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880B1 - 열식유량계(熱式流量計) - Google Patents

열식유량계(熱式流量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880B1
KR900005880B1 KR1019830003883A KR830003883A KR900005880B1 KR 900005880 B1 KR900005880 B1 KR 900005880B1 KR 1019830003883 A KR1019830003883 A KR 1019830003883A KR 830003883 A KR830003883 A KR 830003883A KR 900005880 B1 KR900005880 B1 KR 90000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signal
resistor
lin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069A (ko
Inventor
사다야스 우에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53691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58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40006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02D41/187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using a hot wire flow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84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 G01F1/6842Structural arrangements; Mounting of elements, e.g. in relation to fluid flow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fluid flow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thermal effects
    • G01F1/696Circuits therefor, e.g. constant-current flow meters
    • G01F1/698Feedback or rebalancing circuits, e.g. self heated constant temperature flow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1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rmal variables
    • G01P5/12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rmal variables using variation of resistance of a heated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열식유량계(熱式流量計)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센서부착부의 부분단면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회로도.
제3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인 센서구동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감온소자 16 : 증폭기
32 : A/D 변환기 40 : 베터리
50 : 신호선 52 : 복귀선
56 : 접지전위선
본원 발명은 열식유량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내연기관의 흡입공기량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열식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열식유량계로서는 플라티나 등의 온도의존저항체를 공기흡입관내에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온도의존저항체는 일정온도로 유지되도록 부귀환(負歸還)제어되고 있다. 흡입공기량의 변동에 응해서, 온도의존저항체에서 빼앗기는 열량은 변화하지만, 그 온도는 일정해지도록 귀환 제어되고 있기 때문에, 저항체를 흐르는 전류치를 측정함으로써, 흡입공기량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측정정도(測定情度)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측정정도가 높은 열식유량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원 발명자는 측정정도의 감정에서 여러가지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이 명백해졌다. 즉, 가열전류는 약 10㎃에서 150㎃까지 변화하며, 이 가열전류가 검출증폭된다. 여기서 이 검출증폭된 신호상에 가열전류의 변동의 영향이 중첩하여, 측정정도를 낮게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감온소자에서 전원으로 전류를 되돌리는 복귀선과, 감온소자에 접속한 증폭기의 접지전위선을 별도로 설치하고, 이 접지전위선을 신호처리부내에서 접지하도록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다음에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센서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도에 있어서, 흡입관(1)의 측방에는 바이패스관(2)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패스관(2)의 하류측은 삽입관(6)과의 사이에 형성된 흡입통로의 주위를 둘러싸는 링상통로에 접속되며, 출구(6A)에서 흡입통로에 개구하고 있다. 삽입관(6)과 스커어트부(1B)에 의해, 벤츄리부가 형성되며, 출구(6)는 벤추리부의 최협부(最狹部)에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출구(6)가 부압(負壓)으로 되며, 흡입통로를 흐르는 공기의 일부가 바이패스관내를 흐른다. 공기는 정압하에서 바이패스관(2)에 끌어 넣어져, 벨마우스(2A)에 의해 층상화된다. 바이패스관(2)내에는 흡입공기량을 측정하는 플라티나 등으로 이루어진 감온소자(3)와, 역시 플라티나 등으로 이루어진 온도보상소자(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감온소자(3)의 온도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회로 등은 회로케이스(5)내에 설치되어 있다. 검출된 신호는 케이블(7)을 통해서 신호처리를 하는 CPU 본체에 끌어 넣어진다. 그리고 화살표 W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는 내연기관의 연소실에 끌어 넣어진다.
다음에 회로구성에 대해서, 제2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동 도면 좌측에 나타낸 파선내는 센서부(10)이며, 제1도의 저항체(3), (4) 및 회로케이스(5)내의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동 도면 우측에 나타낸 파선내는 신호처리부(30)이며, CPU등을 포함하여 자동차에 실린다. 센서부(10) 및 신호처리부(30)에는 배터리(40)에서 전류가 공급된다.
