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72Y1 -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 Google Patents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72Y1
KR900007772Y1 KR2019860007276U KR860007276U KR900007772Y1 KR 900007772 Y1 KR900007772 Y1 KR 900007772Y1 KR 2019860007276 U KR2019860007276 U KR 2019860007276U KR 860007276 U KR860007276 U KR 860007276U KR 900007772 Y1 KR900007772 Y1 KR 9000077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eadlight
vehicle
col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72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8275U (ko
Inventor
우종천
Original Assignee
우종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종천 filed Critical 우종천
Priority to KR20198600072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72Y1/ko
Priority to KR2019870019850U priority patent/KR900006772Y1/ko
Publication of KR870018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8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07Supports; Mounting means for fastening a rigid aerial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조등 불빛의 감쇠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사진으로서, a)는 전혀 감쇠되지 않은 상태의 전조등 불빛사진이고, b)는 본 고안을 통하여 감쇠된 전조등 불빛의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반사체
3 : 램프 4 : 색광판
5 : 렌즈판 9 : 덮개
본 고안은 차량에 있어서의 전조등 영향감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야간 주행시에 차량이 상호 대향방향으로 교차할 때, 상대측 차량에서 조사되는 전조등 불빛이 운전자에게 시각장애를 일으키는 주요인으로 되고 있음은 흔히 겪는 일이다.
또한, 운전자의 잠시적인 시각장애로 교통사고를 유발하게 된 사례도 적지않게 보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야간운행에서 상기한 운전자의 시각장애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행중 차량이 상호 마주치게 될때, 반드시 전조등의 조사각도를 원등에서 근등으로 교체하도록 주의시키고 있으나, 어느 한쪽차량이 전조등을 근등으로 조작하지 않을 경우, 오히려 근등으로 조작한 측의 운전자는 더 심한 시각장애를 일으키기 때문에, 실제에 있어서는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으며, 더구나 쌍방 차량이 근등으로 동시에 조작하였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운전자에게는 상대측 차량의 전조등이 근등상태로 조사되므로, 광량은 줄었을 지라도 시각장애 문제는 여전히 남게 된다.
이러한 전조등 영향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차량의 전면창을 칼라글래스로 장착하여, 상대측 차량의 불빛 중에서 운전자의 눈에 시각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파장의 빛만이 통과되게 할 수 있으나, 이 방법은 야간에 물체의 식별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를 안고 있고, 또 칼라글래스 자체가 값이 비싼 까닭에 치장용으로 밖에는 사용되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주행시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조사되는 불빛이 운전자의 시각능력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한 전조등 영향감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창으로 소정색상의 불빛을 비스듬히 조사시켜, 전면창에 색상스크린이 현출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측 차량의 전조등 불빛에 간섭광이 투사되게 하여 빛의 상쇄간섭을 일으킴으로써, 차량의 교행시에 상대측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감쇠하여 운전자의 시각장애를 방지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부호(1)은 몸체를 지칭하고, 부호(2)는 이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반사체를 나타낸다.
반사체(2)의 내부중앙에는 램프(3)이 장착되고, 이들 반사체(2)와 램프(3)을 1개조로 하여, 필요하다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수를 이루도록 나란히 배치시킨다.
램프(3)은 통상적인 병렬접속에 의해 전기적인 결선이 되어지며, 반사체(2)의 전방측에는 색광판(4)와 렌즈판(5)가 각각 배치된다.
몸체(1)의 양측에는 스크류봉(6)에 의해 벌어지거나 오무러지는 1쌍의 집게(7)로 이루어진 클램프(8)이 설치된다.
또한, 몸체(1)에는 덮개(9)가 씌워지며, 이 덮개(9)가 씌워지며, 이 덮개(9)의 전면에는 투사창(10)이 뚫려 있고, 후면에는 전기한 클램프(8)의 집게(7)이 삽입되어 자유로히 활동될 수 있는 절결구(11)이 개설되어 있다.
클램프(8)의 스크류봉(6)은 덮개(9)의 상면에 뚫려진 통공(12)를 통하여 덮개(9)의 외부로 노출되고, 여기에는 클램프 조임용 노브(13)이 고정부착된다.
도면의 미설명부호(14)는 램프로부터 연장되는 전선을 지칭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노브(13)을 조작하여 집게(7)이 제2도의 도시와 같이 차내의 계기판 상측 패드(P)에 고정되도록 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램프(3)은 차량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램프(3)은 차량의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점등되고, 반사체(2)에 의해 집광되어서, 색광판(4)와 렌즈판(5)을 경유하여 소정 색상의 빛을 발하게 되며, 이때의 광 투사방향은 차량의 전면창에 교차하는 방향이 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차량 계기판의 상측 패드(P)에 장착된 본 고안의 감쇠장치(B)가 점등되면, 램프(3)에서 발해지는 불빛은 색광판(4)를 통과함으로써, 소정색상의 빛으로 차량의 전면창에 비스듬히 조사되며, 그 결과로 전면창에는 소정면적의 색광스크린(S)가 현출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교행시에 대향방향으로부터 조사되는 다른 차량의 전조등 불빛(A)는 색광스크린(S)를 거쳐 운전자의 시야로 비춰지게 되는데 이때, 색광스크린(S)로 비춰지는 빛은 상대측 차량의 전조등 불빛(A)에 대하여 간섭광으로 작용하여 빛의 상쇄간섭을 일으키게 된다.
