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652B1 - 1회용 기저귀 - Google Patents

1회용 기저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652B1
KR900005652B1 KR1019870001783A KR870001783A KR900005652B1 KR 900005652 B1 KR900005652 B1 KR 900005652B1 KR 1019870001783 A KR1019870001783 A KR 1019870001783A KR 870001783 A KR870001783 A KR 870001783A KR 900005652 B1 KR900005652 B1 KR 900005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powder
disposable diaper
powder
baby
surfac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7670A (ko
Inventor
겐조우 가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가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가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7901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22760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57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2706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72354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8905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72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890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197780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59402A/ja
Priority claimed from JP61282781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35502A/ja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가사이 가부시끼가이샤, 겐조우 가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카 가사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1회용 기저귀
제1도는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2의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옆 가장자리 부분 6을 한방향에서 본 도해적 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제2도에 상응하는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12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에 따른 절취한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12의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서 사용하는 내면재 21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32의 평면도(일부 파단된 내면재 31이 나타나 있음).
제9도는 제8도의 내면재 31을 단독으로 나타낸 투시도(내면재 31 제조과정의 중간 상태).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52의 평면도(일부 파단된 내면재 51이 나타나 있음).
제11도 내지 제13도는 제10도의 태양에서 사용하는, 베이비 파우더 59를 담는 자루 57을 만들기 위한 제조공정에 한 예를 차례로 나타낸 투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72의 평면도(일부 파단된 내면재 71이 나타나 있음).
제15도는 제14도에 나타낸 탄성부재 76의 확대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기저귀를 만들기 위해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90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투시도(주행 적층 연속 시트 81과의 위치 관계도 나타나 있음).
제17도는 제16도에 나타낸 한방향의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90의 일부 단면 정면도.
제18도는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의 일부로서 구성된 베이비 파우더 공급기의 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1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1회용 기저귀는 일반적으로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재와 밖으로 향한 외면재와 이들 사이에 위치시킨 흡수재로 이루어진다. 내면재에는 통상적으로 투수성 부직포가 사용되고, 외면재에는 방수성 필름이 사용된다.
이러한 1회용 기저귀는 1회용의 편리함 때문에 최근 급속히 보급되고 있으며, 1회용 기저귀의 제조업자는 그의 재질적인 면의 개량, 구조상의 개량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보다 편리한 제품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종래부터 기저귀를 바꿀때, 땀띠나 기저귀가 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비 파우더를 사용해 왔다. 또한 베이비 파우더는 적당한 향료를 함유하기 때문에, 아기 또는 환자의 배설물로부터 생기는 악취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기저귀를 바꿀 때 베이비 파우더를 바르는 것은 기저귀 근처에 언제나 베이비 파우더를 비치해놔야 하고, 기저귀를 바꾸는데도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다소 번거롭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유리하게 해결하기 위한 1회용 기저귀를 제공하는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재와 밖으로 향한 외면재 사이에 흡수재를 끼운 1회용 기저귀인데, 상기 내면재에 관련된 베이비 파우더가 분말상태로 내면재 상에 보유되어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1회용 기저귀를 착용하기만 하면, 베이비 파우더가 발라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1회용 기저귀에서는,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재에 관련된 베이비 파우더가 분말 상태로 보유되기 때문에, 이 신규한 1회용 기저귀를 착용하면 베이비 파우더가 아기 또는 환자의 피부에 발라진다.
그러므로, 기저귀를 바꿀때마다 베이비 파우더를 따로 준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저귀를 바꿀 때 번잡함을 없애는 것과 함께, 베이비 파우더를 바른 후 새 기저귀를 착용하는 시간이 걸리지 않기 때문에, 기저귀를 바꾸는 시간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태양은 내면재 상에서 베이비 파우더의 보유지속성을 높이는 수단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내면재는 물뿐만 아니라 베이비 파우더의 통과도 허용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내면재의 뒷면에 베이비 파우더를 분말상태로 산포하거나, 또는 내면재의 여러 부분에 오목한 부분이 분포되어 분말상태의 베이비 파우더를 이 부분에 보유하도록 되어 있다. 내면재에 형성된 이 오목한 부분은 내면재를, 예를 들면 엠보싱(Embossing) 가공시켜 적극적으로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 1회용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에 일반적으로 형성되는 개더(Gather)에 의해 생긴 주름을 통해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베이비 파우더의 보유성을 개선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베이비 파우더를 세공(Pore)이 뚫린 자루에 담고, 이러한 자루를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부착시키거나, 내면재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예를 들면 Z자형 단면을 갖는 중첩부분을 형성하고, 이러한 중첩부분에 생긴 간극에 베이비 파우더를 넣을 수도 있으며, 또한 기저귀에 신축성 개더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연질 포옴(Foam)재로 구성하고, 이 기포내에 베이비 파우더를 보유시킬 수도 있다.
