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149B1 - 저압 방전등 - Google Patents

저압 방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149B1
KR900006149B1 KR1019870007525A KR870007525A KR900006149B1 KR 900006149 B1 KR900006149 B1 KR 900006149B1 KR 1019870007525 A KR1019870007525 A KR 1019870007525A KR 870007525 A KR870007525 A KR 870007525A KR 900006149 B1 KR900006149 B1 KR 900006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discharge lamp
lamp
hot
cath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2236A (ko
Inventor
노부히꼬 하야시
기미오 오사다
기요시 세이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아오이 죠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80002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2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4Electrodes; Screens; Shields
    • H01J61/06Main electrodes
    • H01J61/067Main electrodes for low-pressure discharge lamps

Landscapes

  • Discharge Lamp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저압 방전등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저압 방전등 장치의 한 실시예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제1도로 나타낸 방전 램프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넣어지는 방전램프의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점등회로 2 : 방전램프
3 : 발브(bulb) 4 : 복합전극
4a : 열음극 4b : 냉음극
본 발명은 방전램프의 전극구조를 개량시킨 저압 방전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와 같은 저압 방전등 장치로서는 전극구조에 따라서 열음극형과 냉음극형이 있다.
열음극형 저압 방전등 장치는 코일모양의 텅스텐의 표면에 전자 방사물질이하, 이미터라함)을 도포시키 필라멘트를 열음극으로 하는데 교류점등인 경우에는 방전램프의 한쌍의 전극이 양쪽에 설치하고, 직류점등인 경우에는 음극으로 동작하는 한쪽에만 설치하며 이 필라멘트에는 과열점이라 지칭되는 고온부를 형성하는 비교적 큰 램프전류를 통전시켜 주로 아아크 방전에 의해 방전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음극형 저압 방전등 장치에서는 필라멘트에 통전되는 램프 전류가 비교적 작게 흐르게 되어 열음극의 필라멘트에 과열점을 형성시키는데 충분한 온도상승이 되지 않을 경우에는 전극간의 방전이 아아크 방전에서 글로우 방전으로 전위된다.
이 때문에 캐소드쪽의 필라멘트가 이온에 의해 스패터링(spattering)되어 순식간에 관벽이 흑화되어 방전램프의 수명이 끝난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냉음극형 저압 방전등 장치는 판모양 또는 통모양의 금속편을 냉음극으로서 발브에 한쌍 설치하고 이들 냉음극간에 비교적 작은 램프 전류를 통전시켜서 글로우 방전에 의해 방전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냉음극형 저압 방전등 장치에서는, 냉음극에 통전되는 램프전류가 비교적 큰 경우에는 냉음극의 대형화가 필요해지며, 혹은 최악의 경우에는 냉음극의 온도가 상승되어 방전 필라멘트가 파손된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열음극형인 경우에는 비교적 큰 램프 전류로 점등시키며, 그 이하의 비교적 작은 램프 전류로 냉음극형을 점등시키는 것 같은 사용구분이 되어 있어서, 하나의 방전램프내에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 연속적으로 발생시키는 광범위한 조광(調光)을 할 수 없었다.
그런데, 최근에는 포터블 액정 T.V의 액정 디스플레이등의 배면을 조명시키는 백라이트로서 소형인 저압 방전등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저압 방전등 장치는 소형인 방전 램프에 가해지는 램프 전류를 적절히 제어시켜 방전램프를 조광하는 조광기능을 점등회로에 갖게 하여 실외에서 방전램프를 점등시키는 경우에는 전지를 전원으로서 램프전류를 작게 흐르게 하는 한편, 실내에서 방전램프를 점등시키는 경우에는 교류의 상업용 전원으로 전환시켜 A/C 아답터를 끼워서 방전램프에 가해지는 램프전류를 증대시켜 액정 TV 등의 피조체(被照體)의 조명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이와 같은 저압 방전등 장치의 점등회로는 실외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지를 전원으로서 방전램프의 램프전류를 작게 흐르게 하도록 조정하여 소비전력을 절감시켜 주로 전지수명을 길게하도록 하는 한편,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원을 전지에서 상업용 전원으로 전환시켜 A/C 아답터를 끼워서 방전램프에 가해지는 램프전류를 증대 시켜서 액정 디스플레이의 조명도를 주로 증대시켜서 조광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백라이트로서의 소형의 저압방전등 장치에서는 그 점등회로의 조광범위가 방전램프의 글로우아크의 방전 전위를 발생하는 램프 전류영역에 있으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저압 방전등 장치가 열음극형인 경우에는 글로우 방전을 발생하는 램프전류가 열음극에 통전되면 열음극의 필라멘트가 이온에 의해 스패터링되어 순식간에 관벽이 흑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필라멘트에 과열점이 형성되기 쉽게 필라멘트 저항을 크게하도록 하는 대책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필라멘트의 길이를 늘이던가, 필라멘트의 코일 지름을 축소시키지 않으면 안되고, 필라멘트 길이를 늘이는 경우에는 액정 T.V 등의 소형화에 역행하는 것이 되며, 또한 필라멘트의 코일지름의 축소화하는 현재의 코일링크기술의 한계를 초과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백라이트로서 조립되는 저압 방전등 장치가 냉음극형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아아크 방전을 발생하는 램프 전류 영역에서는 방전 램프가 파손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방전램프를 조광할 수 있는 저압 방전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글로우 방전을 주로하는 냉음극과, 아아크 방전을 주로하는 열음극을 접속시켜서된 복합전극을 방전램프의 한쌍의 전극중 음극으로서 동작하는 전극에 설치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은 발브내에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전극중 음극으로서 동작하는 전극을 냉음극에 열음극을 접속시켜서된 복합전극으로 구성하는 방전램프와, 이 방전램프의 한쌍의 전극에 통전되는 램프전류를 이들 전극사이에서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점등 회로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등회로에서 비교적 작은 램프전류가 한쌍의 전극에 통전되면 복합전극중 냉음극과 다른쪽의 전극과의 사이에서 글로우 방전이 발생하여 방전램프가 점등된다.
