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868B1 - 사점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 Google Patents

사점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868B1
KR900005868B1 KR1019870008902A KR870008902A KR900005868B1 KR 900005868 B1 KR900005868 B1 KR 900005868B1 KR 1019870008902 A KR1019870008902 A KR 1019870008902A KR 870008902 A KR870008902 A KR 870008902A KR 900005868 B1 KR900005868 B1 KR 900005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pring
actuator
force
dead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8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3358A (ko
Inventor
브루노 자께
쟝-삐에르 테리에르
프레데리끄 노이로
Original Assignee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쟝-뽈 프랑시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933830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0000586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쟝-뽈 프랑시롱 filed Critical 라 텔레메카니끄 엘렉트리끄
Publication of KR880003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3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2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 H01H83/2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 H01H83/223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xcess current as well as by some other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 the other condition being imbalance of two or more currents or voltages with bimet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2071/109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with provisions for selecting between automatic or manual res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5/12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having two or more snap-action motions in succession

Landscapes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Primary Cells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Hybrid Cells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Gears, Cam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 Transmitter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Toy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rushe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사점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제1도는 사점(死點)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정래형 전환스위치의 개량설명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사점 오우버런장치의 로커의 레벨에서 작동하게 되는 힘의 도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이중충격 스위치장치의 개략설명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장치에서 사용된 로커에 결합된 스프링에 힘 FB이 적용되는 동안 이용된 힘의 도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장치에 사용된 하나의 이동접촉홀더 레벨에서 이용된 힘의 도해도.
제6도는 릴리이즈 단계동안, 제3도에 도시된 장치의 두개의 이동접촉 홀더의 정지표면 레벨에서 스트로크와 힘을 나타내는 도해도.
제7도는 제6도와 유사한 도면으로 리셋팅 단계동안의 도해도.
제8도는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도해도를 나타나는 변수 a, b, c 및 FF의 상호 편차를 나타내는 도해도.
제9도는 기울기가 제로인 정지표면의 레벨에서 쓰여지는 힘이 있는 스프링에 의해 밀려나가는 이동접촉 홀더의 일실시예의 개략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레버 12 : 스피링
13 : 스프링 한쪽끝 14 : 지지점
15,16 : 이동접촉홀더 19,20 : 이동접촉전극
21,22 : 고정접촉전극 23,24 : 정지표면
25,26 : 리턴스프링
본 발명은 사점오우버런장치(dead point over-run)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점오우버런장치는 예를 들면 스위치 또는 제어접촉같은 전기기장치에 통용되고 있다.
그래서, 전환 부품은 이미 주어진 평면에서 이동할수 있는 사점오우버런장치의 사용이 제안되어있고, 한끝이 이동접점전극에 있고, 제1각 위치에서 예각의 부채꼴이 바람직한 제2위치로 움직이도록 평면에 수직인 축에 대해서 한끝에서 떨어져서 회전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이러한 두 개의 각 위치가 고정접촉전극을 구성하고, 이동접촉전극에 협력하는 두 개의 정지부로 되어있는 레버와, 한쪽은 상기 축으로부터 공간져서 떨어진 위치에서 레버에 고정되어있고 제어수단에 결합된 다른쪽은 상기 예각부채꼴 외부의 상기 평면범위에 자동중계되어 이동할수 있는 스프링이 있다.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 스프링이 레버에 같은 방향으로 뻗어있을 경우 사점위치에 도달한다. 마찰력이 있으면 이러한 사점위치는 이론적으로 불안정하여서, 스프링과 레버사이의 한쪽면(또는 다른면)의 최소한의 각 편차는 한쪽면(또는 다른면)에 대해 레버가 흔들리게 한다.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 레버에 적용하는 힘의 역성분은 반대로 되기전에 사점을 지나면서부터 스프링(토오크)에 의해 상쇄되고, 각면에 놓여있고 사점에 인접한 두 개의 지대에 매우 낮게 남아있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스프링에 가해지는 운동이 느린운동인 경우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불합리점이고, 상기 지대에 정지시간이 있게 된다.
