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80B1 - 차광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차광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80B1
KR900006480B1 KR1019860004268A KR860004268A KR900006480B1 KR 900006480 B1 KR900006480 B1 KR 900006480B1 KR 1019860004268 A KR1019860004268 A KR 1019860004268A KR 860004268 A KR860004268 A KR 860004268A KR 900006480 B1 KR900006480 B1 KR 90000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light
optical axis
optic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9315A (ko
Inventor
쯔기오 무라오
요시하루 야마모도
겐이찌 이께다
요시도미 나가오까
야스오 나까지마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0118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758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81352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425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813478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6422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9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9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차광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광학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2도는 구결적 광선에 대한 제1도에 도시한 차광장치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차광판의 각종 형상을 도시한 도면.
제4도(a) 내지 제4도(d)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차광장치에 부착되어 투사형텔레비젼세트에 사용되는 투사렌즈의 단면도.
제7도(a) 내지 제7도(c)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가 투사형텔레비젼세트에서 동작하는 원리 및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
제8도는 차광면이 형성된 렌즈로 구성되는 광학소자의 사시도.
제9도는 가동수단이 장착된 차광장치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동기구를 도시한 전개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a) 및 제11도(b)는 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제10도에 도시한 차광장치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광판 2 : 원통형지지프레임
3 : 구결적광선 4 : 투영상
10 : 차광장치 11,12,13 : 렌즈소자
14 : 렌즈배럴 15 : 음극선관
16 : 스크리인 17 :투사렌즈
본 발명은 광학계에 사용되는 차광장치 및 차광장치가 부착된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결적(球缺的) 광선만을 차단하는 차광장치 및 그 차광장치가 부착된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렌즈의 수차개선을 위한 종래의 수단으로서는, 광축상에 중심을 가진 원형 혹은 대략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차광판을 렌즈의 광축에 수직인 평면내에 배치하는 것이 있다(예를들면, 광학개론 I, 123페이지, 아사쿠라서점, 일본).
여러가지형의 렌즈계, 예를들면 가우스형 렌즈계에서는 축외에 있어 구결적 주변광선의 수차가 아주 크게 나타나므로, 이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광축에 원형차폐판을 삽입하여 개구를 작게하므로써 구결적 광선을 차단하고 있다. 그러나 차폐판은 개구의 감소로 인하여 상당량의 축방향 및 자오적 광선이 차단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결적 광선만을 차광할 수 있는 차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차광장치가 부착된 광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는 광축을 포함하는 자오절단면상에 배치된 복수의 차광면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축외 구결적 광선은 자오절만면에 수직이며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한다. 따라서, 축외 구결적 광선은 자오절단면에 대략 수직인 차광면에 의해 차광되고 자오적 광선만 자오절단면상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자오절단면에 근접배치된 차광면은 자오절단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게 되어 자오적 광선은 차광하지 않는다. 또, 자오적 광선 및 구결적 광선에 포함되지 않는 일반적인 광선에 가까울수록 차광되는 광량이 많고, 자오적 광선에 가까울수록 통과하는 광량이 증가한다. 그리하여 구결적 광선 및 이것에 가까운 광선만이 차단된다.
차광면은 지지수단에 지지된 복수의 박판(차광판)으로 구성해도 되고, 이와는 달리 투명한 고체내에 형성시킬 수도 있다. 차광판은 렌즈와 일체로 형성시켜서 구결적 광선만을 차광할 수 있는 광학장치를 제작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에 의하여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체화한 차광장치를 도시한다. 이 장치는 복수의 불투명박판(1)(이하 차광판이라 약칭함)을 가진다. 차광판(1)은 원통형지지프레임(2)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지지프레임(2)의 원통형 내면과 수직을 이루면서 상호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차광판(1)은 광축 혹은 프레임(2)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자오절단면상에 배치된다. 차광판(1)의 표면 및 프레임(2)의 내면은 예를들면 흑색으로 착색되어서 입사광을 흡수하여 그것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도에 도시한 차광장치는 18매의 차광판(1)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은 제2도를 참조하여 제1도에 도시한 차광장치와 축외의 구결적 광선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제2도에 있어서 자오절단면은(YOO') 이다. 평면(ZOO')은 자오절단면과 수직이며, 광축(OO')을 포함한다. 직선(4)은 구결적 광선(3)을 평면(ZOO')상에 투영하여 얻은 영상이다.