즉, 베이비 파우더의 보유 지속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베이비 파우더는 내면재의 표면에 서서히 공급되기 때문에 베이비 파우더 효과의 지속성이 우수해진다. 또한 땀띠 또는 기저귀가 쓸리는 것을 방지하는데도 효과적이다. 또한 향료가 함유된 베이비 파우더를 사용하면, 장시간에 걸쳐서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태양은 베이비 파우더를 공급하는 부분으로서, 내면재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양옆 가장자리 부근은 통상적으로 아기 또는 환자의 소변에 의해 직접 적셔지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에 위치된 베이비 파우더는 장시간 이 분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 파우더 효과의 지속성 면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아기 또는 환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주 움직여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의 보유 지속성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제공되어 있더라도, 다량의 베이비 파우더가 내면재의 표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신축성 개더를 형성할 경우, 이러한 기저귀를 사용할 때 개더가 신장되고, 이 신장에 의해 생긴 충격도 다량의 베이비 파우더를 내면재의 표면에 공급한다. 따라서 1회용 기저귀의 착용 초기 단계부터 베이비 파우더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제1도에는 내면재 1이 위로 향한 상태인, 본 발명의 한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2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내면재 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내면재 3과 중첩되고, 이들 내면재 1과 내면재 3의 사이에는 흡수재 4가 들어있다. 즉, 흡수재 4는 본 1회용 기저귀 2의 주변부분에 여백을 남기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1회용 기저귀 2의 양옆 가장자리에는 신축성 개더 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1회용 기저귀 2를 구성하는 각 성분의 재질의 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내면재 1은 투수성 부직포로 구성되며, 이러한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및 펄프의 혼합, 또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의 혼합에 의해 수득하고, 또한 탄산칼슘을 함유할 수도 있다. 흡수재 4는 솜형(Flocculent)펄프로 주로 구성되고, 또한 흡수성 고분자를 함유할 수도 있다. 또한 흡수재 4는 상술한 솜형 펄프의 형태를 보유시키기 위하여, 그의 양면이, 예를 들면 레이욘 면으로 된 헝겁형(Cloth) 펄프로 덮을 수도 있다. 외면재 3은 방수성이 있으므로,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구성되어, 경우에 따라, 통기성을 갖기 위해 다수의 세공을 형성하거나, 표면 평활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탄산칼슘을 혼입시킬 수도 있다.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1회용 기저귀 2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 6의 도해적 확대 단면도이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용 기저귀 2의 양옆 가장자리 6에서 내면재 1의 뒷면에는 베이비 파우더 7이 분말상태로 산포되어 있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1회용 기저귀 2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 6에서는 내면재 1과 외면재 3이 간단히 2층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비 파우더 7은 내면재 1과 외면재 3사이에 끼워져 보유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 7은 이러한 1회용 기저귀 2의 제조공정중 내면재 1과 외면재 3은 중첩시키기 전에 내면재 1 또는 외면재 3중 어느 하나의 뒷면에 산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부직포로 된 내면재 1의 뒷면에 존재하는 베이비 파우더 7은 서서히 내면재 1을 통과하여, 이렇게 통과된 베이비 파우더 7a가 피부에 직접 작용한다. 또한 도시된 태양과 같이, 베이비 파우더 7을 산포하는 부분을 1회용 기저귀 2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으로 선택하면, 이 양옆 가장자리 부분 6은 통상적으로 아기 또는 환자의 소변에 의해 직접 적셔지지 않기 때문에, 여기에 보유된 베이비 파우더 7은 장시간 그분말 상태를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비 파우더 7효과의 지속성 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양옆 가장자리 부분 6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아기 또는 환자가 움직임에 따라 자주 움직여지는 부분이기 때문에, 다량의 베이비 파우더 7이 내면재 1의 표면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1회용 기저귀 2를 사용할 경우, 개더 5를 신장시키면, 이 신장에 의해 생긴 충격도 베이비 파우더 7을 내면재 1의 표면에 보다 많이 공급된다. 따라서 1회용 기저귀 2의 착용 초기 단계부터 베이비 파우더 7a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베이비 파우더 7a에 함유된 향료도 주변에 떠돌아, 기저귀 바꿀때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도시된 태양에서는 베이비 파우더 7을 산포하는 부분을 1회용 기저귀 2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 6에만 한정하지만, 이 베이비 파우더를 기저귀의 거의 전면에 산포할 수도 있다.
