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06Y1 -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06Y1
KR900007806Y1 KR2019880014438U KR880014438U KR900007806Y1 KR 900007806 Y1 KR900007806 Y1 KR 900007806Y1 KR 2019880014438 U KR2019880014438 U KR 2019880014438U KR 880014438 U KR880014438 U KR 880014438U KR 900007806 Y1 KR900007806 Y1 KR 900007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net
main body
sorter
sor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44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630U (ko
Inventor
김동업
김순철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 주식회사
손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 주식회사, 손영희 filed Critical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144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806Y1/ko
Publication of KR900004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선별기의 도식적인 정면도.
제2도는 동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망체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선별망체의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발췌단면도.
제5도는 종래에 사용되어왔던 선별망체의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선별망체 설치구조를 보여주는 발췌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별기 본체 2 : 선별망체
13, 13' : 끼움부 23 : 틀체
24 : 고무판 25 : 고정판
본 고안은 대략 일정한 크기의 과립상태로 생산출하 되는 과립 사료의 입도를 선별하기 위해 선별기에 있어서 그 선별망체의 보다 개선된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과립사료의 생산공정은 대체로 원료의 분쇄→혼합→압출성형→냉각→입자선별→포장적재 등의 순서로써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생상공정중 압출성형 단계에서는 분쇄기와 혼합기를 통해 분쇄혼합된 사료원료가 펠리트밀(PELLET MILL)에 의해 불규칙한 크기의 봉상의 괴들로 압출성형 되어지며 이 봉상의 괴들중 일정크기 이내의 것들만을 추후에 진동 선별기를 통해 선별하여 실제의 과립사료 제품으로써 포장방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선별작업을 수행하는 선별기(SIFTER)는 소기의 진동 체(VIBRATING SCREEN)를 이용하는 진동선별기로서 첨부된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는 현재 흔히 사용되어지고 있는 전형적인 진동선별기의 구성례가 정면도 및 그 우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에서 본 고안의 내용을 상술하기에 앞서 이 진동선별기의 개략적인 구성, 작용에 참고적으로 간단히 설명한다.
즉, 내부에 복수의(여기에서는 2개) 선별망체(2a), (2b)가 다단으로 설치된 선별기 본체(1)를 약 15-정도의 경사를 주고서 그 사방모서리를 지지프레임(3)에 스프링(4)으로 지지하고 이 선별기 본체(1)일측에 언밸런스 휠(5)을 설치하여 이를 구동모우터(M)로 회전시키면 본체(1)에 규칙적인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 상부의 투입구(6)를 통해 일차 제조된 불규칙한 크기의 과립사료입자들을 투입하면 각 선별망체(2a), (2b)의 망목크기(MESH)에 따라 투입된 사료입자의 입도가 분류되게 되며, 선별망체(2a)상부에서는 비교적 큰 입자들이 선별망체(2b)상부에서는 중간크기의 입자들이 각각 분류되어 각각의 출구(7), (8)로 배출됨과 동시에 출구(9)를 통해서는 분진을 포함하여 그 이하의 고운 입자들이 분류배출 되어지며, 여기에서 아랫쪽 선별망체(2b) 상부에서 분류되어 출구(8)로 배출되어지는 중간크기의 입자들이 바로 실제 과립사료 제품으로 포장출하되는 것이다.
한편, 작업장에서 상기 선별망체(2a), (2b)는 그 망목크기가 각자 다른 여러개의 망체가 준비되어서 생산대상 과립사료의 종류 및 그 과립크기가 달라지거나 혹은 선별기내부청소, 수리 등의 또 다른 필요가 있을 때 선별기 본체에 대한 이들 망체의 빈번한 착탈, 교체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 작업을 보다 간편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에 직결되어지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과립사료 진동선별기에 있어서 선별기 본체에 대한 그 선별망체의 설치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선별망체를 선별기 본체에 대하여 아주 간편용이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고 기기의 가동능률을 높여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도모하고 또 이 선별망체의 파손을 방지토록 하려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면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통상적인 망체(21)의 양연부에 L자형의 지지부재(22), (22')를 리베팅 고정하고, 선별기 본체(1)내부에는 그 하단 절곡부와 선별기 본체(1) 내면 사이에 상기 지지부재(22), (22')를 협지시켜 다수의 보울트(111)를 죄어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구(11), (11') 및 끼움안내부(12), (12')를 좌우에 대향설치하며, 설치시엔 먼저 선별기 본체(1)의 뒷문(14)을 열고 상기망체(21)양연부의 지지부재(22), (22')를 양측으로 잡아당겨 망체(21)를 팽팽히 펴면서 선별기 본체(1)와 고정구(11), (11') 및 끼움안내부(12), (12')사이에 그 양측 지지부재(22), (22')를 동시에 맞추어 끼워 넣고 본체(1)외측에서 보울트(111)이 (이 