차광판(1)중 하나가 평면(ZOO')상에 놓여있는 경우를 가정하면, 투영상(4)은 점(Q) 및 (R)에서 각각 차광판의 선단 및 후단과 교차한다. 점(Q)과 (R)간의 거리는 (D)로 표시된다. 선분(QR)의 중심점(S)은 투영상(4)위에 놓여있다. 광축(OO')에 수직이고 중심점(S)과 교차하는 선분은 L의 길이(이하 "평균거리"라 칭함)를 가진다. 투영상(4)은 광축(OO')과 β의 각도를 이루고, 주광선(5)은 광축(OO')과 W의 각도를 이룬다. 차광판(1)의 수는 N이다. 차광된 모든 구결적 광선에 대한 D, β, W, L, N의 값은 다음 부등식을 만족하도록 정한다.
Figure kpo00001
상술한 바와같이 설계된 차광장치는 하기의 방식으로 동작한다. 축방향광속은 차광판(1)에 의해서 그 차광판(1)의 단면적에 상당하는 양만큼 차광되지만, 차광판(1)이 얇기 매문에 광량의 감소는 적다. 마찬가지로, 측외의 자오적 광속은 차광판(1)에 의해서 그 차광판(1)의 단면적에 상당하는 양만큼 차광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광량의 감소는 적다.
인접한 차광판은 서로 2π/N rad의 각도를 이룬다. 구결적 광선이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된 인접한 차광판간의 평균간격은 약 Lsin(2π/N)으로 주어진다. 광축을 따라 위치한 투영상(4)의 길이는 Dcosβ이다. 구결적 광선(3)은 반경방향으로 DcosβtanW거리를 이동하는 한편 차광판을 가로질러 통과한다. 따라서, 구결적 광선이 반경방향으로 이동한 거리가 차광판(1)간의 평균간격과 같거나 큰 경우, 즉 DcosβtanW
Figure kpo00002
Lsin(2π/N)의 경우에는, 구결적 광선은 차광된다.
차광된 구결적 광속은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구결적 광선의 세트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각도의 구결적 광속은 차광되므로, 상기 식(I)은, β, W, L이 변수인 조건하에서 차광된 모든 구결적 광선에 대하여 성립한다.
차광판(1)을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이격시키는 것은 반드시 필수적인 겻이 아니다. 인접한 차광판간의 각도를 α라 놓으면, β=β1, W=W1 및 L=L1의 관계를 만족하는 구결적 광선에 대한 거리(D) 및 각도(α)는 다음 관계를 만족하도록 설정한다.
Figure kpo00003
이렇게 하면 차광판(1)을 서로 규칙적으로 배열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다시 말해서, 어떤 구결적 광선에 대하여는 D/sinα의 값이 같은 경우에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상술한 관계를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제1도에 도시한 것 이외의 다른 형상으로도 차광판을 만들 수 있다. 예를를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사각형(a), 사다리꼴(b), 평행사변형(c) 또는 직사각형(d)등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관관계식의 양변간의 차가 클수록, 차공이 불필요한 광선이 더 많이 차광된다.
차광판(l)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의 형상도 제1도에 도시한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를면, 절두원추형으로도 할 수 있다. 또, 지지프레임(2)은 제4도(a)에 도시한 것과 같은 지지링(6)이나 제4도(b)에 도시한 것과 같은 방사상 지지스포크(7)로 대체할 수 있다. 지지수단은 제4도(c)에 도시한 렌즈(8)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광학소자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광축은 0-0'로 표시한다. 더우기, 차광판(1)의 광축 0-0'에 수직인 적어도 1매의 투명판(50)상에 제4도(D)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주면을 따라 지지시켜도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는 축외의 자오적 광속은 차단하지 않지만, 구결적 광속은 차단한다. 축외의 구결적 광선을 차광하도록된 종래의 차광판을 본 발명에 의한 신규의 차광장치로 교체하면, 지금까지는 차단되었던 자오적 광속이 렌즈등과 같은 광학소자를 통과하게 되므로, 광학소자는 현저히 밝아진다.
