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777Y1 -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 Google Patents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777Y1
KR900005777Y1 KR2019880001219U KR880001219U KR900005777Y1 KR 900005777 Y1 KR900005777 Y1 KR 900005777Y1 KR 2019880001219 U KR2019880001219 U KR 2019880001219U KR 880001219 U KR880001219 U KR 880001219U KR 900005777 Y1 KR900005777 Y1 KR 9000057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team
pipe
diaphragm
soybe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12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948U (ko
Inventor
임호원
Original Assignee
임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원 filed Critical 임호원
Priority to KR20198800012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777Y1/ko
Publication of KR8900169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9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7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7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해 두부가 완성되는 전체 공정을 나타낸 공정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배면을 일부절결하여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일부절결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순환펌프
3 : 인입관 3' : 인입공
4 : 배출관 4' : 배출공
6 : 외체 7 : 보온재
8 : 내체 9a, 9b, 9c, 9d : 격판
10 : 스팀관 11 : 분사노즐
12 : 온도센서
본 고안은 주로 콩을 주재로한 두부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콩을 분쇄하여 비지를 여과한 콩물을 적정온도로 가열시킴과 동시 두부 제조의 연속작업을 위하여 끓은 콩물을 지속적으로 공급시켜 제조시간을 단축시키고 두부 고유의 맛, 냄새, 질을 보존하며 제품을 양산할 수 있도록 고안된 콩물 연속 증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의 두부의 제조공정은 원료인 콩을 승강기(A)(Bucket Elevator)를 이용하여 저장탱크(B)에 공급 생산량의 적정량을 저장하여 저울장치(C)에 항시 필요한 만큼 석발 및 세척기(D)로 통과케 하면 돌이나 기타 불순물을 제거하거나 깨끗히 세척시킨 후 펌프를 이용하여 콩불림 탱크에 재공급시켜 콩에 충분히 함수(含水)시킨다음 분쇄기(F)로 일정량 공급시켜 콩을 분쇄하여 콩즙을 만들어 낸다.
이때, 두부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콩물은 입자가 고운 것으로 하여야만 맛, 냄새, 탄력을 유지하므로 분쇄된 콩즙은 여과기(G)에서 비지를 분리시킨 다음, 비지는 별도로 모아 필요한 용도로 사용케 하고 여과된 콩물을 두부제조 적정온도로 증숙시키기 위해 증숙기 본체(1)에서 스팁가열로 증숙시킨다음 응고통에 담아 일정량 응고재를 투여하면 두유가 응고되어 순두부 상태로 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어서 응고된 순두부를 성형틀에 보자기를 깔고 인입시키고 성형 압착기로 압착하여 물을 탈수시키면 원하는 크기의 두부를 얻을 수가 있는데 상기의 공정중에서 여과된 콩물을 필요로 하는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장치인 증숙장치가 종래에는 별도로 준비된 가열솥에 인위적인 수단으로 인입시켜 일정시간 가열하므로서 원하는 콩즙을 얻어 왔었다.
이러한 방식은 그 작업시간이 번거로웠고 인위적인 수단에 의한 인입 방식을 채택하였기 때문에 매우 비위생적이었다.
또는 그 다음의 공정으로 이어질때에도 역시 인위적인 방식에 의한 것이어서 일관된 두부의 제조라인을 형성하지 못하고 자주 중단되어 이 결과에 따라 신속하고 지속적인 제조과정을 요구하는 두부제조에 있어서는 매우 바람직하지 못한 공정이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비위생적, 비경제적인면 이외에도 시간적인 낭비와, 가열온도 시간의 부여를 비과학적인 숙련자의 경험에 의존하므로서 양질의 콩물을 얻지 못하여 소비자들의 구매욕을 충족시킬만한 제품의 출고는 기대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과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몇단계의 두부제조 공정을 거쳐 여과된 콩즙을 즉시 계속적으로 이송시켜 적정온도로 서서히 상승이 되게하여 주므로서 맛과 영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증숙기본체(1)내로 여과된 콩즙을 순환펌프(2)로 인입관(3)을 통해 강제인입시켜 가열완성된 것이 배추관(4)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된 통상의 증숙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체(6) 내부에 보온제(7)로 보온되는 내체(8)의 하부로 인입공(3')을 인입관(3)에 통하도록 연결하여 인입된 콩즙이 상부 이송방향으로 교호로 반복되게 경사진 격판(9a)(9b)(9c)(9d)을 배출공(4')으로 배출될 때 솔레노이드(S1)(S2)(S3)에 의해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스팀관(10)의 분사노즐(11)로 각각의 격판(9a)(9b)(9c)(9d) 사이에서 고온의 스팀을 분사시켜 하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콩즙의 온도를 상승하여 가열케 하고 내체(8)에 다수개 형성된 온도센서(12)에 의해 스팀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S1)(S2)(S3)를 각각 단속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3은 덮개, 14는 콩즙의 이송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유리가 형성된 투시창, 15는 메인스팀과, 16은 스팀압력 게이지, 17은 콘트롤 박스를 각각 표시한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같이 여과기(G)로부터 미세히 여과된 콩즙을 순환펌프(2)에 의해 일정압으로 강제 이송시켜 본체(1)의 일측하부로 인입관(2)을 통해 내체(8)의 인입공(2')으로 인입되게한다.
