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918B1 -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918B1
KR100765918B1 KR1020070075236A KR20070075236A KR100765918B1 KR 100765918 B1 KR100765918 B1 KR 100765918B1 KR 1020070075236 A KR1020070075236 A KR 1020070075236A KR 20070075236 A KR20070075236 A KR 20070075236A KR 100765918 B1 KR100765918 B1 KR 100765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esh
net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5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세현
Original Assignee
여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세현 filed Critical 여세현
Priority to KR1020070075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9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9Perforated sheet-lik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입자상의 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망판이 팽팽하게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망판을 프레임의 둘레에 접착함으로써 선별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망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접착된 망판 위에 메쉬가 다른 망판을 이중으로 접착하거나 망판의 저면 둘레와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재를 충전하여, 망판이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명이 긴 망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망체, 선별, 망판

Description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Method for making screen of vibratory separator}
본 발명은 각종 입자상의 물질을 선별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에폭시본드 또는 은납땜과 같은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망판의 둘레를 프레임에 접착하여 망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2)의 둘레에 망판(104)을 결합함에 있어서, 망판(104)을 프레임(102) 위에 올린 다음 그 위에 볼트(120)와 너트(122)를 이용하여 결합테(124)를 망판(104)과 함께 프레임(102)에 결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서, 망판(104)을 팽팽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면 둘레에 홈(126)이 형성된 프레임(102)과 저면 둘레에 상기 홈(126)에 결합되는 돌출부(128)가 형성된 결합테(124)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종래의 망체는 볼트(120)와 너트(122)로 결합테(124)를 망판(104)과 함께 프레임(102)에 결합하면, 결합테(124)의 저면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128)가 프레임(102)의 상면에 형성된 홈(126)에 차츰 삽입되면서, 망판(104)의 둘레도 상기 돌출부(128)와 함께 상기 홈(126)에 차츰 삽입되기 때문 에 망판(104)이 바깥쪽으로 당겨지게 되어 프레임(102)에 팽팽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망체는 제조과정에서 망판(104)이 팽팽한 정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볼트(120)와 너트(122)가 결합된 부분에만 망판(104)이 프레임(102)에 고정되기 때문에 망체를 오래 사용하게 되면 각각의 볼트(120)와 너트(122) 사이의 망판(104)의 가장자리가 안으로 밀려들어 가서 망판(104)이 느슨해지거나 망판(104)의 가장자리가 프레임(102)으로부터 벗어나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에폭시본드나 은납땜과 같은 접착수단에 의하여 망판의 가장자리를 프레임에 접착하는 방법으로 망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발되었으나, 이와 같이 제조되는 망체는 망판의 둘레 전체가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기는 하나, 망체의 제조과정에서 망판을 프레임에 팽팽하게 고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아니한 문제가 있었다.
망판이 프레임에 팽팽하게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어떤 물질을 선별하기 위하여 망판 위에 선별하고자 하는 물질을 올리면 그 무게에 의하여 망판이 아래로 쳐지게 되는데, 망판이 아래로 쳐지면 선별하고자 하는 물질이 망판 위에 골고루 퍼져서 흔들리지 않고 망판의 중앙에 몰리게 되어 선별의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정링과 고정테에 의하여 망판의 가장자리를 고정한 상태에서 망판의 상면을 가압링과 가압수단으로 가압하여 망판의 둘레가 아래쪽으로 당겨져 망판이 팽팽하게 유지되도록 한 다음에 에폭시본드나 은납땜과 같은 접착수단으로 망판의 둘레를 프레임에 접착함으로써, 망판이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에서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접착된 망판 위에 메쉬가 다른 망판을 이중으로 접착하거나 망판의 저면 둘레와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진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완충재를 충전하여, 망판이 프레임의 내측 가장자리에 부딪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명이 긴 망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는 망판이 팽팽 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선별의 효율이 높고, 망판과 프레임 사이에 완충재가 충전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망판이 이중으로 되어 있어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망체에 비해 수명이 긴 망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장치는 망체(100)의 프레임(102)을 올려두기 위한 작업대(10), 상기 작업대(10)의 작업판(12) 위에 설치된 고정링(20), 상기 고정링(20)의 외주에서 프레임(102) 위에 올려진 망판(104)의 둘레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테(30), 상기 고정테(30)를 내측으로 조이기 위하여 고정테(30)에 설치된 조임수단, 상기 프레임(102)과 고정링(20) 사이의 망판(104) 위에서 망판(104)의 둘레를 아래로 가압하여 망판(104)을 팽팽하게 하기 위한 가압링(40), 상기 가압링(40)을 아래로 가압하기 위한 복수개의 가압수단(5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임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테(30)의 한 곳이 절단되어 한쪽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볼트(32)가 다른 쪽 단부에 부착된 너트(34)에 결합된 것이어서, 볼트(32)를 조이면 고정테(30)의 둘레가 짧아져 고정테(30) 내부 둘레가 고정링(20)의 외부 둘레에 밀착되고, 볼트(32)를 풀면 고정테(30)의 둘레가 길어져서 고정테(30)의 내부 둘레가 고정링(20)의 외부 둘레로부 터 이격되어 고정테(30)가 고정링(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너트(34)는 고정테(30)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가압링(40)은 망체를 제조할 때 제조하고자 하는 망체의 프레임(102)과 상기 고정링(20) 사이에 놓여져야 하므로, 제조하고자 하는 프레임(102)보다 크고 고정링(20)보다는 작아야 한다.
