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1942B1 -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1942B1
KR100421942B1 KR10-2002-0019185A KR20020019185A KR100421942B1 KR 100421942 B1 KR100421942 B1 KR 100421942B1 KR 20020019185 A KR20020019185 A KR 20020019185A KR 100421942 B1 KR100421942 B1 KR 100421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eccentric
housing
vibration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9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2491A (ko
Inventor
박용기
Original Assignee
(주)거산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거산기계 filed Critical (주)거산기계
Priority to KR10-2002-0019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9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2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2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9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1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 B06B1/1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mechanical energy operating with systems involving rotary unbalanced ma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선별장치의 진동스크린틀체에 장착되는 중실환봉형상으로 된 주축의 양측에 편심하우징과 편심디스크로 구성된 진폭조절기를 각각 설치하여 진동스크린틀체의 진동방향과 진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재활용되는 건설폐기물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적절한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되어 건설폐기물의 선별능력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장치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는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부에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12)가 고정 설치되는 주축(11)과, 상기 주축(11)을 지지하는 베어링(13)이 내측에 수납되는 베어링하우징(14)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외측커버(15)와 내측커버(16)로 이루어지는 베어링결합체(17a)(17b)와, 상기 베어링결합체(17a)(17b)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주축하우징(18)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주축(11)의 양측에는 주축설치공(24)이 관통형성된 반원형상의 편심부(23)가 링형상으로 된 림(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편심하우징(21)과, 상기 편심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반원형상의 편심부(26)일측에는 주축삽입홈(27)을 형성하는 주축고정부(28a)(28b)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주축고정부(28a) (28b)에는 체결공(29)과 위치조절공(30)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편심디스크(25)와, 상기 편심하우징(21)내에 삽입된 편심디스크(25)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디스크(25)의 주축고정부(28a)(28b)에 각각 관통형성된 체결공 (29)과 위치조절공(30)에 각각 체결되어 편심디스크(25)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조임볼트(31)와 위치고정볼트(32)로 이루어지는 진폭조절기(20a)(20b)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Variable vibrating device of apparatus for screening construction wastes}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선별장치의 진동스크린틀체에 장착되는 중실환봉형상으로 된 주축의 양측에 편심하우징과 편심디스크로 구성된 진폭조절기를 각각 설치하여 진동스크린틀체의 진동방향과 진폭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재활용되는 건설폐기물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적절한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되어 건설폐기물의 선별능력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장치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는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건설폐기물에 혼합되어 있는 폐콘크리트 이외의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된 폐콘크리트를 콘베이어벨트(43)로 운반하여 진동선별장치(1)에 적재한 후, 진동선별장치(1)의 진동작용에 의해 눈의 크기가 다른 철망에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걸러지게 하여 분류를 하게 되며, 이 때 덩어리가 커서 재가공이 필요한 폐콘크리트는 크러셔(42)로 운반되어 잘게 분쇄되어 재분류가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폐콘크리트를 순차적으로 크기별로 선별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1)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면중앙부에 호퍼(4)가 설치된 프레임(2)과, 상하부에 눈의 크기가 다른 철망(8a)(8b)이 각각 고정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의 상부양측에 복수의 완충스프링(9)을 