사실상, 이러한 지대에 있어서, 이동 및 고정접촉전극의 접촉압력은 제로가 된다. 결국, 전기접촉의 질은 결정적으로 나쁘게 되고, 전류의 통로는 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외란(예를들면 진동)때문에 제멋대로되게 된다. 그러한 작동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 그러한 장치에 의해 제어된 회로에 해가되어서 받아들일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위치 기능으로부터 사점오우버런장치에 의해 제공된 작용 기능을 분리시킴에 의해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스위치 기능을 위하여 사점오우버런장치에 의한 충격에 의해 작용된 스위치장치가 사용된다.
적어도 두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작동기와, 사점위치를 지난후 한 위치에서 다른위치로 작동기를 움직이는 운동이 있는 제어부재와, 작동부재가 작동기의 각면에 배치되어서 두 위치의 하나에 대응하여 인접하고, 스트로크의 파편에서 상기 작동기에 이러한 작동부재 각각이 협력하는 두 개의 스위치 장치가 있는 쌍안정의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할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두개의 각부를 나타내고, 상기 작동부재를 협력하기 적합한 적어도 일부가 있는 두개의 정지부사이에 흔들릴수 있도록 제1고정축에 대해서 회전하기 위항 설치된 레버를 구성하고, 이러한 레버는 스프링의 작용을 받고, 상기 고정축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레버에 고정된 제1단과 상기 단에서 떨어져서 놓인 부는 상기 제어부재의 작용하에 이동할수 있고, 부품은 상기 쌍안정 장치를 형성하는 상기 레버와 상기 스프링이 있다.
스위치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부재는 상기의 협력동안 작동기에 의해 생성된 것보다 작은 값이지만 반대되는 힘을 쓰도록 탄력수단에 의해 내밀려지는 것이 유리하다.
전환부품을 형성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에 있어서, 작동기가 스위치 장치의 하나를 개방하여 유지하면 다른 하나가 작용하지 않거나, 닫힌 위치에 있는 까닭에 두 스위치는 보통은 닫힌 형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하 설명한다.
제1도를 참고하여, 사점오우버런장치에 접촉하는 종래의 이중변환기는 한쪽끝이 축 0에 대해서 피봇선회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다른쪽끝에 이중접촉삽입부(2)가 있는 레버(1)(또는 브레이드)의 모양으로 이동접촉 홀더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1)의 작동은 한쪽 끝(6)이 레버(1)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7)이 점(8)에서 지지되는 유연 연결부(9)에 기계적으로 고정된 스프링(5)에 의해 제공된다.
그러므로 스프링의 끝(7)운동은 예를들면 지지점(8)의 자동중계운동에 의하거나 이렇나 끝(7)에 힘 F이 가해지거나에 의해 일어난다.
스프링(5)과 레버(1)의 상대적인 배열이 제공되어서, 한쪽방향이거나 다른쪽 방향이거나 스프링 끝(7)의 운동동안, 스프링(5)은 레버에 같은 방향이 되고, 상기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OX 또는 OZ 위치의 어느 하나에 있는 레버는 다른 위치에 일치될때까지 흔들리는 레버를 지나서 사점을 지나는 통로가 얻어진다. 그래서 이중삽입구(2)는 고정접촉전극에 대응하여 접촉하도록 옮겨진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1)위의 스프링(5)에 의해 씌여진 힘 FR은 레버(1)에 같은 방향인 힘 FL과 힘 FL에 수직인 힘 FP로 나누어지고, FP는 FRsinα과 같고, α는 레버(1)와 스프링(5)에 의해 형성된 각이다.
이중접촉삽입부(2)의 레벨에 가해진 접촉 힘 FC는 FCL2=FPL1이고, L1은 스프링(5)의 한끝(6)에서 회전축 0까지의 거리이고, L2는 이중접촉삽입부(2)와 축 0사이의 거리이다. 이러한 접촉 힘 FC의 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1
도시된 위치에서 위치(8')로 지지점(8)을 옮기는 운동이거나 끝(7)에 적용되는 힘 F의 작용하에서, 스프링(5)이 레버(1)에 중심이 맞춰지는 경우, 각 α은 제로이고, 접촉력 FC로 제로이다.
