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595B1 - 정보 교신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교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595B1
KR900007595B1 KR1019870005727A KR870005727A KR900007595B1 KR 900007595 B1 KR900007595 B1 KR 900007595B1 KR 1019870005727 A KR1019870005727 A KR 1019870005727A KR 870005727 A KR870005727 A KR 870005727A KR 900007595 B1 KR900007595 B1 KR 900007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gas leakage
signal
safety valve
management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1128A (ko
Inventor
유우지 곤도
Original Assignee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1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 교신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의 일실시예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검침 유니트의 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의 일실시예에 관한 가스 누설검출의 작동 플로우챠트.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의 일실시예의 자동다이얼의 교신제어 서브루우틴을 나타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교신장치 2 : 단말장치
3 : 관리센터 22 : CPU
23 : 회로망제어장치(NCU) B1, B2: 가스차단밸브
GM : 가스검침미터 L : 공중회선
S1: 가스누설센서 T : 일반가입전화기
U : 검침유니트
본 발명은 관리센터에 의하여 가입자 주택에 설치된 가스 안전밸브를 구동하는 정보교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입자 주택에서 발생하는 가스누출, 화제, 지진등의 방제 정보를 관리센터에 전화의 공중회선, 전용회선등의 통신회선 또는 위성을 사용한 무선등의 송신로를 거쳐 통보함과 동시에 관리센터가 수신한 방재정보를 가스회사 소방서 등 소정의 기관에 연락하는 정보교신 장치가 실용화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정보 통보 장치에서는 예를들면 가입자 주택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고 있을 때에 관리센터가 가입자 주택의 가스누설을 확인해도 관리센터의 인원 또는 가스회사 등의 소정 기관의 인원등이 가입자 주택의 가스 안전밸브를 안전 쪽으로 조작할때 까지는 아무런 대처를 할 수가 없기 때문에 가스폭발, 화제등의 대사고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가입자 주택의 가스누설을 관리센터에서 확인했을 때에 즉시 가입자 주택의 안전밸브를 안전쪽으로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는 정보교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는 가입자 주택에 설치되고, 상기 가입자 주택내의 가스누설내의 검출하는 가스누설 센서와 상기 가입자 주택내의 가스공급 유량을 제어하는 가스안전밸브와, 상기 가스누설센서로 부터 가스누설 신호를 입력하는 전자제어회로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와, 그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로를 거쳐 상기 가스누설 신호를 수신하는 관리센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 센터는 가스누설 신호를 수신했을 때 상기 전자 제어회로에 가스 안전밸브를 안전측으로 구동시키는 안전밸브 구동신호를 송신하게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는 관리센터가 가입자 주택의 가스 누설을 확인했을 때 가입자 주택의 전자제어회로에 관리센터로 부터 가스안전 밸브를 안전측으로 구동시키는 안전밸브 구동 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으므로 즉시 가입자 주택의 가스 안전 밸브를 안전측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되어 가스폭발, 화재등의 대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보교신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다. 1은 본 발명에 의한 정보교신 장치를 나타낸다.
2는 가입자 주택(이하 주택이라함)에 설치된 단말장치를 나타낸다. T는 전화기(도시생략), 0∼9까지의 숫자 부호, *, #, A, B, C, D등의 부호로 이루어진 푸시버튼(도시생략)을 가지는 일반 가입전화기(이하 본전화기 라함)을 나타낸다. L은 교환계(전화국, 교환기)를 포함하는 전화의 공중회선을 나타낸다.
3은 관리센터를 나타낸다. 관리센터(3)는 단말장치(2)로 부터 공중회선(L)을 거쳐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송신되어 오는 주택의 여러가지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정보에 따라 가스회사등 소정의 기관에 통보하거나, 인원을 파견하거나 또는 주택내의 가스누출 정보를 수신했을 때 후술하는 가스안전 밸브를 구동하는 안전밸브구동(본 실시예에서는 PB신호인 #부호를 사용한다)신호를 단말장치(2)에 송신한다. 단말장치(2)는 가스의 자동검침기인 가스검침미터(이하 가스미터라함)(GM)와, 가스누설센서(S1)와 전자제어회로를 포함하는 검침유니트(U)와, 가스 안전밸브인 가스차단밸브(Bl, B2)로 이루어진다.
