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90B1 - 펄스 발생기 - Google Patents

펄스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90B1
KR900005790B1 KR1019850004132A KR850004132A KR900005790B1 KR 900005790 B1 KR900005790 B1 KR 900005790B1 KR 1019850004132 A KR1019850004132 A KR 1019850004132A KR 850004132 A KR850004132 A KR 850004132A KR 900005790 B1 KR900005790 B1 KR 900005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counter
count
pul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752A (ko
Inventor
다다히로 오노
시게노리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이이무라 가즈오
도에이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야마 다다나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이이무라 가즈오, 도에이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나까야마 다다나오 filed Critical 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1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 G05B19/33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analogue measuring device
    • G05B19/35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or contouring control systems, e.g. to control position from one programmed point to another or to control movement along a programmed continuous path using an analogue measuring device for point-to-point contro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03M1/64Analogue/digital converter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to phase of sinusoidal or similar periodical signals
    • H03M1/645Analogue/digital converters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to phase of sinusoidal or similar periodical signals for position encoding, e.g. using resolvers or synchro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 발생기
제1도는 위상 변조 신호를 일련의 펄스들로 변환하기 위한 종래의 회로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회로장치의 신호 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펀스 발생 회로의 블록도.
제4(a)도는 제3도의 펄스 발생 회로의 게이트 회로의 상세한 블록도.
제4(b)도는 제4(a)도에 도시된 게이트 회로로부터의 논리식표.
제5도는 리졸버가 정지위치로부터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3도의 펄스 발생 회로에서 발생된 신호들의 타이밍 챠아트.
제6도는 리졸버가 정지위치로부터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3도의 펄스 발생 회로에서 발생된 신호들의 타이밍 챠아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 AND 게이트 23 : 카운터
24 : 래치회로 25 : 병-직렬 변환회로
31 : 클럭 펄스 발생기 32 : 제1분주 카운터
33 : 여자회로 35 : 리졸버
36,100 : 파형 정형 회로 38,55 : 토글형 플립플릅
37 : 제2분주 카운터 39 : 프리세트(preset)회로
40,44 : 게이트회로 41,45 : 업/다운(up/down)카운터
42,43 : OR게이트 51,54 : AND 게이트
52 : NOR 게이트 53 : 인버어터
57 : NAND 게이트 58 : 배타적 논리화 회로
본 발명은 펄스 발생기,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각 변위에 따른 펄스 열을 발생하기 위하여 리졸버를 사용하는 펄스 발생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련의 펄스들을 발생하기 위하여 리졸버들을 사용하는 종래의 펄스 발생기들은 분주 카운터를 사용하여 클럭펄스들로부터 사인-또는 구형-파 여기 전압신호를 발생하게 하며, 리졸버의 1차 권선에 여기 전압신호를 가하고, 카운터를 사용하여 리졸버의 2차 권선으로부터 발생된 출력과 기준신호 사이의 위상차를 계수하고, 임의의 타이밍에서 카운터로부터의 출력을 나오게 함에 의해 동작한다.
첨부도면들 중의 제1 및 2도는 각각 종래의 펄스 발생회로와 상기 펄스 발생회로의 신호 파형들을 도시한 것이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졸버의 1차 권선에 가해진 입력신호 sin ωt와 리졸버의 2차 권선으로부터 나오는 위상 변조된 출력신호 sin (ωt+θ)는 위상차 신호PH를 발생하는 애널로그 변환기(21)에 가해진다. 위상차 신호 PH와 기준 클럭 펄스 CP들은 인가된 펄스들을 카운트하기 위하여 카운터(23)에 출력 CPH를 공급하는 AND 게이트(22)에 가해진다. 카운터(23)로부터의 계수치는 출력으로서 공급되는 일련의 연속 펄스들로 가해진 병렬 신호들을 변환하기 위한 병-직렬 변환회로(25)에 병렬 신호들을 전달하는 래치회로(24)에 의해 래치된다.
