(9)의 직렬회로가 접속되고, 상기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점이 상기 가변저항(8)의 가변단에 접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에 있어서는, 수직출력용 트랜지스터(3a), (3b)로부터 송출되는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편향코일(4)에 편향전류를 흘려주게 되고, 또 상기 가변저항기(8)를 가변시켜 줌에 따라 상기 편향코일(4)에 흐르는 전류의 전류량과 방향에 변하게 되므로 비임스폿트의 수직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에서는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점(P)에 따라 볼라 전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파라볼라 전압에 의해 가변저항기(8)의 가변단에 흐르는 직류전위가 변동되게 된다. 따라서, 편향코일(4)에 파라볼라형상의 리플전류가 흘러 화상이 왜곡되어 버리는 결점이 있게된다.
이 결점에 대처하기 위해 일본 실용신안공개(소)56-30043호에 개시되어져 있는 수직화상 위치조정회로가 안출된 바 있기는 하나. 거기에 개시된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로도 편향코일(4)에 파라볼라형상의 리플성분을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파라볼라전압에 의한 피플전류를 완전하게 제거해 줄수 있을 뿐만아니라 직선성이 양호한 편향전류를 공급해 줄수 있도록된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는, 제1 및 제2전원단자를 갖춘 직류전원수단과, 이 직류전원수단의 상기 제1 및 제2전원단자 사이에 접속되면서 가변의 직류전압을 발생시켜주기 위한 가변전압 발생수단 및, 수직편향코일이 구비되어져 해당수직편향코일에 공급되는 전류량과 방향을 제어해주므로서 화상표시장치상의 화상비임스폿트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에 접속되는 스위칭소자의 브릿지가 제1 내지 제4스위칭 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은 그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 소자와 제2스위칭소자의 접속점에 접속되면서 타단이 상기 제3스위칭소자와 제4스위칭소자의 접속점에 접속됨과 더불어 캐패시터를 거쳐 상기 제2스위칭소자와 제4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상기 제1스위칭 소자와 제3스위칭소자의 접속점은 상기 직류 전원수단의 제1 전원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2스위칭 소자와 제4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은 상기 직류전원수단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며, 편향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직 출력회로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와 제2스위칭소자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상기 가변직류 전압에 따라 상기 제3스위칭소자 또는 제4스위칭 소자를 온 시켜주기 위한 제1및 제2정전압소자가 상기 제3 및 제4스위칭수단과 상기 가변전압 발생수단 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회로가 구성된 결과, 상기 가변저항기를 조정해주게 되면 상보형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에는 그 조정위치에 의해 정해진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편향코일에는 화상위치 조정용 전류가 흐르게 되는바,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들은 정전류회로로서 동작하게 되므로 편향코일에는 화상위치조정용 전류가 흐르게 되는바,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들은 정전류회로로서 동작하게 되므로 파라볼라전압에 의해 그 전류량이 변하지 않게 된다.
이하 제1도 내지 제7도를 창조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수직 화상위치조정회로의 1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로서, 직류전원(1)의 양단사이에 수직출력용 트랜지스터(3a), (3b)가 푸쉬풀형식으로 접속되어져 있는바, 이들 트랜지스터(3a), (3b)는 수직구동회로(5)로 부터 송출된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한편, 트랜지스터(3a), (3b)의 접속점에는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 및 저항(6)의 직렬회로가 접속되므로 편향코일(4)에 수직편향전류가 흐르게된다.