상기 가압링(40)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은 C형 클램프(50)로 되어 있다. 상기 C형 클램프(50)는 C형의 고정체(52)에 가동체(54)가 회전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가동체(54)는 상단에 물음쇠(5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하단에 가동체(54)를 돌려서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58)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C형 클램프(50)는 고정체(52)의 상단의 물음쇠(56a)를 상기 가압링(40)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가동체(54)의 물음쇠(56)를 작업대(10)의 작업판(12)의 저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손잡이(58)를 돌리면, 가동체(52)가 상승하면서 가동체(54)의 물음쇠(56)가 작업판(12)의 저면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58)를 계속 돌리면 고정체(52)의 물음쇠(56a)가 가압링(40)을 아래로 누르게 된다.
위와 같은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장치에 의하여 제조하는 본 발명의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0)의 작업판(12) 위 중앙에 프레임(102)을 올려두고, 상기 프레임(102) 위에 망판(104)을 올려서 그 둘레를 고정링(20)과 고 정테(30) 사이에 삽입한 다음, 고정테(30)를 조여서 망판(104)의 둘레를 고정링(20)과 고정테(30) 사이에 고정한다. 이 때 고정테(30)는 조임수단의 볼트(32)를 조이면 고정테(30)의 둘레가 짧아지면서 망판(104)의 둘레가 고정링(20)과 고정테(3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고정테(30)가 고정링(20)에 밀착되어 망판(104)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망판(104) 위에 가압링(40)을 올리면 가압링(40)은 망체의 프레임(102)과 고정링(20)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데, 가압수단인 복수개의 C형 클램프(50)를 일정간격으로 배치한 후 각 C형 클램프(50)의 손잡이(58)를 돌려 가압링(40)을 아래로 가압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링(40)이 프레임(102)과 고정링(20) 사이에서 망판(104)을 아래로 누르게 되고, 이 부분의 망판(104)이 아래로 눌러지면 망판(104)은 바깥쪽으로 당겨져서 팽팽하게 됨과 동시에 망판(104)의 저면과 프레임(102)의 상면이 밀착된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106)로 망판(104)의 둘레를 프레임(102) 상면의 바깥쪽 둘레에 접착하는데, 도 5는 망판을 접착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접착제로는 은납땜, 에폭시본드 기타 다른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은납땜으로 접착할 경우 프레임(102) 위의 망판(104)의 상면에서 가열된 인두로 은납을 녹이면서 접착하는데, 녹은 은납은 망판(104)의 체눈 사이로 스며들어서 망판(104)이 프레임(102)에 부착된다. 에폭시본드로 접착할 경우 프레임(102) 위의 망판(104)의 상면에 도포하면 망판(104)의 체눈 사이로 본드가 스며들어서 망판(104)이 프레임(102)에 부착된다.