제5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장치는 원통형지지프레임(2)에 의해 지지된 복수의 차광판(1)과 이 차광판(1)의 내단을 지지하는 보강링(9)으로 구성된다. 각 차광판(1)의 형상을 결정하는 변수는 제1도와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있는 차광장치와 같은 방식으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모든 차광된 구결적 광선에 대한 변수 D, β, W, L 및 N는 상술한 부등식(I)을 만족하도록 결정한다. 이와같이 구성원 차광장치는 위에서 설명한 차광장치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차광판(1)은 가능한 얇게해서 축방향 광속의 차광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차광판을 너무얇게 하면 굽힘 또는 비틀림등이 발생하여 그에 상당하는 만큼 단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각각의 차광판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링(9)으로 보강하여 굽힘 또는 비틀림을 최소화하므로써 이상적인 차광판을 얻을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를 부착한 광학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6도에는 제1도의 차광장치를 부착한 투사형텔레비젼세트용 투사렌즈를 도시한다. 투사렌즈는 축의의 구결적 주변광선에 대한 수차가 큰 것으로 가정한다. 제1도의 차광장치는 제6도에서 부호(10)으로 표시한다. 투사렌즈는 렌즈배럴(14)의 내부에 지지된 렌즈소자(11)(12)(13)로 구성된다. 차광장치(10)는 차광된 구결적 광속의 주광속이 광축 0-0'와 교차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겻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제6도에 도시한 차광장치를 가진 광학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먼저, 음극선관(15), 스크리인(16) 및 투사렌즈(17)가 도시된 제7도(a)를 참조하여 투사형텔례비젼세트의 동작원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음극선관(15)상의 포인트 광원(P')은 스크리인(16)에 투영되어 투영상(P)을 형성한다. 제7도(b)에는 차광장치가 존재하지 않을때 얻어지는 투영상(P)이 도시되어 있다. 투영상(P)은 점선영역으로 표시된 축외의 구결적 주변광선 및 이들 광선부근의 경사광선때문에 구결적 방향으로 꼬리를 가지게 된다. 제7도(c)에는 차광장치를 사용할때 얻어지는 투영상(P)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축외의 구결적 주변광선 및 이들 광선부근의 경사광선은 차광된다. 투영상(P)은 구결적 수차와 자오적 수차가 좋은 균형을 이루는 포인트상을 형성한다. 축방향 광속 및 축외의 자오적 광속은 거의 차광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렌즈의 휘도를 크게 저하시킴이 없이 화질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투사형텔레비젼세트용 투사렌즈에 본 발명을 용융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렌즈에 의해 큰 구결적 광선 수차가 발생하는 카메라를 포함한 모든 광학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차광면이 형성된 렌즈를 구비한 광학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8도에는 제6도에 도시한 투사렌즈(1l)와 유사한 형상의 렌즈(19)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6도의 차광장치(10)는 불필요하다. 렌즈(19)에는 복수의 차광면(l8)이 형성된다. 차광면은 자오절단면상에서 렌즈(19)의 광축 0-0'을 중심으로하여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그 가장자리는 부호(20)으로 표시되어 있다. 차광면(18)은 입사광이 그것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흑색으로 하거나 광을 흡수하는 색채로 착색한다.