또 상기 직류전원(1)의 양단사이에는 저항기(7)와 가변저항기(8) 및 저항기(9)의 직렬회로가 접속하게 되는바, 이 직렬회로와 병렬로 저항기(11)와 PNP트랜지스터(10a)의에미터ㆍ콜렉터통로, NPN트랜지스터(10b)의 콜렉터ㆍ에미터통로 및 저항기(12)로 이루어지는 직렬회로가 접속되고, 이어 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는 제너다이오드(13)의 캐소우드가 접속되면서 그 애노우드에 가변저항기(8)의 가변단이 접속되어져 있다. 또 트랜지스터(10b)의 베이스에는 제너다이오드(14)의 애노우드가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에 상기 가변저항기(8)의 가변단이 접속되고, 이어 직류전원(1)의 일단과 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사이에는 저항(15)가 접속되면서 직류전원(1)의 타단과 트랜지스터(10b)의 베이스 사이에는 저항기(16)가 접속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트랜지스터(10a), (10b)는 상보형으로 접속되므로 각 베이스에 접속되는 제너다이오드(13), (14)등과 함께 이들 트랜지스터(10a), (10b)는 각각 정전류회로를 구성하게 되고, 각 트래지스터(10a), (10b)에는 가변저항기(8)의 가변위치에 따라 정해진 동작전류가 흐르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의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가변저항기(8)가 제1도의 Q방향으로 가변하게 되면 저항기(15)의 양단전압은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트랜지스터(10a)의 콜렉터 전류(I1)가 증가하게 되는 한편, 저항기(16)의 양단전압이 적어지게 되므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10b)의 콜렉터전류(I2)는 감소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가변저항기(18)가 제1도의 제1도의 R방향으로 가변하는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트랜지스터(10a)의 콜렉터전류(I1)가 감소되므로 트랜지스터(10b)의 콜렉터전류(I2)는 증가되게 되는데, 여기서 전류(I1)와 전류(I2)의 차이전류를 I3라 하면 그 I3전류는 제2도와 같은 특성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제2도로 부터 알수 있듯이 가변저항기(8)를 Q 및 R방향으로 가변시켜 줌에 따라 차이전류(I3)는 변화하게 되는바, 즉 가변저항(8)의 가변위치가 Q방향으로 옮겨가게 된다면 제너다이오드(13)가 도통상태로 되는 한편 제너다이오드(14)는 비도 통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10a)에는 그 가변위치에 대응하는 량의 콜렉터전류(I1)가 흐르게 된다.
한편 가변저항기(8)의 가변위치가 R방향측을 옮겨가게 된다면 제너다이오드(14)가 도통상태로 되는 한편 제너다이오드(13)는 비도통상태로 되고, 그에 따라 트랜지스터(10b)는 그 가변위치에 대응하는 량의 콜렉터전류(I2)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편향코일(4)에는 차이전류(I3)가 흐르게 되므로 화상위치가 조정되게 된다.
또 가변저항기(8)의 가변단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너다이오드(13), (14)가 모두 도통상태로 되므로 양쪽의 트랜지스터(10a), (10b)에 전류가 흐르게되고, 그에 따라 위상위치를 매끄럽게 변화시켜 줄수 있게된다.
그리고, 제너다이오드(13), (14)나 가변저항(8)의 특성을 선택함에 따라 제3도와 같이 가변저항(8)의 가변단을 중앙에 위치시켜 주므로써 트랜지스터(10a), (10b)는 모두 비도통상태로도 될 수가 있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는 가변 저항기(8)의 위치가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는 화상위치를 변하지 않도록 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전력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에는 각 트랜지스터(10a), (10b)를 정전류회로로서 동작시켜주게되는 것으로, 각 트랜지스터(10a), (10b)의 콜렉터에서는 파라볼라 전압성분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고 전류(I1), (I2)를 흘려 줄수 있게된다.
다음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제4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도로써, 직류전원(1)과는 달리 상기 전원(1)보다 낮은 전압의 제2직류전원(17)을 설치하는 점과, 이 직류전원(17)의 양단에 저항기(7)와 가변저항기(8)및 저항기(9)를 직렬로 접속시키는 점, 가변저항기(8)의 가변단을 각각 제너다이오드(13), (14)의 애노우드 및 캐소우드의 접속하면서 이들 제너다이오드(13), (14)의 캐소우드 및 애노우드를 각각 트랜지스터(18a), (18b)의 베이스에 접속시키는 점, 트랜지스터(18a)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시키면서 트랜지스터(18b)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시키는 점 및, 트랜지스터(18b)의 에미터 및 베이스와 직류전원(17)사이에 저항기(19), (20)를 접속시키면서 트랜지스터(18b)의 에미터 및 베이스와 직류전류(17)사이에 저항기(21), (22)를 접속시키는 점등이 제1도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구성과 다른 점들이다.
상기한 제4도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는 제1도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에 비해 제너다이오드(13), (14)로서 정격전압이 낮은 것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너다이오드(13), (14)의 온도계수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온도표류(drift)를 적게 할수가 있게 되는바, 예컨데 제너다이오드(13), (14)로서 5V정도의 제너다이오드를 사용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18a), (18b)의 베이스, 에미터사이 전압(VBE)의 온도계수에 의해 온도표류를 상쇄시킬 수 있고, 또 7V정도의 제너다이오드(13), (14)를 사용할 경우는 상기 제너다이오드(13), (14)에 직렬로 다이오드를 1개씩 추가하는 것으로 온도표류를 상쇄시킬 수 있다.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편향 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순서가 다른 경우의 수직화상 위치조정회로인 바, 직류전원(1)과 직렬로 제3직류전원(23)을 접속시키고, 트랜지스터(10b)의 에미터 및 베이스를 각각 저항기(12), (16)를 거쳐 직류전원(23)의 -측에 접속시키는 점이 제1도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구성과 다른 점이다.
