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397B1 -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397B1
KR900007397B1 KR1019870008318A KR870008318A KR900007397B1 KR 900007397 B1 KR900007397 B1 KR 900007397B1 KR 1019870008318 A KR1019870008318 A KR 1019870008318A KR 870008318 A KR870008318 A KR 870008318A KR 900007397 B1 KR900007397 B1 KR 900007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general formula
formula
represented
following ge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936A (ko
Inventor
김용주
김원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럭키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럭키,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럭키
Priority to KR1019870008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397B1/ko
Priority to US07/225,839 priority patent/US5189202A/en
Priority to JP63191991A priority patent/JPS6463542A/ja
Publication of KR890001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7/00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7/02Unsaturated 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only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unsatu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3, 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3, 3-디메틸-4-펜테노인산(3, 3-dimethyl-4-pentenoic acid)(이하 "DPA"라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일반식(I)로 표시되는 DPA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의 중간체인 퍼메트르산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로서, 이제까지 알려진 DPA의 제조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77-42853호, 제 77-2771l호, 제76-131819호, 제 77-05705호 및 제 76-65710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이들에 따르면 3-메틸-2-부텐-1-을(이하 "프레놀"이라함)과 트리에틸오르토아세테이트(TOA)를 산촉매하에서 전이 에테르화 반응 및 클라이센 전위반응(Claisen rearrangement)을 시켜 에틸-3, 3-디에틸-펜테노에이트(이하 "EDP"라함)를 제조한 후 이를 가수분해하여 DPA를 합성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프레놀은 복잡한 공정을 거쳐야만 제조될 수 있기때문에 제조공정상 바람직하지 못한 방법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지금까지 알려진 프레놀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번째 방법은, 이소부틸렌과 포름알데히드를 반응시켜서 얻은 혼합물을 탈수반응시켜 이소프렌을 제조하고, 여기에 HC1을 첨가하여 프레닐 클로라이드를 만든후 아세테이트로 치환한 후, 탈(脫)아세트화 반응에 의하여 프레놀을 제조하는 방법(참조 : 독일연방공화국 특허공개공보 제 3021414호, 일본 공개특허 제 77-10207호, 유럽 공개특허 제 30109호)으로서 이를 반응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두번째 방법은, 이소부틸렌과 포름알데히드를 고온
Figure kpo00003
고압하에서 반응시켜 이소프레놀 85%와 프래놀 5.9%의 혼합물을 생성시키고(참조 :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76-70708호)독일연방공화국 공개특허공보 제2751766호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즉 이소프레놀을 팔라듐촉매존재하에서 프레놀로 전환시켜서 이소프레놀과 프레놀의 조성비가 4 : 6인 혼합물을 얻고, 이를 분별증류하여 프레놀을 분리시키고 잔류된 이소프레놀은 다시 상기 공정을 반복실시하므로써 프레놀로 전환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반응과정을 일련의 반응식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그러나, 종래의 DPA 합성 출발물질인 프레놀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복잡한 다단계 공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공정상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런 관점에서 볼때 프레놀 제조시에 생성되는 이소프레놀을 다시 프레놀로 전환시키려고 노력할 것이 아니라, 이소프레놀을 이용하여 DPA를 직접적으로 합성시킬수 있다면 DPA 제조공정상에 많은 잇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소프레놀을 사용하여 고순도 및 고수율로서 DPA를 합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다음 일반식(II)로 표시되는 이소프레놀과 다음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트리에틸 오르토 아세테이트(TOA)를 산촉매하에서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IV)로 표시되는 에테르를 제조한 후, 이를 팔라듐 및 수소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V)로 표시되는 에테르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클라이센 전위반응을 통하여 다음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은 다음, 이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키므로써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3, 3-디메틸-4-펜테노인산(DPA)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Figure kpo00005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산촉매로는 인산, 메틸초산, p-톨루엔설폰산, 벤조산 또는 페놀 등이 있으며, 그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III)의 트리에틸 오르토아세테이트(TOA)에 대하여 0.1 내지 5몰%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산촉매를 5몰%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산물이 과량 생성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팔라듐은 팔라듐 온 챠콜(Palladium on Charcoa1, 이하 "Pd/C"라 함)의 형태로서 상기 일반식(III)의 트리에틸 오르토 아세테이트(TOA)에 대하여 0. l 내지 5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 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공정은 톨루엔, 크실랜, 사이멘(cymene)과 같은 유기용매의 존재하 또는 부재하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이때의 반응온도는 0℃ 이상, 바람직하게는 실온 또는 용매환류온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다음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바, 본 실시예에서 제조된 목적화합물의 순도는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것이다.
실시예1
퍼킨 트라이앵글(Perkin Triangle)를 장치한 플라스크에 이소프레놀 9.47g(0.
11몰), 트리에틸오르토 아세테이트 16.22g(0.1몰), 10%-Pd/C 0.047g 및 페놀 0 .047g(0.001몰)을 5g의 크실렌에 넣고 수소로 전체 반응기를 채운다.
그다음 그 반응기를 온도를 120℃로 올리고 생성되는 에탄올을 계속적으로 2시간동안 포집한다. 이어서 온도를 다시 145℃로 올려서 생성되는 에탄올을 10시간동안 계속적으로 포집하여 반응을 완결시킨 다음, 냉각시키고 여과한 여액에 NaOH 40% 용액을 첨가하여 2시간 동안 환류시킨다.
그 결과, 얻어진 맑은 여액을 에테르로 세척하고, 물층을 분리하여 4N-HC1 용액으로 산성화시킨후 에테르로 추출하고 감압 증류하여 목적화합물 10.38g을 얻었다.
수율 : 85.0%
순도 : 95.0%
실시예 2
퍼킨 트라이앵글을 장치한 플라스크에 이소프레놀 9.47g(0.11몰), 트리에틸 오르토 아세테이트 l6.22g(0.1몰), l0%-Pd/C 0.047g 및 인산 0.049g(0.0005몰)을 5g의 크실렌에 넣고 수소로 전체 반응기를 채운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화합물 l0.74g을 얻었다.
수율 : 83.9%
순도 : 95.0%
실시예 3
퍼킨 트라이앵글을 장치한 플라스크에 이소프레놀 9.47g(0.11몰), 트리에틸 오르토 아세테이트 16.22g(0.1몰) 10%-Pd/C 0.047g 및 메틸초산 0.074g(0.001몰)을 5g의 크실렌에 넣고 수소로 전체 반응기를 채운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화합물 10.77g을 얻었다.
수율 : 84.1%
순도 : 96.2%
실시예 4
퍼킨 트라이앵글을 장치한 플라스크에 이소프레놀 9.47g(0.11몰), 트리에틸 오르토 아세테이트 16.22g(0.1몰), l0%-Pd/C 0.047g 및 p-톨루엔 설폰산 0.086g(0 .0005몰)을 5g의 크실렌에 넣고 수소로 전체 반응기를 채운다.
이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화합물 10.54g을 얻었다.
수율 : 82.3%
순도 : 95.7%

