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377B1 -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377B1
KR900002377B1 KR1019860000263A KR860000263A KR900002377B1 KR 900002377 B1 KR900002377 B1 KR 900002377B1 KR 1019860000263 A KR1019860000263 A KR 1019860000263A KR 860000263 A KR860000263 A KR 860000263A KR 900002377 B1 KR900002377 B1 KR 900002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alarm
sensor
flow rate
hou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0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747A (ko
Inventor
도시나리 모리다
Original Assignee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끼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강성모, 린나이 가부시끼가이샤, 나이또오 스스무 filed Critical 린나이 코리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60006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안전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블록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블록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5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6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7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범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11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비상구급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12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개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13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방개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
제 14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송신제어기능 작동 플로우차아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보검출센서군 2 : 주택정보반
3 : 가스차단밸브 4 : 경보표시등
5 : 외부부저 6 : 전원
7 : 백업전원 100 : 주택측정치
T : 전화기 L : 공중회선
C : 관리센터
본 발명은 주택내의 가스, 수도, 전기의 소비 유량을 체크하는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택에 설치된 가스, 수도, 전기등의 안전장치는 오전 0시부터 24시까지의 사이(1일)를 사전에 하루를 하나의 단위로 설정하여 허용 유량을 초과하였을 때 주의 경보를 경보장치에 의해 알리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구성의 종래의 안전장치는 허용 유량을 각 주택의 부하용량에 따라 설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가스의 안전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부주의나 고의 또는 가스기기의 고장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가스기기 보유수에 따른 가스 사용량인 부하용량이 다르고, 또한 허용유량이 하루를 하나의 단위로 하는 관계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가 이른 아침이었을 경우, 하루의 허용유량을 초과할 때까지는 경보 장치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가스누설을 알지 못하여 큰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허용치를 가스, 수도 전기등의 부하용량을 각 주택마다 설정할 수 있고, 유량의 증대가 설정증대시간을 넘어서 연속 사용되었을 때 경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하루 중 언제든지 사용자에게 유량이 증대되었다는 것을 알릴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가스, 수도, 전기 등의 검지장치로부터의 검침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인터페이스(200)와 중앙처리장치(300)와 출력인터페이스(400)와 각각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과 시스템 제어수단을 기억하는 ROM의 기억장치를 가지는 주택정보반(2)에 주택의 전화기를 접속하여 통신회로를 통해서 관리센터(C)에 의해 각종 주택기능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주택정보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택정보반(2)이 설치되는 주택측장치(100)가 가스차단밸브(3), 경보표시등(4) 부저와 같은 경보 발생장치, 전원(6), 백업전원(7), 환기팬(9)등을 포함하며, 상기 주택정보반(2)은 적어도 단위시간의 가스유량에 비례하는 회전체를 부착한 자석센서 소자에 의하여 펄스신호를 송출하는 자동검침장치를 가짐으로써 상기 기억장치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당의 허용치를 초과하여 증대하였을 경우에 증대한 시간이 설정증대시간을 초과하여 연속 사용되고 있을 때 환기에 대해 주의를 알리는 경보를 출력함과 동시에 환기팬을 자동 운전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다음의 작용 및 효과를 나타낸다.
허용치를 가스, 수도, 전기의 부하유량에 따라서 각 주택별로 설정할 수 있고, 유량의 증대가 설정증대시간을 초과하여 연속 사용되었을 때 경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1일중 언제라도 사용자에게 유량이 증대한 것을 알릴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내지 제 2 도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의 블럭도이다. 100은 주택에 설치된 주택측정장치. T는 주택에 설치된 전화기, L은 교환계(전화국)를 포함하는 전화의 공중회선, C는 상기 주택측장치(100)로부터 공중회선(L)을 통하여 정기적 또는 부정기적으로 송신되어 오는 정보를 받고 그 정보에 따른 처리 또는 대응을 행하는 관리센터를 나타낸다.
주택측장치(100)는 정보검출센서군(이하 센서군이라함)(1), 전자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주택정보반(2), 가스차단밸브(3), 경보표시등(4), 주의경보음, 경계경보음, 이상경보음을 전기신호에 따라 인식시키는 오부부저(5), 전원(6), 백업전원(7), 실내용부저(8) 및 환기팬(9)으로 이루어진다.