이것의 특징은 스프링 끝(7)의 운동이 빠른 경우에도 다루기가 쉽다. 한편, 느린 변위(항온기,열 계전기에서)의 물리적 크기에 의존하는 운동의 경우에 있어서, 사점에 근접한 곳에서 정지하는 시간이 되고, 결국 접촉력이 실제로 제로가 되는 사항의 시간에 유지되고, 결합된 자동장치의 특린 작동에 손해를 입게된다(약간의 접촉이 외부 진동에 의하거나 힘을 제로로 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요지가 이러한 결점을 극복하는 해결책이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형태의 사점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하고, 그러므로, 유사한 배열로 레버 또는 로커(11) 및 지지점(14)의 운동에 의하거나 한쪽 끝(13)에 힘 FB를 가하거나에 의해 움직이는 한끝이 있는 스프링(12)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있어서, 헤버(11)의 끝(11')은 접촉전극을 지지하지 않을 뿐아니라 끝의 각각의 면에 배치된 두 개의 스위치 장치를 작동하기 위한 부재도 협력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스프링(12)의 끝(13)에 의해 사점위치를 지나면, 레버(11)의 흔들림이 있고, 스위치 장치를 작동하는 부재의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충격을 일으킨다.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위치 장치 각각은 한쪽끝(17)(18)에서 피못선회하기 위하여 설치된 브레이드를 구성하고, 다른쪽 끝에는 고정접촉전극(21)(22)에 접하는 이동접촉전극(19)(20)이 제공된 이동접촉홀더(15)(16)가 있다.
더우기 그 끝에는 레버(11) 끝(11')의 통로에 뻗은 정지표면(23)(24)이 있어서, 사점통행장치가 이동접점전극(19)(20) 및 고정접점(21)(22)의 분리를 발생하기 위하여 부딪히게 되는 작동부재로서 작용된다. 더우기, 이동접촉홀더(15)(16) 각각은 대응하는 고정접촉전극(21)(22)에 대해서 이동접촉전극(19)(20)에 적용하게 되는 리턴스프링(25)(26) 각각에 의해 밀려진다. 스프링(12)에 반대되는 작용을 하는 리턴 스프링(25)(26)은 결합된 이동접점전극(15)(16)의 정지표면(23)(24)에 레버(11)의 끝(11')이 협력된 경우, 사점을 통과하는 예상 통로를 약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레버(11)의 흔들림은 세단계로 제한된다. 즉, 제1고정 정지부 A는 이동접촉홀더(15)의 측면에 배치되고 이러한 고정부 A는 장치의 정지위치에 대응하는 제1안정상태를 실현한다. 이 위치에 있어서, 이동접촉전극(19)은 고정접촉전극(21)으로부터 이동접촉홀더(15)의 정지표면(23)에 레버(11) 끝(11')의 작용에 의해 떨어져서 유지된다(스프링(12)에 의해 발생되는 토오크보다 적은 토오크가 이동접촉홀더(15)에 의해 레버(11)에 가해진다). 이동접촉홀더(16)는 레버(11)에 의해 밀리지 않기 때문에, 이동접촉전극(20)은 스프링(26) 효과하의 고정접촉전극(22)에 대해서 접함점이 있다.
제2고정 정지부 A'는 이동접촉홀더(16)쪽에 배치되고, 장치의 벗겨진 상태에 대응하는 제2안정 및 전환상태를 실현한다. 이것은 제3도와 정반대의 위치이고, 접촉전극(20)(21)이 분리되어 있고, 접촉전극(19)(21)이 접합점에 있는 까닭에, 정지표면(24)위에 지탱하게되는 끝(11')있는 레버(11)에 의해 이동접촉홀더(16)가 밀려지고, 이러한 정지부 A'의 위치는 그위에 제공되어서 전환 및 불안정 상태는 스프링(12)의 끝(13)에 쓰여진 힘 FB이 충분한 동안은 레버(11)을 유지하는 위치를 얻는다. 이러한 정지부 A의 사용은 열계전기에서 "자동리셋"에 대응한다.
제3정지부 A"는 정지부 A' 와 같은 쪽에 놓여 있지만, 정지부 A에서 더 떨어져 있고, 장치가 더 이상 전환할수 없는 지대에 있고, 스프링(12) 끝(13)의 역운동이 사점을 지나는 새로운 통로가 발생되지 않음은 말할수 있고, 단지 외부작용만이 정지위치로 리턴한다. 이러한 정지부 A"의 사용은 열계전기에 있어서 수동 리셋모우드에 대응한다.
이러한 정지부들은 정지부 A, A', A"의 경우처럼 레버(11)에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고 이동접촉홀더(15)(16)에도 작용함을 알수 있다. 그러므로 정지부 B, B', B"가 이 경우에 상당하여 도시되어 있는 이유이다.
