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598Y1 -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598Y1
KR200194598Y1 KR2020000002629U KR20000002629U KR200194598Y1 KR 200194598 Y1 KR200194598 Y1 KR 200194598Y1 KR 2020000002629 U KR2020000002629 U KR 2020000002629U KR 20000002629 U KR20000002629 U KR 20000002629U KR 200194598 Y1 KR200194598 Y1 KR 2001945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creen
pressing
sieve
pres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6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차웅
송인성
Original Assignee
김차웅
송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차웅, 송인성 filed Critical 김차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5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5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07Filters f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화학물질, 사료재료, 식품용 등으로 사용되는 액상 또는 분말 등의 물질을 진동에 의해 입자별로 선별하는 소모재인 스크린을 진동기에 장착하여 사용시 스크린의 장력이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구동모터가 하측에 내설되는 케이싱과, 상호 위상차를 갖도록 자체의 상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하부웨이트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상기 케이싱 상측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물질을 상기 진동체의 구동시 입자별로 선별하는 체망과, 상기 체망의 메쉬에 의해 선별되지않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등을 구비하는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하측이 하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체망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눌림지지부재 및 자체의 상측이 상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눌림지지부재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눌림지지부재상에 압착시 상기 체망의 가장자리를 제2고정부에 의해 압착고정하여 선별된 물질이 통과되는 체망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환형의 눌름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화학물질, 식품, 제지펄프, 광물 등으로 사용되는 액상 또는 분말 등의 물질을 진동에 의해 입자별로 선별하는 소모재인 스크린을 별도로 제작한후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장착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시간, 물적, 인건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현재 작업방법의 1/5 정도임). 작업도중 스크린이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되는 경우 작업현장에서 특별한 숙련이 없어도 스크린을 단시간내에 신속하게 장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물질을 장기간동안 반복적으로 선별하는 경우에도 스크린의 장력이 초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선별되는 물질이 균일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체망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대외적으로 가격경쟁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체망의 장력을 유지하기위하여 체망을 프레임에 고정시 견장기로 체망을 팽팽하게 당겨서 프레임에 인체에 유해한 납 또는 에폭시수지, 볼트 등으로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치않기 때문에 인체에 유해한 납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않아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건강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에 폐스크린을 보수하는 경우 납 또는 에폭시수지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되며, 납땜을 하는 경우 염산과 같은 유독성물질을 사용하게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maintenance apparatus of sieve screen tension of vibrator}
본 고안은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학물질, 사료재료, 식품용, 광물질, 제지펄프 등으로 사용되는 액상 또는 분말 등의 물질을 진동에 의해 입자별로 선별(選別)하는 소모재인 스크린(또는 '체망' 이라함)(sieve screen)을 진동기(vibrator)에 장착하여 사용시 스크린의 장력(tension)이 초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원형의 체망이 장착되는 진동 체받이 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가 장착되는 가대(架臺)(2)와, 구동모터(1)에 벨트(3)를 통해 연결되어 회전되는 풀리(4)와, 상호 위상차를 갖도록 자체의 상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하부웨이트(5,6)의 회전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7)와, 진동체(7)를 하부틀(8)에 지지하는 진동체 베이스(9)와, 하부틀(8)상에 밴드(10)를 통하여 이음연결되는 중간틀(11)에 내설되어 구동모터(1)의 구동시 메쉬(mesh)를 통과하는 물질을 입자별로 선별하는 소모품인 원형의 체망(12)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미 설명부호 13은 체망(12)의 메쉬를 통과하지 못하여 선별되지않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14는 하부웨이트(6)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이다.
이때, 전술한 하부웨이트(6)에 대한 상부웨이트(5)의 위상은 0°, 45°, 90°등으로서, 선별되는 물질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정되어 사용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웨이트(5)는 이의 회전시 체망(12)의 수평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체망(12)상에 투입되는 물질을 회전방향으로 이동시키게되며, 하부웨이트(6)는 이의 회전시 체망(12)의 수직진동을 발생시킴에 따라 체망(12)상의 물질을 가장자리로 이동시키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체망을 제작하는 경우, 체망(12)을 인력 또는 견장기로 프레임측으로 잡아당긴후 납 또는 접착제, 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체망(12)의 장력을 조절하거나, 체망(12)을 금속재의 상하프레임 사이에 삽입시킨후 손으로 잡아당겨 볼트로 체결함에 따라 체망(1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전술한 체망(12)은 소정의 물질을 반복적으로 선별함에 따라 체망(12)의 장력이 떨어짐은 물론, 금속재 등의 프레임과 체망의 접착부분이 떨어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작업도중 파손되는 체망(12)을 수시로 교체해 주어야되므로(하루에 2회 내지 3회 정도) 물적, 인적, 시간적인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갖게되는 것이다.
