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937Y1 - 보일러의 연소실 - Google Patents

보일러의 연소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937Y1
KR900006937Y1 KR2019870005084U KR870005084U KR900006937Y1 KR 900006937 Y1 KR900006937 Y1 KR 900006937Y1 KR 2019870005084 U KR2019870005084 U KR 2019870005084U KR 870005084 U KR870005084 U KR 870005084U KR 900006937 Y1 KR900006937 Y1 KR 900006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boiler
combustion chamber
wal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5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012U (ko
Inventor
이범식
Original Assignee
이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식 filed Critical 이범식
Priority to KR2019870005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937Y1/ko
Publication of KR8800200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0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9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3/00Steam boilers of fire-box type, i.e. the combustion of fuel being performed in a chamber or fire-box with subsequent flue(s) or fire tube(s), both chamber or fire-box and flues or fire tubes being built-in in the boiler body
    • F22B13/04Steam boilers of fire-box type, i.e. the combustion of fuel being performed in a chamber or fire-box with subsequent flue(s) or fire tube(s), both chamber or fire-box and flues or fire tubes being built-in in the boiler body mounted in fixed position with the boiler body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9/00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 F22B9/10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the boiler body being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at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2B9/12Steam boilers of fire-tube type, i.e. the flue gas from a combustion chamber outside the boiler body flowing through tubes built-in in the boiler body the boiler body being dispos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e.g. at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he fire tubes being in substantially horizontal arran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Of Fluid Fue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보일러의 연소실
제1도는 본 고안을 사용한 연관 보일러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인 연소실의 일부 절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가-가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소실 2 : 내벽
3 : 원주형돌기
본 고안은 보일러의 연소실의 전열 면을 증대시켜서 열효율을 향상시킨 보일러의 연소실에 관한 것이다.
종래, 연관식 보일러나 또는 노동 보일러등의 연소실을 보면 그 전열면이 평탄하게 되고, 주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설치된 버너로 부터 발생되는 화염과 열기로 연소실의 내벽을 가열하고 이와 동시에 물을 가열하여 왔으며, 또한 연소실에서 발생한 화염으로 인한 열기는 물이 채워진 보일러이 본체 내부로 다수개의 연관이 삽입 설치되어 이 연관을 통하여 가일층 물을 가열한 후 배기관을 거쳐서 각종 열교환기(예컨대, 급기관, 급수관의 열교환기등)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보일러에 있어서 열효율을 증진시키고저 열소실의 전열면적을 확장시키면 연소실이 크게 될 뿐만 아니라, 버너에서 발생되는 화염과 연소실의 내벽과의 사이에 거리가 너무 이간되어 열전도성이 떨어지고, 이에 따라 보일러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등의 폐단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소실을 크게 하는 방식 이외에 화염이나 열기이 통로를 길게하여 열교환의 면적을 증대시킬 수도 있는 것이지만, 이 역시 상기 열기가 소정거리 이상으로 될시에는 오히려 보일러 본체에 가열된 물의 온도보다 상기 열기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열전도의 역류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서 열기 통로이 소정거리 이상으로는 할 수가 없는 제약이 따르게 되어 보일러에서 배출되는 잔열은 보일러 본체에서는 이용할 수가 없으며, 공급되는 공기가 물을 열교환기를 통하여 나머지 잔열을 회수하는데 그치고 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보일러의 연소실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고서도 전열 면적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열전도의 효율을 증진시킨 보일러의 연소실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일러의 연소실의 내벽에 원주형 돌기를 소정 높이와 거리로 다수개를 돌출 배설하여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연소실내에서는 버너로 부터 방출되는 화염과 열기는 연소식 내벽에 돌설된 원주형 돌기가 화염과 열기이 진행 방향의 거의 수직으로 돌출되어 이 원주형 돌기를 부딪치면서 가열시키게 되어 열전도가 급격하게 이루어지고 동시에 연소실의 내벽 역시 통상적으로 가열을 받게 되어 연소실에서의 열전도는 급격하게 상승됨과 동시에 거의 배가되어서 이에 연소실의 내벽을 타고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하거나 온수를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보일러의 열효율이 대폭 향상됨은 물론, 이에 따른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절대적인 효과를 유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최적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 1 도에서 나타낸 연관식 보일러(10)에서, 1은 본 고안의 요부인 연소실이며, 4는 열기 분배실이고, 5는 연관, 6은 집배기실, 7은 배출구, 8은버너, 9'는 급수구, 9는 증기(온수) 배출구이며, 11은 물이 채워지는 보일러(10)의 내부 공간부이다.
상기 연소실(1)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이 연소실(1)의 내벽(2)의 표면으로 다수개의 원주형 돌기(3)를 소정 높이 및 거리로 돌출 배설하여서 상기 버너(8)로 부터 발생되는 화염 및 열기가 상기 연소실(1)의 내부 공간부(1')에서 진행 방향에 거의 수직으로 상기 원주형 돌기(3)를 돌설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연소실(1)의 전방 개구부측으로 통상적인 방식으로 설치된 버너(8)로 부터 연소실(1)의 공간부(1')로 분출되는 화염 및 열기로 인하여 연소실(1)의 내벽(2)이 가열이 되고, 이 연소실(1) 외곽을 둘러싸고 있는 물을 가열하게 되어 온수를 이용하거나 증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에 상기 내벽(2)으로 부터 돌출 배열된 다수개의 원주형 돌기(3)가 상기 버너(8)로 부터 분출되는 화염 및 열기의 진행 방향으로 수직 방향으로 둘설되어 있어서 상기 화염 및 열기가 상기 돌기(3)를 부딪치면서 동시에 감싸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돌기(3)의 전표면으로 열이 급격하게 전도되어 연소실(1)의 내벽(2)를 감싸고 있는 보일러(10)의 공간부(11)에 채워진 물로 전도되어 물을 가열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연소실(1)의 내벽(2)도 가열을 받게 되어 열의 전도되는 열량은 그 만큼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에 연소실(1)을 통고한 열기는 통상의 방식대로 열기 분배식(4)로 인입되어 다수개의 연관(5)으로 분배되어 인입되어져서 이 연관(5)에 의하여 보일러(10)의 내부 공간부(11)에 채워진 물을 다시 가열되고, 이 연관(5)을 통과한 열기는 집배기실(6)로 모아져서 배출구(7)를 통하여 또 다른 열교환기(도시안됨)로 보내져서 남아 있는 잔열을 회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효과는 종래의 연소실(1)이 내벽(2)만으로 전달되던 열량이 내벽(2)에 돌설된 원주형 돌기(3)에 의하여 추가로 고온도의 열량을 전달 받음으로서 보일러의 수열 능력을 배가 시킨 것으로서 열효율이 증진됨과 동시에 소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하여 경제적인 이점을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일러(10)의 연소실(1)에 있어서, 상기한 연소실(1)의 내벽(2)의 표면에 원주형 돌기(3)를 수직으로 다수 돌출시켜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일러의 연소실.
KR2019870005084U 1987-04-10 1987-04-10 보일러의 연소실 KR900006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84U KR900006937Y1 (ko) 1987-04-10 1987-04-10 보일러의 연소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5084U KR900006937Y1 (ko) 1987-04-10 1987-04-10 보일러의 연소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012U KR880020012U (ko) 1988-11-29
KR900006937Y1 true KR900006937Y1 (ko) 1990-08-02