정지부 A' 및 A"가 동시에 사용되지 않는 사실을 고려하면 장치는 이러한 정지부의 어느한쪽으로 되도록 제공된다.
그래서 이동접촉홀더(15)(16)의 작용과 스프링(25)(26)을 레버(11)에 대응하는 작용은 제1도 및 제2도에 대해서 상기에 설명된 사점통행 장치의 작동상태를 약간 변형한 것이 입증된다.
그래서, 스프링(25)이 없다면, 레버(11)는 스프링(12)과 레버가 중심이 맞춰지자 마자 정지부 A를 떨어진다.
시점을 지나는 통로를 따르는 흔들림 방향에서 작용하는 스프링(25)의 존재 때문에, 약간의 예상을 할 수 있다. 그러한 흔들림동안, 이동접촉홀더(15)는 이동접촉전극(19)이 고정접촉전극(21)에 지탱하도록 될 때까지 이동접촉홀더(16)를 때리거나 밀기위한 레버(11)를 수반한다. 그순간, 스프링(12) 작용을 통하여 정지표면(24)에 발생하는 힘이 스프링(26)에 의해 발생하는 힘보다 더 커서, 레버(11)는 정지부 A' 또는 A"보다 멀리 이동을 계속한다.
수동또는 자동 리셋팅은 오직 스프링(12)의 끝(13)이 원래의 위치(제3도에 도시된 한쪽)로 돌아오고 있거나 돌아오는 범위에서 발생한다. 열계전기에 있어서, 그러한 리턴은 냉각단계동안 바이메탈 스트립의 회수운동에 의해 제공된다.
리셋팅은 정지부 A'(또는 B')에 일치할때까지 정지부 A"(또는 B")의 운동에 의해 제공된다.
스프링(26)이 없다면, 자동리셋팅은 스프링(12)의 레버(11)의 축으로 넘어가자마자 발생한다.
상기 설명된 장치의 이점은 트리핑동안뿐아니라 리셋팅동안도 이동 및 고정접점전극의 접촉압력이 제로로되는 위험을 제거하는 것에 있다. 이것은 부수부재 제어의 더 큰 신뢰성을 제공하여서, 종래의 사점오우버런 장치에서 만나는 알려진 외란(마이크로커트,비이팅)을 피한다.
이러한 장치는 열계전기의 트리핑/신호 전극으로서 작용되도록 그 자체가 특히 적절히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계전기의 바이메탈스트립의 변형은 스프링의 끝에 적용되는 힘 FB을 준다. 상기 언급한 바와같이, 레버(11)의 끝(11')에 수직한 정지위치에서 가해진 힘 FC은 다음의 식이다.
Figure kpo00002
이러한 힘은 각 α이 제로일 경우 상쇄되고, 즉 스프링912)이 레버(11)의 축에 있을 경우이다. 스프링 끝(13)의 바이메탈스트립에 의해 고정된 채로 있는 지지점(14)과 같이 쓰여진 힘은 제4도에 도시된 형태로 이끌리는 운동을 일으키고, 스프링(12)은 지지점(14)를 통하고 스프링의 끝(12')를 통하는 직선에 관하여 각 β를 형성한다.
바이메탈 스트립에 의해 가해진 힘은 FB=FRsinβ와 같다. 왜냐하면 각 α와 각 β가 작다고 가정하면, 힘 FR은 초기힘 FRO에 같고(즉, 스프링의 무시해도 좋은 신장 때문에, 이러한 스프링에 의해 축으로 가해진 힘은 초기 힘 FRO가 같고 일정하다), FB의 힘/스트로크 도해도는 직선이다.
각 α이 작고. 일정하다고 가정한 힘 FB에만 의존하는 레버(11)의 끝(11')에서 힘 FC는 가해진다.
그때, 레버(11)의 끝(11')에서의 힘/스트로크 분해도는 흔들림동안 직선이다. 관련된 힘 FF이 이동접촉홀더(15)와 스프링(25)에 의해 정지표면(23)의 레벨에서 가해짐에 있어서, 제5도에 도시되어있는 이러한 힘은 X=2이면 2a-b+2a-b=DH≥0dl 되는 조건에 의해
Figure kpo00003
이어야 한다.