내체(8)에는 상호 교차되는 경사방향으로 첨부도면 제3도에서 표시한 것과 같이 교호로 격판(9a)(9b)(9c)(9d)이 수개 형성되어 강제 이송된 콩즙이 격판(9a)(9b)(9c)(9d)을 따라 상부를 향해 지그재그식으로 상부로 강제 이송되는데, 각각의 격판(9a)(9b)(9c)(9d) 사이에 본체(1) 외부로부터 스팀관(10)과 온도센서(12)가 내체(8) 내부로 연결설치되어 스팀관(10)은 메인스팀관(15)에서 공급된 고온의 스팀을 분사노즐(11)로 분사케 하며 온도센서(12)는 각각의 단계에서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온도에 의해 내부온도가 낮으면 콘트롤 박스(17)에서 솔레노이드(S1)(S2)(S3)를 개방하여 메인스팀관(15)으로부터 스팀이 내부로 분사되게 하고, 설정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되면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S1)(S2)(S3)가 닫히게 하므로서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바,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3도와 제4도에서 표현한 것과 같이 내체(8) 내부에 4개의 격판(9a)(9b)(9c)(9d)이 교호로 설치되어 가장 하부에 형성된 격판(9a)과 격판(9b) 사이의 공간부에 최초로 외부관과 연결된 인입관(3)을 통하여 콩즙이 인입되므로 최하단의 온도센서(12)는 75-80℃정도를 유지토록 설정하고 그 다음으로 저부로부터 2단계에 형성된 격판(9b)(9c) 사이의 온도센서(12)는 80-90℃ 3단계에 형성된 온도센서(12)는 90-100℃, 그리고 가장상부에 위치되어 본체(1)로부터 가열 완성후 배출되는 콩즙의 가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12)의 설정온도는 95-110℃ 정도의 온도를 유지토록 감지케 하므로서 각각의 위치로 배관되어 분사노즐(11)로 공급되는 스팀관(10)의 중간부에 설치된 수개의 솔레노이드(S1)(S2)(S3)를 콘트롤박스(17)에서 단속시켜 각각의 단계에서 설정된 온도이상으로 스팀이 분사되면 이에 해당되는 스팀관(10)을 차단토록 각각의 솔레노이드(S1)(S2)(S3)가 별도로 차단되고 다시 설정온도 이하로 온도가 하강되면 스팀관(10)을 개방토록 각 솔레노이드(S1)(S2)(S3)가 원위치되게 콘트롤 하므로서 고온의 스팀에 의해 가열분사량을 조절함에 따라 격판(9a)(9b)(9c)(9d)에 의해 이송되는 콩즙을 필요한 온도로 서서히 가열 증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각 위치의 온도센서(12)는 콘트롤박스(17)에서 증숙에 가장 알맞은 온도로 설정하면 되는 것이고 투시창(14)으로 각각의 단계에서 증숙이송되는 것을 언제라도 육안으로 관찰할 수가 있어 콩즙의 이송과 증숙작업을 지속적으로 신속히 확인할 수 있는 것이고 보온제(7)에 의해 내부의 온도를 항상 유지시킴과 동시에 외부에서 작업자가 부주의로 자신의 신체를 본체(1)에 접촉시키더라도 화상을 입거나 상처를 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은 다수개의 격판(9a)(9b)(9c)(9d)에 의해 콩즙을 각 단계로 구분하여 원활히 이송될 때 적정온도로 서서히 가열되어 최후에는 배출공(3')을 통해 배출관(3)으로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거치므로 서서히 증숙된 온도상승에 의한 콩즙내의 단백질 파괴를 예방함과 동시에 맛과 영양분을 자연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을뿐만 아니라 증숙기 본체(1) 내부의 청소시에도 경사진 격판(9a)(9b)(9c)(9d)의 면을 따라 청소물이 흘러서 청결상탤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모든 작동이 각각의 위치에서 온도센서(12)에 의해 감지된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스팀공급을 단속시키므로 두부제조에 알맞는 콩즙의 증숙을 얻을 수 있게 한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증숙기 본체(1)내로 여과된 콩즙을 순환펌프(2)로 인입관(3)을 통해 강제 인입시켜 가열완성된 것이 배출관(4)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된 통상의 증숙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체(6) 내부에 보온재(7)로 보온되는 내체(8)의 하부로 인입공(3')을 인입관(3)에 통하도록 연결하여 인입된 콩즙이 상부 이송방향으로 교호로 반복되게 경사진 격판(9a)(9b)(9c)(9d)을 따라 배출공(4')으로 배출될 때 솔레노이드(S1)(S2)(S3)에 의해 공급량 조절이 가능한 스팀관(10)의 분사노즐(11)로 각각의 격판(9a)(9b)(9c)(9d) 사이에서 고온의 스팀을 분사시켜 하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콩즙의 온도를 상승하며 가열케하고 내체(8)에 다수개 형성된 온도센서(12)에 의해 스팀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S1)(S2)(S3)를 각각 단속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증숙기.