또한 1회용 기저귀의 제조단계에 있어서, 이렇게 공급된 베이비 파우더를 사용할때까지 보다 확실하게 내면재에 관련하여 보유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태양에서는 베이비 파우더를 내면재의 뒷면에 공급하지만, 베이비 파우더를 더 확실히 보유시키기 위한 수단은 후술하는 것과 같이 여러 가지로 변형시킬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에 상응하는 도면인데, 베이비 파우더의 또 다른 보유 태양을 타나낸다. 제3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부분에 상응하는 부분에는 같은 참조번호를 붙였다.
제3도를 참조하여, 1회용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제1도 참조)에 형성된 개더 5는 내면재 1 및 외면재 3에 주름을 잡는다. 따라서 이러한 주름의 결과, 내면재 1에는 여러 오목한 부분 9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목한 부분 9에는 베이비 파우더 8이 분말 상태로 보유된다. 베이비 파우더 8을 오목한 부분 9가 형성된 부분에 산포하고, 예를 들면 솔 등으로 오목한 부분 9내에 넣은 상태로 만든다.
또한 베이비 파우더 8로서는, 시판용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Johnson & Johnson사의 "베이비 파우더"를 사용하면, 오목한 부분 9내에 이것을 효과적으로 매립시켜 향료가 주변으로 퍼지게 할 수 있다.
제4도에는 내면재 11이 위로 향한 상태인,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12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내면재 11의 아래 방향에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재 13이 위치되어 있다.
제4도로부터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내면재 11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분포된 여러 홈에 의해 오목한 부분 14가 형성된다. 특히, 이 태양에서는 오목한 부분 14는 아기 또는 환자의 허벅지와 접촉하는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제4도의 선 V-V에 따라 절취한 확대 단면도가 제5도에 나타나 있다. 제5도에서는 상술한 내면재 11과 접착된 외면제 15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흡수재 13은 3층 구조로서 2개의 헝겊형 부재 16과 17의 사이에 솜형 부재 18이 끼워진 구조로 되어 있다.
제5도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면재 11과 외면재 15가 서로 접착된 부분에 상술한 오목한 부분 1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한 부분 14는, 예를 들면 1회용 기저귀 12의 제조 공정에서 실시하는 절단 단계에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절단용 금형에서 오목한 부분 14를 형성하는 형상을 만들기 위해서는, 소위 엠보싱 가공으로 이 오목한 부분 14를 성형할 수 있다. 즉, 보다 확실히 오목한 부분 14를 형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열을 가하면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절단 단계와는 별도로, 오목한 부분의 형성을 실시할 수도 있다.
홈 상의 오목한 부분 14는 바람직하게는 전후 1mm 간격으로 내면재 14의 양옆 가장자리를 붙여 다수 성형할 수 있다.
오목한 부분 14내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 19가 분말상태로 보유되어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을 나타낸다. 제6도에 나타낸 태양은 제4도에 나타낸 1회용 기저귀 12에 테이프 20을 부착시킨 것이다. 테이프 20은 다수의 세공을 갖고 있기 때문에 투수성이 있으며, 상술한 오목한 부분 14를 덮기 위하여 내면재 11에 접착시킨다.
제6도의 태양에 의하면, 오목한 부분 14에서의 베이비 파우더 19의 보유지속성이 더 우수하며, 이러한 1회용 기저귀 12를 사용하는 상술한 베이비 파우더 19를 더 우수하게 보유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착용후 베이비 파우더 19효과의 지속성을 더 오래 유지시킬 수 있다.
상술한 테이프 20은 신축성, 특히 종 방향의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신축성 테이프 20을 신장시킨 상태로 내면재 11에 접착시키면, 테이프 20자체의 압축에 의해 1회용 기저귀 12의 양옆 가장자리를 따라 알맞는 신축성 개더가 자연히 형성된다.
또한 테이프 20은 흡수시 신축성을 갖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소변이 옆으로 새는 경우, 테이프 20이 신축하여 이렇게 옆으로 새는 것을 1회용 기저귀 12의 양옆 가장자리에서 방지할 수 있다.
제7도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이 나타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면재 21의 거의 전면에 걸쳐 오목한 부분 22가 분포되고, 또한 이러한 오목한 부분은 점형으로 형성된다.