개재하여 경사지게 설치되는 진동스크린틀체(7)와, 상기 진동스크린틀체(7)의 양측판(7a)(7b)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프레임(2)의 상면일측에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5)로부터 벨트 (6)로써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진동스크린틀체(7)를 진동시키게 되는 진동발생기 (4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진동발생기(4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앙에 편심부(41)가 형성되도록 편심가공되며 일단부에 구동모터(5)와 벨트(6)로 연결되는 풀리(12)가 고정 설치되는 주축(11)과, 상기 주축(11)을 양측을 지지하는 베어링 (13)이 내측에 수납되는 베어링하우징(14)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외측커버(15)와 내측커버(16)로 이루어지며 상기 진동스크린틀체(7)의 양측판(7a)(7b)에 고정설치되는 베어링결합체(17a)(17b)와, 상기 베어링결합체(17a)(17b)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주축하우징(1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5)의 동력에 의해 주축(11)이 고속회전되면서 편심부(41)에 의한 회전불평형을 발생시켜 진동스크린틀체(7)를 진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동발생기(40)는 진동스크린틀체(7)에 설치되는 주축(11)의 중앙부에 편심부(4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편심가공하여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지만, 진동스크린틀체(7)를 지지하는 완충스프링(9)의 완충력과 진동선별장치(1)가 설치되는 지반의 강도 등에 따라 실제로 발생되는 주축(11)의편심부(41)에 의한 회전불평형의 진폭이 크거나 작게 될 수 있으므로, 진동선별작업에 필요한 적정한 진폭으로 보정하기 위하여 상기 주축(11)의 양측에 편심판 등을 용접 등으로 각각 고정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진동발생기(40)는 일단 조립이 완료되고 나면 주축(11)의 편심부(41)에 의해 일정한 진폭의 진동이 발생되거나 또는 주축(11)의 편심부(41)에 의해 진폭을 보정하기 위하여 주축(11)의 양측에 고정설치되는 편심판에 의해 일정하게 고정된 진폭의 진동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진동선별장치(1)가 필요이상의 부하를 받게 되더라도 진폭의 조정이 불가하여 기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폐콘크리트의 혼합정도나 양에 따라 진폭조절이 용이하지 못하여 진동선별장치(1)의 사용효율이 저하되므로 장치의 고장요인이 되거나 장치의 사용수명을 현저히 단축시키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페단을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진동발생기(40)는 중앙에 편심부(41)가 편심가공된 주축(11)의 양측에 용접고정된 편심판을 뜯어내어 새롭게 교체하거나, 주축(11)자체의 편심부(41)를 재가공하거나 교체하기 위하여 진동발생기 (40)를 전부 분해해야 하므로 이로 인하여 보수 및 유지관리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동선별장치의 진동스크린틀체에 장착되는 중실환봉형상으로 된 주축의 양측에 편심하우징과 편심디스크로 구성된 진폭조절기를 각각 설치하여 진동스크린틀체의 진동방향과 진폭을 용이하게 조절할수 있도록 하므로써, 재활용되는 건설폐기물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적절한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되어 건설폐기물의 선별능력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장치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부에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가 고정 설치되는 주축과, 상기 주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이 내측에 수납되는 베어링하우징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외측커버와 내측커버로 이루어지는 베어링결합체와, 상기 베어링결합체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주축하우징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양측에는 주축설치공이 관통형성된 반원형상의 편심부가 링형상으로 된 림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편심하우징과, 상기 편심하우징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반원형상의 편심부일측에는 주축삽입홈을 형성하는 주축고정부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주축고정부에는 체결공과 위치조절공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편심디스크와, 상기 편심하우징내에 삽입된 편심디스크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디스크의 주축고정부에 각각 관통형성된 체결공과 위치조절공에 각각 체결되어 편심디스크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조임볼트와 위치고정볼트로 이루어지는 진폭조절기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종래의 진동발생기가 설치된 진동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진동발생기의 요부인 진폭조절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진동발생기에 설치되는 진폭조절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변진동발생기 11 : 주축 12 : 풀리
13 : 베어링 14 : 베어링하우징 15 : 외측커버
16 : 내측커버 17a, 17b : 베어링결합체 18 : 주축하우징
20a, 20b : 진폭조절기 21 : 편심하우징 22 : 림
23 : 편심부 24 : 주축설치공 25 : 편심디스크
26 : 편심부 27 : 주축삽입홈 28 : 주축고정부
29 : 체결공 30 : 위치조절공 31 : 조임볼트