예를들면, 렌즈(19)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하여 가장자리(20)에 노치를 형성시키고, 노치에는 흑색페인트를 분사한다. 제8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면(18)의 수는 18면이다. 차광면(18)의 형상을 결정하는 변수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제2도에 도시한다. 모든 차광된 구결적 광선에 대한 변수 D, β, W, L 및 N은 상술한 부등식관계(I)을 만족시키도록 정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설계된 차광면(18)은 제1도에 도시한 차광판(1)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차광면(18)은 반드시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할 필요는 없다. 인접한 차광면(18)간의 각도를 라 놓으면, β=β1, W=W1 및 L=L1의 관계를 가지는 구결적 광선의 D 및 α값은 상술한 부등식관계(II)를 만족하도록 정한다, 그러면, 차광면을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할 때 얻어지는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차광면(18)은 상술한 부등식관계를 만족하는 것이기만 하면 제8도에 도시한 형상이외의 다른 형상으로해도 된다. 예를들면, 제3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사각형(a), 사다리꼴(b), 평행사변형(c) 또는 직사각형(d)등으로 할 수도 있다. 부등식의 양변간의 차이가 커지면 차광할 필요가 없는 광선을 더 많이 차광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8도의 실시예는 구결적 광선을 차광하고 자오적 광선을 통화시키기 위한 차광면이 형성된 렌즈를 가지는 광학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차단되었던 축방향 광속 및 자오적 광속을 광학장치를 통과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광학장치는 종래기술장치에 비해 현저히 밝아진다.
다음은 가동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의 차광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9도에 본 발명에 의한 구동기구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기구는 차광판(1)과 일체로 된 가이드(21)를 구비하며, 고정지지프레임(22), 내측가동지지프레임(23) 및 외측가동지지프레임(24)을 가진다. 내측가동지지프레임(23) 및 외측가동지지프레임(24)은 서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지지프레임(22)에는 차광판(1)을 안내하기 위한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가동지지프레임(23)과 외측가동지지프레임(24)에는 수직벽으로 구획되어 차광판(l)은 안내하는 홈(26)과 (27)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프레임(23)(24)을 가동링(28)내에 보유된다. 고정지지프레임(22)은 나사부(29)를 가지고, 가동령(28)은 탭부(30)를 가진다. 각각의 지지프레임(22)(23)(24)과 가동령(28)은 모두 원통형상이지만, 제9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차광판에 대응하는 부분만을 도시하였다.
내측가동지지프레임(3)의 외면 및 외측가동지지프레임(24)의 내면은 중심축 또는 광축 0-0'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가이드홈을 형성한다. 가동령(28)은 그 회전에 따라 그것의 탭부(30)가 나사부(29)와 맞물려있는 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내측가동지지프레임(23)과 외측가동지지프레임(24)은 고정지지프레임(22)에 의해 안내되면서 광축을 따라 전후로 이동한다. 그 결과, 차광판(1)은 상하운동을 한다. 고정지지프레임(22)에 형성된 가이드구멍(25)은 차광판의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또, 이 가이드구멍(25)은 차광판(1)을 중심에 대하여 반경방향으로 위치하도록 파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10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광장치의 또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차광장치는 복수의 차광면(40)이 형성된 투명체(41)로 구성된다. 투명체(41)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한다. 차광면(40)은 앞에서 설명한 차광면과 동일한 방식으로 배열한다. 제10도에 도시한 차광장치는 차광면(40)을 대단히 얇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l1도(a)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명체(41)의 주변부에 슬릿(42)을 형성하고, 그 슬릿에는 차광페인트를 분사하여 차광면(40)을 형성시킨다. 이와는 달리 제l1도(b)에 있어서는 적어도 일측면의 일부에 차광코우팅(44)을 가지는 투명소자(하나만 도시함)가 서로 병렬로 고정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한 투명체(41)를 볼록렌즈형으로 정형하면 제8도에 도시한 광학장치가 얻어진다.
이상 몇가지 실시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하 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가지로 변화와 변형을 할 수 있다.