Claims (4)

  1. 3, 3-디메틸-4-펜테노인산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다음일반식(II)로 표시되는 이소프레놀과 다음 일반식(III)으로 표시되는 트리에틸 오르토 아세테이트(TOA)를 산촉매하에서 반응시켜서 다음 일반식(Ⅳ)로 표시되는 에테르를 제조한 후, 이를 팔라듐(Pd/C) 및 수소 존재하에서 반응시켜 다음 일반식(V)로 표시되는 에테르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클라이센 전위반응을 통하여 다음 일반식(VI)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얻은다음, 이 화합물을 가수분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음 일반식(I)로 표시되는 3, 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06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는 페놀, 인산, p-톨루엔 설폰산, 메틸초산 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촉매의 사용량은 상기 일반식(III)의 화합물에 대하여 0.1 내지 5몰%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라듐은 그 사용량이 상기 일반식(III)의 화합물에 대하여 0.1 내지 5몰%임을 특징으로하는 방법.
KR1019870008318A 1987-07-30 1987-07-30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KR900007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318A KR900007397B1 (ko) 1987-07-30 1987-07-30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US07/225,839 US5189202A (en) 1987-07-30 1988-07-29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3-dimethyl-4-pentenoic acid
JP63191991A JPS6463542A (en) 1987-07-30 1988-07-29 Manufacture of 3,3-dimethyl-4-pentenoic ac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8318A KR900007397B1 (ko) 1987-07-30 1987-07-30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36A KR890001936A (ko) 1989-04-06
KR900007397B1 true KR900007397B1 (ko) 1990-10-08

Family

ID=19263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318A KR900007397B1 (ko) 1987-07-30 1987-07-30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3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936A (ko) 1989-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278978B6 (en) Diethers used in the preparation of ziegler-natt catalysts
Alexakis et al. The hydroalumination of ω-terbutoxy alkynes an easy access to ω-hydroxy alkenyl iodides application to the synthesis of dienic insect pheromones
US4107439A (en) Process for preparing arylalkanoic acid derivatives
JP2664393B2 (ja) コハク酸tert―アルキルエステルの製造方法
US4014940A (en) Process for preparing m-phenoxybenzylalcohol and side-chain halogenated m-phenoxytoluene
KR900007397B1 (ko)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US5189202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3,3-dimethyl-4-pentenoic acid
KR900007512B1 (ko) 3,3-디메틸-4-펜테노인산의 제조방법
Berens et al. The First Stereoselective Synthesis of Racemic. beta.-Multistriatin: A Pheromone Component of the European Elm Bark Beetle Scolytus multistriatus (Marsh.)
US4055601A (en) Process for the oxidation of primary allylic alcohols
US4048215A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trans-chrysanthemates
EP0101004B2 (en) Process for preparing 4-oxo-4, 5, 6, 7-tetrahydroindole derivative
US4181683A (en) 1,7-Octadien-3-one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CA2255147C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ethynylcyclopropane
KR950003328B1 (ko) 1, 1-(3-에틸페닐)페닐에틸렌 및 그 제법
US4249015A (en) Preparation of organic acids and/or esters
CA1059526A (en) Process for the oxidation of primary allylic alcohols
EP0194840B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aldehydelactone
KR880001842B1 (ko) 에틸-4,6,6,6,-테트라클로로-3,3-디메틸헥산노에이트의 제조방법
JP4304758B2 (ja) パラ−アセトキシスチレンの製造方法
JPS57165341A (en) Preparation of pivaloyl chloride and benzoyl chloride
KR800001045B1 (ko) 2-(4′-알킬페닐)프로피온 알데히드의 제조방법
JP2001335529A (ja) 2−(1−ヒドロキシアルキル)シクロアルカノンの製造方法
US403113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trans, trans-muconic acid
JPS61118348A (ja) ヒドロキシメチレンアルコキシ酢酸エステ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