오목한 부분 22가 점형으로 형성되어도, 상술함 홈형의 오목한 부분 14(제5도 참조)와 마찬가지로 베이비 파우더를 그속에 보유시킬 수 있다. 또한 오목한 부분 22가 내면재 21의 거의 전면에 걸쳐 분포되면, 베이비 파우더가 보다 넓은 범위에 걸쳐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목한 부분 22가 내면재 21의 거의 전면에 걸쳐 형성되는 경우, 내면재 21을 1회용 기저귀의 또 다른 성분과 결합시키기 전에, 이것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 나타낸 점형의 오목한 부분은 제4도에 나타낸 홈 형의 오목한 부분 14와 마찬가지로 내면재 21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만 분포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반면, 제4도에 나타낸 홈 형의 오목한 부분 14에 있어서도, 내면재 11의 거의 전면에 분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제8도에는 내면재 31이 위로 향한 상태인,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32의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외면재 3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의 외면제 33과 중첩되고, 이들 내면재 31과 외면재 33의 사이에 흡수재 34가 들어 있다.
또한 이러한 1회용 기저귀 32의 양옆 가장자리에는, 종 방향의 탄성부재 35가 내면재 31과 외면재 33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배치되어, 이에 의해 신축성 개더 36을 형성한다.
제9도에는 제8도에 나타낸 내면재 31의 투시도가 나타나 있다. 또한 제9도에서는 내면재 31의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 제조중간의 상태가 나타나 있다.
내면재 31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접혀지는 한쌍의 평행한 접는 선 37 및 38을 갖는 Z자형 단면을 이루는 중첩부분 39가 옆 가장자리의 종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9도에는 중첩부분 39의 다른쪽 일부가 파단되어 나타나 있는데, 이 내부에는 베이비 파우더 40이 채워져 있다. 이러한 베이비 파우더 40은, 제9도에서 양쪽 옆 가장자리에서 설명하면, 접는 선 37에서 중첩부분의 안쪽에 형성된 간극 41에 넣는다.
이러한 베이비 파우더 40이 간극 41로부터 빠져 나오지 않게 하기 위하여, 이 간극 41의 개방부를 밀폐시킨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제9도의 반대쪽 옆 가장자리 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는 선 37과, 접합부분 42에 중첩된 내면재 31의 평면부분을 접합시키고, 또한 접는 선 38과, 접합부분 43에 중첩된 내면재 31의 평면부분을 접합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첩부분 39의 양 말단부분에도 접합부분 44 및 45가 형성된다. 따라서, 접는 선 37을 따라 접혀진 부분에는 밀폐된 자루형부분이 형성되어, 베이비 파우더 40이 간극 41을 통해 빠져 나가는 것을 실질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내면재 31을 구성하는 부직포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기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은 접합부분 42 내지 45의 형성은 열 용착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열 용착 대신 접착제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내면재 31을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흡수재 34 및 탄성재 35를 끼운 상태로 외면재 33과 예를 들면 열 용착에 의해 접합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조한 기저귀 32는 그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내면재 31의 뒷면쪽에서 베이비 파우더 40을 보유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이 베이비 파우더 40은 내면재 31을 통과하고 내면재 31의 앞쪽에 도달하여 아기 또는 환자의 피부에 직접 작용한다.
또한 상기 도시된 태양에서는 베이비 파우더 40이 담긴 간극 41을 형성하는 중첩부분 39는 피부에 접촉하는 쪽에 위치한 접는 선 37을 따라 접혀진 부분이지만, 접는 선 38에 의해 접혀진 부분의 안쪽에 형성된 간극에 베이비 파우더를 담을 수도 있고 이들 양쪽의 간극에 베이비 파우더를 담을 수도 있다.
또한 제8도에 나타낸 1회용 기저귀 32는 제9도에 나타낸 내면재 31의 윗면을 피부에 접촉하는 쪽으로 향하게 사용하지만, 반면 제9도의 아래 면을 피부에 접촉시키는 쪽으로 향하게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는 선 37을 따라 접합부분 42를 형성할 시, 중첩부분 39가 내면재 31의 다른 부분에 대해 그다지 커다란 단계를 이루지 않기 때문에, 착용감이 우수해지는 이점이 있지만, 이러한 이점을 바라지 않을 경우에는 접는 선 37과 내면재 31의 평면 부분과의 접합은 특별히 필요하지는 않다.
반면, 베이비 파우더 40을 담는 도시된 장소와는 달리, 접는 선 38에 의해 형성된 접혀진 부분의 안쪽의 간극에 베이비 파우더를 담을때에는 접는 선 38과 내면재 31의 평면부분과의 접합부분 43은 특히 필요하지는 않다.
또한 도시된 태양에서는 종방향의 중첩부분 39전면에 걸쳐 베이비 파우더 40을 산포하지만, 이러한 베이비 파우더 40은, 예를 들면 중첩부분 39의 종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집중시켜 산포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 40이 간극 41을 통해 빠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접합부분 43을 형성하지만, 이러한 접합부분에서 베이비 파우더가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는, 완전할 필요는 없고 빠져나가는 것을 약간 허용하는 정도로 간극을 형성할 수 있다.