Family

ID=1926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5084U KR900006937Y1 (ko) 1987-04-10 1987-04-10 보일러의 연소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9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012U (ko) 198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951B2 (ja) コンデンシング方式の燃焼機器
KR20090063438A (ko) 콘덴싱 보일러
KR100691029B1 (ko) 이중관이 구비된 온수공급장치
KR102506012B1 (ko) 열교환기의 연소열 손실 방지 구조
KR900006937Y1 (ko) 보일러의 연소실
US3259107A (en) Steam and hot water boiler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00447443B1 (ko) 이중 수실을 구비한 보일러
KR20190132043A (ko) 잠열 열교환기 및 이를 구비한 콘덴싱 방식의 연소기기
JP2000018729A (ja) 伝熱フィンを備えた熱交換器
KR100392596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CN213578129U (zh) 一种环形热交换器
KR100515636B1 (ko) 가스보일러의 열교환기 구조
KR102173136B1 (ko) 보일러의 파형 연관 구조
RU2055274C1 (ru) Контактно-поверхностный газов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100392595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01962352B1 (ko) 열풍발생수단을 구비하는 보일러
KR101795989B1 (ko) 열 공급용 열교환기
JPH02233942A (ja) 給湯機用熱交換器
KR810001357Y1 (ko) 온수 보일러
CN2450590Y (zh) 一种常压卧式汽水传热锅炉
JPS58214738A (ja) 燃焼装置
KR200202937Y1 (ko) 다중경로를 갖는 열교환기
RU2169317C2 (ru) Отопительный котел
KR100302387B1 (ko) 콘덴싱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