즉 제5도에서는 트랜지스터(10a)의 콜렉터전류(I1)가 직류전원(1)의 +측으로 부터 저항기(11)와 트랜지스터(10a)의 에미터ㆍ콜렉터통로, 편향코일(4) 및 저항기(6)를 거쳐 직류전원(1)의 -측으로 흐르게 되고, 또 트랜지스터(10b)이 콜렉터전류(I2)는 직류전원(23)의 +측으로 부터 저항기(6)와 편향코일(4), 트랜지스터(10b)의 콜렉터ㆍ에미터통로 및 저항기(12)를 거쳐 직류전원(23)의 -측으로 흐르게된다.
제6도는 제4도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와 마찬가지로 애너다이오드(13), (14)의 온도계수가 작아지도록 제5도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를 변형시켜 놓은 것인바, 이는 직류전원(1)과는 달리 상기 전원(1)보다 낮은 전압의 제2직류전원(17)을 설치하는 점과, 이 직류전원(17)의 양단에 저항기(7)와 가변저항기(8) 및 저항기(9)를 직렬로 접속시키는 점, 가변저항기(8)의 가변단을 각각 제너다이오드(13), (14)의 애노우드 및 캐소우드에 접속시키면서 이들 제너다이오드(13), (14)의 캐소우드 및 애노우드를 각각 트랜지스터(18a), (18b)의 베이스에 접속시키는 점, 트랜지스터(18a)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10b)의 베이스에 접속시키면서 트랜지스터(18b)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시키는 점 및, 트랜지스터(18a)이 에미터 및 베이스와 직류전원(17)사이에 저항기(19), (20)를 접속시키면서 트랜지스터(18b)이 에미터 및 베이스와 직류전류(17)사이에 저항기(21), (22)를 접속시키는 점등이 제5도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구성과 다른 점들이다.
그리고 이 제6도 도시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는 제5도에 도시된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에 비해 제너다이오드(13), (14)로서 정격전압이 낮은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제너다이오드(13), (14)의 온도계수를 작게할 수 있으므로 온도표류를 적게할 수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바,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너다이오드(13), (14)를 사용했지만 이와 다른 정전압소자를 사용해도 좋고, 예컨대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바리스터(13'), (14')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그외에 여러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는 정전류회로를 이용하여 화상위치보정용 직류전류가 편향코일에 흐르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리플성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아 CRT디스플레이장치의 화면이 왜곡되지 않게 되므로써 양호한 직선성을 얻을 수 있을 뿐만아니아 보정량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2)

  1. 제1 및 제2전원단자를 갖는 직류 전원수단(1)과 가변하는 직류전압을 발생시켜주기 위한 가변전압발생수단(7-9) 및 수직편향코일(4)을 구비하여 해당수직편향코일(4)에 공급하는 전류량 및 방향을 제어해 주므로서 화상표시장치 위의 화상비임스폿트 위치를 조정하는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직편향코일(4)에 접속되는 스위칭 소자의 브릿지는 제1 내지 제4스위칭소자(3a, 3b, 10a, 10b)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편향코일(4)은 그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칭소자(3a)와 제2스위칭소자(3b)의 접속점에 접속되면서 타단이 상기 제3스위칭소자(10a)와 제4스위칭소자(10b)의 접속점에 접속됨과 더불어 캐패시터(5)를 거쳐 상기 제2스위칭소자(3b)와 제4스위칭소자(10b)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상기 제1스위칭소자(3a)와 제3스위칭소자(10b)의 접속점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이 제1전원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2스위칭소자(3b)와 제4스위칭소자(10b)의 접속점은 상기 직류전원수단(1)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며, 편향용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수직출력회로(2)는 상기 제1스위칭소자(3a)와 제2스위칭소자(3b)의 접속점에 접속되고, 사이 가변직류전압에 따라 상기 제3스위칭소자(10a) 또는 제4스위칭소자(10b)를 온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정전압소자는 상기 제3 및 제4스위칭수단(10a), (10b)과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사이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조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제3 및 제4스위칭소자는 각각 제1 및 제2트랜지스터(10a), (10b), 상기 제1 및 제2정전압소자(13), (14)는 각각 상호 반대로 향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트랜지스터(10a), (10b)의 각 베이스와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제1트랜지스터(10a)는 그 베이스가 상기 제1정전압소자(13)를 거쳐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그 애미터가 상기 직류전원수단(1)의 전원단자에 접속되는 PNP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2트랜지스터(10b)는 그 베이스가 상기 제2정전압소자(14)를 거쳐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직류전원 수단(1)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는 NPN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제1정전압소자(13)는 그 애노우드가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2정전압소자(14)는 그 애노우드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10b)의 베이스에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가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가변전압발생수단(7-9)이 상기 직류전원수단(1)의 제1 및 제2전원단자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 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제너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7. 