센서군(1)은 단위 시간의 가스유량에 비례하는 속도로 회전하는 회전체에 설치된 자석의 회전속도를 자기센서 소자에 의해 검출하여 유량에 비례하는 펄스수를 갖는 펄스신호를 송출하는 가스메터신호와 외박모우드스위치, 외출모우드스위치. 재택(在宅)모우드스위치, 야간모우드스위치, 방범경계 모우드스위치 등의 각 방범모우드스위치를 ON함으로써 외박모우드, 외출모우드, 재택(在宅)모우드, 야간모우드, 방범경계모우드를 검출하는 창문, 도오등에 장착된 상폐(常閉)의 무전압 접점이고 동시에 작동시 방범램프(도시생략)를 점등하는 방범센서(S1) 및 방범센서(S2), 범죄예견시 수동 조작과 동시에 작동(ON)될 때 비상램프(도시생략)를 작동시키는 비상버튼(B1) 및 비상버튼(B2), 부상구급시에 조작과 동시에 작동될 때 구급램프(도시생략)를 점등하는 구급버튼(B3), 화재의 검지와 동시에 작동될 때 화재램프(도시생략)을 점등시키는 화재센서(S3) 및 화재센서(S3)와 같은 기능의 예비포오트(P1), 작동될때의 지진램프(도시생략)의 점등과 동시에 지진을 검지하는 감지기(S4), 가스누설 발견시에 수동조작과 동시에 수동램프(도시생략)를 점등하는 수동버튼(B4), 작동불능시에는 0볼트, 정상시에는 6볼트, 가스누설시에는 12볼트의 출력을 발생하고, 가스누설램프(도시생략)를 점등시키는 가스누설센서(S5) 및 가스누설센서(S5)와 동일 기능인 예비포오트(P2), 욕조수위센서(S6)를 갖는다.
주택정보반(盤)(2)은 입력인터페이스(200), 중앙처리장치(300), 출력인터페이스(400), 가스 기기보유수에 대응한 가스사용량(부하용량)에 따라 설정된 가스메터(GM)로부터의 펄스수(유량)의 허용치 및 변화유량의 허용치의 기억장치의 랜덤 억세스 메모리(RAM) 및 시스템 전체의 제어수순의 기억제어장치인 리이드온리 메모리(ROM)를 갖는다.
입력인터페이스(200)에는 펄스 입력포오트(201), 무전압 입력포오트(203), 유전압입력포오트(205), 및 편리기능포오트(207)가 설치된다. 중앙처리장치(CPU)(300) 가스검침기능, 방범기능, 비상구급기능, 방재기능 및 편리기능을 가지고 시계기구(210), 조작표시(250) 및 가스차단논리회로(260)가 설치된다.
출력인터페이스(400)는 송신기능을 가지며, 가스차단용 단자(301), 경계표시등용단자(303), 외부부저단자(307) 및 환기팬(309)을 구비한다.
백업전원(7)은 2차 전지가 사용되고 정전시 전원(6)으로부터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었을 때 전체 시스템을 3시간 작동 가능하게 하고, 가스메터(GM)에 의한 가스의 검침은 3일간 검침을 지속할 수 있고, ROM 및 RAM내의 데이터는 1개월간 보존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펄스입력포오트(201)에는 가스메터(GM)의 펄스가 입력된다. 무전압 입력포오트(203)에는 방범센서(S1), (S2), 비상버튼(B1),(B2) 구급버튼(B3), 화재센서(S3), 감진기(S4)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예비포오트(P1)가 설치되어 있다.