또한, 체망(12)이 작업도중에 파손될 때마다 작업현장에서 응급조치하여 교체함에 따라 체망(12)을 통해 선별되는 물질이 불균일하여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지며, 이로 인해 기업의 손실이 크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전술한 체망(12)은 소모품이므로, 작업도중 항시 별도의 예비(재고되는 것을 의미함)의 체망을 준비해야 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며, 체망(12)의 제작주문에서 사용시까지 장시간이 소요되며, 체망(12)의 가격이 고가여서 원가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또한, 작업도중 전술한 체망(12)을 교체하는 작업이 힘들어 작업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작업현장에서 체망(12)을 교체하는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며, 체망(12)을 교체시 인적자원의 낭비를 초래하며, 체망(12)을 이용한 선별작업이 중지되어 이의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원형의 체망(12)을 중간틀(11)의 내측으로 고정시키는 경우, 체망(12)을 견장기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원주방향으로 강하게 당긴후 프레임(15)에 납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제로서 접착시킨 다음, 체망(12)을 전술한 중간틀(11)의 내측으로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체망(12)을 프레임(15)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납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제는 인체에 극히 유해하여 사용자로 부터 유해성 시비가 끊임없이 발생되며, 이와 동시에 작업자 또는 사용자의 건강을 해치며,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과, 전술한 체망(12)이 고가여서 사용자는 경제적인 부담감을 감수해야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화학물질 등으로 사용되는 액상 또는 분말 등의 물질을 진동에 의해 입자별로 선별하는 소모재인 스크린을 별도로 제작한후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장착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시간, 물적, 인건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도중 스크린이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되는 경우, 작업현장에서 스크린을 단시간내에 신속하게 장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물질을 장기간동안 반복적으로 선별하는 경우에도 스크린의 장력이 초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선별되는 물질이 균일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체망의 가격이 종래의 체망의 것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대외적으로 가격경쟁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체망의 장력을 유지하기위하여 체망을 프레임에 고정시 인체에 유해한 납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않아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건강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종래에 폐스크린을 보수하는 경우 납 또는 에폭시수지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되며, 납땜을 하는 경우 염산과 같은 유독성물질을 사용하게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원형의 체망이 장착되는 진동 체받이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10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개략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2; 체망
20; 하부슈트통
21; 제1고정부
22; 눌림지지부재
23; 상부슈트통
24; 제2고정부
25; 눌름지지부재
26; 완충재
27; 단차부
28; 가압부재
29; 요홈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모터가 하측에 내설되는 케이싱과, 상호 위상차를 갖도록 자체의 상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하부웨이트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상기 케이싱 상측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물질을 상기 진동체의 구동시 입자별로 선별하는 체망과, 상기 체망의 메쉬에 의해 선별되지않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등을 구비하는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하측이 하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체망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눌림지지부재 및 자체의 상측이 상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눌림지지부재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눌림지지부재상에 압착시 상기 체망의 가장자리를 제2고정부에 의해 압착고정하여 선별된 물질이 통과되는 체망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환형의 눌름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고정부는 상광하협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눌림지지부재와 눌름지지부재가 접하는 상기 눌림지지부재 상면에 상기 체망을 보호하는 완충재가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어 상기 체망을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압착지지하여 고정하는 평판형상의 가압부재가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체망을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압착지지하여 고정하는 구형상의 가압부재가 사용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구동모터가 하측에 내설되는 케이싱과, 상호 위상차를 갖도록 자체의 상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하부웨이트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상기 케이싱 상측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물질을 상기 진동체의 구동시 입자별로 선별하는 체망과, 상기 체망의 메쉬에 의해 선별되지않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등을 구비하는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하측이 하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체망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가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체망을 지지하는 제1지지편이 상면에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눌림지지부재 및 자체의 하측이 상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제1지지편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지편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상기 체망의 가장자리를 압착고정하여 상기 선별된 물질이 통과하는 체망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평판형상의 눌름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편 및 제2지지편은 구형상 또는 터널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체망이 상기 제1지지편과 제2지지편 사이에 삽입되어 압착고정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3 내지 도 1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가 하측에 내설되는 케이싱(2)과, 상호 위상차를 갖도록 자체의 상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하부웨이트(5,6)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7)와, 케이싱(2) 상측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물질을 진동체(7)의 구동시 입자별로 선별하는 체망(12)과, 체망(12)의 메쉬에 의해 선별되지않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3) 등을 구비하는 진동 체받이 장치에 적용되며, 이들에 대한 상세한 구성 및 작동의 설명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생략하며, 중복되는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함을 밝혀둔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의 하측이 하부슈트통(20)에 고정되며, 체망(12)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21)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눌림지지부재(22)와, 자체의 상측이 상부슈트통(23)에 고정되며 눌림지지부재(22)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눌림지지부재(22)상에 압착시 체망(12)의 가장자리를 제2고정부(24)에 의해 압착고정하여 선별된 물질이 통과되는 체망(12)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환형의 눌름지지부재(25)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와 눌름지지부재(25)로서 금속재, 플라스틱류 또는 비철금속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눌림지지부재(22)와 눌름지지부재(25)는 압출성형, 주철, 주물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고정부(24)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고정부(24)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고정부(24)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2고정부(24)는 상광하협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한편,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와 눌름지지부재(25)가 접하는 눌림지지부재(22) 상면에 체망(12)을 보호하는 완충재(26)가 장착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완충재(26)로서 고무, 실리콘, 접착테이프, 탄성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고정부(21)로서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27)에 밀착되어 체망(12)을 눌림지지부재(22) 측면에 압착지지하여 고정하는 평판형상의 가압부재(28)가 사용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고정부(21)로서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 측면에 형성된 요홈(29)에 안착되어 체망(12)을 눌림지지부재(22) 측면에 압착지지하여 고정하는 구(球)형상의 가압부재(30)가 사용된다.