가스미터(GM)는 공급 가스의 가스 기기로의 유량을 검출하는 자동 검침기이고, 가스 유량에 비례 회전하는 회전체에 설치한 자석의 회전을 자기센서 소자로 검출하여 유량에 비례하는 펄스신호를 송출한다. 가스의 자동검침외에 수도, 전기 등의 자동 검침을 행해도 좋다.
가스누설센서(S1)는 가스기기의 안전장치이고, 작동불능시에는 0V, 정상시에는 6V, 가스누설시에는 12V의 출력을 낸다.
가스누설센서(S1)는 주택내의 가스누설이 소정치 이상일때 주택내의 가스누설을 검지한다. 가스 차단밸브(Bl, B2)는 주택내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에 직렬로 설치되어 있다. 가스차단밸브(B1)는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 가스누설 신호가 단말장치(2)에 입력되었을때 안전측으로 구동(밸브폐쇄)되고, 또 관리센터(3)로 부터 안전밸브 구동신호인 가스차단밸브 구동신호가 단말장치(2)에 입력되었을 때에도 또한 안전측으로 구동(밸브폐쇄)된다. 가스차단밸브(B2)는 관리센터(3)로 부터 가스차단밸브 구동신호가 단말장치(2)에 입력되었을 때 안전측으로 구동(밸브폐쇄)된다.
검침유니트(U)는 가스검침미터(GM) 및 가스누설센서(S1)의 입력 인터페이스(21)와, 중앙처리장치(CPU)(22)와, 회로망 제어장치(NCU)(23)와, 본진화기(T) 및 공중회선(L)을 거쳐 관리센터(3)와 접속하는 단자를 연결하는 통신 코넥더(24)와 출력인터페이스(25)와, 닉캘카드늄 건전지(3.6V)를 사용하는 전원(26)으로 이루어진다. 전원(26)은 전화국으로부터 공급을 받아 충전되고 있다. 입력인터페이스(21)는 가스미터(GM)의 입력포오트인 펄스입력포오트(21a), 가스누설센서(Sl)의 입력포오트인 무전압 입력포오트(21b), 예비포오트(P)인 입력포오트(21c)로 이루어 진다.
CPU(22)는 가스누설 유량의 설정치, 가스 검침정보의 관리센터(3)에의 자동검침 타이머 시각, 전원의 설정 전압치, 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코우드번호 등의 초기 데이터의 기억회로(4)와, 시스템 전체의 제어수순의 기억제어회로(5)와, 가스의 자동검침회로(6)와, 가스차단 밸브구동회로(7)와, 가스누설검출회로(8)와, 리늄전지(3V)인 백업전원(9)을 구비한다.
NCU(23)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통화모드를 검출하는 회선 사용검출회로(23a), 착신호출중임을 검출하는 호출음 검출회로(23b), 수신부호를 식별하는 토온 검출회로(23c), 주택외의 일반가입 본전화기의 발신신호를 입력하고, CPU(22)에서 처리된 신호를 네개의 인버터를 통해 입력하여 푸시버튼 신호로 변환하는 PB신호 발생회로(23d), CPU(22)에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치 트랜지스터(TRl)의 ON/OFF동작에 의하여 전화 회선망(L)을 변환하는 회선변환 릴레이(23e)와, 회선변환 릴레이(23e)의 변환 신호에 의해 개폐되는 직류회로(23f)의 접점(23g), 및 본 전화기 접속용 접점(23h)구비하고 있다.
토온 검출회로(23c)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회로인 자동레벨 제어회로(ALC)(23i)와 송신된 푸시버튼 신호를 검출하여 스위치 트랜지스터(TR2)를 통해 상기 신호를 CPU(22)에 출력하는 PB신호 검출회로(23j)와 승압회로(23K)를 구비하고 있다.