망판(104)이 프레임(102)에 부착된 상태에서 가압링(40)의 가압 및 고정 테(30)의 조임을 풀고 프레임(102)에 부착된 망판(104)을 고정링(20)과 고정테(30)로부터 분리한 다음, 프레임(102) 밖으로 돌출된 망판(104)의 가장자리를 잘라낸다. 도 6은 망판(104)의 가장자리를 잘라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위와 같이 제조된 망체의 망판(104) 위에 체눈의 메쉬가 다른 망판(104a)을 추가로 접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제조된 망체를 작업대 위에 올려놓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정을 한번 더 거치면 된다. 이 때 두 번째 망판(104a)은 먼저 접착된 망판(104)의 위에 접착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은 두 번째 망판을 접착하는 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망판을 하나씩 프레임(102)에 접착하지 않고 처음부터 체눈의 메쉬를 달리하는 두 개의 망판(104)(104a)을 겹쳐서 고정한 다음 두 개의 망판(104)(104a)을 한꺼번에 프레임(102)에 접착할 수도 있다. 도 13은 두 개의 망판(104)(14a)을 겹쳐서 고정링(20)과 고정테(30) 사이에 삽입한 다음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때에는 접착제가 두 개의 망판(104)(104a)의 체눈 사이로 스며들어 두 개의 망판을 한꺼번에 프레임(102)에 고정하게 된다.
망판(104)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망판(104)과 프레임(102)의 상면 내측 단부가 서로 마찰하여 망판(10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제조된 망체의 망판(104)의 저면과 프레임(102)의 내측 상단 사이에 완충재(108)를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재(108)는 실리콘을 녹여서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 및 도 12는 실리콘을 충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및 그 확대도로서, 도 7은 망판이 한 장으로 되어 있고, 도 12는 망판이 두 장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망체가 제조된 다음에는 망판(104)(104a)의 가장자리 프레임(102)이 있는 부분 상면에 마감처리제(110)를 접착하거나 도포한 다음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감처리제(110)는 에폭시본드 또는 에폭시페인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에폭시본드는 두껍게 접착되기 때문에 에폭시본드로 마감처리를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만, 에폭시페인트는 신속하게 건조되기 때문에 작업능률 면에서는 에폭시페인트를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도 14는 완성된 망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마감처리까지 마친 것이다.
건조는 자연건조도 가능하나 에폭시본드로 마감처리를 한 경우에는 건조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건조실에서 고온으로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은 망판이 고정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망판이 고정된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망판을 팽팽하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5는 망판을 접착한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망판의 가장자리를 잘라낸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망판의 저면과 프레임의 내측 상단 사이에 완충재가 충전된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8은 두 번째 망판이 고정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9는 두 번째 망판을 팽팽하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종단면도
도 10은 두 번째 망판을 접착한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도 11은 두 번째 망판의 가장자리를 잘라낸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도 12는 2중 망판으로 된 망체의 망판의 저면과 프레임의 내측 상단 사이에 완충재가 충전된 상태의 부분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13은 망판 2장이 한꺼번에 고정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 14는 완성된 망체의 사시도
도 15는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망체의 사시도
도 16은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망체의 부분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업대 12 : 작업판
20 : 고정링 30 : 고정테
32 : 볼트 34 : 너트
40 : 가압링 50 : C형 클램프

Claims (10)

  1. 망판을 프레임에 부착시켜 망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작업대(10)의 작업판(12) 위 중앙에 프레임(102)을 올려두는 단계; 프레임(102)위에 망판(104)을 올려서 그 둘레를 고정링(20)과 고정테(30)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복수개의 가압수단에 의하여 가압링(40)을 아래로 가압하는 단계; 접착제(106)로 망판(104)의 둘레를 프레임(102)에 접착하는 단계; 가압 및 조임을 풀고 프레임(102)에 접착된 망판을 고정링(20)과 고정테(30)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프레임(102) 밖으로 돌출된 망판(104)의 가장자리를 잘라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망판(104)을 접착하는 것과 동일한 단계를 거쳐 메쉬가 다른 망판(104a)을 먼저 접착된 망판(104) 위에 접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02) 위에 망판(104)을 올려서 그 둘레를 고정링(20)과 고정테(30)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는 망판(104)을 메쉬가 다른 망판(104a)과 함께 겹쳐서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망판(104)의 저면과 프레임(102) 의 내측 상단 사이에 완충재(108)를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망판(104,104a)의 상면 둘레 가장자리에 