조건 5 : 이동접촉홀더(15)(16)가 같은 특성, 즉 유사한 상황에서 힘이 같다. 특히
Figure kpo00004
또는
Figure kpo00005
또는 FF(2)=-FO(1)이라고 가정하여 시작하면, 그때 다음과 같은 관계를 얻는다.
2c+b=-c+d 즉 3c+b-d=0
두 개의 상기 방정식에서 그러한 결과가 있음에 의해
Figure kpo00006
을 얻는다. a=b이면 BI=DH인 등식은 조건 1의 a>b에 모순되기 때문에 성립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조건 6 : a-b-o≥0의 관계로부터, 이동접촉홀더(15)(16)의 특성인 기울기 C는 c<a-b라 추론한다.
작동에 있어서 확실한 신빙성을 위하여, 접촉에서 가장 커다란 힘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접촉홀더(15)(16)의 끝에서 가장 커다란 힘의 특히 양호한 충격저항을 하게한다.
가로좌표 2인 힘 FF은 FF=cx+b=2c+b와 같다.
b가 양의 값이면 최대 양의값c 즉, 조건 6에 따른 c=a-b인 최대 FF를 가진다.
그러므로 FF=2(a-b)+b=2a-b를 가진다.
변수 a, b, c, FF의 상호 진동은 제8도의 도해도에 주어져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기울기 a가 이동접촉홀더 F의 기울기 c보다 약간 더 크면 레버(11)가 분면하게 구동되는 것을 막을 것이다.
실제로
Figure kpo00007
보다 적은 값 c을 취한다. 본 발명은 기울기 c가 0인 이동접촉홀더를 얻기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이동접촉홀더는 두 개의 각위치 YS 및 YS'사이에 이동할수 있고 피봇부 Y에 의해 끝의 한곳에서 피봇선회하기 위하여 설치된 접촉브레이드(30)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브레이드(30)는 스프링(31)이 두 위치 YS, YS' 사이의 중간 다음의 식이다.
Figure kpo00008
여기서 13는 이동접촉홀더(15)위의 스프링(25)의 고정점(25')과 회전축(17)사이의 거리이고, 14는 정지표면(23)과 축(17)사이의 거리이며, γ는 스프링(25)과 이동접촉홀더(15)에 형성된(축(17)에 정지 표면을 연결한 직선이상)각이고, F1은 스프링(25)에 의해 가해진 축방향 힘이다.
유사하게 이동접촉홀더(16)과 스프링(26)에 의해 접촉표면(24)의 레벨에서 가해진 힘 FO은 다음의 식이다.
Figure kpo00009
여기서 15, 16, F2및 δ은 13, 14, F1및 γ와 같은 것이다.
각 γ 및 δ이 작으면, 두 개의 이동접촉홀더(15)(16)를 위하여 힘/스트로크 도해도는 직선이 되게된다.
전환부품의 두 개의 이동접촉홀더가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해 일어나는 전기의 바이메탈스트립의 변형에 의해 작용되는 사실을 고려하면, 이러한 이동접촉홀더의 힘/스트로크 도해도가 대칭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동접촉홀더915)에 의해 정지위치에서 가해진 힘 FF은 레버(11)의 힘 FC에 반대이다. 스프링(12)의 변형에 의한 끝(13)위의 바이메탈 스트립의 작용은 각 α와 힘 FC을 감소한다. 분명한 커트작동을 하도록 FC가 레버(11)의 FF보다 약간 작게 되자마자 제2안정상태로 명확하게 흔들려야 한다. 그렇게 하면서 접촉전극(20)(22)이 열리도록 이동접촉홀더(16)의 스프링(26)에 의해 공급된 저항력보다 큰 힘을 정지표면(24)에 가하여야 한다.
안전을 위하여, 이러한 통로는 동력에너지만이 분명하게 발생하여야 하고, 즉 정적이어야하며, 레버(11)와 이동접촉홀더(15)에 의해 쓰여지는 구동력은 정지표면(24)에 의해 쓰여진 저항력보다 더 커야만 한다.
이를 위하여, 구동력 FC의 기울기는 이동접촉홀더에 의해 쓰여진 저향력의 기울기보다 더 커야만 한다.