제2도는 리졸버의 1차 권선에 가해진 입력신호와, 리졸버의 2차 권선으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와, 비교기(21)로부터의 출력과, AND 게이트(22)로부터의 출력의 파형들을 도시하고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제2(a)도)에서는 리졸버의 1차 권선에 가해진 여기 신호 sin ωt와 리졸버의 2차 권선으로부터 나오는 위상변조신호 sin (ωt+θ)사이의 위상차를 도시하고 있다. 제2(b)도에서는 비교기(21)로부터의 신호 PH, 즉, 위상차에 따른 구형파 신호를 도시하고 있다. 제2(c)도에서는 구형파 신호 PH의 하이(high)레벨 간격들 동안 발생하는 기준 클럭 펄스들을 도시하고 있다. 제1 및 2도에 도시된 종래의 장치로, 각 변위θ는 절대각 변위로서 출력된다. 그러므로, 만일 클럭 펄스의 주파수가 증가하면, 래치회로(24)의 출력선들의 수는 증가하여 복잡한 회로 장치를 가져온다. 병렬 출력으로부터 직렬 출력으로의 변환은 특수한 처리회로나 변환 회로에 의해 가져오는 것이 필요하다. 병-직렬 변환회로가 일정한 처리속도로 제한되므로, 펄스 발생 회로는 만일 더 높은 속도의 동작이 달성되려면 그 구성에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특별한 처리 회로를 필요로하지 않고 리졸버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직접 펄스열로 변환할 수 있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치 제어장치와 같이, 펄스 발생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설계된 장치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펄스 발생 횔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체와 그것의 기계적 동작을 위상 변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하여 구동체에 연결된 트랜스듀서와, 위상변조 신호의 캐리어로서 여기 신호를 트랜스 듀서로 공급하기 위한 여기 신호 발생 수단과, 클럭 펄스열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펄스 발생 수단과, 트랜스 듀서로부터 나오는 위상 변조 신호의 파형을 형성하기 위한 파형 정형 수단과, 하이 또는 로우 논리상태로 있는 파형 정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여기 신호의 해당주기보다 더 길거나 짧은 시간간격을 나타내는 카운트 내용을 형성하도록 클럭 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카운터 수단과, 카운트 펄스들을 발생하기 위한 카운트 펄스 발생수단과, 파형 정형 수단의 출력이 그것의 연속논리 상태로 있을 동안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카운트의 내용들을 가지 카운터 수단이 초기화될때까지 카운트 펄스들이 카운터 수단에 들어가게 하기 위한 게이트 수단과,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 펄스들이 일련의 펄스열들로서 출력되게하는 출력 게이트 수단을 포함하는 펄스 발생기가 제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들과 특징들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예로 보여진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해질 때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기에 앞서, 먼저 각 변위를 측정하기 위한 리졸버의 이론들을 아래에 기술하고저 한다.
기준 클럭 펄스가 주기 △T를 가지고, 기준 클럭 펄스들을 카운트하기 위한 분주 카운터가 분주비 n을 가진다고 가정하자 각 속도 ωo로 회전하는 리졸버의 1사이클 주기의 회전속도는 리졸버가 정지해 있을 때의 리졸버의 주기 T와 그것이 회전중일때의 주기 TT 사이의 차 △TT와 동일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리졸버의 출력전압은 다음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
ER=sin(ωt+θ)
여기서, ω=2π/n△T이고 θ=ωot이므로,
ER=sin(ωt+ωo)t
리졸버가 각 속도 ωo로 회전하는 동안 리졸버의 주기가 2π/(ω+ωo)이므로, 1주기에서의 리졸버의 각 변위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Figure kpo00001
방정식(1)로부터, 우리는
Figure kpo00002
를 얻는다. 리졸버가 정지해 있을 때의 주기와 ωo로 회전할때의 주기 사이의 차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3
방정식(2)를 방정식(3)에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4
여기서, ω=2/n △T이므로,
Figure kpo00005
출력 펄스들의 수 OP는 △TT를 △T로 카운트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고, 다음과 같이 나타내어진다 ;
Figure kpo00006
방정식(6)은 출력 펄스들의 수가 정지시의 리졸버의 주기와 회전시의 리졸버의 주기 사이의 차를 카운트함에 의해 각 변위 θ에 비례하게 되고 각 속도 ωo와는 무관하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제 상기 이론을 기초로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기술하고자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펀스 발생 회로의 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펄스 발생 회로는, 예를 들어 제1분주 카운터(32)에 의해 분주된, 5MHZ의 주파수를 가진 클럭펄스 CP1를 발생하기 위한 클럭 펄스 발생기(31)를 포함하고 있다. 제1분주 카운터(32)는 리졸버(35)의 1차 권선을 여기하는 여자회로(33)에 출력 신호를 인가한다. 여자회로(33)는 사인파 여기 신호 sin ωt와 cos ωt를 1차 권선 35a와 35b에 각각 공급한다.