제10도에는 내면재 51이 위로 향한 상태인,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52가 일부 파단된 평면도가 나타나 있다. 내면재 5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외면재 53과 중첩되고, 이들 내면재 51과 외면재 53과의 사이에는 흡수재 54가 들어 있다.
또한 이러한 1회용 기저귀 52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는 종방향의 탄성부재 55가 배치되어 이에 의해 신축성 개더 56이 형성된다.
제10도에는 개더 56을 형성하기 위한 각 탄성부재 55와, 흡수재 54의 각 옆 가장자리의 사이에 종방향의 실린더형 자루 57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57내에는 베이비 파우더가 분말상태로 담겨져 있다. 이러한 자루 57의 제조방법의 한 예로서 제11도 내지 제13도를 차례로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내면재 51과 동일한 재질의 부직포 또는 비교적 다공질 종이에 의해 다수의 세공이 있는 자루형 시트 58을 준비하고, 이것을 실린더형으로 둥글게 만들어 안쪽에 베이비 파우더 59를 담는다. 시트 58을 서로 합친 양 개방 가장자리 60을, 예를 들면 열용착 또는 접착등에 의해 접합시킨다. 양 개방 가장자리 60의 접합을 완결시켜 시트 58을 실린더 형으로 만들고 베이비 파우더 59를 담을 수도 있다.
그후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형 시트를 적당한 간격으로, 예를 들면 열용착등에 의해 시트 58의 아래 위 부분을 서로 접합시켜 여러 밀봉부분 61을 종방향으로 분포시킨다. 이 밀봉부분 61의 한 부분을 형성한 후, 소정량의 베이비 파우더 59를 실린더형 시트 58내에 넣고, 그후 이이서 밀봉부분 61을 형성하는 방법을 차례로 실시할 수도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구조물은, 예를 들면 릴(도시되어 있지 않음)상에 감아서 제조라인에서 절단선 62에 따라 절단한, 제13도에 나타낸 일정길이의 자루 57로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면재 53과 내면재 51의 사이에 끼워 넣는다.
따라서 자루 57과 내면재 51 및/또는 외면재 53을 열용착 또는 접착시키거나, 자루 57의 주변에 내면재 51과 외면제 53을 열용착 또는 접착시키거나, 또는 이들 조작을 다 실시하여 자루 57을 기저귀 52의 일정한 위치에 배치시킨다.
이러한 1회용 기저귀 52을 사용할 경우, 자루 57내에 담긴 베이비 파우더 59는 자루 57에 다수 형성된 세공을 통과하여 자루 57의 바깥쪽에 도달하고 부직포등의 투수성 내면재 51을 통과하여 아기 또는 환자등의 피부에 접촉한다.
상술한 태양에서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 59를 담는 자루 57을 연속 공정으로 제조하면, 우수한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태양의 특징인 자루는 다른 제조방법으로는 제조할 수 있고, 또한 그의 전체적인 형태도 종방향의 자루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비교적 짧은 자루일 경우 이것을 다수 이용하여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배열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태양에서와 같이 자루 27을 개더 형성용 탄성부재 55의 안쪽에 배치하면, 탄성부재 55의 압축에 의한 개더 56의 형성에 어느 정도 지장을 주지않는 이점이 있지만, 이러한 이점을 바라지 않을 경우엔, 자루의 배치장소는 임의로 선택한다.
또한 도시된 태양에서는 자루 57을 내면재 51과 외면재 53의 사이, 즉, 내면재 51의 뒷면 쪽에 배치하지만, 예를 들면 내면재 51의 앞면에 배치할 수도 있다.
제14도에는 내면재 71이 위로 향한 상태인,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른 1회용 기저귀 72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내면재 71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외면재 73과 중첩되고, 이들 내면재 71과 73의 사이에는 흡수재 74가 들어 있다.
내면재 71과 외면재 73은 각각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저귀 72를 제조할 경우에는 내면재 71과 외면재 73을 합친 상태로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면 주변 부분을 열용착 시킨다. 또한 내면재 71 및/또는 외면재 73과 흡수재 74의 사이에는 여러 장소에 분포된 접합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접합에는 열용착 외에 접착제도 사용할 수 있다.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저귀 72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는 신축성 개더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개더 75를 형성하기 위하여, 종 방향의 탄성부재 76을 사용한다. 탄성부재 76으로서는 비교적 폭이 넓은 테이프 형이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폭 13mm, 두께 2.0mm인 것을 사용한다. 탄성부재 76은 개더 75를 형성하기 위해 신장된 상태의 양 말단부분은, 예를 들면 외면재 73에 고착시킨다. 또한, 필요할 경우, 탄성부재 76의 종방향의 중간부분중 여러 곳에서 내면재 71 및/또는 외면재 73의 사이에서 접합시킬 수도 있다.