32 : 위치고정볼트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며, 도 4의 (가)(나)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진동발생기의 요부인 진폭조절기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진동발생기에 설치되는 진폭조절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단부에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12)가 고정 설치되는 중실환봉형상의 주축(11)과, 상기 주축(11)을 지지하는 베어링(13)이 내측에 수납되는 베어링하우징(14)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외측커버(15)와 내측커버(16)로 이루어지는 베어링결합체(17a)(17b)와, 상기 베어링결합체(17a)(17b)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주축하우징(18)으로 이루어진 구성은 종래의 진동발생기의 구성과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의 요부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도 3과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실환봉형상의 주축(11)의 양측에 주축설치공(24)이 관통형성된 반원형상의 편심부(23)가 링형상으로 된 림(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편심하우징(21)과, 상기 편심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반원형상의 편심부(26)일측에는 주축삽입홈(27)을 형성하는 주축고정부(28a)(28b)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주축고정부(28a)(28b)에는 체결공(29)과 위치조절공(30)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편심디스크(25)와, 상기 편심하우징(21)내에 삽입된 편심디스크(25)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디스크(25)의 주축고정부(28a)(28b)에 각각 관통형성된 체결공(29)과 위치조절공(30)에 각각 체결되어 편심디스크(25)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조임볼트 (31)와 위치고정볼트(32)로 이루어지는 진폭조절기(20a)(20b)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 진동발생기에 대한 조립 및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진동스크린틀체(7)의 양측판(7a)(7b)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베어링결합체(17a)(17b)에 의해 지지되는 중실환봉형상의 주축 (11)의 양측에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편심하우징(21)과 편심디스크 (25)로 이루어진 진폭조절기(20a)(20b)를 각각 삽입설치하게 된다. 이 때, 편심하우징 (21)은 주축설치공(24)을 통해 주축(11)에 삽입하여 키로써 주축(11)과 견고하게 고정설치되고, 이어서 편심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편심디스크(25)를 주축삽입홈(27)을 통해 주축(11)에 삽입하여 공지의 스냅링 등을 이용하여 주축(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킨 다음, 상기 편심디스크(25)의 주축고정부(28a) (28b)에 각각 관통형성된 체결공(29)과 위치조절공(30)에 조임볼트(31)와 위치고정볼트(32)를 체결하여 편심디스크(25)가 주축(11)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주축(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진폭조절기(20a)(20b)를 이용하여 가변진동발생기(10)의 진폭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편심디스크(25)의 주축고정부(28a)(28b)에 체결된 조임볼트(31)와 위치고정볼트(32)를 느슨하게 푼 다음, 편심하우징(21)의 편심부(23)에 일정간격으로 매겨진 눈금에 따라 편심디스크(25)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편심디스크(25)의 편심부(26)와 편심하우징(21)의 편심부(23)가 서로 마주보도록 180도로 위치시키게 되는 경우는 진폭이 거의 없는 최소진폭상태가 되며, 편심디스크(25)의 편심부(26)를 편심하우징(21)의 편심부 (23)와 일치하도록 위치시킨 경우에는 진폭이 최대가 되는 최대진폭상태가 된다.
이렇게 편심디스크(25)를 회전시켜 선별될 재료의 종류나 용량에 따라 최소진폭과 최대진폭사이의 적정한 진폭을 선정하여 상기 조임볼트(31)와 위치고정볼트 (32)를 체결하여 편심디스크(25)를 주축(11)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게 되면 진폭조절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가변진동발생기(10)의 주축(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진폭조절기(20a)(20b)를 이용하여 진동선별되는 폐콘크리트의 양이나 종류에 따라 적정한 진폭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진동선별장치의 선별능력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진동선별장치에 필요이상의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장치에 불필요한 부하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는 진동선별장치의 진동스크린틀체에 장착되는 주축의 양측에 편심하우징과 편심디스크로 구성된 진폭조절기를 각각 설치하여 진동스크린틀체의 진동방향과 진폭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재활용되는 건설폐기물의 종류 및 용량에 따라 적절한 진동을 가할 수 있게 되어 건설폐기물의 선별능력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장치의 분해 및 조립이 간편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하게 되어 장치의 사용수명이 현저히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단부에 구동모터와 벨트로 연결되는 풀리(12)가 고정 설치되는 주축(11)과, 상기 주축(11)을 지지하는 베어링(13)이 내측에 수납되는 베어링하우징(14)의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는 외측커버(15)와 내측커버(16)로 이루어지는 베어링 결합체 (17a)(17b)와, 상기 베어링결합체(17a)(17b)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주축(11)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는 주축하우징(18)으로 이루어진 것에 있어서,