리졸버(35)는 리졸버 회전자를 각 변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위상 변조 신호 sin(ωt+θ)를 유기하고 파형 정형 회로(36)에 인가하는 2차 권선(35c)을 가지고 있다. 파형 정형 회로(36)는 구형파 신호 RE를 발생하도록 위상 변조 신호sin(ωt+θ)의 파형을 정형한다. 신호 RE는 그 출력 단자(Q 및
Figure kpo00007
)들로부터 각각 신호 REA 및
Figure kpo00008
를 출력하는 토글형 플립플롭(38)의 T입력단자에 가해진다.
펄스 발생 회로는 또한 제1분주 카운터(32)로부터 출력보다 더 높게 선택된 주파수를 가진 신호 CP2를 발생하도록 기준 클럭 펄스신호 CP1을 분주(frequency-dividing)하기 위하여 제2분주 카운터(37)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제2분주 카운터(37)는 필요없게 될 수도 있고, 기준 클럭 펄스 CP1는 제3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회로(40)에 직급 공급될 수 있다. 게이트 회로(40)는 업/다운 카운터(41)에의 카운트된 입력 펄스들의 공급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말하며, 게이트 회로(40)는 기준 클럭 럴스신호 CP1과,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와, 플립플롭(38)으로부터의 Q출력 REA가 공급된다. 게이트 회로(40)는 또한 업/다운 카운터(41)로부터의 자리 올림 신호 CA1 및 자리 내림 신호 BO1과, 프리세트 회로(39)로부터의 클리어 신호 CL1이 공급된다.
플립플롭(38)으로부터의 Q 및
Figure kpo00009
출력 REA,
Figure kpo00010
들은 프리세트 회로(39)에 공급된다. 프로세트 회로(39)는 임의의 수치를 업/다운 카운터(41)에 로우드 시킴에 의해 초기 설정을 위한 로우드 신호 LD1을 나오게 하기 위하여 신호 REA에 응답한다. 게이트 회로(44)는 플립플롭(38)으로부터의
Figure kpo00011
출력
Figure kpo00012
와, 기준 클럭 펄스 신호 CP1과,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와, 프리세트 회로(39)로부터의 클리어 신호 CL2와 업/다운 카운터(45)로부터의 자리 올림 및 자리 내림 신호 CA2, BO2가 공급된다.
프리세트 회로(39)는 임의의 수치를 업/다운 카운터(45)에 로우드 시킴에 의해 초기 설정을 위한 로우드 신호 LD2를 인가하기 위하여 신호
Figure kpo00013
에 응답한다.
게이트 회로(40)는 업/다운 카운터(41)의 업 및 다운 카운팅 단자들에 각각 펄스 신호 CP3 및 CP4를 가한다. 유사하게, 게이트 회로(44)는 업/다운 카운터(45)의 업 및 다운 카운팅 단자들에 각각 펄스 신호 CP5 및 CP6를 가한다. 게이트 회로(40 및 44)들은 리졸버(35)가 예를들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변위 θ에 해당하는 펄스열 신호 Q1A를 출력으로서 발생하는 OR 게이트(42)에 각각 신호 A,A'를 공급한다. 유사하게, 게이트 회로(40,44)는 리졸버(35)가 예를들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각 변위에 해당하는 펄스열 신호 Q1B를 출력으로서 발생하는 OR게이트(43)에 각각 신호 B,B'를 공급한다.