KR2019880001219U 1988-02-03 1988-02-03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KR9000057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219U KR900005777Y1 (ko) 1988-02-03 1988-02-03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1219U KR900005777Y1 (ko) 1988-02-03 1988-02-03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948U KR890016948U (ko) 1989-09-06
KR900005777Y1 true KR900005777Y1 (ko) 1990-06-30

Family

ID=19272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1219U KR900005777Y1 (ko) 1988-02-03 1988-02-03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7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83A (ko) * 2003-03-28 2004-10-06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알터네이터의 스테이터 조립방법
KR101127979B1 (ko) * 2009-05-25 2012-03-19 원두원 식품기계(주) 두부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4383A (ko) * 2003-03-28 2004-10-06 발레오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알터네이터의 스테이터 조립방법
KR101127979B1 (ko) * 2009-05-25 2012-03-19 원두원 식품기계(주) 두부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948U (ko) 198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42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an curd
KR20180006461A (ko) 구운 김의 제조 방법
KR900005777Y1 (ko) 두부제조용 콩물의 연속 증숙기
JPS5930085B2 (ja) 高圧自動瞬間蒸煮器
US424814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bittering soybeans
CN208609812U (zh) 一种豆腐生产机
CN205756183U (zh) 用于芽菜培养机的净水循环系统
US4318933A (en) Method for debittering soybeans
CN107307384B (zh) 一种自动化酱油淋油分阶段萃取工艺专用设备
KR20100126889A (ko) 두부제조장치
KR940000981Y1 (ko) 두부 제조용 콩물의 증자장치
CN2105851U (zh) 减压油炸脱水装置
KR100631080B1 (ko) 간접가열식 즉석 두부 제조기
JP3035494B2 (ja) 低温蒸煮装置
JPH05227909A (ja) 丸大豆納豆製造用連続蒸煮方法及びその連続蒸煮装置
KR960000741Y1 (ko) 자동두부제조장치
KR20040041290A (ko) 가정식 자동 즉석 두부제조기
KR200477416Y1 (ko) 스팀의 유입량을 자동 제어할 수 있는 생두부 제조장치
KR102645556B1 (ko) 수제 두부 제조장치
CN217136732U (zh) 一种豆豉的自动化加工装置
JPH0641494U (ja) 丸大豆の連続蒸煮装置
KR200304488Y1 (ko) 가정식 자동 즉석 두부제조기
KR100198966B1 (ko) 마른 두부 제조장치
KR960008334Y1 (ko) 두부제조용 콩물 자동 중숙장치
KR100480492B1 (ko) 두부밥 및 두부밥 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U123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92200000044;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