Claims (44)

  1. 차광장치의 광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자오절단면상에서 그 광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차광면을 구비하여 구결적 광선 및 구결적 광선에 가까운 광선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모든 차광된 구결적 광선에 대하여
    DcosβtanW
    Figure kpo00004
    Lsinα
    (식중, W는 주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D는 자오절단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어 차광면중 하나에 의해 절단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의 길이, L은 차광면에 의해 절단된 투영상부분에 있어서 투영상과 광축간의 평균거리, β는 투영상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α는 차광면을 포함하는 인접한 자오절단면간의 각도)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광축의 둘레에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α =2π/N
    (식중, N은 차광면의 수)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내단은, 자오절단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는 차광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중 광축에 가장 가까운 투영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과는 차광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평행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광을 흡수하도록 착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0. 광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자오절단면상에서 차광장치의 광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차광판과 이들 차광판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구비하여 구결적 광선 및 구결적 광선에 가까운 광선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각 차광판의 일단이 수직으로 부착되는 원통형 내면을 가진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각 차광판의 타단을 고정하는 보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광축에 수직인 적어도 1매의 투명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차광판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차광판은 광학소자와 결합되어 광학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차광판은,
    DcosβtanW
    Figure kpo00005
    Lsinα
    (식중, W는 주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D는 자오절단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는 차광면중 하나에 의해 절단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의 길이, L은 차광판에 의해 절단된 투영상부분에있어서 투영상과 광축간의 평균거리, β는 투영상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α는 차광면을 포함하는 인접한 자오절단면간의 각도)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차광판은 광축둘fp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α = 2π/N
    (식중, N은 차광판의 수)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각 차광판의 내단은, 자오절단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는 차광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중 광축에 가장 가까운 투영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각 차광판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각 차광판의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각 차광판의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2. 제16항에 있어서, 각 차광판의 형상은 평행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3. 광을 전도하는 이 기본체의 광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자오절단면 상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차광면을 구비하여 구결적 광선 및 구결적 광선에 가까운 광선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기본체는 그 형상의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5. 제23항에 있어서, 기본체는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6. 제23항에 있어서, 기본체는 각각의 자오절단면상에서 광을 흡수하는 매체를 파지하여 차광면을 형성하는 슬릿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7. 제23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모두 차광된 구결적 광선에 대하여
    DcosβtanW
    Figure kpo00006
    Lsinα
    (식중, W는 주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D는 자오절단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어 차광면중 하나에 의해 절단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의 길이, L은 차광면에 의해 절단된 투영상 부분에 있어서 투영상과 광축간의 평균거리, β는 투영상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α는 차광면을 포함하는 인접한 자오절단면간의 각도)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광축둘레에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α=2π/N
    (식중, N은 차광면의 수)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내단은, 자오절단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는 차광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중 광축에 가장 가까운 투영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직사각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32. 제27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33. 제27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평행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장치.
  34. 광학렌즈와, 광학렌즈의 광축을 포함하는 각각의 자오절단면상에서 광학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차광면을 구비하여 구결적 광선 및 그 구결적 광선에 가까운 광선을 차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광학렌즈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6. 제34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지지수단에 의해 광학렌즈의 광축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지지되는 복수의 차광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차광판을 이동시키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8. 제34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모든 차광된 구결적 광선에 대하여
    DcosβtanW
    Figure kpo00007
    Lsinα
    (식중, W는 주구결적 광선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D는 자오절단면에 수직하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어 차광면중 하나에 의해 절단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의 길이, L은 차광면에 의해 절단된 투영상 부분에 있어서 투영상과 광축간의 평균거리, β는 투영상이 광축과 이루는 각도, α는 차광면을 포함하는 인접한 자오절단면간의 각도)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차광면은 광축의 둘레에 서로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α = 2π/N
    (식중, N은 차광면의 수)로 표시되는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0. 제38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내단은, 자오절만면에 수직이고 광축을 포함하는 평면상에 투영되는 차광된 구결적 광선의 투영상중 광축에 가장 가까운 투영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2. 제38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직사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43. 제38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창치.
  44. 제38항에 있어서, 각 차광면의 형상은 평행사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장치.