    상기 주축(11)의 양측에는 주축설치공(24)이 관통형성된 반원형상의 편심부 (23)가 링형상으로 된 림(22)의 내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편심하우징(21) 과,
    상기 편심하우징(21)의 내측에 삽입설치되며 반원형상의 편심부(26)일측에는 주축삽입홈(27)을 형성하는 주축고정부(28a)(28b)가 각각 돌출형성되고 상기 주축고정부(28a)(28b)에는 체결공(29)과 위치조절공(30)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편심디스크(25)와,
    상기 편심하우징(21)내에 삽입된 편심디스크(25)가 자유롭게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편심디스크(25)의 주축고정부(28a)(28b)에 각각 관통형성된 체결공(29)과 위치조절공(30)에 각각 체결되어 편심디스크(25)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되는 조임볼트(31)와 위치고정볼트(32)로 이루어지는 진폭조절기(20a)(20b)가 각각 삽입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KR10-2002-0019185A 2002-04-09 2002-04-09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KR100421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185A KR100421942B1 (ko) 2002-04-09 2002-04-09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9185A KR100421942B1 (ko) 2002-04-09 2002-04-09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600U Division KR200282665Y1 (ko) 2002-04-09 2002-04-09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491A KR20020032491A (ko) 2002-05-03
KR100421942B1 true KR100421942B1 (ko) 2004-03-11

Family

ID=19720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9185A KR100421942B1 (ko) 2002-04-09 2002-04-09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9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54B1 (ko) 2008-10-23 2009-08-17 용원기계공업(주) 터널 피더
KR20210071287A (ko) 2019-12-06 2021-06-16 김종복 부분 진동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752B1 (ko) * 2002-06-20 2005-07-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진동식 화격자를 구비하는 소각 장치
KR100709488B1 (ko) * 2005-04-22 2007-04-20 용원기계공업(주) 진동 스크린
KR101146761B1 (ko) * 2009-11-23 2012-05-17 주식회사 스페코 아스콘 골재 선별용 스크린 진동장치
KR101397319B1 (ko) * 2012-05-03 2014-05-22 김영구 진동 컨베이어장치의 가진 작동기 구조
CN109928152A (zh) * 2017-12-19 2019-06-25 迁安市富诚工贸有限公司 一种新型放矿机激振器
KR101949922B1 (ko) * 2018-09-14 2019-02-20 (주)거산기계 기능성 하이브리드 토사전용 선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254B1 (ko) 2008-10-23 2009-08-17 용원기계공업(주) 터널 피더
KR20210071287A (ko) 2019-12-06 2021-06-16 김종복 부분 진동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2491A (ko) 200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25799B (zh) 振动筛机
KR100421942B1 (ko)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US5816412A (en) Screening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ing particulate material
CN105396776B (zh) 一种动态分离筛
KR200282665Y1 (ko) 건설폐기물 진동선별장치의 가변진동발생기
US6070737A (en) Screening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ing particulate material
KR101340565B1 (ko) 그리즐리 선별기
RU2256515C2 (ru) Многочастотная вибрационная сепараторная система, вибрационный сепаратор, содержащий эту систему, и способ вибрационной сепарации твердых частиц
CN112691895B (zh) 一种重型超细驰张筛
US9339847B2 (en) Vibrating aggregate, an apparatus for processing mineral material, and a method for moving a processing device of an apparatus for processing mineral material
US4588137A (en) Vibratory crusher
KR20210071287A (ko) 부분 진동스크린
CN209918276U (zh) 抗震且高效的筛粉机
KR101185288B1 (ko) 원료 선별용 스크린 플레이트 조립체 및 이를 사용한 코크스 선별 장치
AU2002337281B2 (en) Vibrating grid shaft assembly
CN217450890U (zh) 振动筛和物料筛分设备
US3797659A (en) Modular screen
CN210365619U (zh) 一种具有筛分模块的振动给料机
JP2023145179A (ja) 振動ふるい機
JP2001088928A (ja) 省エネ型振動フィーダ
SU1041173A1 (ru) Решетный стан сепаратора сыпучих материалов
RU2416467C1 (ru) Вибрационный грохот
US4702425A (en) Vibratory crushing apparatus
EP3566785A1 (en) Screening apparatus with improved screen media
GB2601319A (en)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with spring-biased coupl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