센서부(10)의 구성에 대해서 다음에 설명한다. 센서구동회로(12)안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감열소자(3), 온도보상소자(4)나 감열소자를 소정온도로 유지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이 구동회로(12)는 배터리(40)에서 신호선(50) 및 도중의 코넥터(20)를 통해서 전류가 공급되며, 복귀선(52) 및 도중의 코넥터(22)를 통해서 배터리(40)로 되돌아간다. 또, 센서구동회로(12)에 있어서 검출된 공기유량신호는 저항(14)을 통해서, 차동증폭기(16)의 정입력단자에 접속된다. 또, 센서구동회로(12)의 복귀선(52)측의 단자가, 저항(15)을 통해서, 차동증폭기(16)의 부입력단자에 접속된다. 차동증폭기(16)에는 감온소자(3)를 흐르는 가열전류를 검출하는 저항의 양단의 전압이 입력하며, 이 양자의 차전압이 출력한다. 여기서, 공기유량신호를 증폭할 때에 상술한 구성의 차동증폭기를 사용하는 것은 신규의 것이다. 즉, 종래의 단순한 증폭기에 의해, 저항(14)의 출력을 증폭할 뿐이다.
차동증폭기(16)에는 귀환저항(17)이 설치되며, 이 귀환저항(17)은 가변이다. 또, 출력가변의 정전압회로(18)로 부터는 참조전압 VR이 차동증폭기(16)의 부입력단에 인가되고 있다. 그리고, 귀환저항(17)과 참조전압 VR에 의해, 영(零)-스팬조정이 행해진다. 이 조정은 다음처럼 행해진다. 예를 들면 공기유량이 20kg/ H일 때의 조정용의 기준출력치 V1와, 200내지 300kg/ H일 때의 기준 출력치 V2가 미리 구해져 있다. 조정시에 있어서는 유량이 20kg/ H일 때와 300kg/ H일 때의 출력치가 구해지며, 기준출력치 V1, V2와 비교된다. 그리고 기준과의 차에 응해서 최초에 귀환저항(17)의 값이 적절히 바뀌며, 증폭기(16)의 이득이 바뀐다. 다음에, 재차 2종류의 유량에 대한 출력이 구해지고, 이번에는 참조전압 VR이 적절히 바뀐다. 이 두개의 조정을 두세번 반복함으로써, 출력치는 기준출력치에 용이하게 일치시켜, 조정을 할 수 있다. 이 영-스팬조정회로가 센서부(10)에 있는 것도 본원 발명의 특징이다.
차동증폭기(16)의 출력은 유량신호선(54)을 통해서 신호처리부(30)내의 A/D 변환기(32)에 끌어 넣어지고 디지탈신호로 변환된다. 이 디지탈신호는 도시생략의 CPU에 끌어 넣어져서 연료분사량을 결정하는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또, 차동증폭기(16)와 정전압회로(18)의 접지전위선(56)은 복귀선(52)과는 별도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전위선(56)은 센서부(10)에서 신호처리부(30)내에 유도되며, A/D 변환기(32)의 입력단부 부근의 점(34)에 있어서 접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술한 접지전위선(56)을 복귀선(52)과 별도로 하는 일이나, 접지전위선을 신호처리부(30)내에서 접지하도록 한 것도 본원 발명의 특징이다.
또, 각선(50), (54), (56)의 센서부(10)에의 입력단은 모두 칩콘덴서(24), (26), (28)을 통함으로써 노이즈대책을 하고 있다.