제3도의 펄스 발생 회로는 또한 여자회로(33)로부터 여기 신호 Sin ωt의 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파형 정형 회로(100)를 포함하고 있다. 파형 정형 회로(100)는 뒤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제5 및 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Ref를 발생한다. 신호 Ref는 제5 및 6도의 타이밍 챠아트에서의 파형들 사이의 비교에 유리하게 사용된다는 것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제3도의 회로에 있어서, 기준 클럭 펄스 신호 CP1의 주파수는 5MHZ가 되게 양호하게 선택되고,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의 주파수는 125MHZ로 선택된다. 프리세트 회로(39)로부터 인가된 로우드 신호 LD1에 응하여 업/다운 카운터(41)에 수치 1000이 프리세트된다. 수치 1000은 제1분주 카운터(32)로부터의 분주 출력의 1주기에 나타나는 기준 클럭 펄스 CP1의 수에 해당한다.
플립플롭(38)으로부터의 Q 출력 신호 REA가 하이(high)가 될 때, 프리세트 회로(39)는 로우드 신호 LD1을 업/다운 카운터(41)에 가하여 업/다운 카운터(41)를 수치 1000으로 프리세트시킨다.
프리세트 회로(39)는 또한 업/다운 카운터(41)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신호 CP4로서 기준 클럭펄스 CP1들을 가하는 게이트 회로(40)에 클리어 신호 CL1을 가한다. 업/다운 카운터(41)는 신호 REA가 하이 상태로 있는 동안 가해진 펄스들을 카운트 다운 하는 것을 계속한다. 신호REA가 로우(low)로 될 때, 게이트 회로(40)는 기준 클럭 펄스 CP1들을 업/다운 카운터(41)에 공급하는 것을 중단한다. 만일 신호 REA가 로우로 될때 업/다운 카운터(41)의 카운트가 0이 아닐 경우, 게이트 회로(40)는 업/다운 카운터(41)의 카운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업/다운 카운터(41)의 업 카운팅 단자나 다운 카운팅 단자에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를 공급한다. 업/다운 카운터(41)의 카운트가 제로인지 아닌지는 자리 내림 신호 BO1 또는 자리 올림 신호 CA1의 발생을 기초로한 게이트 회로(4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자리 올림 신호 CA1이나 자리 내림 신호 BO1이 업/다운 카운터(41)로부터 발생될 때, 게이트 회로(40)는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를 수신하는 것을 중단한다. 게이트 회로(40)로부터의 신호 A는 제2분주 카운터(37)의 출력 CP2와 동시에 발생된다. 신호 A는 업/다운 카운터(41)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가해진 신호 CP2의 펄스 수에 해당한다. 신호 B는 업/다운 카운터(41)의 업 카운팅 단자에 가해진 신호 CP2의 펄스 수에 해당한다. 게이트 회로(44) 및 업/다운 카운터(45)는
Figure kpo00014
출력신호
Figure kpo00015
에 응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그리하여 게이트 회로(40 및 44)들은 신호 REA,
Figure kpo00016
들이 교대로 발생되는 바와 같이 교대로 동작한다.
그러므로, 게이트 회로(44)로부터의 신호 A'와 게이트 회로(40)로부터의 신호 A는 OR 게이트가 Q1A를 출력하게 하도록 OR 게이트(42)에 교대로 반주기씩 가해진다. 유사하게, 신호 B, B'들은 OR 게이트(43)가 신호 Q1B를 출력하게 하도록 신호
Figure kpo00017
에 응하여 발생된다.
제4(a)도는 게이트 회로(40)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기준 클럭 펄스 신호 CP1과 신호 REA는 NOR 게이트(52)의 한 입력단자에 출력을 공급하는 AND 게이트(51)에 가해진다. 신호 REA는 또한 신호 A를 NOR게이트(52)의 다른 입력 단자에 공급하는 AND 게이트(54)에 인버어터(53)를 통하여 가해진다.