한편,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체의 하측이 하부슈트통(20)에 고정되며, 체망(12)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21)가 양측면에 형성되며, 체망(12)을 지지하는 제1지지편(31)이 상면에 형성되는 평판형상의 눌림지지부재(32)와, 자체의 하측이 상부슈트통(23)에 고정되며, 제1지지편(31) 사이에 위치하는 제2지지편(33)이 바닥면에 형성되어 체망(12)의 가장자리를 압착고정하여 선별된 물질이 통과하는 체망(12)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평판형상의 눌름지지부재(34)를 구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기로는, 전술한 제1지지편(31) 및 제2지지편(33)으로서, 금속, 비철금속, 플라스틱류 등의 재질이 사용되며, 압연, 주물, 사출 등에 가공되는 원형봉, 원형파이프, 사각파이프, 앵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지지편(31) 및 제2지지편(33)은 구형상 또는 터널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지지편(31)과 제2지지편(33)은 요철형상으로 형성되어 체망(12)이 제1지지편(31)과 제2지지편(33) 사이에 삽입되어 압착고정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체망(12)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21)가 눌림지지부재(22)의 양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제1고정부(21)로서눌림지지부재(22)의 양측면 상하측에 형성된 요홈(29a)에 함몰되어 체망(12)을 고정하는 평판형상의 가압부재(28a)가 사용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의 사용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하부슈트통(20)에 고정되는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상면에 전술한 체망(12)을 덮어쒸운후, 눌림지지부재(22)의 양측면에 형성된 요홈(29)에 구형상의 가압부재(30)를 밀착시켜 전술한 체망(12)을 눌림지지부재(22)의 양측면에 고정한다.
다음,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눌름지지부재(25)를 눌림지지부재(22)상에 압착시킨다. 이로 인해 상광하협(上鑛下峽) 형상(채널형상)을 갖는 제2고정부(24)의 구조에 의해 양단부가 눌림지지부재(25)에 고정된 체망(12)의 가장자리를 고정하게되는 것이다.
이때, 전술한 눌림지지부재(22)와 눌름지지부재(25) 사이에 전술한 체망(12)을 삽입하여 이들을 압착고정하는 것은, 동업종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로 인해, 사료물질, 식품용, 화학물질 등의 액상 또는 분말 형상의 물질을 선별함에 따라, 선별된 물질이 통과하는 체망(12)의 중앙부위에 강력한 장력을 발생시키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체망(12)을 프레임(15)에 별도로 고정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되는 것이다. 즉 체망(12)을 견장기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원주방향으로 강하게 당긴후 프레임(15)에 납 또는 에폭시수지 등의 접착제로서 접착시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바와 같이 체망(12)에 강력한 장력이 발생됨에 따라, 작업도중에 체망(12)이 파손될 때까지 장시간 동안 유지됨에 따라, 진동체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체망(12)에 골고루 전달되어 사료물질 등의 액상 또는 분말의 물질을 소정의 입자별로 선별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체망(12)을 이용하여 선별하는 작업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학물질 등으로 사용되는 액상 또는 분말 등의 물질을 진동에 의해 입자별로 선별하는 소모재인 스크린을 별도로 제작한후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장착하는 과정이 불필요하며, 이에 따른 시간, 물적, 인건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작업도중 스크린이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되는 경우, 작업현장에서 스크린을 단시간내에 신속하게 장착하여 사용함에 따라 물질을 선별하는 작업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물질을 장기간동안 반복적으로 선별하는 경우에도 스크린의 장력이 초기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선별되는 물질이 균일하여 제품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체망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동업종 분야에서 대외적으로 가격경쟁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된다.