다음에, 센서구동회로(12)의 상세에 대해서 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감온저항(3)에 직렬로 저항(60)이 접속되어 있다. 저항(62), (64)의 직렬체는 감온저항(3)에 병렬로 접속되어서, 감온저항(3)의 양단전압을 분압한다. 온도보상저항(4)은 저항(66)과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감온저항(3)과 저항(60)의 접속점은 증폭기(68)이 비반전 입력에, 저항(4)과 저항(66)의 접속점은 반전입력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68)의 출력은 증폭기(70)의 비반전입력에 접속되며, 반전입력에는 저항(62)과 (64)이 접속점에 접속되어 있다. 증폭기(70)의 출력은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에 주어진다. 트랜지스터(72)의 콜렉터는 저항(74)을 통해서 터어미날(20)에서 배터리(40)에 접속되어 있다. 에미터는 감온저항(3)과 저항(62)의 접속점에 접속된다. 저항(60)과 (66)의 접속점은 터어미날(22)에 접속된다. 감온저항(3)과 저항(60)의 접속점은 저항(14)을 통해서 증폭기(16)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72)가 도통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트랜지스터(72)의 에미터전류는 저항(3), (60)의 직렬회로에 흐르는 동시에 저항(62), (64)의 분압회로에 흐른다. 증폭기(68)는 그 반전입력과 비반전입력의 전위 즉, 저항(3), (60)의 접속점의 전위와 저항(4), (66)의 접속점의 전위를 비교하며, 그들이 같아지도록 출력전압을 제어한다. 또 증폭기(70)는 저항(62), (64)의 접속점의 전위와 증폭기(68)의 출력전위가 같아지도록 트랜지스터(72)의 베이스전압을 제어한다. 즉, 증폭기(70)는 감온소자(9) 단자간전압의 분압과 저항(4)의 단자간전압을 같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저항(4)의 단자간전압을 저항(3)에 비해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여기서, 감온저항(3)을 흐르는 전류는 평형상태에 있어서는 유량의 함수로 되며, 이 전류와 저항(60)을 흐르는 전류는 같기 때문에, 저항(60)의 단자간전압을 측정함으로써 유체의 유량측정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접지전위선(56)을 복귀선(52)과 별도로 설치하고, 접지전위선의 접지점을 신호처리부(30)측에 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양선을 공통으로 하고, 접지를 신호처리부측과 비교해본다. 이 경우, 회로(12)의 접지측에서 접지점의 사이의 복귀선(52)상에는 코넥터(22)처럼 저항치가 크게 경년변화하는 부분이 있다. 한편, 이 복귀선상에는 회로(12)에서 가온저항(3)을 흐르는 가열전류가 흐르고 있다. 그리고, 이 가열전류는 공기유량에 응해서 변화하기 때문에 접지점과 복귀선 및 접지전위선의 접속점과의 사이의 전압이 변화한다. 이 변화는 증폭기(16)의 접지단자의 전압변동을 초래하므로 신호의 증폭정도가 낮아진다. 이것에 대해, 본원 발명에서는 이런 문제는 해결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점을 센서측에 설치했을 경우, 차체접지로 되기 때문에, 점화신호 등 고전압의 영향을 받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또, 증폭기(16)를 차동증폭기로 함으로써, 가열전류의 검출저항(60)의 양단 전압만을 정도좋게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증폭기(16)의 접지전위의 변동을 더욱 받기 어렵게 된다.
이상 상술한 것처럼 본원 발명에 의하면 유량계의 유량측정정도가 향상된다.

Claims (1)

  1. 감온소자 및 이 감온소자를 흐르는 전류는 증폭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진 센서부와, 이 증폭기로부터의 신호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디지탈 연산부로 이루어진 신호처리부와, 전원과 이 전원에서 상기 감온소자 및 상기 증폭기에 전류를 공급하는 신호선과, 상기 감온소자에서 상기 전원에 전류를 되돌리는 복귀선과, 상기 증폭기의 접지전위선을 가지며, 이 접지전위선을 상기 신호처리부내에서 접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식유량계.
