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89B1 - 주택정보 송신장치 - Google Patents

주택정보 송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89B1
KR900007589B1 KR1019870008128A KR870008128A KR900007589B1 KR 900007589 B1 KR900007589 B1 KR 900007589B1 KR 1019870008128 A KR1019870008128 A KR 1019870008128A KR 870008128 A KR870008128 A KR 870008128A KR 900007589 B1 KR900007589 B1 KR 900007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information
gas
transmiss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6878A (ko
Inventor
유우지 곤도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6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6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주택정보 송신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의 송신 유니트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전원회로 및 전원제어회로의 전기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CPU의 가스 자동검침, 가스봄베의 교환시기의 검출, 가스누출등의 송신블럭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의 송신제어의 작동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택정보 송신장치 2 : 단말장치
3 : 송신유니트 5 : 마이크로프로세서(CPU)
6 : 회로망제어장치(NCU) 8 : 전원회로
21 : 가스검침미터 22 : 가스누출센서
23 : 리세트스위치 61 : 회선사용검출회로
62 : 호출움검출회로 63 : 센터신호검출회로
64 : 다이알신호발생회로 65 : 회로절환릴레이
66 : 직류회로 67 : 전원제어회로
68 : 패트절환회로 C : 관리센터
L : 전화회선망 T1,T2,T3: 일반가입전화기
본 발명은 주택내의 가스, 수도, 전기등의 검침정보나 방재, 방범, 구급등의 안전정보등의 각종 정보를 관리센터에 송신로를 통하여 주파수방식에 의하여 송신하는 주택 정보 송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택에 방제, 방범, 구급등의 각종 안전장치, 가스, 수도, 전기등의 자동검침기를 설치하고, 안전장치 및 자동검침기에 의하여 검지한 안전정보, 검침정보등의 여러가지의 정보를 관리센터에 전화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전기제어회로를 가지는 주택정보 송신장치가 실용화 되고 있다. 이 전기제어회로는 관리센터의 전화번호(푸시버튼 부호 다주파부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주택내의 각종정보의 정보 송신부호(PB부호)를 발생하는 발생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화회선의 정보 송신조건으로서 전화회선을 사용하여 여러가지의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전화회선의 어느점에 있어서의 신호전력을 특정의 기준전력[lmW]과의 비교로 나타낸 값 : 통상[dB]로 나타낸다.)를 전화번호인 선택부호의 레벨보다 저하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종래보다 상기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부호발생회로는 하나의 회로로 관리센터의 선택부호와 주택내의 각종정보의 정보 송신부호를 발생하고 있으므로 선택부호와 정보 송신부호가 동일한 레벨의 부호를 발생하게 되어 정보 송신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을 선택부호의 레벨보다 저하시켜 정보 송신 조건을 만족시키는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제공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는 주택내는 각종 정보를 송신로를 통하여 관리센터에 송신하는 전기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주택정보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어회로는 상기 관리센터의 선택부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 주택내의 각종 정보의 정보 송신부호를 발생하는 발생회로와 상기 정보 송신부호의 레벨을 상기 선택부호의 레벨보다 저하시키는 회로를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하였다.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는 다음의 작용 및 효과를 가진다. 발생회로로 부터 주택내의 각종정보의 정보 송신부호를 입력했을때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예를들면 8dB)를 관리센터의 선택부호의 레벨(예를들면 4dB)보다 저하시키고 있으므로 송신로를 이용한 송신정보의 송신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주택정보 송신장치의 일실시예에 적용된 전기제어회로를 나타낸다. 1은 주파수 방식의 주택정보 송신장치를 나타낸다. 2은 제2도에 나탄낸 바와 같이 복수의 가입자주택(I, II, III…)중 하나의 가입자주택(이하 주택이라 칭함)(I)에 설치된 단말장치를 나타낸다. T1, T2, T3…은 일반가입전화기(이하 전화기라함)를 나타낸다. L은 교환계(전화국, 교환기)를 포함한 전화회선망을 나타낸다. C는 관리센터를 나타낸다. 관리센터(C)는 단말장치(2)로 부터 전화회선망(L)을 통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송신되어오는 주택(I)내의 가스, 수도, 전기등의 검침정보 또는 방재, 방범, 구급등의 안전정보등의 각종정보를 송신받고 그 정보에 따라 경찰서, 소방서, 병원, 가스회사 또는 인근의 가입자주택등의 소정의 기관에의 통보를 행하거나 인원의 파견을 행하거나 한다. 단말장치(2)는 가스의 자동검침기인 가스검침미터(21)와 가스누출센서(22)와 리세트스위치(23)와, 전기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송신유니트(3)로 이루어진다. 가스검침미터(21)는 공급가스의 가스기기의 사용량을 검출하는 자동검침기이고 가스의 사용량에 비례회전하는 회전체에 설치한 자석의 회전을 자기센서 소자에 의하여 검출하고 가스의 사용량에 비례하는 펄스신호를 송출한다. 가스의 자동검침외에 수도, 전기등의 자동검침을 행해도 좋다.