유전압 입력포오트(205)에는 가스누설센서(S5)의 출력이 입력되고 예비포오트(P2)가 설치되어 있다. 편리기능 포오트(207)에는 상기 욕조 수위센서(S6)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고 예비 포오트(P3)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도는 가스의 자동검침 기능의 블럭도를 나타낸다. 가스차단 밸브(3)와 각 가스기기와의 사이에 설치된 펄스수를 갖는 유량신호(펄스신호)를 계수기(카운터)(31)로 보내는 가스메터(GM)와, 가스메터(GM)의 펄스신호를 펄스입력포오트(201)를 거쳐서 입력과 동시에 펄스수를 계수하여 가스유량의 적산치를 나타내고 병렬펄스의 적산신호를 적산기억기(32)에 보내는 계수기(31)와, 적산신호를 입력하여 기억하는 적산기억기(32)와, 사전에 부하용량에 따라 설정한 단위시간당의 유량의 허용치를 설정하고 상기 허용치를 초과하여 증대된 설정 증대시간과 송신기(38)에 보내는 다이얼번호 및 사용자 코우드 등을 기억하는 설정기(33)와, 적산기억기(32)로부터의 계수와 허용치를 비교하는 비교기(34)와, 비교결과가 계수가 허용치보다 큰 경우(허용치를 초과하여 유량이 증대하였을 때), 가스 차단밸브(3)를 구동하도록 출력하고 또한 이 비교기(34)에서 증대된 시간과 설정증대 시간을 비교하여 증대된 시간이 설정증대 시간보다 클 때, 환기등에 대한 주의를 환기시키고 경보표시등(4)을 점등하도록 출력함과 동시에 환기팬(9)을 자동 운전하게 하는 계〈허용치 및 증대한 시간〉설정증대시간의 계수를 송신코우드로 변환하는 부호화 처리기(35)와, 주택측장치(100)로부터의 부호화처리기(36)와 부호화 처리기(35)의 데이터 합성처리를 행하는 데이터 합성 처리기(37)로 이루어지며, 이 데이터를 출력 인터페이스(400)의 송신기능부(38)에 의해 전화(T)의 전화회로를 거쳐서 관리센터(C)에 송신한다.
본 실시예의 작동을 제 4 도 내지 제 14 도에 나타낸 플로우차아트에 의해 설명한다.
제 4 도 내지 제 10 도는 방범기능의 작동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제 4 도는 외박/외출시의 작동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재택(在宅)모우드의 상태로부터 외박/외출모우드로 변환함으로써 외박/외출신호를 입력하고(501), 시계기구(210)내의 방범제어 타이머의 카운터를 리세트하여 0으로부터 스타아트하고(502)외박, 외출모우드로 변환한 후 외출할때까지의 여유시간(3분)이내에 외박/외출 하도록 부저(8)가 외박/외출 모우드로 변경시 출력하는 주의 경보음에 의해 주의를 주고(503), 타이머가 카운트한 후 3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504) 3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텝(504)을 반복한다. 3분의 경과하였을 때 부저(8)가 외박/외출 모우드에서의 방범제어타이머 시간내에 출력하는 경계 경보음을 해제하고(505), 센서군(1)에 의한 감시를 시작한다(506)
제 5 도는 방범정시 통보(외박 모우드만)의 작동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먼저 센서군(1)의 출력신호를 감시하고(스텝 511), 센서군(1)로 부터의 출력신호로부터 이상이 없음을 검출하고(스템 512), 전화관리센터(C) 통보 종료후로부터 4시간이 경과하였는지(방범정시 타이머시각)의 야부를 판단하고(스텝 513), 4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는 스텝(511) 이하를 반복하고 4시간이 경과하였을때는 관리센터(C)에 정시통보를 송신한다(스텝 514). 그런다음 스텝(511) 이하를 다시 반복한다.
제 6 도는 외박/외출에서 돌아왔을 때와 이상을 검출하였을 때의 작동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먼저 센서군(1)이 감시하고(스텝 501), 다음에 이상 발생신호가 센서군(1)으로부터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22), 이상이 없을 때 스텝(521) 이하를 반복한다. 이상이 있을 때 그 이상을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검출하고(스텝 523) 주택정보반(2)이 수신하고(스텝 524) 방범램프를 점등시켜서 부저(8)에 출력시킨 경계경보음을 발생하고(스텝 525), 방범제어 타이머를 리세트시켜 0으로부터 카운트를 스타아트 시킨다(스텝 526).