이러한 특징은 가로좌표에 스트로크비율, 세로좌표에 힘의 비율이 제6도(트리핑) 및 제7도(리셋팅)의 도해도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이러한 두 개의 비율은 임이의 단위이다. 이러한 도해도는 정지표면(23)(24)의 레벨에서 힘과 스트로크를 대표한다. 대칭의 이유를 위하여, 총 스트로크는 3개의 같은 부분으로 분활된다.
이러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정지위치에 있어서, 레버(11)의 끝에서의 힘 FC은 힘의 마이너스 비율의 점 FCR에서 놓인다. 이동접촉홀더(15)의 정지표면(23)은 FF=cx+b 형태의 FF와 같은 힘으로 레버(11)의 끝을 지탱한다. 정지위치에서, 가로좌표가 0이면 FF=b이다.
가로좌표점(1)은 레버(11)의 끝(11')에 의해 이동접촉홀더(16)의 정지표면(24)의 구동에 대응한다.
가로좌표점(2)은 접촉전극(19)(21)이 있는 스위치장치의 폐쇄에 상당한다.
가로좌표점(3)은 벗겨진 상태에 상당한다. 열 계전기의 정상작동에 있어서, 레버(11)는 정치위치내에 있고, 스프링(12)은 리셋팅후 가로좌표 0를 위한 세로좌표 FC보다 더 작은 세로좌표위의 임의값으로 놓여진 힘 FCR을 끝에서 발생한다. 바이메탈 스트립의 가열을 일으키는 과부하의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힘이 감소하거나 음으로 낮아지는 것이 좋다. -b값에 도달할 경우, 접촉홀더(16)에 의해 쓰여진 정지힘의 균형을 바로 맞춘다. -b값, (-b+ε)값에 근접하게 되자마자, 레버(11)는 그 끝에서 발생하는 힘과 상태가 FC=ax-b의 식에서 가로좌표점이 0에서 3까지 변한다. 톱니곡률 OABCODE은 정지표면(23)(24)의 레벨에서 작용하는 힘의 결과(대수 합)를 나타낸다.
이동접촉홀더(15)와 같은 기울기 C의 대칭적인 특성이 있는 이동접촉홀더(16)는 식 FO=cx-d의 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장치의 자동리셋팅은 제7도에 예시된 절차의 정반대로 제공되어있다.
트리핑동안, 레버(11) 끝(11')에서의 힘은 FCr의 감소에 의해 스프링(12) 끝(13)에 적용된 힘을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힘이 값 b에 도달할 경우, 스프링(26)에 의해 정지표면(24)의 레벨에서 발생된 힘의 균형을 잡는다. b보다 약간 작은 FC의 값을 위하여, 레버는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흔들리고 되돌아온다. 이러한 작동은 상기의 것에 대칭적이고, 이 대칭은 따라서 제7도의 도해도에서 볼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장치의 작동조건은 다음과 같고, 안전을 위하여 이동부분의 운동에너지에 대한 설명을 하지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조건 1 : 가로좌표점 0에서, 힘 FF은 b>0으로부터 양이되어야 한다.
조건 2 : 가로좌표점 1에서, 레버(11)는 식 FC=ax-b의 힘 FC는 양이 되어야하는 즉 FC=a-b>0이거나 a>b로 구동되어야 한다.
조건 3 : 가로좌표점 1에서, 톱니 합력의 저단부는 0과 같거나 그것보다 커야한다. 즉 방정식 cs+b+ax-b+cx-d=BI≥0은 x=1이면 a+2c-d=BI≥0이 되는 조건에 의해
Figure kpo00010
이어야 한다.
조건 4 : 가로좌표점 2에서, 톱니합력의 조단부는 0과 같거나 그것보다 커야한다. 즉, 방정식 ax-b+ax-b+cx-d=DH≥0은 위치에서 일치된 경우, 브레이드(30)에 수직하고 피봇부 Y를 지나는 직선 D위에 놓인 고정부착점(32)이 있는 스프링(31)에 의해 밀려진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드(30)의 작은 각 작동을 고려하면, 스프링(31)의 길이와 레버아암도 일정하게 남아있다. 유사하게, 두 개의 각 위치 YS, YS'를 위하여 브레이드(30)의 끝에서 쓰여진 반대 힘 FG, FG'은 같다.