ALC(23i)는 PB신호 검출회로(23j)가 수신하는 수신주파수 또는 전압치를 기준치가 되도록 보정하여 단말장치(2)와, 관리센터(3)와의 교신을 확실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회로이다.
승압회로(23k)는 PB신호 검출회로(23j)가 8V 이상의 전압을 공급하지 않으면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PB신호 검출회로(23j)의 전압을 8V로 승압하는 회로이다. 또한 23
Figure kpo00002
은 다이오드 브리지회로, 23m은 다이오드, 23n은 저항, 23p은 임피이던스 변압기,23g는 전압강하형 트랜지스터를 나타낸다. 출력 인터페이스(25)는 가스차단밸브(B1,B2)에 사용되는 외부단자(25a, 25b)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작동을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3도는 본 실시예의 가스누설검출의 작동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 가스누설신호를 입력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1). 가스누설신호를 입력하고 있지 않을(NO)때, (101)을 반복하고, 다시 주택내의 가스누설을 가스누설센서(S1)에 의하여 감시한다.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을때(Yes), 가스누설센서(S1)의 설정된 지연시간(3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설정된 지연 시간(30초)이 경과하지 않았을때(NO), (102)를 반복한다. 설정된 지연시간(30)이 경과하고 있을(Yes)때, 다시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가스누설센서(S1)가 오동작 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03).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을(NO)때, 가스누설센서(S1)의 오동작이라고 판만하여(101)이하를 반복하고, 다시 주택내의 가스누설을 가스누설센서(S1)에 의하여 감시한다.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을(Yes)때, 가스누설 신호를 송신 부호로 변환하는 부호화처리를 행하고(104), 이어서 가스의 자동검침장치(6)로부터의 송신부호와 데이터의 송신순위를 결정하는 데이터 처리를 행하고(105), 그리고 가스누설 가스의 검침값등의 송신 데이터를 NCU(23)에 의하여 본전화기(T)의 공중회선(L)을 거쳐 관리센터(3)에 송신하는 송신제어[교신제어 서브루우틴(4도)]를 행한다(106).
그리고 관리센터(3)로부터 본전화기(T)의 공중회선(L)을 거쳐 NCU에 의하여 가스차단밸브구동(본실시예에서는 PB신호인 #부호를 사용한다)부호를 수신하는 수신제어[교신제어 서브루우틴(제4도)]을 행한다(106).
다음에 #부호를 가스차단밸브(Bl)의 구동신호로 변환하는 부호와 처리를 행하고(l08), 그리고 가스차단밸브 구동회로(7)로부터 가스차단밸브(Bl, B2)를 폐쇄하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같이 관리센터(3)가 주택의 가스누설을 수신했을 때 주택의 검침유니트(U)의 가스차단밸브 구동회로(7)에 관리센터(3)로부터 가스차단밸브(B1, B2)를 폐쇄시키는 가스차단 밸브구동(#)부호를 송신할 수가 있기 때문에 즉시 주택의 가스 차만밸브(B1, B2)를 폐쇄할 수가 있게 된다.
이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주택에서 가스누설이 발생하고 있을때 관리센터가 주택의 가스누설을 수신해도 관러센터의 인원 또는 가스회사등의 소정의 기관의 인원등이 주택의 가스차단밸브를 주택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쪽으로 조작할때 까지의 사이에 주민이 가스누설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가스 기기등에 점화하므로서 발생하는 가스, 폭발, 화재등의 대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103)에 있어서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을(Yes)때, 가스누설센서(Sl)의 지연시간(10초)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0). 지연시간(10초)이 경과하지 않했을(NO)때 (110)을 반복한다.
지연시간(10초)이 경과하고 있을(Yes)때, 다시 가스누설 센서(S1)로부터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가스누설센서(S1)의 오동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111).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을(NO)때, 가스누설센서(S1)의 오동작이라고 판단하여(101) 이하를 반복하고, 다시 주택내의 가스누설을 가스누설센서(S1)로 감시한다. 가스누설신호가 입력되고 있을(Yes)때, 가스차단밸브 구동회로(7)로부터 가스차단밸브(Bl)를 폐쇄하는 출력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 (104)로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누설이 주택내에서 발생하고 있을때에 관리센터(3)에 가스누설을 통보하기 전에 단말장치(2)에 의하여 가스차단밸브(B1)를 폐쇄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센터(3)로부터의 가스차단밸브 구동신호는 가스차단밸브(B1)가 페쇄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확인하는 폐쇄확인 신호가 된다.