보울트(111)는 각 고정구(11), (11')에 6개씩 모두 12개가 설치되어 있다)를 너트(112)로 죄어 고정시켜서 설치토록 되어있는 바 이는 선별망체의 설치 또는 교체작업을 위해 적어도 2인 이상이 많은 시간을 들여 작업해야 함은 물론 작업시 마다 기기의 가동을 장시간 멈추어야 함으로써 인력과 시간의 낭비, 그리고 기기의 가동률저하로 제품의 생산성 저하 및 원가상승을 초래하였을 뿐만 아니라 망체(21)의 양연부에 리베팅 고정된 지지부재(22), (22')가 각각의 고정구(11), (11')에 의해 양측으로 팽팽히 잡아당겨지는 상태로 망체가 본체에 설치되기 때문에 그 빈번한 착탈과정에서 망체의 파손(주로 망체(21)와 지지부재(22), (22')사이의 연결부위)이 잦은 것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효과있게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으로, 그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도면 제3도 및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 사각형의 관계를 이용하여 장방형의 틀체(23)를 구성하되 이 틀체(23)의 일면에 이와 같은 크기로 대응되는 망체(21)의 연부와 미끄럼방지용 고무판(24) 및 고정판(25)을 차례로 대접시킨후 상기 틀체(23) 및 고정판(25)사이를 보울트(26) 및 너트(27)로써 체결고정하여 하나의 선별망체(2)를 구성하고 선별기 본체(1)의 내부좌우에는 ㄷ 자형의 끼움부(13), (13')사이에 상기 틀체의 좌우연부를 끼워 지지시켜 선별망체(2)를 설치토록 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는 28은 보강살대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선별망체(2)의 망체(21)가 종래와는 달리 장방형의 견고한 틀체(23)에 일체화 고정되어 취급도중이나 설치상태에서 임으로 처지거나 억지로 잡아당겨지는 힘을 받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시에도 망체(21)가 파손되는 일의 거의 없고 선별망체(2)의 교체 또는 선별기 내부청소나 수리등의 필요로 이 망체(2)를 선별기 본체(1)로부터 착탈시키고자 할 때 본체(1)에 설치된 끼움부(13), (13')를 따라 상기 망체(21)를 단순히 끼워넣거나 잡아떼는 극히 간단한 동작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이 대단히 신속간편함은 물론 한사람만의 힘으로도 예의 선별망체 착탈작업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상기 작업에 소요되던 인력과 시간이 크게 절감되는 동시에 장치의 가동률이 높아져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는 것등의 다대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장방형 틀체(23)의 일측면에 망체(21)의 연부와 고무판(24) 및 고정판(25)을 차례로대접고정시켜 하나의 선별망체(2)를 구성하고 선별기 본체(1)내부에는 ㄷ 형의 끼움부(13), (13')를 좌우로 대향설치하여 이들 끼움부(13), (13')사이에 상기틀체(23)의 좌우연부를 끼워서 선별망체(2)를 설치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사료 진동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KR2019880014438U 1988-08-31 1988-08-31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KR900007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438U KR900007806Y1 (ko) 1988-08-31 1988-08-31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4438U KR900007806Y1 (ko) 1988-08-31 1988-08-31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30U KR900004630U (ko) 1990-03-07
KR900007806Y1 true KR900007806Y1 (ko) 1990-08-24

Family

ID=1927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4438U KR900007806Y1 (ko) 1988-08-31 1988-08-31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80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7726B1 (ko) * 2002-11-26 2005-06-28 산양환경산업 주식회사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630U (ko) 1990-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CN109501049A (zh) 一种废弃塑料瓶的回收粉碎装置
CN105149207B (zh) 一种固液分离振动筛
KR900007806Y1 (ko)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KR102288909B1 (ko) 실리콘 원료칩의 선별 시스템
CN113000185A (zh) 一种市政建筑垃圾循环粉碎装置及其使用方法
DE3490555C2 (ko)
CN208115845U (zh) 一种固态废旧金属分选设备
CN115846005A (zh) 一种矿料中后期选矿用破碎筛分装置
CN210279768U (zh) 一种塑木回收杂料筛分装置
CN111085325B (zh) 一种用于实验室催化剂破碎研磨-筛选的一体化设备
JP2887446B2 (ja) 廃棄物減容固化装置
CN2202593Y (zh) 一种花生仁分级设备
CN220387118U (zh) 一种再生细骨料颗粒筛分机构
KR200194598Y1 (ko)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CN216704995U (zh) 一种用于碳材料生产的混合物加工的筛分装置
CN210850935U (zh) 一种用于双螺旋颗粒挤出机的筛选装置
CN213001185U (zh) 一种双仓高效筛传动装置
RU2283226C1 (ru) Линия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изношенных покрышек
CN213376888U (zh) 一种市政工程施工用废弃混凝土处理装置
CN219816376U (zh) 一种2,6-二氟苯腈加工用原料筛选装置
CN214863932U (zh) 一种建筑施工废料回收装置
CN218981882U (zh) 一种可筛选多级粉碎破碎机
CN110978334B (zh) 一种用于塑胶材料的强力粉碎机
CN212681665U (zh) 一种燕麦筛分用平面回转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