제5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바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8. 제3항에 있어서,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제2직류 전원수단(17)이 추가로 접속되고, 이 직류전원수단(17)은 제1 및 제2전원단자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은 상기 제1 및 제2전원단자사이에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9. 제8항에 있어서, 제1트랜지스터(10a)와 제2정전압소자(14)사이에 제3트랜지스터(18b)가 설치되고 제2트랜지스터(10b)와 제1정전압소자(13)사이에 제4트랜지스터(18a)가 설치되며, 상기 제3트랜지스터(10b)는 그 베이스가 상기 제2정전압소자(14)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2직류전원수단(17)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는 NPN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제4트랜지스터(18a)는 그 베이스가 상기 제1정전압 상기 제4트랜지스터(18a)는 그 베이스가 상기 제1정전압소자(13)에 접속되는 그 콜렉터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10b)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 애미터가 상기 제2직류 전원수단(17)의 제1전원단자에 접속되는 PNP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 위치 조정회로.
  10. 제9항에 있어서, 제2정전압소자(14)는 그 애노우드가 상기 제3트랜지스터(18b)의 베이스에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가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1정전압소자(13)는 그 애노우드가 상기 가변전압 발생수단(7-9)에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가 상기 제4트랜지스터(18a)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제너다이오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바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3. 제2항에 있어서, 직류전원수단은 각각 제1 및 제2전원 단자를 갖춘 제1 및 제2직류전원수단(1), (2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직류전원수단(1)의 제2전원단자와 상기 제2직류전원수단(23)의 제1전원단자가 접속되며, 가변전압발생수단(7-9)는 상기 제1직류전원수단(1)의 제1 및 제2전원단자사이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트랜지스터(10a), (10b)는 상기 제1직류전원수단(1)의 제1전원단자와 상기 제2직류전원수단(23)의 제2전원단자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4. 제13항에 있어서, 제1트랜지스터(10a)는 그 베이스가 제1정전압소자(13)를 거쳐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가 제1직류전원수단(1)의 제1전원단자에 접속되는 PNP 트랜지스터이고, 제2트랜지스터(10b)는 그 베이스가 제2정전압소자(14)를 거쳐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편향코일(4)과 캐패시터(5)의 접속점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가 제2직류전원수단(23)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는 NPN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5. 제14항에 있어서, 제1정전압소자(13)는 그 애노우드가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가 제1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고, 제2정전압소자(14)는 그 애노우드가 제2트랜지스터(10b)의 베이스에 접속되면서 그 캐소우드가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6. 제15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제너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7. 제15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바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8. 제2항에 있어서, 직류전원수단은 각각 제1 및 제2전원단자를 갖춘 제1 및 제2직류 전원수단(1), (23)과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는 제3직류전원수단(17)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전원수단(1)의 제2전원단자와 상기 제2직류전원수단(23)의 제1전원단자가 접속되며, 제3직류전원수단(17)은 제1 및 제2전원단자를 갖고,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은 상기 제1 및 제2전원단자사이에 접속되고, 제1 및 제2트랜지스터(10a), (10b)는 상기 제1직류전원수단(1)의 제1전원단자와 상기 제2직류 전원수단(23)의 제2전원단자사이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19. 제18항에 있어서, 제1트랜지스터(10a)와 제2정전압 소자(14)사이에 제3트랜지스터(18b)와, 제2 트랜지스터(10b)와 제1정전압소자(13)사이에 제4트랜지스터(18a)를 포함하고, 상기 제3트랜지스터(18b)는 그 베이스가 제2정전압소자(14)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1 트랜지스터(10a)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 에미터가 제3직류전원수단(17)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는 NPN트랜지스터이며, 제4트랜지스터(18a)는 그 베이스가 상기 제1정전압소자(13)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가 상기 제2트랜지스터(10b)이 베이스게 접속되며 그 에미터가 상기 제3직류전원수단(17)의 제2전원단자에 접속되는 PNP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20. 