다시말해서 다른 차량의 전조등 불빛(A)는 감쇠장치(B)의 빛에 의해 간섭되는 상쇄간섭에 의해 광량이 저하되면서 운전자의 시야로 조사되기 때문에 상대측 전조등 불빛에 의한 시각상의 명멸감을 느끼지 않는 비자극적인 빛(A')로 되어 운전자의 시야에 비춰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색광스크린(S)에 의한 눈의 자극을 방지하기 위하여, 색광판(4)의 색상을 눈에 비자극적인 색으로 선택하여 놓을 필요가 있으며, 눈에 비자극적인 색상으로 알려진 것은 암록색이나 군청색 계통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에서 렌즈판(5)에 오목 또는 볼록렌즈를 부가하여 줄 경우, 색광의 집광효과 혹은 산광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전조등 불빛 감쇠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으로서, a)도는 비감쇠된 전조등 불빛을 나타내고, b)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해 빛의 상쇄간섭을 일으킨 상태를 나타낸다.
이 사진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해 감쇠된 불빛이 비감쇠된 불빛보다 윤곽이 희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현상은 빛의 상쇄간섭에 의해 감쇠된 불빛이 비감쇠된 불빛보다 윤곽이 희미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 현상은 빛의 상쇄간섭에 의해 감쇠된 불빛이 비감쇠된 불빛보다 광량이 저하되어 나타남에 기인한다.
본 고안을 통하여 얻어지는 시각장애방지효과는 감쇠장치(B)로부터 조사되는 색광과 대향방향측 차량에서 조사되는 전조등 불빛의 조도 차이가 낮을수록 높아지는 것이나, 실제에 있어서 광의 조도를 전조등 불빛과 동일한 정도로 할 필요는 없으며, 대략 전조등 불빛에 1/2 이상의 조도를 갖는 것이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전면창에 색광스크린을 현출시켜서 대향차량의 전조등 불빛에 대하여 상쇄간섭을 일으켜 시각장애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따라 색광스크린을 필요한 경우에만 현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칼라글래스에서 겪을 수 있는 물체식별력의 저하와 같은 결점이 없고, 염가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대향방향의 전조등 불빛을 포착하는 광센서에 의한 스위칭회로를 본 고안에 병용시키면, 색광스크린의 현출, 소멸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몸체(1)과 덮개(9)로 이루어지고, 몸체(1)의 내부에는 램프(3)이 배설된 반사체(2)가 하나 또는 다수개 설치되며, 반사체(2)의 전방에 색광판(4)와 렌즈판(5)가 나란히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전조등 영향 감쇠장치.
KR2019860007276U 1986-05-24 1986-05-24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KR9000077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276U KR900007772Y1 (ko) 1986-05-24 1986-05-24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KR2019870019850U KR900006772Y1 (ko) 1986-05-24 1987-11-17 안테나 단자판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7276U KR900007772Y1 (ko) 1986-05-24 1986-05-24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275U KR870018275U (ko) 1987-12-23
KR900007772Y1 true KR900007772Y1 (ko) 1990-08-23

Family

ID=702905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7276U KR900007772Y1 (ko) 1986-05-24 1986-05-24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KR2019870019850U KR900006772Y1 (ko) 1986-05-24 1987-11-17 안테나 단자판 고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9850U KR900006772Y1 (ko) 1986-05-24 1987-11-17 안테나 단자판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000077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8275U (ko) 1987-12-23
KR890011743U (ko) 1989-07-15
KR900006772Y1 (ko) 199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8444B2 (ja) プロジェクタ原理に基づく車両の前照灯ならびに少なくとも1つのこのような前照灯を備えた照明装置
US4972173A (en) Optical device on the doors of motor vehicles to show they are open and to illuminate the zone between door and vehicle
KR100722951B1 (ko) 광학적 눈부심 제한기
IT9021577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veicoli
US3124309A (en) Anti-glare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KR900007772Y1 (ko) 전조등 영향감쇠장치
KR20040062634A (ko) 빛 눈부심 방지 장치
JPH11222073A (ja) 車両用灯具
JPS5815128A (ja) 薄明視および眩光感度の検査装置
US3233089A (en) Anti-dazzling headlights for automobiles
WO1989002638A1 (en) Improved traffic control head
KR940005098Y1 (ko) 자동차용 차광판
ES2020693A6 (es) Perfeccionamientos en un faro de senalizacion para vehiculos.
RU2032196C1 (ru) Противоослепля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2004087428A (ja) 車両暗視装置用赤外照明光源及び車両暗視装置の電源回路
JPH07365Y2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
JPS61291215A (ja) 眩惑防止装置
JP2024057984A (ja) 車載照明装置
RU20454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 ослепления водителя механическ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0150399B1 (ko) 자동차의 가시거리 확장용 전조등장치
JP2517602Y2 (ja) 車両用灯具
KR0118619Y1 (ko) 자동차용 리어콤비네이션램프의 구조
RU2044212C1 (ru) Светомаскир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ветосигнальных фонарей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890007632Y1 (ko) 편광판(polaroid)이 부설된 자동차용 전조등
JPS63279999A (ja) 夜視用ゴーグルと太陽光線の両方で読み取り可能な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7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