따라서, 열음극이 글로우 방전시의 이온에 의해 스패터링 되는일이 없어서, 관벽의 흑화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점등회로에서 비교적 큰 램프전류가 한쌍의 전극에 통전되면, 복합전극중 열음극에 과열점이 형성되어 열전자가 방사되며 다른쪽의 전극과의 사이에서 아아크 방전이 발생하여 방전램프가 글로우 방전시 보다도 광도를 증가시켜 점등된다.
따라서, 냉음극에 비교적 큰 램프 전류가 통전되어 방전램프를 파손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가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르면 방전램프의 조광을 글로우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는 넓은 범위에 걸쳐서 행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로서, 점등회로(1)에 벨러스트(ballast)로서의 저항(R)을 끼워서 방전램프(2)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다.
점등회로(1)는 상업용 전원의 전압 및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게한 가변 주파수 가변 전압 전원(1a)에 승압트랜스(1b)를 끼워서 방전램프(2)에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이 방전램프(2)에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는 램프전류를 적절하게 통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방전램프(2)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구성되어 유리제로 직선관형의 발브(3)의 관내벽 전둘레에 형광체로된 형광체막(도시생략)이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서 피착되며 수은이나 아르곤 등의 영족기체가 저압으로 봉해져 있다.
그리고, 발브(3)내 양단부에는 한쌍의 복합 전극(4),(4)이 각각 봉해져 있다.
이들 복합전극(4),(4)은 코일모양의 텅스텐의 표면에 전자 방사물질(이미터)을 부착시킨 필라멘트로된 열음극(4a),(4a)을 유리제의 스템(5),(5)위에 각각 설치하고, 이들 열음극(4a),(4a)의 각 안쪽에는 링크모양의 니켈제 냉음극(4b),(4b)이 대향되게 배치되어 있다.
각 냉음극(4b),(4b)의 일단은 인너리이드(inner Lead)선(6),(6)을 기워서 각 열음극(4a),(4a)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되고 각 열음극(4a),(4a)의 양단에 각각 접속된 한쌍의 인너리이드선(6),(6)은 각 스템(5),(5)내를 통과하여 각 꼭지쇠(7),(7)에 굳게 붙여진 한쌍의 꼭지쇠핀(8),(8)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점등회로(1)에서 방전램프(2)에 비교적 큰 램프전류, 예를들면 30mA를 통전시키면 한쌍의 복합전극(4),(4)의 열음극(4a),(4a)인 필라멘트에 과열점이 각각 형성되어 이미터에서 열전자가 방사되어 한쌍의 열음극(4a),(4a)사이에서 아아크 방전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발브(3)내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형광체막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광하고, 방전램프(2)가 점등된다.
이어서 점등회로(1)로 램프전류를 서서히 적게 흐르게하여 비교적 작은 램프전류, 예를 들어 5mA를 방전램프(2)에 통전시키면 한쌍의 복합전극(4),(4)의 열음극(4a),(4a)인 필라멘트에는 과열점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온도상승이 되지 않아서 열음극(4a),(4a)사이에서는 아아크 방전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때 한쌍의 냉음극(4b),(4b)에서 이온이 방사되어 글로우 방전이 발생된다.
이에따라 발브(3)내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형광체막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광하여, 방전램프(2)가 점등된다.
단, 이 점등시의 방전램프(2)의 램프 전류가 5mA이며 아아크 방전시의 30mA에 비하여 작으므로 아아크 방전시 보다는 방전램프(2)의 밝기가 저하되어 조광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램프전류를 예를들면 30mA에서 서서히 줄인 경우에는 예를들어 12mA 정도로 열음극(4a),(4a)의 과열점이 소실되어 냉음극(4b),(4b)사이에서 글로우 방전이 개시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하, 이것 과는 반대로 램프전류를 예를들어 5mA에서 서서히 증대시켜서 행한 경우에는 예를들어 15mA정도로 열음극(4a),(4a)인 필라멘트에 과열점이 형성되어 열음극(4a),(4a)사이에서 아아크 방전이 발생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방전램프(2)의 수명은 열음극(4a),(4a)으로 오로지 아아크 방전을 발생시킬 경우에는 예를들어 약 1500시간 이상이며, 냉음극(4b),(4b)으로 오로지 글로우 방전을 발생시킬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약 2000시간 이상으로 방전 램프(2)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방전램프(2)에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는 램프전류의 광범위한 제어에 의해 방전램프(2)의 수명에 거의 악영향을 주지않고 광범위할뿐만 아니라 연속적으로 조광할 수가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브(3)내에 한쌍의 복합전극(4),(4)을 각각 밀봉시킨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어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한쌍의 복합전극(4),(4)중 임의의 한쪽(제3도에서는 좌측)에 대해서는 열음극(4a)을 생략하여 직류 점등을 시켜도 좋으며, 본 실시예에 따라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대략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발브(3)로서 직선관모양인 경우에 대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고리모양, U자 모양등, 기타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냉음극(4b),(4b)의 형상, 소재등에 대해서도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방전램프(2)에 시동회로를 설치하여 방전램프(2)를 아아크 방전에 의해 기동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방전램프 한쌍의 전극중 음극으로서 동작하는 전극을 냉음극과 열음극을 접속시켜서된 복합전극으로 구성하였으므로, 방전램프에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는 램프전류의 광범위한 제어에 의해 방전램프의 수명에 거의 악영향을 주지않고 광범위하게 조광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1)

