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224B1 -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224B1
KR900007224B1 KR1019870012526A KR870012526A KR900007224B1 KR 900007224 B1 KR900007224 B1 KR 900007224B1 KR 1019870012526 A KR1019870012526 A KR 1019870012526A KR 870012526 A KR870012526 A KR 870012526A KR 900007224 B1 KR900007224 B1 KR 90000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ata storage
chord
sound
distrib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2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749A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700125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224B1/ko
Publication of KR890008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5/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means of electronic generato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8Chor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분산화음장치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음색 정형 필터의 상세한 회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음원발생기의 출력 파형에 대한 음색 정형 필터의 출력 파형도.
제 4 도 는 4박자 계열의 각 메이저(Major)와 마이너(Minor)코드의 분산화음 순서도.
제 5 도는 3박자 각 메이저(Major9와 마이너(Minor)코드의 분산화음 순서도.
제 6 도는 4박자계의 C메이저(Major)코드의 흐름도.
제 7 도는 3박자계의 C메이저(Major)코드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반 20 : 마이컴
30 : 데이터 저장부(ROM) 40 : 클럭 템포 조절기
50 : 클럭 발생기 60 : 음원발생기
70 : 음색 정형 필터 80 : 오디오 앰프
90 : 스피커
본 발명은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륵히 연주자가 선택한 건반 코드를 특정 코드(CHORD)가 지정된 데이터 저장부에서 어느 하나를 지정하여 순차적으로 음원발생기에 입력시켜 그 출력을 음성 정형하여 일단 현악기와 같은 음색 파형으로 만들어 각 코드의 분산화음을 얻을 수 있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악기인 전자 키보드의 자동 코드 회로에 있어서는 자동 반주가 순간적인 코드음(예:C코드, F코드)이 한번에 출력되므로 각 코드의 분산화음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결정을 해소하고 전자악기로 현악기와 같은 분산화음을 얻기 위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분산화음 장치도로써, 연주자가 선택하는 건반(10)의 데이터를 읽어 분산화음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0)에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특정 분산화음 데이터를 독출하는 마이컴(20)과, 상기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출력되는 분산화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동기시켜 출력하는 클럭발생기(50) 및 클럭램프 조절기(40)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출력되는 각 코드에 해당되는 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음원발생기(60)와, 각 분산음을 기타(Gitar)와 같은 현악기의 음색파형으로 만드는 음색정형 필터(70) 및 오디오 엠프(80) 스피커(90)등으로 구성이 된다.
제2도는 제1도의 음색 정형 필터(70)의 상세한 회로도로써, 저항(R3-R7), 콘덴서(C1-C5)으로 구성된 미분기와 적분기로 구성이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동 관계를 전체적으로 설명한다. 연주자가 건반(10)에서 특정 코드를 지정하연 마이콤(20)에서는 이 코드에 맞는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0)에 입력되어 있는 특정 데이터 맞는 코드를 찾아내고 이 코드에 맞는 분산화음 데이터를 클럭발생기(50)에서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동기를 맞추어 각 코드의 분산음을 순차적으로 출력시킨다.
상기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연주자가 건반(10)에서 C코드(CHORD)(제1도의 건반에서(ㄱ)의 위치)를 누르면 마이컴(20)에서는 건반(10)에서 선택되어진 C코드를 감지하여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저장되어있는 C코드의 영역에 해당하는 어드레스를 찾아내어 출력시킨다.
데이터 저장부(30)에서는 마이컴(20)에서 저장된 어드레스의 C코드를 출력시킨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30)에는 4박자계와 3박자계의 분산화음이 제4도 및 제5도와 같은 각 코드별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우선,4박자와 3박자의 코드 분산화음중에서 4박자의 C메이저(Major) 코드를 출력시키기 위해서는 제6도의 데이터 흐름도와 같이 순차적으로 C1→E1→G1→C2→E2→G2→C3→E3→G3→C4→G3→E3→C3→G2→E2→C2→G1의 16박자로 끝나는데 계속적인 반복을 하기 위해서 다시 처음의 C1으로 되돌아간다.
여기에서 제6도의 데이터 흐름도에서 계수기를 하나씩 증가하는 것은 분산화음을 만들기 위한 수단으로 클럭 펄스 발생기(50)에서 출력되는 클럭 펄스에 의해서 동기된다.
다음은 3박자의 C마이너(Major)코드를 출력시킬 경우에는 제5도의 3바자계의 분산화음의 각 코드별 데이터에서 알수 있듯이 C1→E1→G1→C2→E2→G2→C3→G2→E2→C2→G1→E1의 12박자로 끝나 다시 계속인 반복을 위해 제7도의 데이터 흐름도와 같이 처음 C1으로 되돌아간다.
다음은 4박자계의 C마이너 코드를 건반(10)에서 눌렀다면 데이터 저장부(30)에서는 C1→E1b→G1→C2→E2b→G2→C3→E3b→C4→G3→E3b→C3→G2→E2b→C2→G1의 순서로 되돌아 반복을 수행하여 분산화음을 출력하며, 그리고 3박자계의 C마이너 코드는 C1→E1b→G1→C2→E2b→G2→C3→E2b→C2→G1→E1b의 순서로 되돌이를 계속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분산음 출력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각 코드의 데이터를 저장한 데이터 저장부(30)의 출력이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데이터 흐름도와 같이 계속 반복된다.