가스누출센서(22)는 가스기기의 안전장치이고, 작동불능시에는 0V, 정상시에는 6V, 가스누출시에는 12V의 출력을 발생한다. 가스 누출센서(22)는 주택(I)내의 가스누출이 소정치 이상일때 주택(I)내의 가스누출을 검지한다. 그밖의 센서로써 방범센서, 화제센서, 구급시에 가입자가 ON하는 구급버튼등을 설치해도 좋고, 또 방범, 방제, 구급등의 각종 안전정보의 관리센터(C)에의 송신시 그 안전정보를 가스회사, 소방서, 경찰서, 인근의 가입자 등 소정의 직접 송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리세트스위치(23)는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버튼 스위치이고 가스봄베의 교환시에 가스회사의 인원에 의하여 조작된다. 송신유니트(3)는 가스검침미터(21), 가스누출센서(22), 리세트스위치(23)의 입력부와 마이크로프로세서(CPU)(5)와 회로망제어장치(NCU)(6)와 전화기(T1) 및 전화회선망(L)을 통하여 관리센터(C)를 접속하는 단자를 연결하는 통신코넥터(7)와 이들의 전원회로(8)로 이루어진다.
CPU(5)가 가스누출유량의 설정치, 가스단절 유량의 설정치(예를들면 가스의 사용량이 가스봄베의 70%에 상당하는 적산치 및 가스의 사용량이 가스봄베의 85%에 상당하는 적산치), 가스검침정보의 관리센터(C)에의 자동검침타이머시각, 전원회로(8)의 설정전압치 사용자의 전화번호, 관리센터(C)의 전화번호등의 초기정보등의 기억과 시스템 전체의 제어수순의 기억과 가스의 자동검침을 행한다.
NCU(6)는 전화회선망(L)의 사용상태의 검출, 즉 전화기(T1)의 통화상태(통화모드)를 검출하는 회선사용검출회로(61), 전화기(T1)의 착신호출상태를 검출하는 호출음검출회로(62), 관리센터(C)로 부터의 수신부호를 검출하는 센터 신호검출회로(63), 다이얼신호의 발생을 행하는 다이얼 신호발생회로(64), 전화기(T1)와 단말장치(2)와의 전화회로망(L)의 절환을 행하는 회로절환릴레이(65), 그 회로절환릴레이(65)에 의하여 개폐되는 직류회로(66)의 개폐기(66a), 전화기접속용개폐기(66b), 전원제어회로(67), 전화회선을 사용할때의 송신조건을 만족하도록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예를들면-8dB)을 관리센터(C)의 선택부호의 레벨(예를들면-4dB)로 저하시키는 패드절환회로(68)를 구비한다. 센터신호검출회로(63), 다이알신호 발생회로(64), 회로절환릴레이(65) 및 패드절환회로(68)로 송신제어회로(60)를 구성한다.