한편, 체망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체망을 프레임에 고정시 인체에 유해한 에폭시수지 등의 물질을 사용하지않아 사용자 또는 작업자의 건강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한편, 종래에 폐스크린을 보수하는 경우 납 또는 에폭시수지를 연마하는 과정에서 많은 분진이 발생되며, 납땜을 하는 경우 염산과 같은 유독성물질을 사용하게되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Claims (9)

  1. 구동모터가 하측에 내설되는 케이싱과, 상호 위상차를 갖도록 자체의 상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하부웨이트의 구동에 의해 진동하는 진동체와, 상기 케이싱 상측에 내설되어 유입되는 물질을 상기 진동체의 구동시 입자별로 선별하는 체망과, 상기 체망의 메쉬에 의해 선별되지않는 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 등을 구비하는 진동 체받이 장치에 있어서:
    자체의 하측이 하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체망을 고정지지하는 제1고정부가 양측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눌림지지부재; 및
    자체의 상측이 상부슈트통에 고정되며, 상기 눌림지지부재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눌림지지부재상에 압착시 상기 체망의 가장자리를 제2고정부에 의해 압착고정하여 선별된 물질이 통과되는 체망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환형의 눌름지지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계단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광하협의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지지부재와 눌름지지부재가 접하는 상기 눌림지지부재 상면에 상기 체망을 보호하는 완충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형성된 단차부에 밀착되어 상기 체망을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압착지지하여 고정하는 평판형상의 가압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형성된 요홈에 안착되어 상기 체망을 상기 눌림지지부재 측면에 압착지지하여 고정하는 구형상의 가압부재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눌림지지부재 및 눌름지지부재는 구형상 또는 터널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KR2020000002629U 2000-01-31 2000-01-31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KR20019459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652A KR20010077085A (ko) 2000-01-31 2000-01-31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652A Division KR20010077085A (ko) 2000-01-31 2000-01-31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598Y1 true KR200194598Y1 (ko) 2000-09-01

Family

ID=1964304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652A KR20010077085A (ko) 2000-01-31 2000-01-31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KR2020000002629U KR200194598Y1 (ko) 2000-01-31 2000-01-31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652A KR20010077085A (ko) 2000-01-31 2000-01-31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7708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917B1 (ko) * 2007-01-30 2007-10-10 여세현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장치
KR100765918B1 (ko) * 2007-07-26 2007-10-10 여세현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CN106392939A (zh) * 2016-11-28 2017-02-15 新乡市振英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筛网压装工装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2864Y2 (ko) * 1977-01-31 1980-10-07
JPS584611Y2 (ja) * 1978-03-25 1983-01-26 株式会社興和工業所 振動篩
JPS61147Y2 (ko) * 1980-12-11 1986-01-07
JPS5948778U (ja) * 1982-09-24 1984-03-31 武田薬品工業株式会社 振動篩機
JPH081025Y2 (ja) * 1993-05-21 1996-01-17 恭宏 柴田 振動ふる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085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026B1 (ko) 파분쇄 및 선별을 이용한 고철 폐기물 재생 장치
US20230090610A1 (en) Modular, pre-tensioned, self-cleaning screening panels
KR200194598Y1 (ko)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CN111670077A (zh) 线状物的去除方法、线状物的去除装置以及电子、电气设备部件屑的处理方法
KR100541073B1 (ko) 골재 선별용 스크린 장치
CN210497184U (zh) 一种环保型土木工程用建筑废料处理设备
US3666096A (en) Portable vibrating screener
KR100421942B1 (ko)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US3463315A (en) Mounting ring for vibrating screens
CN214391104U (zh) 一种安全智能的矿山设备
US6983849B1 (en) Screen repair apparatus and method
CN214515873U (zh) 一种钢研磨体用高效筛分机
CN209287508U (zh) 微型电磁实验摇床
CN101293246A (zh) 多层化验室使用振筛机的筛具
CN209772688U (zh) 一种用于石墨粉筛分的摆筛
CN216323283U (zh) 一种氨基模塑料循环式筛选装置
CN201311387Y (zh) 试验用筛分机
CN107263081B (zh) 一种旋紧组件、螺母拧紧装置及膨胀螺栓装配系统
KR200282665Y1 (ko)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KR900007806Y1 (ko) 과립사료 진동 선별기의 선별망체 설치구조
CN211436938U (zh) 一种封闭式低噪音振动筛
CN213133947U (zh) 一种建筑工程用筛沙装置
CN218424085U (zh) 生物降解粒料的生产过程碎料回用装置
CN217043403U (zh) 一种采矿工程用的筛选装置
CN211838969U (zh) 一种砂石筛选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