탄성부재 76의 확대 단면도가 제15도에 나타나 있다. 탄성부재 76은 연질 포옴재로서 구성되는데, 한 예로서 우레탄 포옴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연질 포옴재를 사용하면, 종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것과 함께 두께 방향에 대해서도 탄성을 갖으며, 내면재 71을 통해 보다 부드러운 감촉도 제공할 수 있다.
연질 포옴재로 된 탄성부재 76에는 여러 기포 77이 형성되는데, 이 기포 77내에는 베이비 파우더 78이 분말상태로 보유된다. 특히 이 태양에서는 베이비 파우더 78의 분포밀도가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부재 76의 두께 방향에 대해 다르게 된다.
즉, 제15도의 탄성부재 76에서 위로 향한 면은 내면재 71쪽으로 향한 면인데, 이러한 윗면으로 향해 열려진 기포 77내에서는 보다 많은 베이비 파우더 78이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분포상태를 선택함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내면재 71이 앞면쪽까지 베이비 파우더 78을 보낼 수 있게 되며, 기저귀 72의 사용시 마지막까지 사용되지 않는 베이비 파우더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의 분포상태를 만들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제15도의 탄성부재 76에 따라서 윗면으로 향해 베이비 파우더를 산포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자연히 윗면으로 열려진 기포 77내에 보유된 베이비 파우더 78의 양이 보다 많아진다. 또한 탄성부재 76을 구성하는 포옴재에는 독립기포형, 연속기포형 및 이들의 중간형이 있는데, 적어도 완전한 독립기포형이 아닌한, 베이비 파우더 78을 탄성부재 76의 두께 방향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기포 77내에도 보유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비 파우더 78을 탄성부재 76에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완전한 독립기포형이 아닌한, 예를 들면 아랫면으로부터 진공 흡인시켜 윗면에 베이비 파우더를 산포하여, 제1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포 77내에 베이비 파우더 78을 보유시킬 수 있다.
또한 1회용 기저귀 72의 제조공정에서, 베이비 파우더 78을 탄성부재 76에 공급하는 단계는 가능한한 뒤의 방법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일단 공급한 베이비 파우더는 그후에 제조단계에서 빠져나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시된 태양에서는 테이프형 탄성부재 76을 사용하지만, 끈형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기저귀 72의 각 옆 가장자리에 다수의 이러한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태양, 제3도에 나타낸 태양,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태양, 제6도에 나타낸 태양, 제7도에 나타낸 태양, 및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낸 태양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1회용 기저귀의 일정 장소에 베이비 파우더를 공급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베이비 파우더를 능률적으로 부여하는 방법 및 장치의 예를 하기에서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 설명하는 구체적인 베이비 파우더 공급 방법 및 장치는 특히 제3도에 나타낸 태양과 같이 1회용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베이비 파우더를 공급하는데 적절하다.
제16도에 일부가 나타난 바와 같이, 1회용 기저귀의 제조과정 중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1회용 기저귀를 구성하는 내면재, 흡수재 및 외면재를 적층시킨 적층 연속 시트 81의 형태를 만드는 단계가 있다. 적층 연속 시트 81은 화살표 82로 나타낸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차례로 1회용 기저귀를 제조하는 여러 가공을 수행한다. 제16도에 나타낸 단계는 이러한 제조 단계의 거의 최종 단계에 상응하는데, 개별 1회용 기저귀로 절단시키기 전에 적층 연속 시트 81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을 안쪽으로 구부리는 단계를 나타낸다.
제1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적층 연속 시트 81의 윗면에는 이 폭보다 축방향의 길이가 짧은 회전 드럼 83이 가압 접촉되어, 이 양옆 가장자리 부분 84가 이에의해 약간 안쪽으로 구부러진다. 그후, 적층 연속 시트 81을 반대방향을 향한 한쌍의 굴절안내기 85, 86으로 유도한다. 굴절안내기 85, 86은 L자형 또는 U자형 단면을 갖으며, 적층 연속 시트 81이 이들 굴절안내기 85, 86을 통과할 시, 아래 방향으로부터 도입된 컨베어벨트 87에 의해 보유되는 상태로 강제적으로 보내진다. 굴절 안내기 85, 86을 통과시킨 적층 연속 시트 81은 이 양옆 가장자리 부분이 완전히 안쪽으로 구부러진 상태로 된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렇게 완전히 구부린 적층 연속 시트 81은 제16도에 일점쇄선 88, 89로 나타낸 장소에서 절단하고, 각각의 1회용 기저귀로 만든다.