이러한 형태의 이동접촉홀더의 이점은 제조시 스트로크의 기능으로써 어떠한 힘도 조절해야만 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적어도 두 위치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작동기와, 사점위치를 지난후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작동기를 움직이는 운동이 있는 제어부재와, 작동부재가 작동기의 각면에 배치되어서, 두 위치의 하나에 대응하여 인접하고, 스트로크의 파편에서 상기 작동기에 이러한 작동부재 각각이 협력하는 두 개의 스위치 장치가 있는 쌍안정의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이중충격 스위치장치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두 개의 각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작동부재를 협력하기 적합한 적어도 일부가 있는 두 개의 정지부사이에 흔들릴수 있도록 제1고정축에 대해서 회전하기 위하여 설치된 레버를 구성하고, 이러한 레버는 스프링의 작용을 받고, 상기 고정축에서 떨어진 위치에서 레버에 고정된 제1단과 상기 단에서 떨어져서 놓인 부는 상기 제어부재의 작용하에 이동할 수 있고, 부품은 상쌍안정 장치를 형성하는 상기 레버와 상기 스프링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의 상기부는 이 스프링의 제2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작동기에 의해 발생되는 것보다 적은 값이지만 반대되는 힘에 쓰이도록 탄성수단에 의해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스위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에 전환부품을 형성하도록 정상적으로 폐쇄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는 사점오우버런장치의 정반대작동을 하도록 배열되어서, 제1위치에서 제2위치까지 작동기의 흔들림을 일으키는 제어부재의 운동이 뒤따르고, 사점을 통과한 후, 제어부재의 반대방향운동은 작동기를 제1위치로 리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가 멀리 있지 않은 제3위치라 하면, 제어부재의 단순 운동에 의해 상기 두 위치의 하나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장치 각각은 하나이상의 고정접촉전극과 고정접촉전극에 협력하는 하나이상의 이동접촉전극이있고, 제1축에 평행한 제2축에 대해서 피봇선회하기 위하여 설치된 이동접촉홀더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링에 의해 밀려지고, 이러한 이동접촉홀더는 상기 작동기에 협력하기 적합한 정지표면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이동접촉홀더의 각각 위의 작동기에 의해 쓰여진 힘의 기울기는 작동기위의 상기 이동접촉홀더에 의해 쓰여진 저항력의 기울기보다 매우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하나이상의 이동접촉홀더는 작동기위에 기울기 제로의 저항력이 쓰이도록 적합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 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접촉홀더는 피봇부에 의해 한 끝에서 피봇선회하기 위하여 설치되고, 두 개의 각 위치사이에 이동할수 있는 접촉브레이드가 있고, 이러한 브레이드는 스프링이 상기 두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 일치할 경우, 브레이드는 수직하고 피봇부를 지나는 직선위에 놓인 고정접촉부가 있는 스프링에 의해 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점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KR1019870008902A 1986-08-14 1987-08-13 사점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KR9000058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611737A FR2602908B1 (fr) 1986-08-14 1986-08-14 Dispositif de commutation a double percussion, utilisant un dispositif a depassement de point mort
DE8611737 1986-08-14
FR86-11737 1986-08-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3358A KR880003358A (ko) 1988-05-16
KR900005868B1 true KR900005868B1 (ko) 1990-08-13

Family

ID=933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8902A KR900005868B1 (ko) 1986-08-14 1987-08-13 사점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4841106A (ko)
EP (1) EP0256901B1 (ko)
JP (1) JPH07101574B2 (ko)
KR (1) KR900005868B1 (ko)
AT (1) ATE72357T1 (ko)
AU (1) AU595348B2 (ko)
BE (1) BE1004511A4 (ko)
BR (1) BR8703920A (ko)
CA (1) CA1274563A (ko)
CH (1) CH673173A5 (ko)
DE (1) DE3776459D1 (ko)
DK (1) DK169244B1 (ko)
ES (1) ES2008175A6 (ko)
FI (1) FI88085C (ko)
FR (1) FR2602908B1 (ko)
GB (1) GB2193842B (ko)
IN (1) IN172195B (ko)
IT (1) IT1222112B (ko)
MY (1) MY101310A (ko)
ZA (1) ZA8754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2908B1 (fr) * 1986-08-14 1993-09-24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double percussion, utilisant un dispositif a depassement de point mort
FR2618019B1 (fr) * 1987-07-08 1989-11-17 Telemecanique Electrique Relais thermique