센터신호검출회로(63)는 수신하는 수신부호의 입력을 일정치가 되도록 보정하는 자동레벨제어 수신부호의 검지 입력전압을 수신부호의 검지에 필요한 본 실시예에서는 6V로 승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다이알 신호발생회로(64)는 피호출자(관리센터(C))의 선택부호인 전화번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정보 송신부호를 발생하는 장치이고 음성대역내의 고주파수군 및 저주파수군의 2개의 주파수군으로 부터 각각 1주파수씩 조합한 다주파 부호인 푸시버튼(PB)부호를 발생한다.
개폐기(66a)는 NCU(6)가 주택(I)내의 각종 정보를 관리센터(C)에 송신할때에 회로절환릴레이(65)에 의하여 ON되고 전화기 접속용 개폐기(66b)는 NCU(6)가 주택(I)내의 각종 정보를 관리센터(C)에 송신할때에 회로절환릴레이(65)에 의하여 OFF된다.
전원제어회로(67)는 송신제어회로(60)와 개폐기(66a)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개폐기(66a)가 ON 되어 있을때, 전원회로(8)의 전력을 공급한다.
패드절환회로(68)는 CPU(5)로 부터 정보 송신신호가 입력(통전)되면 부(비통전)의 출력을 발생함과 동시에, CPU(5)로 부터 정보 송신신호 이외의 신호가 입력(비통전)되면 정(통전)의 출력을 발생하는 인버터(NOT 회로)(68a)와 그 인버터(68a)에 저항(R)을 거쳐 접속되는 콘덴서(68b)와 그 콘덴서(68b) 및 다이얼신호발생회로(64)와 인피이던스 변압기(66d)의 2차측 코일(68c)과의 사이에 접속되는 저역통과 필터(LPF)(69)로 이루어진다.
LPF(69)는 본 실시예에서는 LC 회로로 구성되고 인덕터(69a), 콘덴서(69b,69c)로 이루어지고 저역의 주파수대의 전류를 쉽게 통과 시키고 고성의 주파수대의 전류를 감쇠시키는 것이다.
이 패드절환회로(68)는 인버터(68a)에 CPU(5)로 부터 정보 송신신호가 입력(통전)되면 다이얼 신호 발생회로(64)로 부터 출력된 정보 송신부호(PB 부호)를 콘덴서(68b)가 흡인하여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예를들면-8dB)를 관리센터(C)의 전화번호의 레벨(예를들면-4dB)로 저하시키는 것이다. 또한 66c는 다이오드 브리지회로, 66e는 전계효과명 트랜지스터, 66f, 66g는 다이오드는 나타낸다. 이 때문에 전원회로(8)는 저항체(8a)를 거쳐 전화회선망(L)과 항상 접속되는 주전지(8b)를 구비하고 전화회선망(L)에 의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하여 주전지(8b)를 항상 충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4도는 CPU(5)에 의한 가스의 자동검침, 가스봄베의 교환시기의 검출, 가스누출의 송신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가스의 자동검침은 가스검침미터(21)가 출력하는 펄스수를 카운트하여 가스봄베내의 가스의 사용량의 산출을 행하는 가스 사용량 산출처리부(51a)와 그 가스 사용량 산출처리부(51a)가 산출한 가스의 사용량의 적산치를 기억하는 적산기억처리부(51b)와 자동검침타이머 시각기억부(51c)에 기억시킨 일시와 타이머(51d)가 카운트하는 일시의 비교하는 검침 일시 비교처리부(51e)와, 타이머(51c)가 카운트하는 일시가 자동검침 타이머 시각 기억부(51c)에 기억시킨 일시에 달했을때 적산기억처리부(51b)의 적산치를 송신부호로 부호화하는 가스 사용량 부호화처리부(51f)로 이루어지고 송신처리부(50)에 의하여 관리센터(C)에 송신한다.