NOR 게이트(52)는 신호 CP4를 발생한다. AND 게이트(54)로부터 출력된 신호 A는 신호
Figure kpo00018
가 하이 레벨이고, 업/다운 카운터(41)로부터의 아무런 자리 내림 신호가 없는 동안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와 동일한 것이다. 자리 내림 신호 BO1은 AND 게이트(54)에
Figure kpo00019
출력을 공급하는 토글형 플립플롭(55)의 T 입력 단자에 가해진다.
출력 신호 CP3는 NAND 게이트(57)로부터 출력되고, 자리 내림 신호 BO1이 주어지고 또한 신호
Figure kpo00020
가 주어지고 아무런 자기 올림 신호 CA1이 없을 때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와 동기적이다. 신호 B는 신호CP3와 자리 올림 신호 CA1을 배타적 논리화 시킹에 의해 배타적 논리화 게이트(58)로부터 발생된다.
신호 CP4는 아무런 신호 A가 없을 때 NOR 게이트(52)에 의해 기준 클럭 펄스 신호 CP1과 동일하게 된다. 제4(b)도는 신호 A,B,CP3 및 CP4들의 논리식들을 도시하고 있다.
제5도는 제3도의 회로에서의 신호들의 타이밍 챠아트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타이밍 챠야트는 리졸버의 여기 주파수의 1 사이클에 열 개의 기준 클럭 펄스 CP1을 도시하고 있고, 제2분주 카운터(37)로부터의 출력 CP2는 기준 클럭 펄스 신호 CP1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이다. 리졸버가 시간 to에서 시간 t1까지 정지하고, 시간 t1에서 시간 t2 및 시간 t3까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고 가정하자.
시간 t1까지, 게이트 회로(40)에 가해진 신호 REA는 하이로 남아있고, 업/다운 카운터(41)는 클럭 펄스 CP1을 카운트 다운한다. 업/다운 카운터(41)가 로우드 신호 LD1에 의해 9로 초기에 세트 되었으므로, 업/다운 카운터(41)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가해진 신호 CP4는 8, 7, 6, 5, 4, 3, 2, 1, 0, 9의 순서로 카운트 다운된다. 최종 클럭 펄스가 가해졌을 때 업/다운 카운터(41)는 게이트 회로(40)로 하여금 펄스 신호 CP1을 수신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는 자리 내림 신호 BO1을 발생한다. 시간 t1에서 t2까지, 신호 REA는 로우이고 그리하여 신호
Figure kpo00021
는 하이이다. 게이트 회로(44)는 이제 클럭 펄스 CP1을 업/다운 카운터(45)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가한다. 리졸버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했으므로, 14개의 신호
Figure kpo00022
가 하이로 남아 있는 동안 14개의 클럭 펄스들은 업/다운 카운터(45)에 가해진다. 그러므로, 업/다운 카운터(45)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가지 펄스들을 카운트 다운한다. 비록 자리 내림 신호 BO2가 카운트 9에서 발생될지라도, 업/다운 카운터(45)는 신호
Figure kpo00023
가 하이이기 때문에 펄스들을 카운트다운 하는 것을 계속한다. 시간 t2에서 시간 t3까지, 리졸버의 회전 속도는 감소된다. 이 구간에서, 신호 REA는 게이트회로(40)로 하여금 업/다운 카운터(41)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13개의 클럭 펄스들을 공급하게 하도록 하이이다. 비록 자리 내림 신호 BO1이 카운트 9에서 발생될지라도, 게이트 회로(40)는 신호 REA가 하이이므로 6까지 계속하여 카운트 다운하고, 그리고 나서 펄스들을 카운트 다운 하기를 중단한다. 업/다운 카운터(45)의 카운트가 시간 t2에서 5이므로, 신호 CP5의 5개의 펄스들은 다운 신호
Figure kpo00024
가 로우일 때 카운트를 제거하기 위하여 업/다운 카운터(45)의 업 카운팅 단자에 가해진다.