US6492606B1 (en) 2001-08-21 2002-12-10 Electroswitch Corporation Snap action switch
CA3053044A1 (en) 2019-08-26 2021-02-26 Alpha Technologies Ltd. Bi-stable transfer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68943A (en) * 1929-08-10 1930-07-01 Minneapolishoneywell Regulator Switch
US2752446A (en) * 1953-10-19 1956-06-26 John E Carlson Snap switch
DE1907420C3 (de) * 1969-02-14 1975-10-16 Danfoss A/S, Nordborg (Daenemark) Bimetallschalter mit Schnappsystem
DE2043740A1 (de) * 1970-08-28 1972-03-02 Siemens Ag Meß oder Regelgerat
AU3537271A (en) * 1970-12-17 1973-05-10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ircuit interrupter
JPS499586U (ko) * 1972-04-24 1974-01-26
JPS5037394A (ko) * 1973-08-06 1975-04-08
JPS539886U (ko) * 1976-07-09 1978-01-27
SU698064A1 (ru) * 1978-06-19 1979-11-15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Приборостроению Микровыключатель
EP0053194B1 (de) * 1980-11-28 1985-05-15 Square D Starkstrom GmbH Kontaktvorrichtung
FR2536906A1 (fr) * 1982-11-25 1984-06-01 Telemecanique Electrique Relais thermique a reenclenchement automatique ajustable
FR2602908B1 (fr) * 1986-08-14 1993-09-24 Telemecanique Electrique Dispositif de commutation a double percussion, utilisant un dispositif a depassement de point m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73515A (fi) 1988-02-15
ZA875460B (en) 1988-02-04
GB2193842A (en) 1988-02-17
JPH07101574B2 (ja) 1995-11-01
AU7596387A (en) 1988-02-18
ATE72357T1 (de) 1992-02-15
ES2008175A6 (es) 1989-07-16
IT1222112B (it) 1990-08-31
IN172195B (ko) 1993-05-01
BE1004511A4 (fr) 1992-12-08
EP0256901A1 (fr) 1988-02-24
FR2602908B1 (fr) 1993-09-24
AU595348B2 (en) 1990-03-29
DK426287A (da) 1988-02-15
JPS6348713A (ja) 1988-03-01
FI88085B (fi) 1992-12-15
GB8716807D0 (en) 1987-08-19
FI88085C (fi) 1993-03-25
DK169244B1 (da) 1994-09-19
MY101310A (en) 1991-09-05
DK426287D0 (da) 1987-08-14
FI873515A0 (fi) 1987-08-13
KR880003358A (ko) 1988-05-16
US4841106A (en) 1989-06-20
CH673173A5 (ko) 1990-02-15
FR2602908A1 (fr) 1988-02-19
DE3776459D1 (de) 1992-03-12
CA1274563A (fr) 1990-09-25
GB2193842B (en) 1990-02-14
IT8721419A0 (it) 1987-07-23
EP0256901B1 (fr) 1992-01-29
BR8703920A (pt) 1988-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508040A (en) Snap acting mechanism
KR950034341A (ko) 스위치 액츄에이터 조립체
KR900005868B1 (ko) 사점 오우버런장치를 사용한 대칭충격 스위치장치
US2565790A (en) Snap switch
US2708371A (en) Alternate action mechanism
JPH0219569B2 (ko)
US2789172A (en) Snap-acting switch mechanisms
US2918544A (en) Snap switches
US4636597A (en) Electrical snap switch
EP3929953A1 (en) Moving contact pressure maintaining mechanism and dual-power transfer switch
US2362855A (en) Electric switch
US3305650A (en) Manually operable switches such as alternating current switches suitable for domestic installations
US3052786A (en) Electrical switch
US5661274A (en) Precision double-pole single-throw switch assembly
US2540421A (en) Electrical snap switch
US4758698A (en) Microswitch
KR200218834Y1 (ko) 결상 보호용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시프터와 레버 구조
US4368449A (en) Contact mechanism for temperature switch using thermal expansion member
US4629838A (en) Sensitive constant contact pressure microswitch
EP0124885A2 (en) Circuit breaker contact structure
US3249710A (en) Snap action electrical switch with contact flutter attenuation means
JPS61230228A (ja) 熱形過負荷継電器
JPH08298040A (ja) 回路遮断器操作装置および真空回路遮断器
SU1157583A1 (ru) Выключатель мгновенного действи
KR200208215Y1 (ko) 열동형 과부하 계전기의 반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9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