즉, 본 실시에는 단말장치(2)와, 관리센터(3)와의 양쪽으로 부터의 신호로 가스 차단밸브(B1)를 구동하는 것이므로 2중의 안전장치가 된다.
가스차단밸브(B1)와 함께 가스차단밸브(B2)도 단말장치(2)와 관리센터(3)의 양쪽으로부터의 신호로 구동해도 좋다.
또, 가스차단밸브(B1)가 관리센터(3)에 가스누설을 통보한 후에 단말장치(2)측에서 폐쇄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4도는 본 실시예의 자동다이얼의 교신제어 서브루우틴을 나다낸다.
본전화기(T)가 사용중인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회선사용 검출회로(23a)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1). 회선사용 검출회로(23a)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201)을 반복한다. 회선사용 검출회로(23a)가 통화모드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주택외의 전화기로부터 작신호출중인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호출음 검출회로(23b)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2). 호출음 검출회로(23b)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을(Yes)때 (201)을 반복한다.
호출음 검출회로(23b)가 착신호출을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회선변환 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ON(폐쇄)하고, 접점(23h)을 개방하여 전화의 공중회선(L)과 PB신호발생회로(23d)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을 연결한다(203).
직류회로(23f)를 연결한 후 3초 경과 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4). 직류회로(23f)를 연결한 후 3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204)를 반복한다. 직류회로(23f)를 연결한 후 3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관리센터(3)를 호출하여 자동다이얼을 개시한다(205). 관리센터(3)로부터 데이터 송출지시 부호를 수신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데이터 송출지시 부호를 검출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6).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데이터 송출지시 부호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관리센터(3)에 송신부호에 의한 가스누설, 가스의 검침값 등의 송신 데이터를 송신한다(207). (206)에 있어서,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데이터 송출지시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 않을(NO)때 자동다이얼한후, 발신회수가 3회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08).
발신회수가 3회가 되어있지 않을(NO)때, 회선변환 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개방하고, 접점(23h)을 폐쇄하여 전화의 공중회선(L)과 본전화기(T)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를 개방한다(209).
그 다음 5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0). 5초 경과하지 않았을(NO)때, (2l0)을 반복한다. 5초경과하고 있을(Yes)때 (210)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발신회수가 3회가 되었을(Yes)때 그후 15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1). 15초 경과하지 않았을(NO)때 (209)에 진행한다. 1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회선변환 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개방하고 접점(23h)을 폐쇄하여 전화의 공중회선(L)과 본전화기(T)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를 개방한다(212).
여기서 두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3). 두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지않을(NO)때, 5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4).
5분 경과하고 있지않을(NO)때, (214)를 반복한다. 5분 경과하고 있을(Yes)때, 3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5).
3번째의 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지않을(NO)때, 5분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6). 5분 경과하고 있지않을(NO)때, (216)을 반복한다. 5분 경과하고 있을 (Yes)때, (210)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3번째의 자동 다이얼을 행하고 있는(Yes)때 작동을 종료한다.
(207)에 있어서, 관리센터(3)에 가스누설, 가스의 검침치등의 송신데이터를 송신한 후, 관리센터(3)로부터 가스차단밸브구동(#)부호를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7).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고 있지않을(NO)때 15초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218). 15초 경과하고 있지 않을(NO)때 (217)을 반복한다. 15초 경과하고 있을(Yes)때, (208)에 진행한다.
PB신호 검출회로(23j)가 #부호를 검출하고 있을(Yes)때 가스차단밸브(B1, B2)를 구동하는 출력을 발생하고(219), 그후 회선변환 릴레이(23e)에 출력하여 접점(23g)을 개방하고, 접점(23)을 폐쇄하여 전화의 공중회선(L)과 본전화기(T)를 접속하여 직류회로(23f)를 개방 한다(220).