방범제어 타이머를 리세트하고 난후의 카운트가 3분을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27), 3분 경과하였을 때 방범이상 발생신호를 출력하고(스텝 528), 부저(8)의 경계경보음을 이상 경보음으로 변환하는 출력을 발생하고(스텝 529), 송신제어 플로우차아트(제 4 도)에 나타낸 작동을 행한다(스텝 530). 3분이 경과하지 않았을 때는 외박/외출 모우드 스위치가 재택 모우드 스위치로 변환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31), 재택 모우드가 아닐때는 스텝(527) 이하를 반복한다. 재택 모우드인때는 방범 이상없음 신호의 출력을 발생하고(스텝 532), 부저(8)의 경계경보음을 해제 및 방범램프를 소등(OFF)하고 (스텝 533), 재택 모우드의 플로우차아트에 나타낸 작동을 행한다(스텝 534).
제 7 도는 다른 모우드로 부터의 외박모우드로 바뀌었을 때의 작동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모우드 스위치가 외박 모우드 스위치 ON으로 바뀌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41), 외박 모우드 스위치가 ON이 아닐때는 스텝(541)을 반복하고 외박 모우드 스위치 ON인때는 관리센터(C)에 통보하기 위해 공중회선(L)을 통하여 송신한다(스텝 542).
제 8 도는 외박 모우드로부터 다른 모우드로 바뀌었을때의 작동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모우드 스위치가 외박 모우드 스위치를 OFF하고 다른 모우드 스위치를 ON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11), 다른 모우드 스위치가 ON이 아닐 때 스텝(511)을 반복하고, 다른 모우드 스위치가 ON인때는 관련센터(C)에 통보하기 위해 공중회선(L)을 거쳐 송신한다(스텝 522).
제 9 도는 재택모우드의 작동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센서군(1)이 감시하고(스텝 561), 다음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이상신호를 검지하고(스텝 562), 그 센서로부터의 이상신호를 주택정보반(2)이 수신하고(스텝 563), 방범램프를 표시한다(스텝 564).
제 10 도는 야간 모우드의 작동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센서군(1)이 감시하고(스텝 571), 다음에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이상신호를 검지하고(스텝 572), 그 센서로부터의 이상신호를 주택정보반(2)이 수신하고(스텝 573), 부저(8)가 이상 경보음을 출력하고 방범램프를 표시한다(스텝 574). 경계 타이머를 리세트하여 카운트를 0으로부터 스타아트하고(스텝 575), 경계 타이머의 카운트가 1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76), 1분이 경과하였을 때 방범이상 발생신호를 출력하고(스텝 577), 다음에 송신제어 플로우차아트(제 14 도)에 표시된 작동을 행한다(스텝 578). 1분 경과하지 않았을 때 해제버튼을 눌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579) 해제버튼을 누르지 않았을 때 스텝(576)으로 진행하고, 해제버튼을 눌렀을 때 부저(8)의 이상경보음의 해제, 방범램프를 소등(OFF)하고 스텝(580), 방범경계 이상 발생신호를 출력하고(스텝 581), 경계를 통보하기 위해 송신제어 플로우차트(제 14 도)에 나타낸 작동을 행하고(스텝 582), 다시 센서군(1)에 의해 감시를 행한다(스텝 583).
제 11 도는 비상구급기능 작동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비상버튼(B1)을 누른다(스텝 601). 주택정보반(2)이 비상버튼(B1)의 ON신호를 수신하고(스텝 602), 다음에 비상램프를 표시하고(스텝 603), 송신제어플로우차트(제14도)에 나타낸 작동을 행한다(스텝 604).
비상버튼(B2)을 누른다(스텝 605). 주택정보반(2)이 비상버튼(B2)의 ON신호를 수신하고(스텝 606), 비상램프를 표시하고(스텝 607), 부저(8)에 이상 경보음을 출력시키고(스텝 608), 그런 다음 스텝(604)로 진행된다.
구급버튼(B3)을 누른다(스텝 609). 주택정보반(2)이 구급버튼(B3)의 ON신호를 수신하고(스텝 610), 구급램프를 표시하고(스텝 611), 부저(8)에 경계경보음의 출력을 발생시키고(스텝 612), 그 다음 스텝(604)을 행하고, 그 다음 구급버튼(B3)의 입력을 유지하고(스텝 613), 다음에 해제버튼을 눌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614), 구급램프를 소등하고, 부저(8)의 이상 경계음을 해제한다(스텝 615) 제 12 도는 화재센서과 가스 누설센서의 방재 기능의 작동을 플로우차아트를 나타낸다.