마감처리제(110)를 접착하거나 도포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망판(104,104a)의 상면 둘레 가장자리에 마감처리제(110)를 접착하거나 도포한 다음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완충재(108)는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제(106)는 은납땜 또는 에폭시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마감처리제(110)는 에폭시본드 또는 에폭시 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마감처리제(110)는 에폭시본드 또는 에폭시페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KR1020070075236A 2007-07-26 2007-07-26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KR1007659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36A KR100765918B1 (ko) 2007-07-26 2007-07-26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5236A KR100765918B1 (ko) 2007-07-26 2007-07-26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9562A Division KR100765917B1 (ko) 2007-01-30 2007-01-30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918B1 true KR100765918B1 (ko) 2007-10-10

Family

ID=39419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5236A KR100765918B1 (ko) 2007-07-26 2007-07-26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9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087A (ko) * 2013-06-05 2014-12-15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체 및 체의 제조 방법
CN109433599A (zh) * 2018-12-19 2019-03-08 苏州城邦达力材料科技有限公司 网筛绷制装置及网筛绷制方法
CN112893116A (zh) * 2021-03-01 2021-06-04 西安欧中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不锈钢丝筛网使用寿命的制作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9770U (ko) * 1980-12-11 1982-06-19
US4929346A (en) * 1987-10-14 1990-05-29 Si Lin Yu Vibratory separtor screen assembly
KR200168384Y1 (ko) * 1997-02-19 2000-02-01 여세현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
KR20010077085A (ko) * 2000-01-31 2001-08-17 김차웅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US6726029B2 (en) * 2002-06-12 2004-04-27 Varco I/P, Inc. Separator screen with solids conveying end area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9770U (ko) * 1980-12-11 1982-06-19
US4929346A (en) * 1987-10-14 1990-05-29 Si Lin Yu Vibratory separtor screen assembly
KR200168384Y1 (ko) * 1997-02-19 2000-02-01 여세현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
KR20010077085A (ko) * 2000-01-31 2001-08-17 김차웅 진동체용 스크린 장력 유지장치
US6726029B2 (en) * 2002-06-12 2004-04-27 Varco I/P, Inc. Separator screen with solids conveying end are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43087A (ko) * 2013-06-05 2014-12-15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체 및 체의 제조 방법
KR101632784B1 (ko) * 2013-06-05 2016-06-22 가부시끼가이샤 옵토니쿠스 세이미쯔 체 및 체의 제조 방법
CN109433599A (zh) * 2018-12-19 2019-03-08 苏州城邦达力材料科技有限公司 网筛绷制装置及网筛绷制方法
CN112893116A (zh) * 2021-03-01 2021-06-04 西安欧中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不锈钢丝筛网使用寿命的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05264A3 (en) Apparatus for repairing or refurbishing a filtering screen
CA2495461A1 (en) A method for making a screen assembly for a vibratory separator
KR100765918B1 (ko)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방법
NO322593B1 (no) Vibrerende sikteduksammenstilling og fremgangsmate for fremstilling av denne
KR100765917B1 (ko)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장치
JPS6211911B2 (ko)
KR100731685B1 (ko)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210436050U (zh) 一种装网工具
BR0208744A (pt) Fabricação de uma peneira de filtragem
MXPA05002927A (es) Tamiz de tela de alambre tejido.
JPH07505572A (ja) スクリーンの取付け構造および張り構造
JP2004106372A (ja) スクリーン張設方法
KR200168384Y1 (ko) 진동용 선별기의 망체
CN213468598U (zh) 一种筛分设备的过渡漏料斗
CN106767164B (zh) 包覆机的复合背板传送及止裂层定位压粘装置
CA2472444A1 (en) Screen assembly and method for screening
CN218394693U (zh) 一种旋振筛用振动盘
CN218655271U (zh) 一种筛网可调式气动绷装机
CN215945013U (zh) 一种膜材张紧装置及定向超声屏
CN215141992U (zh) 一种实验室用筛分装置
KR101162303B1 (ko) 화력 발전소의 석탄 선별용 무용접 진동 스크린
JPH05123654A (ja) 振動ふるい機用ふるい網
CN205056443U (zh) 一种超声波旋振筛上的筛网安装装置
JPS6020069B2 (ja) スクリ−ンパネルとその張着方法
JPS62104750A (ja) スクリ−ン枠への紗の張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