KR1019860004268A 1985-05-31 1986-05-30 차광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광학장치 KR9000064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18328A JPS61275828A (ja) 1985-05-31 1985-05-31 絞り
JP118328 1985-05-31
JP60-118328 1985-05-31
JP60-281347 1985-12-13
JP281352 1985-12-13
JP60-281352 1985-12-13
JP281347 1985-12-13
JP28135285A JPH0664258B2 (ja) 1985-12-13 1985-12-13 遮光板装置
JP28134785A JPH0664228B2 (ja) 1985-12-13 1985-12-13 遮光面を具備したレン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9315A KR860009315A (ko) 1986-12-22
KR900006480B1 true KR900006480B1 (ko) 1990-09-01

Family

ID=27313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268A KR900006480B1 (ko) 1985-05-31 1986-05-30 차광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광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810076A (ko)
EP (1) EP0204514B1 (ko)
KR (1) KR900006480B1 (ko)
CN (1) CN1009868B (ko)
DE (1) DE368753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00072A (en) * 1988-12-23 1995-03-21 Hitachi, Ltd. Video camera unit having an airtight mounting arrangement for an image sensor chip
JP2707789B2 (ja) * 1990-03-24 1998-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遮光板を有したレンズ系
JP3107500B2 (ja) * 1994-06-24 2000-11-06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JP2001188167A (ja) * 1999-12-28 2001-07-10 Sekinosu Kk プロジェクション用レンズ装置
JP3891567B2 (ja) * 2002-12-03 2007-03-14 フジノン株式会社 フレアストッパ
TWI287167B (en) * 2006-02-16 2007-09-21 Coretronic Corp Projection apparatus
CN108613134B (zh) * 2016-12-30 2021-01-01 徐煜 机械式智能化遮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1994A (en) * 1895-01-01 Louis gatiimann
DE119915C (ko) *
DE828929C (de) * 1950-12-03 1952-01-21 Deuta Werke Gmbh Verstellbare Blende
US3097255A (en) * 1954-07-16 1963-07-09 John P Farquhar Corrector for image-forming optical assemblies
US3905675A (en) * 1973-02-15 1975-09-16 Honeywell Inc Optical systems having stop means for preventing passage of boundary wave radiation
GB1491064A (en) * 1975-05-08 1977-11-09 Mullard Ltd Composite lenses
US4217026A (en) * 1978-08-25 1980-08-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Elliptic cylindrical baffl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04514A3 (en) 1989-04-19
CN1009868B (zh) 1990-10-03
CN86103626A (zh) 1986-12-24
DE3687539D1 (de) 1993-03-04
EP0204514B1 (en) 1993-01-20
EP0204514A2 (en) 1986-12-10
KR860009315A (ko) 1986-12-22
DE3687539T2 (de) 1993-05-13
US4810076A (en) 198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1216B1 (ko) 차량용 램프 조립체
KR19980081174A (ko) 프레넬렌즈시트와 배후 투사스크린
US6157501A (en) Lens holding structure
KR900006480B1 (ko) 차광장치와 그것을 이용한 광학장치
US20030147052A1 (en) High contrast projection
JPS5868014A (ja) ゴ−スト像を除去する走査光学系
JPH03274537A (ja) 遮光板を有したレンズ系
US5305047A (en) Pattern projector having a multi-portion projection lens and camera comprising the same
US5613768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parallel light using two arrayed mirrors
KR20060118586A (ko) 광원유닛 및 프로젝터 시스템
US4867555A (en) Retrofocus lens for overhead projector
US5850578A (en) Light-projecting system for automatic focus detection
JPS595503A (ja) 自動車用すれちがい前照灯
JPH10241437A (ja) 光源装置、照明系及び画像投射装置
US4529276A (en) Image rotating optical system
KR100566069B1 (ko) 난반사광 소거용 셰이딩 플레이트가 장착된 투사렌즈 장치
JP2006162878A (ja) 投写型表示装置の光学系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3351018B2 (ja) 焦点検出装置
JP2000122178A5 (ko)
JP2003156669A (ja) インテグレータ光学ユニット
JP3128125B2 (ja) 撮像光学系
KR200145200Y1 (ko) 평행광 광원 장치
JPS62297830A (ja) 遮光装置
JP3072676B2 (ja) 表示装置
KR100188972B1 (ko) 액정프로젝트의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8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