그후 작동을 종료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안전밸브로 복수개의 가스차단밸브(B1, B2)를 사용했으나, 가스차단밸브(B1) 또는 가스차단밸브(B2)중 어느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스차단밸브 구동부호 #부호를 사용했으나 0∼9까지의 숫자부호, *, A, B, C, D등의 PB부호를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송신로에 전화의 공중회선을 사용했으나, 전용회선등의 통신회선 또는 통신위성 등을 사용한 무선등의 송신로를 사용해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을 전화국에 의하여 충전되는 닉캘 카드늄 건전지를 사용했으나 가정용 교류전원(100V 50/60Hz)을 사용해도 좋고, 또 기타의 전원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검침유니트에 일반 가입전화기를 사용하고 있을때, 샌서가 출력했을 때 등 그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 버저등의 표시장치를 설치해도 좋다.

Claims (3)

  1. 가입자 주택내의 가스누설을 검출하는 가스누설 센서(S1)와, 가스의 자동검침기인 가스검침미터(GM)와, 상기 가입자 주택내의 가스의 공급유량을 제어하는 가스안전 밸브와, 상기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 가스누설신호를 입력하는 전자 제어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단말장치(2)와, 상기 단말장치(2)로부터 송신로를 거쳐 상기 가스누설신호를 송신받는 관리센터(3)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센터(3)가 가스누설신호를수신했을 때 상기 전자제어회로에 가스안전밸브를 안전측으로 자동으로 구동시키는 안전밸브구동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안전밸브는 가스누설센서(S1)로부터 가스누설신호가 상기 단말장치(2)에 입력했을 때 안전측으로 구동되고, 또한 상기 관리센터(3)로 부터 안전밸브 구동신호가 상기 단말장치(2)에 입력되었을 때에도 다시 안전측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신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밸브는 상기 가입자 주택의 가스의 공급을 차단하는 가스차단밸브(B1, B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교신 장치.
KR1019870005727A 1986-06-18 1987-06-05 정보 교신 장치 KR900007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3508 1986-06-18
JP86-143508 1986-06-18
JP61143508A JPH0762880B2 (ja) 1986-06-18 1986-06-18 情報交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1128A KR880001128A (ko) 1988-03-31
KR900007595B1 true KR900007595B1 (ko) 1990-10-15

Family

ID=1534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727A KR900007595B1 (ko) 1986-06-18 1987-06-05 정보 교신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62880B2 (ko)
KR (1) KR9000075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5584A (zh) * 2015-01-21 2015-06-17 安徽师范大学 气体报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9781B2 (ja) * 1992-03-09 1998-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集中検針盤
JP4143581B2 (ja) * 2004-08-24 2008-09-03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災害対処システム、災害対処方法、災害対処装置、及び災害対処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2419A (ja) * 1983-07-19 1985-02-04 ニツタン株式会社 家庭用集中監視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5584A (zh) * 2015-01-21 2015-06-17 安徽师范大学 气体报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298897A (ja) 1987-12-25
JPH0762880B2 (ja) 1995-07-05
KR880001128A (ko) 1988-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72195A (en) Remote control unit for radio/television transmitter station
US5729197A (en) Automatic, self-triggering alarm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JP3005931B2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900007595B1 (ko) 정보 교신 장치
KR900007591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JPS62298898A (ja) 住宅情報通報装置
KR890004323B1 (ko) 원거리 감시장치
KR900007594B1 (ko) 정보교신장치의 초기데이터 설정장치
KR910000822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8633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900002377B1 (ko) 안전장치
KR900007586B1 (ko) 정보교신장치
JPS61239762A (ja) 遠距離監視装置
KR900007587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00007590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910000824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KR890002754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890004325B1 (ko) 원거리 조작장치
KR910000825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200429295Y1 (ko) 계통전원 복구시 자동통보장치
JPS61239398A (ja) 住宅情報交信装置
JPS62299118A (ja) 情報交信装置
JPS62299161A (ja) 住宅用情報送信装置
KR890002753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900007592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