가스봄베의 교환시기의 검출은 리세트스위치(23)가 OFF 할때의 상승트리거에 의하여 초기치에 리세트함과 동시에 리세트후의 가스사용량의 적산치의 기억을 행하는 트립 적산기억처리부(52a)와 그 트립 적산기억처리부(52a)에서 기억된 적산치와 제1가스단절 사용량설정부(52b)에 기억된 가스봄베의 가스의 70%의 사용량에 상당하는 적산치를 비교하여 트립 적산기억처리부(52a)에서 기억된 적산치가 제1가스단절 사용량설정부(52b)에 기억된 적산치보다 클때에 제1가스 단절신호를 출력하는 제1의 비교처리부(52c)와 트립적산기억처리부(52a)에서 기억된 적산치와 제2가스단절 사용량설정부(52d)에 기억된 가스봄베의 가스의 85%의 사용량에 상당하는 적산치를 비교하고 트립 적산기억처리부(52a)에서 기억된 적산치가 제2가스단절 사용량설정부(52d)에 기억된 적산치보다 클때에 제2가스 단절신호를 출력하는 제2의 비교처리부(52e)와, 제1가스 절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1가스 단절신호를 송신부호로 부호화하는 제1가스단절 부호화처리부(52f)와, 제2가스 단절신호를 입력함과 동시에 제2가스 단절신호를 송신부호로 부호화하는 가스사용량 부호화처리부(52g)로 이루어지고 송신처리부(50)에 의하여 관리센터(C)에 송신한다.
가스누출의 송신은 가스누출센서(22)가 가스누출을 검출했을때에 발신하는 가스누출신호를 입력하는 가스누출부호와 처리부(53a)에서 가스누출신호를 송신부호로 부호화하고 송신처리부(50)에 의하여 관리센터(C)에 송신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동을 제5도의 가스 자동검침, 가스 봄베의 교환시기의 검출, 가스누출의 송신제어의 플로우챠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가스누출센서(22)로 부터 가스누출신호(12V)를 입력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
가스누출신호(12V)를 입력하고 있지 않을(NO)때, 제1가스 단절신호 또는 제2가스 단절신호를 입력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2).
가스누출신호(12V), 제1가스 단절신호 또는 제2가스 단절신호를 입력하고 있지 않을(NO)때 각 주택(I, II, III, …)마다에 설정된 관리센터(C)에의 자동다이얼에 있어서의 가스검침 정보 송신정시 타이머시각(즉 타이머(51d)가 카운트하는 일시가 자동검침타이머 시각기억부(51c)에 기억된 일시에 달하고 있다)인가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3). 송신정시 타이머시각의 아닐때(NO), 스탭 S1 이하를 반복한다.
송신정시 타이머 시각일(Yes)때, 또는 가스 누출신호(12V), 제1가스 단절신호 또는 제2가스 단절신호를 입력하고 있을(Yes)때는 관리센터(C)의 전화번호(예를들면 *60)를 독립한다(스탭 S4).
다음에 전화기(T1)가 사용중 인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회선사용검출회로(61)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5) 회선사용검출회로(61)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스탭 S5를 반복한다.
회선사용검출회로(61)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주택(I)밖의 전화기로 부터 착신호출중인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호출음검출희로(62)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6). 호출음검출회로(62)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을(Yes)때 스탭 S5를 반복한다. 호출음검출회로(62)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회로절환릴레이(65)에 출력하여 개폐기(66a)를 ON하고 개폐기(66b)를 OFF하여 전화회선망(L)과 다이얼신호발생회로(64)를 접속하여 직류회로(66)를 연결한다(스탭 S7).