가스 누설센서(S5)가 감시하고(스텝 621), 가스 누설센서(S5)가 가스의 부하유량에 따라 사전에 각 주택마다 설정된 단위 시간당의 허용 유량을 초과하여 유량이 증대하였을 때 입력하는 이상신호를 검지하고(스텝 622), 주택정보반(2)이 가스 누설센서(S5)로부터의 이상신호를 수신하고(스텝 623), 다음에 허용유량을 넘는 설정증대 시간(30초)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624), 30초를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텝(624)를 반복하고, 30초 경과하고 있을 때 가스누설센서(S5)가 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625), 센서가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 오동작이라고 판단하고(스텝 626), 그 다음 다시 스텝(621)이하를 반복한다. 센서가 검지하고 있을 때 경보램프의 표시 및 부저(8)에 환기등의 주위를 주도록 이상 경보음의 출력을 발생시키고, 여기서 가스누설센서(S5)가 작동하고 있는 경우 환기팬(9)의 구동출력을 발생시키고(스텝 627), 송신제어 플로우차아트(제 14 도)에 나타낸 작동을 행한다(스텝 628). 화재센서(S3)를 감시하고(스텝 633), 화재센서(S3)가 이상신호를 검지하고(스텝634), 주택정보반(2)이 화재센서(S3)로부터의 이상신호를 수신하고(스텝 635), 다음에 스텝(627)이하를 실행한다.
화재센서(S3) 및 가스누설센서(S5)의 표준지연시간인 10초를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629), 10초를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텝(629)을 반복하고 10초를 경과하였을 때 화재센서(S3) 또는 가스누설센서(S5)가 검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630), 화재센서(S3) 또는 가스누설센서(S5)가 검지하고 있을 때, 가스차단밸브(3)가 가스를 차단하도록 출력하고(스텝 631), 화제센서(S3) 또는 가스누설센서(S5)가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 가스차단밸브(3)로의 출력은 발생되지 않고 가스는 차단되지 않는다(스텝 632). 여기서 스텝(622)에 있어서 이상신호가 입력되었을 때에 경보 램프의 표시 및 부저(8)에 출력을 발생시켜도 된다.
제 13 도는 감진기(感震器)(S4)와, 수동버튼(B4)의 방재기능의 작동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감진기(S4)가 감시하고(스텝 641), 감진기(S4)가 이상신호를 입력하고 경보램프를 표시하고(스텝 642), 부저(8)에 경계경보음의 출력을 발생시키고(스텝 643), 가스차단밸브(3)에 차단하도록 출력한다(스텝 644).
제 14 도는 송진제어의 작동 플로우차트를 나타낸다. 전화기(T)를 사용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01), 사용중인 경우는 스텝(701)을 반복한다. 사용중이 아닌때 착신호출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02), 호출중인 때는 스텝(701)으로부터 재차 반복한다. 호출중이 아닌 때 국선을 변환하고(스텝 703), 내선이 선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04), 선택되어 있을때는 0신호를 발신하고, (스텝 705), 선택되어 있지 않을 때는 국루우프를 형성하고(스텝 706), 동시에 통보램프를 점등시키고(스텝 707), 통보설정스위치(도시생략)에서 설정된 통보선(先)에 자동다이얼하고(스텝 708), 관리센터(C)가 우리 응답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09), 수신하고 있을때 전송제어장치의 각 규정에 의한 전송규약 플로우차트를 행하고(스텝 710), 통보램프를 소등시키고(스텝 711), 송신기능제어를 종료한다(스텝 712).
수신하고 있지 않을 때 40초를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13), 40초를 경과하지 않을 때 국루우프를 해방하고(스텝 714), 그 다음 스텝(701)이하를 반복한다. 40초를 경과하였을 때 자동 다이얼의 발신회수가 3회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15), 3회가 되지 않았을 때 스텝(714)에 진행되고, 3회가 되었을 때 국루우프를 개방한다(스텝 716). 재자동다이얼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17), 재자동다이얼을 행할 때 5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18),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텝(718)을 반복한다. 경과하였을 때, 스텝(701) 이하를 반복한다.
재자동다이얼을 행하고 있지 않을 때 3차 자동다이얼을 행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19), 3차 자동다이얼을 행하지 않을 때 이상이 없다고 제어를 종료한다(스텝 720).
