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089Y1 -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089Y1
KR900007089Y1 KR2019870014033D KR8714033D KR900007089Y1 KR 900007089 Y1 KR900007089 Y1 KR 900007089Y1 KR 2019870014033 D KR2019870014033 D KR 2019870014033D KR 8714033 D KR8714033 D KR 8714033D KR 900007089 Y1 KR900007089 Y1 KR 9000070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shaft
lubricating oil
guide hole
type compr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033D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4033D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0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0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089Y1/ko

Link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2도 (a)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단면도, (b)는 제2도 (b)의 저면도, (c)는 본 고안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3도 (a)(b)는 종래 고안의 단면도와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압축기 2 : 축
21 : 안착부 22 : 돌출부
3 : 크랭크 7 : 윤활유통로
8 : 오일픽업 81 : 가이드홀
82 : 걸림턱 9 : 책밸브용볼
본 고안은 원심력으로 윤활유를 압축기의 마찰부에 유입시키고 또, 압축기의 정지시 압축기의 마찰부에 있는 윤활유가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마찰부에 남아 있도록 한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윤활유통로(71)를 가진 압축기의 축(201)하단에 타원형의 가이드홀(802)을 가진 오일픽업(801)을 설치하고 압축기의 전동에 따라 윤활유가 원심력으로 오일픽업(801)을 통해서 압축기의 마찰 부인 축(201)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것은 오일픽업(801)의 가이드홀(802)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어 흡입 원심력이 저하되고 따라서 윤활유 공급효과가 저하되었으며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면 압축기의 마찰부에 유입되어 있던 윤활유가 모두 흘러내려 마찰부에는 윤활유가 거의 남아있지 않은 상태로 되므로서 압축기가 다시 가동될때 마찰부의 마찰은 증대시키게 되었고 이에 따라 기계적 마멸이 증대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압축기의 마찰부에 유입된 윤활유는 다시 회수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도록 하고 원심력을 최대로 활용하여 윤활유의 공급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피스톤(4)과 컨넥팅로드(5) 크랭크(3) 및 모터(6)로 구성된 압축기(1)의 축(2)과 크랭크(3)에 윤활유통로(7)를 형성하고 축(2)의 하단에 오일픽업(8)을 설치토록 한 것에 있어서, 축(2)의 하단에 반구형상의 첵밸브용볼 안착부(21)를 형성하고 이의 중앙 윤활유통로(7)의 입구에 여러개의 돌출부(22)를 형성하며, 오일픽업(8)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가이드홀(81)을 형성하되, 가이드홀(81) 하단에는 걸림턱(82)을 형성하고 오일픽업(8)의 가이드홀(81)에는 첵밸브용볼(9)을 내재시키도록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압축기(1)가 모터(6)에 의해서 구동되면 축(2)이 회동되고 축(2)이 회동하면 컨넥팅로드(5)로 연결된 피스톤(4)이 크랭크(3)를 따라 작동하여 압축을 하게 되는 것으로 축(2)이 회동하면서 발생되는 원심력에 의하여 윤활유가 오일픽업(8)의 첵밸브용볼(9)을 밀면서 가이드홀(81)로 유입되어 축(2)과 크랭크(3)의 윤활유통로(7)로 유입공급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윤활유가 공급될때, 가이드홀(81)이 원형으로 되어 있어 원심흡입력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고 또, 첵밸브용 볼(9)이 축(2)의 윤활유통로(7)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도 (c)와 같이 안착부(21)에 여러개의 돌출부(22)를 형성한 것이다.
한편, 압축기(1)를 정지시키면, 축(2)의 회동이 정지되고 이에따라 윤활유의 공급이 중단되며 축(2)과 크랭크(3)의 윤활유통로(7)에 있던 윤활유가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첵밸브용 볼(9)이 오일픽업(8)의 가이드홀(81)에서 하강하여 걸림턱(82)에 제2도 (a)와 같이 걸리므로서 가이드홀(81)을 막아주기 때문에 윤활유통로(7)에 있던 윤활유의 누설을 막아준다.
이와같이 하므로서 윤활유통로(7)에 윤활유가 그대로 남아있게 되고 압축기(1)의 재가동시에도 축(2)의 마찰부위에서 윤활유에 의한 윤활작업을 즉시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마찰에 의한 기계적 손실과 마멸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또 윤활유의 유입공급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특징으로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윤활유통로(7)를 가진 축(2)과 크랭크(3)가 설치되고 이의 하측에는 가이드홀(81)이 형성되고 첵밸브용 볼(9)이 내장된 오일픽업(8)이 설치되며 이의 상측에는 모터(6)와 피스톤(4)이 설치되어 압축운동을 하는 압축기(1)에 있어서, 상기 축(2)의 하단에 반구형상의 책밸브용 볼 안착부(21)를 형성하고, 이에 여러개의 돌출부(22)를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2019870014033D 1987-08-22 1987-08-22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9000070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33D KR900007089Y1 (ko) 1987-08-22 1987-08-22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033D KR900007089Y1 (ko) 1987-08-22 1987-08-22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7089Y1 true KR900007089Y1 (ko) 1990-08-06

Family

ID=19266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033D KR900007089Y1 (ko) 1987-08-22 1987-08-22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0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38461Y2 (ko)
WO2002035096A2 (en) Compressor oil pick-up tube
KR900007089Y1 (ko) 압축기의 윤활유 공급장치
KR940010465B1 (ko) 저소음 펌프 조립체
US2233168A (en) Compressor
US4901819A (en) Lubrication device for vertical crank shaft engine
JPS58217783A (ja) 斜板式コンプレツサ
US5252039A (en) Enclosed motor-driven compressor
KR100816832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회전기구부
KR970001962A (ko) 압축기의 회전축에 형성된 윤활유 공급구조
CN1007638B (zh) 曲轴通道式呼吸结构
KR960001190Y1 (ko) 압축기의 급유장치
KR910000230Y1 (ko) 압축기의 피스톤 윤활장치
KR900000191Y1 (ko) 밀폐형 전동압축기의 고정자 냉각장치
JPH0244159Y2 (ko)
KR100224342B1 (ko) 크랭크 축의 크랭크 핀 구조
KR200162564Y1 (ko) 엔진 윤활유 공급장치
KR200153362Y1 (ko) 자동차의 컨넥팅 로드 연결부 윤활구조
KR100201441B1 (ko) 크랭크 축 베어링의 구조
KR0162473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스러스트베어링 배유장치
KR19980027192A (ko) 초기 윤활수단이 구비된 내연기관의 윤활장치
KR016507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 샤프트 구조
KR970045490A (ko) 밀폐형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KR0118035Y1 (ko)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SU1562550A1 (ru) Подшипниковый узел вертикального вал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