미리 CPU(5)내에 기억되어 있던 관리센터(C)의 전화번호를 다이얼신호 발생회로(64)로 부터 발신시켜 자동다이얼을 개시한다(스탭 S8). 이때 다이얼신호 발생회로(64)로 부터 발신한 PB 부호일때는 CPU(5)로부터 인버터(68a)에 선택신호가 입력(비통전)되어 있으므로 인버터(68a)로 부터 정(통전)의 출력이 발생되어 있어 콘덴서(68b)에 흡입되는 일이 없이 -4dB의 레벨의 PB 부호를 패드절환회로(68)로 부터 관리센터(C)에 향하여 발신할 수 있다. 관리센터(C)가 단말장치(2)의 자동다이얼에 의한 착신호출중인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9). 착신호출중일(Yes)때, 관리센터(C)로 부터 정보요구부호인 0 부호를 센터신호 검출회로(63)가 검출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0).
센터신호 검출회로(63)가 0부호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다이얼신호 발생회로(64)로 부터 후기하는 송신형식에 의거한 정보 송신부호를 발생시켜 가스정기검침정보, 제1가스단절정보, 제2가스단절정보 또는가스누출정보등의 송신정보를 관리센터(C)에 송신한다(스탭 S11).
이때 다이얼신호 발생회로(64)로 부터 발생한 PB 부호는 CPU(5)로 부터 인버터(68a)에 정보 송신신호가 입력(통전)되어 있으므로 인버터(68a)로 부터 부(비통전)의 출력이 발생하고 콘덴서(68b)에 흡인되고 선택부호의 1/2의 레벨의 -8dB의 레벨의 PB 부호가 되고 패드절환회로(68)에 의하여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을 관리센터(C)의 전화번호(예를들면 06)의 레벨보다 저하시켜 관리센터(C)에 향하여 송신할 수 있다. 이때문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화회선망(L)을 사용하여 송신정보의 정보 송신조건을 만족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송신부호에 의한 송신정보를 관리센터(C)에 3회 송신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2). 이에 의하여 송신정보에 착오가 있을 경우에도 재송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송신정보를 3회 송신하고 있지 않을(NO)때, 관리센터(C)에 송신부에 의한 송신정보를 송신한 다음, 관리센터(C)로 부터 정보재송 요구 부호인 0부호를 센터신호검출회로(63)가 검출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3). 센터신호 검출회로(63)가 0부호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스탭 S11 이하를 반복한다.
송신정보를 3회 송신하고 있을(Yes)때 또는 센터 신호검출회로(63)가 0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않을(NO)때, 회로절환릴레이(65)에 출력하여 개폐기(66a)를 OFF하고 개폐기(66b)을 ON하여 전화회선망(L)과 전화기(T1)를 접속하고 직류회로 66을 개방한다(스탭 S14). 그다음 작동을 종료한다.
스탭 S9에 있어서, 센터신호 검출회로(63)가 0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않을(NO)때, 자동다이얼을 행하고나서 25초 경과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5). 25초 경과하고 있지않을(NO)때, 스탭 S15를 반복한다. 2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회로절환릴레이(65)에 출력하여 개폐기(66a)를 OFF하고 개폐기(66b)를 ON하여 전화회선망(L)과 전화기(T1)를 접속하고 직류회로(66)를 개방한다(스탭 S16). 그다음, 5초 경과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7). 5초 경과하고 있지않을(NO)때 스탭 S17를 반복한다. 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자동다이얼한후, 발신회수가 3회가 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8). 발신회수가 3회가 되어있지 않을(NO)때, 스탭 S5 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그다음 5분 경과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19). 5본 경과하고 있지않을(NO)때, 스탭 S19를 반복한다. 5분 경과하고 있을(Yes)때, 자동다이얼한후, 발신회수가 9회가 되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20). 발신회수가 9회가 되어 있지않을(NO)때, 스탭 S5 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발신회수가 9회가 되고 있을(Yes)때, 작동을 종료한다.