3차 자동다이얼을 행할 때 5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721), 경과하지 않았을 때 스텝(721)을 반복하고, 경과하였을 때 스텝(701) 이하를 반복한다.

Claims (1)

  1. 가스, 수도, 전기의 검침장치로부터의 검침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인터페이스(200)와 중앙처리장치(300)와 출력인터페이스(400)와 각각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와 시스템 제어수단을 기억하는 ROM의 기억장치를 가지는 주택정보반(2)에 주택의 전화기를 접속하여 통신회선을 통해서 관리센터(C)에 의해 각종 주택기능을 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주택정보의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택정보반(2)이 설치되는 주택측정장치(100)가 가스차단밸브(3), 정보표시등(4) 부저와 같은 경보발생장치, 전원(6), 백업전원(7) 및 환기팬(9)을 포함하며, 상기 주택정보반(2)은 단위시간의 가스유량에 비례하는 회전체를 부착한 자석센서자에 의하여 펄스신호를 송출하는 자동검침장치를 가짐으로써, 상기 기억장치에 의항 설정된 시간당의 허용치를 초과하여 자동검침 유량이 증대되고, 설정 시간을 넘어 연속초과 사용될 경우 경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장치.
KR1019860000263A 1985-02-08 1986-01-17 안전장치 KR9000023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044 1985-02-08
JP60024044A JPH0664676B2 (ja) 1985-02-08 1985-02-08 安全装置
JP?85-24044 198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747A KR860006747A (ko) 1986-09-15
KR900002377B1 true KR900002377B1 (ko) 1990-04-13

Family

ID=1212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0263A KR900002377B1 (ko) 1985-02-08 1986-01-17 안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64676B2 (ko)
KR (1) KR9000023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9995B2 (ja) * 1989-11-08 1995-07-31 愛知時計電機株式会社 水の使用状況から居住者の生活異変を判断するシステム
JPH0833969B2 (ja) * 1990-02-08 1996-03-29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供給量計量器及び集中監視供給制御装置
WO2000038127A1 (en) * 1998-12-18 2000-06-29 Omni System Co., Ltd. Remote controllable metering device (tele-meter for multi-residences)
JP2006195518A (ja) * 2005-01-11 2006-07-27 Toyo Keiki Co Ltd ガス使用施設の集中監視システム
JP2009192161A (ja) * 2008-02-15 2009-08-27 Panasonic Corp 器具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3954A (ko) * 1974-05-31 1975-12-11
JPS51129255A (en) * 1975-05-02 1976-11-10 Tokyo Keiso Kk Liquid surface watching device of a few number of tanks
JPS5433751A (en) * 1977-08-19 1979-03-12 Tsuboi Kougiyou Kk Abnormal environment monito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64676B2 (ja) 1994-08-22
KR860006747A (ko) 1986-09-15
JPS61183798A (ja) 1986-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05931B2 (ja) 緊急通報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900002377B1 (ko) 안전장치
US20040211462A1 (en) Microprocessor-based gas meter
KR900008633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900002378B1 (ko) 안전장치
CN207182599U (zh) 一种燃气泄漏远程监测及着火报警装置
KR890002753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890004323B1 (ko) 원거리 감시장치
KR890002754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KR890002465B1 (ko) 주택정보 교신장치
JPH0438038B2 (ko)
JPH0438040B2 (ko)
JPS61190652A (ja) 住宅情報交信装置
JPS62140197A (ja) 安全装置
JPS61239762A (ja) 遠距離監視装置
JPH0438039B2 (ko)
RU211410U1 (ru) Аппаратно-программный комплекс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течек воды, утечек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и превышения норм продуктов его сгорания в помещениях
KR900007591B1 (ko) 주택정보 송신장치
RU2785365C1 (ru) Антиаварий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газифицированных помещений и оконная фрамуга, используемая в антиаварийной системе
JP3380666B2 (ja) 火災受信機
JPS61239374A (ja) 住宅情報交信装置
JPH0644476A (ja) ガス漏れ警報装置
JPH1164427A (ja) 断線報知方法および装置
JP2522195Y2 (ja) ガスメータ装置
KR970000460B1 (ko) 무인 감지 자동 통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