출력CP5의 최종 펄스가 가해질 때, 업/다운 카우터(45)는 자기 올림 신호 CA2를 게이트 회로(44)에 공급하여 상기 게이트 회로가 퍼스 신호 CP2를 수신하기를 중단한다. 유사하게, 업/다운 카운터(41)의 카운트가 시간 t3에서 6이므로, 게이트 회로(40)는 신호 CP3의 4개의 펄스들을 업/다운 카운터(41)의 업 카운팅 단자에 가한다. 신호 CP3의 최종 펄스가 가해질 때, 자리 올림 신호 CA1은 업/다운 카운터(41)로부터 게이트 회로(40)에 가해져서 상기 게이트 회로로 하여금 신호 펄스 CP2들을 수신하는 것을 중단하게 한다. 신호 Q1B는 OR 게이트(43)에 의해 발생된 신호 B, B'의 조합이다. 신호 CP3, CP5의 최종 각개의 펄스들은 베타적 OR 게이트(56) 때문에 신호 Q1B로 주어지지 않는다.
신호들은 리졸버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생된다. 시간 t0에서 시간 t1까지, 리졸버는 정지한채 유지되고, 시간 t1으로부터 계속하여 리졸버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6도에서, 신호 REA 또는
Figure kpo00025
가 시간 t0이후에 하이인동안, 업/다운 카운터(41 또는 45)는 카운트가 그 구간동안 8에서부터 0까지 빨리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자리 내림 신호를 공급하지 않는다. 다음 반주기에서, 업/다운 카운터(41 또는 45)의 다운 카운팅 단자는 자리 내림 신호가 발생될때까지 신호 CP4 또는 CP6로서 클럭 펄스 CP2들이 계속 공급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신호
Figure kpo00026
는 시간 t1과 t2사이에서 하이 레벨이고, 신호 CP6의 8 펄스들이 이 구간동안 업/다운 카운터에 공급된다. 카운트 1이 도달될 때, 신호
Figure kpo00027
는 로우로 된다. 시간 t2에서 t3까지의 다음 반주기 동안, 클럭 펄스 CP2는 연속 카운트 0, 9를 가진 업/다운 카운터(45)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게이트 회로(44)를 통하여 가해진다. 카운트 9에서, 업/다운 카운터(45)는 게이트 회로(44)로 하여금 펄스 CP2들을 수신하는 것을 중단하게 하도록 자리 내림 신호 BO2를 공급한다.
신호 REA는 시간 t2에서 시간 t3까지 하이 레벨로 남아있다. 이 구간동안, 업/다운 카운터(41)는 8에서 2까지 펄스들을 카운트 다운한다. 시간 t3에서 t4까지의 다음 반주기 동안, 클럭 신호 CP2는 연속 카운트 1, 0, 9들을 가진 업/다운 카운터(41)의 다운 카운팅 단자에 CP4로서 계속하여 가해진다. 카운트 9에서, 업/다운 카운터(41)는 게이트 회로(40)로 하여금 신호 CP2를 차단하게 하도록 자리 내림 신호 BO1을 발생한다. 업/다운 카운터(41,45)들의 다운 카운팅 단자들에 가해진 신호 CP2의 클럭 펄스들의 수들은, OR 게이트(42)를 통하여 신호 Q1A로서 전달되는 신호 A와 A'로서 각각 공급된다.
본발명과 함께, 상술한 바와같이, 위상 변조된 신호는 게이트 회로들을 통하여 업/다운 카운터들의 업 및 다운 카운팅 단자들에 펄스들을 공급함에 의해 단순한 회로 장치를 통하여 일련의 펄스열로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펄스 발생 회로는 구조상 간단하고, 저렴하게 제작될 수 있다.
리졸버가 위상 변조된 출력을 발생하기 위하여 검출기나 트랜스듀서와 같이 실시예로 도시된 한편, 인덕토신(Inductosyn : 변환기)과 같은 위상 변조 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다른 검출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어떤 양호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기술되었다 할지라도, 많은 변화 및 변형 예들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그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된다.