스탭 S10에 있어서 센터신호 검출회로(63)가 0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자동 다이얼을 행하고나서 25초 경과하고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21). 2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탭 21을 반복한다. 2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회로전환릴레이(65)에 출력하여 개폐기(66a)를 OFF하고 개폐기(66b)를 ON하여 전화회로망(L)과 전화기(T1)를 접속하고, 직류회로(66)를 개방한다(스탭 S22). 그다음 5초 경과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탭 S23). 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탭 S23을 반복한다. 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자동다이얼을 2회 행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스탠 S24). 자동 다이얼을 2회 행하고 있지 않을(NO)때, 스탭 S5 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자동다이얼을 2회 행하고 있을(Yes)때 그다음 작동을 종료한다.
표 1
Figure kpo00002
표 1은 송신제어에 있어서 사용되는 송신형식이고,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형식에 의하여 가스의 적산치, 가스단절(1),(2)가스누출 및 예비 정보를 단말장치(2)로 부터 관리센터(C)에 송신된다.
표 1에 있어서 송신형식에 사용되는 정보 송신부호는 모두 MF 부호(Multi frequency code:다주파부호)는 예를들면 0∼9까지의 숫자와 *,#,A,B,C,D 부호의 어느하나를 선택하여 사용된다.
표 1의 좌단의 MF 부호 "B"는 개시덱스트(start of text)이고, 통상의 전파기에는 없는 "B"부호를 사용하므로서 잘못된 전화나 장난전화를 방지할 수 있다.
표 1의 ID는 6행의 숫자(0∼9)의 사용자코오드 번호가 들어간다. 이것에 의하여 관리센터(C)에서는 최초에 어느 주택으로 부터의 송신형식인가를 신속하게 판단할 수 있다.
표 1의 구획 부호 "B"는 앞에 송신한 사용자코오드 번호에 계속되는 정보의 구분을 한다.
표 1의 03은 정보 종류별과 코오드번호와의 관계를 나타낸 표 2로 부터 코오드 번호를 추출하고 2행의 숫자가 들어간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누출이 주택에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또 동시에 가스의 적산치도 송신하는 송신형식으로 되어 있다.
표 1의 가스의 적산치는 상기한 가스의 자동겸침 시스템에 따라 검출된 적산치이고,6행의 숫자(0∼9)의 어느하나가 들어간다.
가스의 적산치의 정보 송신부호는 적산치의 1행째의 3의 입력회수가 1회, 적산치의 2행째의 6의 입력회수가 2회, 적산치의 3행째의 7의 입력회수가 3회가 되도록 작성되고 적산치의 3행째 부터 행수가 감소하는 순으로,송신되도록 작성된다. 예를들면, 적산치가 763.45m3일때, 적산치의 정보 송신부호는 777663이다. 가스의 적산치의 정보 송신부호의 패턴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가스의 적산치의 정보 송신 부호는 가스의 적산치의 착오를 단말장치(2) 또는 관리센터(C)에서 검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송신형식을 복수회 관리센터(C)에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표 1의 CK(Character Check Code)는 상기의 정보 송신부호중의 숫자부호를 모두 계수하여 얻어진 수의 1행의 숫자(0∼9의 어느하나)가 들어간다.
이 CK는 송신형식의 착오를 관리센터(C)에 있어서 검출하는 것이다. CK의 숫자부호가 틀려있을때에는 관리센터(C)로 부터 정보 재송요구(0)부호가 단말장치(2)에 송신된다. 이것에 의하여 관리센터(C)에 있어서 정확한 송신형식을 수신할 수가 있다.
표 1의 우단의 "##"부호는 종료 텍스트부호(end of Text)이고, 송신형식의 종료를 나타낸다. 여기서, 관리센터(C)측에 송신형식을 송신한후(개시 텍스트 부호수신후)에 MF 부호, 적산치, 송신형식에 착오가 있었을 경우에 단말장치(2)에 대하여 정보 재송요구(0)부호를 송신한다.