  1. 한쌍의 전극을 발브내에 대향되게 배치시킨 저압방전등에 있어서, 상기의 한쌍의 전극중 음극으로서 동작하는 전극은 열음극(4a)의 방전 공간쪽에 냉음극(4b)이 접속된 복합전극(4)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방전등은 한쌍의 전극 사이에서 글로우 방전에서 아아크 방전까지를 발생시키도록 램프 전류를 제어하는 점등회로(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 방전등.
KR1019870007525A 1986-07-14 1987-07-13 저압 방전등 KR9000061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63726 1986-07-14
JP61163726A JPS6319749A (ja) 1986-07-14 1986-07-14 低圧放電灯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2236A KR880002236A (ko) 1988-04-29
KR900006149B1 true KR900006149B1 (ko) 1990-08-24

Family

ID=1577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525A KR900006149B1 (ko) 1986-07-14 1987-07-13 저압 방전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19749A (ko)
KR (1) KR9000061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3372A (ja) * 1988-05-31 1989-12-07 Kubota Ltd 作業車の変速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0958A (ja) * 1982-09-30 1984-04-07 Ushio Inc 低圧水銀灯装置
JPS6016080A (ja) * 1983-07-06 1985-01-26 Sharp Corp 文字放送受信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9749A (ja) 1988-01-27
KR880002236A (ko) 1988-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93893A (en) Short arc fluorescent lamp
US5942850A (en) Miniature projection lamp
US5336968A (en) DC operated sodium vapor lamp
US5309061A (en) Compact fluorescent lamp having incandescent lamp starting aid
US5066892A (en) Glow discharge lamp with incandescent filament
WO1993011556A1 (en)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containing device for heating amalgam-forming material
US4983888A (en) Fluorescent lamp device
KR900006149B1 (ko) 저압 방전등
US4032814A (en) Fluorescent lamp with reduced wattage consumption
JP3400489B2 (ja) 複合放電ランプ
US4321501A (en) Low wattage, high pressure metal vapor discharge lamp for minimizing detrimental glow time
US3526803A (en) High-output fluorescent lamp with axial rod and amalgam mercury-vapor control means
US3373303A (en) Amalgam-containing fluorescent lamp with integral starting aid
US2748308A (en) Low-pressure arc-discharge tube supplied with direct current
US3878416A (en) Integral fluorescent-incandescent lamp structure
US5218269A (en) Negative glow discharge lamp having wire anode
JP3480340B2 (ja) 直流放電ランプ
US2312246A (en) Electric discharge device
JP2781394B2 (ja) 電球形蛍光灯
US2199956A (en) Mercury vapor glow lamp
JPH08222183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H1167159A (ja) 無電極hidランプ及びその装置
JPH07272674A (ja) 熱陰極放電管並びに熱陰極蛍光ランプ及びそれらの点灯装置
JPH10188907A (ja) 熱陰極低圧放電灯および熱陰極低圧放電灯装置
JPH047946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7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