Claims (7)

  1.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에 연결되어 그것의 기계적 운동을 위상 변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트랜듀서와; 위상 변조 신호의 캐리어로서 여기 신호를 상기 트랜스듀서에 공급하기 위한 여기 신호 발생 수단과; 클릭 펄스열을 발생하기 위한 클럭 펄스 발생 수단과; 상기 트랜스듀서로부터 출려된 위상 변조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파형 정형 수단과; 하이 또는 로우 논리 상태로 있는 상기 파형 정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상기 여기 신호의 해당 주기보다 더 길거나 더 짧은 시간 간격을 나타내는 카운트의 내용을 형성하도록 상기 클럭 펄스들을 수신하기 위한 카운터 수단과; 카운트 펄스들을 발생하기 위한 카운트 펄스발생 수단과; 상기 파형 정형 수단으로부터의 출력이 그것의 연속 논리 상태로 있는 동안 상기 시간 간격에 해당하는 카운트이 내용들을 가진 상기 카운터 수단이 초기 설정될때까지 카운트 펄스들이 상기 카운터 수단으로 들어가도록 하기 위한 게이트 수단과; 상기 카운터에 의해 카운트된 카운트 펄스들이 일련의 펄스열들로서 출력되게 하기 위한 출력 게이트 수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기 신호 발생 수단이 상기 클럭 펄스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펄스 발생 수단이 상기 클럭 펄스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상기 클럭 펄스들을 분주하기 위한 분주 회로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수단이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로 구성하며, 상기 게이트 수단이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과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게이트 회로들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 회로들을 교대로 개방 및 폐쇄하도록 플립플롭의 출력을 변환하기 위하여 상기 파형 정형 수단의 출력 단자에 연결된 플립플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수단으 그외에 "하이"인 상기 플립플롭의 출력들에 응하여 프리세트 값으로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을 세팅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에 연결된 프리세트 회로로 구성하고, 그 회로는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이 상기 프리세트 값으로부터 상기 기준 클럭 펄스들을 카운트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트 펄스 발생 수단이 분주 카운터로 구성하고, 상기 제1 및 제2게이트 회로들은, 각각 상기 업/다운 카운터들의 카운트들의 내용들이 프리세트 값이 될 때까지 상기 분주 카운터의 출력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의 다운 카운팅 또는 업 카운팅 단자들에 통과하게 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들의 다운 카운팅 단자들에 상기 기준 클럭 펄스들을 공급하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분주 카운터로부터의 출력과 동시에 일련의 펄스열이 출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준 클럭 펄스들과, 상기 분주 카운터로부터의 출려과, 상기 제1 및 제2업/다운 카운터 드로부터의 자리 내림 및 자리 올림 신호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7. 제1 내지 제6항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 듀서가 리졸버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 발생기.
KR1019850004132A 1984-06-12 1985-06-12 펄스 발생기 KR900005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20289A JPS60263217A (ja) 1984-06-12 1984-06-12 パルス列発生回路
JP59-120289 1984-06-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752A KR860000752A (ko) 1986-01-30
KR900005790B1 true KR900005790B1 (ko) 1990-08-11

Family

ID=14782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132A KR900005790B1 (ko) 1984-06-12 1985-06-12 펄스 발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31523A (ko)
EP (1) EP0165046B1 (ko)
JP (1) JPS60263217A (ko)
KR (1) KR900005790B1 (ko)
DE (1) DE358702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43B2 (ja) * 1987-01-16 1994-04-20 ヤマハ株式会社 デジタル・フエイズ・ロツクド・ル−プ用入力回路
JPS63214618A (ja) * 1987-03-03 1988-09-07 Yamaha Corp デジタル・フェイズ・ロックド・ル−プ
US4831510A (en) * 1987-09-17 1989-05-16 Allen-Bradley Company, Inc. Encoder and resolver signal processing circuit
US4978900A (en) * 1989-02-27 1990-12-18 Louis Skawinski DC sine cosine servo system
JPH0466838U (ko) * 1990-10-19 1992-06-12
EP0502534B1 (en) * 1991-03-06 1997-12-17 Hitachi, Ltd. Encoder
US5204603A (en) * 1992-01-30 1993-04-20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Open circuit detection for a pulsed resolver position sensing system
US5198735A (en) * 1992-01-30 1993-03-30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Method for eliminating position tracking errors in the presence of resolver excitation errors for motion control systems
US5229697A (en) * 1992-01-30 1993-07-20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Sampling bipolar peak detector for sensing a non-symmetrical decay of an AC voltage signal