이와같은 분산화음의 속도는 클럭 템포 조절기(40)에 의해 결정되는바, 분산화음의 출력 속도는 클럭 발생기(50)에서 출력되는 클럭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C메이저(Major)코드의 순차적인 정보를 데이터 저장부(30)으로부터 받은 음원발생기(60)에서는 각 분산화음 즉, 각 음(예 C1,E1...)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발생시키는데 각음에 대한 주파수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와 같은 각음에 맞는 주파수가 음원발생기(60)에서 출력되어 음색 정형 필터(70)에 입력이 된다.
음원발생기(60)는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지정한 각음에 해당되는 주파수를 출력하는데, 이 주파수는 제3도의 a,b와 같은 구형파를 출력한다. 음원발생기(60)에서 출력되는 제3도, a,b파형의 관계는 b는 a주파수보다 1/2 분주되고 b는 제2도의 저항(R2)를 거친 파형으로 a의 구형파보다 주파수로 1/2로 분주되었고 진폭 레벨도 1/2로 낮으므로 결국 제3도의 c와 같은 구형파로 출력이 된다.
이와같이 음원발생기(60)에서 출력되는 두개의 구평파의 각 분산음을 키타와 같은 현악기의 음색 파형으로 만들기 위해 제2도의 음색 정형 필터(70) 거치게 된다.
제3도의 음색 정형 필터(70)는 저항(R3-R7) 콘덴서(C1-C5)로 구성된 적분기와 미분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음원발생기(60)에서 출력되는 제3도의 c와 같은 구형파는 음색 정형 필터(70)올 거쳐 제3도의 d와 같은 우선형의 파형 즉, 피아노나 기타등의 현악기와 같은 파형으로 출력이 된다.
그러므로 연주자가 건반(10)의 어느 코드를 누르면 제3도의 d와 같은 파형이 오디오 엠프(80)와 스피커(90)을 거쳐 분산음이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한번에 스캔되어 자동 연주되는 전자악기로 현악기와 같은 분산화음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연주자가 선택하는 건반(10)의 코드를 읽어 분산화음에 해당하는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30)에 임의의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특정 분산화음 데이터를 독출하는 마이컴(20)과, 전기한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출력되는 분산화음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동기시켜 출력하도록 하는 클럭발생기(50)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출력되는 각 코드에 해당되는 데이터에 따라 임의의 주파수를 출력하는 음원발생기(60)와, 각 분산음을 기타등과 같은 현악기의 음색 파형으로 만드는 음색 정형 필터(70)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음색 정형 필터(70)는 저항(R3-R7)과 콘덴서(C1-C5)보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분기와 미분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클럭 펄스 발생기(50)에서 출력되는 클럭 펄스의 주파수를 조절하여 데이터 저장부(30)에서 출력되는 분산화음 데이터의 시간을 결정하는 클럭 템포 조절기(40)를 클럭 펄스 발생기(50)에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 장치.
KR1019870012526A 1987-11-06 1987-11-06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KR90000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526A KR900007224B1 (ko) 1987-11-06 1987-11-06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12526A KR900007224B1 (ko) 1987-11-06 1987-11-06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49A KR890008749A (ko) 1989-07-12
KR900007224B1 true KR900007224B1 (ko) 1990-10-05

Family

ID=19265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2526A KR900007224B1 (ko) 1987-11-06 1987-11-06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22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49A (ko) 198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well New musical resources
EP06483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vocal harmonies
JP6939922B2 (ja) 伴奏制御装置、伴奏制御方法、電子楽器及びプログラム
US4193332A (en) Music synthesizing circuit
US4433601A (en) Orchestral accompaniment techniques
US5862232A (en) Sound pitch converting apparatus
JPH0693189B2 (ja) 電子楽器
US4440058A (en) Digital tone generation system with slot weighting of fixed width window functions
Ballora Essentials of music technology
KR900007224B1 (ko) 전자 키보드의 분산화음장치
US4924746A (en) Input apparatus of electronic device for extracting pitch from input waveform signal
JPS6035077B2 (ja) 電子楽器
US3519722A (en) Variable impedance membe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oodward The synthesis of music and speech
US4233875A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automatic trill performance function
JP2711523B2 (ja) コーラス効果装置
JPH10171454A (ja) 音色制御装置および音色制御方法
JPH0580766A (ja) 自動伴奏装置
Fabbri et al. Musical elements in the discrete-time representation of sound
JPH0638193B2 (ja) 電子楽器
Obata et al. Further applications of our direct-reading pitch and intensity recorder
JPH02134696A (ja) 音発生装置
JP4095193B2 (ja) アルペジエータ
JPS58123591A (ja) 電子楽器
KR850002188Y1 (ko) 리듬 발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