제9항에 있어서, 제2정전압소자(14)는 그 애노우드가 제3트랜지스터(18b)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그 캐소우드가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어 있고, 제1정전압소자(13)는 그 애노우드가 상기 가변전압발생수단(7-9)에 접속되고 그 캐소우드가 제4트랜지스터(18b)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21. 제20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제너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22. 제20항에 있어서, 정전압소자(13), (14)가 바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KR2019870003905U 1986-03-28 1987-03-26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KR90000784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6044817U JPS62158971U (ko) 1986-03-28 1986-03-28
JP61-44817 198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5588U KR870015588U (ko) 1987-10-26
KR900007848Y1 true KR900007848Y1 (ko) 1990-08-24

Family

ID=12701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3905U KR900007848Y1 (ko) 1986-03-28 1987-03-26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771217A (ko)
JP (1) JPS62158971U (ko)
KR (1) KR9000078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4688A (ja) * 1988-08-19 1990-02-23 Toshiba Corp 文字多重放送受信機内蔵のカラー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H0753105Y2 (ja) * 1989-08-11 1995-12-06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垂直ラスタセンタリング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20443A (en) * 1959-11-27 1962-02-06 Magnavox Co Deflection circuit for cathode ray tube
GB1416169A (en) * 1972-05-12 1975-12-03 Rca Corp Raster centering circuit
US3994882A (en) * 1974-07-22 1976-11-30 Kabushiki Kaisha Ueno Seiyaku Oyo Kenkyujo Nitrofuran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US4164688A (en) * 1976-10-04 1979-08-14 The Solartron Electronic Group Limited Deflection amplifier
US4188567A (en) * 1977-10-03 1980-02-12 Gte Sylvania Incorporated Constant-current vertical amplifier
US4238713A (en) * 1979-06-22 1980-12-09 Rca Corporatio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JPS5626374U (ko) * 1979-08-07 1981-03-11
JPS5823169B2 (ja) * 1979-08-17 1983-05-13 四国化成工業株式会社 格子体の製法
US4314184A (en) * 1980-03-04 1982-02-02 Ampex Corporation Deflection coil driver apparatus
JPS6019406U (ja) * 1983-07-18 1985-02-09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コンクリ−ト製桁横締孔成形用抜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771217A (en) 1988-09-13
JPS62158971U (ko) 1987-10-08
KR870015588U (ko) 198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4276A (en) Indicating system
US4268789A (en) Limiter circuit
KR100405223B1 (ko) 빔주사속도변조구동기회로
JPS6223494B2 (ko)
KR900007848Y1 (ko) 화상표시장치에서의 수직화상위치 조정회로
JP2542623B2 (ja) カレントミラ−回路
US5410242A (en) Capacitor and resistor connection in low voltage current source for splitting poles
KR950006246B1 (ko) 디지틀제어캐소우드 클램프회로
KR960011730B1 (ko) 레벨 이동기를 포함한 전원 공급 장치
EP0134925A1 (en) Comparator circuit having full supply common mode input
US4870331A (en) Circuit arrangement for a picture display device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ize of the picture displayed
EP1076925B1 (en) Rectifier circuit
KR0138365B1 (ko) 출력회로
JPS5848833Y2 (ja) 水平センタリング回路
EP0320062B1 (en) Current mirror circuit, and video output amplifier circuit provided with the current mirror circuit
KR0139983B1 (ko) 레벨 표시기
US5212429A (en) Raster position adjusting circuit
KR960004006B1 (ko) 래스터위치조정회로
US6262898B1 (en) Circuit for driving a switching transistor
JP2555789Y2 (ja) 定電圧電源回路
KR790001792B1 (ko) 제어가능 이득신호 증폭기
KR900001454Y1 (ko) Tv 수상기용 고전압 안정화 장치
KR930003740Y1 (ko) 저전압 안정화 전원회로
JPS6320220Y2 (ko)
KR790001140Y1 (ko) 수평편향(水平偏向)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