US5198739A (en) * 1992-01-30 1993-03-30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Software controllable circuit for resolver excitation switching in a motion control system
US5323309A (en) * 1992-01-30 1994-06-21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Algorithm for optimizing data sampling in a discrete periodic system with a bounded rate of change for the discrete system periods
US5200683A (en) * 1992-01-30 1993-04-06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Method for optimizing sampling rates for position tracking for motion control systems
US8963562B2 (en) 2011-08-31 2015-02-24 General Electric Company Transducer configurations and methods for transducer positioning in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51A (en) * 1859-12-13 Island
GB916259A (en) * 1960-09-02 1963-01-23 Beckman Instruments Inc Deviation counter
US3319243A (en) * 1964-07-06 1967-05-09 Gen Time Corp Analog-digital converter employing an asymmetrical multivibrator
US3508246A (en) * 1965-06-11 1970-04-21 North American Rockwell Fine-resolution digital position encoder
US3460130A (en) * 1965-06-14 1969-08-05 Bendix Corp Resolver shaft angular velocity to pulse width converter
FR1448950A (fr) * 1965-06-29 1966-08-12 Csf Dispositif de codage du déphasage entre deux tensions
FR1481212A (fr) * 1966-04-06 1967-05-19 Sagem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oyens électriques pour déterminer la position angulaire d'un arbre
US3602994A (en) * 1970-03-12 1971-09-07 Gen Electric Pulse generator system responsive to spindle motor rotational phase signal for providing digital pulses at rate dependent upon motor speed
US3990062A (en) * 1975-02-03 1976-11-02 Fmc Corporation Resolver to digital conve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65046B1 (en) 1993-01-27
DE3587025T2 (de) 1993-08-26
JPS60263217A (ja) 1985-12-26
EP0165046A2 (en) 1985-12-18
US4631523A (en) 1986-12-23
JPH0228161B2 (ko) 1990-06-21
KR860000752A (ko) 1986-01-30
EP0165046A3 (en) 1988-01-20
DE3587025D1 (de) 199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5790B1 (ko) 펄스 발생기
US3914760A (en) Accurate and stable encoding with low cost circuit elements
US3034053A (en) Analog-to-digital converter
US3928798A (en) Means for frequency/digital conversion
US4714878A (en) Apparatus for forming the actual value of a torque in a three-phase synchronous machine with current-block feeding
US3742487A (en) Scale of two improved digital and analog converter
SU1422199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поверки счетчиков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US4268900A (en) Device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converters
US3686487A (en) Trigonometric signal generator and machine control
US388678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cal quantities of a rotating body
US4862074A (en) Polyphase volt-hour indicating circuit
US4001558A (en) Average phase position circuit
US3573793A (en) Shaft encoder employing phase shifter device
US5296804A (en) Air core gauge fixed voltage signal and variable pulse width modulation signal interchanged control system therefor
US4931713A (en) Rectifier electric drive
SU1280698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а поворота вала в код
JPS5941190A (ja) デジタル式界磁極位置検出装置
SU894769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а поворота вала в код
JPS61182579A (ja) レゾルバ速度検出方式
SU938163A1 (ru) Детектор квазиравновеси
JPH0119597Y2 (ko)
SU781864A1 (ru)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углового положени вала в код
JPS6038616A (ja) 位相信号−インクリメンタル信号変換器
CN1005231B (zh) 产生与被驱动体角位移有关的脉冲串的脉冲发生器
SU126737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регулировани скорост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