본 발명의 한 태양인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는 상술한 회전 드럼 83과 굴절 안내기 85, 86과의 사이에 배치한다.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80은 적층 연속 시트 81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 84부근의 각각에 관련시켜 설치한다.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90의 제16도에 나타난 부분중 일부 단면의 정면도가 제17도에 나타나 있다.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3 내지 4kg/㎠ 정도의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원(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압축 공기 도입 호수 91에 연결되어, 이 호스 91을 통해 압축 공기가 말단부분에 공기 노즐 92를 갖는 도관 93내에 도입된다. 도관 93과 호스 91과의 연결부분에는 압력조절 핸들 94가 설치되어 공기 노즐 92내로 공급된 압축공기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기 노즐 92의 단말부분에는 압축 공기를 분사시키는 분사구 95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공기 노즐 92를 둘러싸기 위하여, 관형 임시 저장기 96을 설치한다. 임시 저장기 96은 분사구 95로부터 분사된 공기에 접하는 위치에 출구 97을 갖으며, 이러한 출구를 갖춘 말단부분에는 끝이 가는 테이프로 된 내부 주변면 98이 형성되어있다. 따라서 이 태양에서 분사구 95는 출구내에 97과 동일축 선상으로 위치되어 있다.
임시 저장기 96의 상부에는 베이비 파우더 99를 이 임시 저장기 96내에 도입하기 위한 도관 100이 형성되어 있다. 도관 100은 제18도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베이비 파우더 공급기 101에 연결되어 있다.
공기 노즐 92에는 이 태양에서는 관 형 임시 저장기 96을 둘러싸기 위한 관형 흡인실 102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실 102는 적층 연속 시트 81을 향하여 말단면에 개방구 103을 형성한다. 또한 흡인실 102내의 공간과 연결되어 옆 방향으로 뻗은 배기관 104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관 104에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펌프가 연결되어 이에 흡인실 내에 부압이 가해진다.
제17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임시 저장기 96의 출구 97을 형성하는 말단부분은 바람직하게는 흡인실 102의 개방구 103을 형성하는 말단면에 대하여 동일면상에 약간 안쪽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것은 보다 예리한 임시 저장기 96의 말단부분이 연질재료로 된 적층 연속 시트 81의 위로 향한 면에 직접 접촉되어 이것을 찢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흡인실 102의 개구 103의 형성된 말단면은 비교적 넓은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적층 연속 시트 81의 위로 향한 면에 접촉시킬 수도 있고, 또는 약간의 간격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8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임시 저장기 96에 단위 시간단 소정량의 베이비 파우더를 공급하기 위한 베이비 파우더 공급기 101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공급기 101은 우선 베이비 파우더 99가 투입된 것을 저장하는 호퍼(Hopper)부분 105를 갖는다. 호퍼 부분 105내에는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향한 회전축 106을 갖는 교반 날개 107이 배치되어 있다. 이 교반 날개 107은, 예를 들면 화살표 108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시켜 호퍼 부분 105내에 저류된 베이비 파우더 99가 응집되는 것을 방지한다. 호퍼 부분 105의 아래 말단부분에는 배출 통로 109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 통로 109의 중간에는, 예를 들면 수평방향으로 향한 회전축 110에 의해 회전된 공급로터 111이 배출 통로 109를 밀폐시키기 위해 배치되어 있다. 공급 로터 111은 배출 통로 109를 규정하는 벽면에 접한 상태로, 예를 들면 화살표 112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공급로터 111에는 일정한 폭을 갖는 홈 113이 원형으로 뻗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홈 113내에는 소정량의 베이비 파우더 99가 담겨져 있다. 상술한 홈 113내를 채우는 베이비 파우더 99는 공급 로터 111의 회전에 의해 배출 통로 109를 통과하여 배출 통로 109의 아래 방향으로 열려진 부분에 도달한다. 이 부분에는 스크래핑(Scraping)부재 114가 홈 113내에 돌입하는 상태로 설치된다. 스크래핑 부재 114는 홈 113내에 채워진 베이비 파우더 99를 스크래핑하여 화살표 1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베이비 파우더 99를 아래 방향으로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배출 통로 109로부터 배출된 베이비 파우더 99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도관 100을 통해 임시 저류 부분 96내에 공급된다.