구획(B)부호 수신후, 착오가 있으면 2초 이내에 정보 재송요구(0)부호를 송신한다. 구획(B)부호를 송지하지 않았을 경우는 2.5초 이내에 정보 재송요구(0)부호를 송신한다. 정보개시(B)부호를 수신하지 않고 다른 부호를 수신했을 경우에는 무효 정보를 판단하고 직류회로를 개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택내의 각종정보의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을 -8dB로 하고, 관리센터의 선택부호의 레벨을 -4dB로 했으나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레벨이 선택부호의 레벨보다 낮으면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택내의 각종정보의 정보 송신부호 및 관리센터의 선택부호를 푸시버튼 부호인 다주파부호를 사용했으나 회전다이얼식 전화기의 다이얼 임펄스부호라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에 전화회선망을 사용했으나 전용회선등의 통신회선 또는 통신위성 등을 이용한 무선등을 송신로로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예의 입력부(4)에 병상자용의 구급버튼을 접속했을 경우에는 병상자가 구급버튼을 ON하면 소정의 병원에 통보할 수 있다. 또 입력부(4)에 비상버튼을 접속했을 경우에는 수상한자의 침입 또는 화재, 가스누출등의 발견시에 경찰서, 소방서, 가스회사에 통보할 수 있다. 또한, 송신유니트에 일반가입 전화기를사용하고 있을때, 센서가 출력했을때등 그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버저등의 표시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또 송신유니트의 가스누출시에 가스차단 밸브를 안전측으로 작동시키는 가스차단밸브의 구동수단을 설치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에 전화회선망을 전기에 의하여 충전되는 주전지를 적용했으나 1차 전지라도 좋고, 일반의 상용교류 전원을 사용해도 좋다.

Claims (4)

  1. 주택내의 각종정보신호를 전화회선등의 송신로를 통하여 관리센터에 송신하는 전기제어회로를 구비하는 주택정보 송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어회로가 관리센터(C)의 선택부호를 발생함과 동시에, 상기주택내의 각종정보신호의 정보 송신부호를 발생하는 다이얼신호 발생회로(64)와, 상기 정보 송신부호의 평균 레벨을 상기 선택부호의 레벨보다 저하시키는 패드절환회로(6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정보송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로가 교환계를 포함하고 전화회선망(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정보송신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호가 상기 관리센터(C)의 선택부호인 전화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정보 송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송신부호가 고주파수군과 저주파수군을 조합한 다주파 부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정보 송신장치.
KR1019870008128A 1986-11-14 1987-07-25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75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272132 1986-11-14
JP61272132A JPS63125089A (ja) 1986-11-14 1986-11-14 住宅情報送信装置
JP61-272132 1986-11-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6878A KR880006878A (ko) 1988-07-25
KR900007589B1 true KR900007589B1 (ko) 1990-10-15

Family

ID=17509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128A KR900007589B1 (ko) 1986-11-14 1987-07-25 주택정보 송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25089A (ko)
KR (1) KR90000758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2070A (en) * 1979-02-22 1980-08-29 Hiroto Matsuo Remote measuring device via telephone facilities
JPS5923655A (ja) * 1982-07-29 1984-02-07 Fujitsu Ltd デ−タ通信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25089A (ja) 1988-05-28
KR880006878A (ko) 198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12947A2 (en) Automatic personnel monitoring system
JP3005931B2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900007589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7596B1 (ko) 주택정보 통보장치
KR900007591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10000822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7588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10000824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7593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10000825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900007592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JP2501437B2 (ja) 住宅情報送信装置
KR900007590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10000823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7586B1 (ko) 정보교신장치
KR900007595B1 (ko) 정보 교신 장치
KR950004414B1 (ko) 정보통신장치
KR900007594B1 (ko)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장치
JPS61239398A (ja) 住宅情報交信装置
JPS62298899A (ja) 情報送信装置
KR900007709B1 (ko) 정보송·수신장치
KR950004415B1 (ko) 주택내 정보통신 장치
JPH0198365A (ja) 受信装置
JPS62299161A (ja) 住宅用情報送信装置
JPS62299118A (ja) 情報交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