KR1019830003883A 1982-08-23 1983-08-19 열식유량계(熱式流量計) KR900005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144738A JPS5935109A (ja) 1982-08-23 1982-08-23 熱式流量計
JP144738 1982-08-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069A KR840006069A (ko) 1984-11-21
KR900005880B1 true KR900005880B1 (ko) 1990-08-13

Family

ID=1536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883A KR900005880B1 (ko) 1982-08-23 1983-08-19 열식유량계(熱式流量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34218A (ko)
EP (1) EP0103212B2 (ko)
JP (1) JPS5935109A (ko)
KR (1) KR900005880B1 (ko)
DE (1) DE3375511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53711A (ja) * 1985-12-27 1987-07-08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 Co Ltd 感温式流量測定装置
JPS62153712A (ja) * 1985-12-27 1987-07-08 Japan Electronic Control Syst Co Ltd 感温式流量測定装置
JPS62165518U (ko) * 1986-04-10 1987-10-21
KR910002791B1 (ko) * 1987-01-23 1991-05-04 미쓰비시 뎅끼 가부시기가이샤 에어프로센서용 입력처리회로
JPH07122586B2 (ja) * 1987-02-02 1995-12-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ア・フロ−・センサ用入力処理回路
US4918995A (en) * 1988-01-04 1990-04-24 Gas Research Institute Electronic gas meter
JP2765881B2 (ja) * 1988-11-09 1998-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吸入空気量計測装置
JPH06105176B2 (ja) * 1989-06-14 1994-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式空気流量計
US5263369A (en) * 1992-07-24 1993-11-23 Bear Medical Systems, Inc. Flow sensor system and method
JP2682348B2 (ja) * 1992-09-17 1997-11-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空気流量計及び空気流量検出方法
US6354275B2 (en) * 1996-09-13 2002-03-12 Hitachi, Ltd. Thermal air flow meter
JP2000018989A (ja) * 1998-06-30 2000-01-21 Hitachi Ltd レシオメトリック出力型発熱抵抗体式空気流量計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8893B1 (ko) * 1970-08-29 1974-12-24
US3975951A (en) * 1974-03-21 1976-08-24 Nippon Soken, Inc. Intake-air amount detect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056975A (en) * 1976-02-09 1977-11-08 Tylan Corporation Mass flow sensor system
DE2751196C2 (de) * 1977-11-16 1985-06-2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Luftmengenmessung
JPS5543447A (en) * 1978-09-22 1980-03-27 Hitachi Ltd Hot-wire type flow rate measuring device
US4206638A (en) * 1978-12-06 1980-06-10 Djorup Robert Sonny Directional heat loss anemometer transducer
DE2852904A1 (de) * 1978-12-07 1980-06-19 Vdo Schindling Durchflussmesseinrichtung
JPS5618721A (en) * 1979-07-24 1981-02-21 Hitachi Ltd Air flow meter
JPS5722563A (en) * 1980-07-15 1982-02-05 Hitachi Ltd Sucked air flowmet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75511D1 (en) 1988-03-03
KR840006069A (ko) 1984-11-21
EP0103212A1 (en) 1984-03-21
JPS5935109A (ja) 1984-02-25
EP0103212B1 (en) 1988-01-27
JPH0326436B2 (ko) 1991-04-10
EP0103212B2 (en) 1993-10-13
US4534218A (en) 1985-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2731A (en) Air flow meter
US4821700A (en) Device for determining mass flow and direction of flow
US4571996A (en) Air flow sensor
US3992940A (en) Solid state fluid flow sensor
US4283944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mass of a fluid medium
US4400974A (en) Intake air amount detecting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125093A (en) Solid state fluid flow sensor
KR900005880B1 (ko) 열식유량계(熱式流量計)
US4502325A (en) Measurement of mass airflow into an engine
EP0387025B1 (en) Temperature compensating circuit
US4409828A (en) Gas flow measuring device
JP3421245B2 (ja) 発熱抵抗体式空気流量測定装置
US4384484A (en) Gas flow measuring device
US4475388A (en) Thermal flowmeter with temperature compensation
KR20020075417A (ko) 저항 평형 방법 및 그 장치
KR19990013637A (ko) 열형 유량측정 장치 및 그 온도오차 보정수단
EP1004856A2 (en) Thermal air flow meter
US4571991A (en) Air flow measuring apparatus
KR100436611B1 (ko) 유체의유동률을측정하는장치
JP3675721B2 (ja) 熱式空気流量計
JPS6013446B2 (ja) 気体流量測定装置
KR100262225B1 (ko) 유속측정회로
JP3384102B2 (ja) 熱式流量測定装置
JPH0143883B2 (ko)
JPS5858428A (ja) 3線式温度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16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