하기에 제16도 내지 제18도를 적절히 참조하여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9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압축공기 도입 호TM 91 및 도관 93을 통하여 공기 노즐 92로부터 압축공기가 분사된다. 이때, 압력 조절 핸들 94에 의해 이와 같이 분사된 압축공기의 분사력을 적당히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8도에 나타난 베이비 파우더 공급기 101의 호퍼 부분 105내로 베이비 파우더 99를 투여하고, 교반 날개 107 및 공급 로터 111을 각각 가동한다. 이에 따라 공급 로터 111의 홈 113을 채운 베이비 파우더 99가 공급 로터 111의 회전과 함께 배출 통로 109의 출구쪽으로 운반되고, 여기에서 스크랩 부재 114에 의해 화살표 11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떨어진 후,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관 100을 통해 임시저류 부분 96내로 공급된다. 또한 이 임시 저장기 96에의 베이비 파우더 99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공급 로터 111의 회전수를 적당히 조절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임시 저장기 96내로 공급된 베이비 파우더 99는 끝이 가는 테이프로 된 내부 주변면 98에 도달하여, 여기에서 공기 노즐 92의 분사구 95로부터 분사된 공기와 접촉한다. 이에 의해 베이비 파우더 99는 분사구 95로부터 분사된 압축공기를 통해 적층 연속 시트 81의 한쪽면 상으로 분사된다.
제16도에 나타난 한쌍의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90과 적층 연속 시트 81의 위치관계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된 베이비 파우더 99는 적층 연속 시트 81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 84의 부근에 공급된다. 제16도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지만, 이러한 베이비 파우더 99가 공급된 적층 연속 시트 81의 한쪽면은 1회용 기저귀 내면재의 앞면에 상응한다. 따라서 이러한 적층 연속 시트 81을 절단하여 얻은 개별 1회용 기저는 내면재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따라 베이비 파우더 99가 공급되는 부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베이비 파우더 99가 공급된 적층 연속 시트 81은 그후 곧바로 굴절안내기 85, 86내를 통과하고, 베이비 파우더 99가 공급된 면을 안쪽으로 향하여 이 양옆 가장자리 부분 84가 완전히 구부러지도록 한다. 그후, 상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일점쇄선 88, 89에 의한 절단이 이후의 공정에서 실시되면, 이 적층 연속 시트 81은 개별 1회용 기저귀로 된다.
한편 제17도에 잘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흡인실 102의 개방구 103이 형성된 단말면은 적층 연속 시트 81의 위로 향한 면에 접하는 약간의 전극을 형성한다. 여기에 배기관 104를 통해 부압을 가하여, 이에 의해 적층 연속 시트 81에 부착되지 않고 분리된 베이비 파우더 99를 진공흡인에 의해 제거한다.
또한 베이비 파우더 공급장치 90이 설치된 위치 또는 1회용 기저귀의 제조과정에서 베이비 파우더 99를 공급하는 단계는, 도시된 태양에서와 같이, 굴절 안내기 85, 86을 통과하기 직전, 즉, 적층 연속 시트 81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을 구부리는 단계 직전뿐만 아니라, 이보다 전단계에 공급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 노즐 및 임시 저장기의 형태를 변형시켜, 적층 연속 시트 81의 구부리는 부분의 간극으로부터 베이비 파우더를 분사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명세서의 "절단할시 개별 1회용 기저귀로 되는 적층 연속 시트"라는 용어는 1회용 기저귀로서의 모든 성분을 포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내면재에 상응하는 연속 시트가 아직 적층되지 않은 단계일 수도 있다. 따라서 내면재의 아래에 위치하는 흡수재의 위에 베이비 파우더를 공급하고, 그후 내면재를 적층시킬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1회용 기저귀에 항상 포함되는 신축성 개더를 형성하기 위한 탄성부재, 아기 등의 착용시 잠그는 장치가 부착되지 않은 상태라도, "절단할 시 개별 1회용 기저귀로 되는 적층 연속 시트"로 언급된다.
또한 질소 노즐 92와 임시 저장기 96의 위치관계에 대해서도, 도시된 태양과 같이 한정할 필요는 없다. 즉, 임시 저장기에는 공기 노즐의 분사구로부터 분사된 압축질소에 접하는 위치에 출구가 설치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임시 저장기 96의 출구 97을 형성하는 말단부분과 흡인실 102의 개방구 103을 갖는 단말면과의 위치관계는 동일 면상에 위치되거나, 임시 저장기 96의 말단부분이 약간 안쪽으로 위치되는 것이 적층 연속 시트 81의 원활한 주행을 막지 않으며, 또한 흡인실 102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부압을 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지만, 이러한 이점을 바라지 않는다면, 임시 저장기 96의 말단부분이 흡인실 102의 말단면으로부터 돌출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투수성 내면재(1,11,21,31,51,71); 바깥쪽을 향한 방수성 외면재(3,15,33,53,73); 상기 내면재와 외면재의 사이에 끼어있는 흡수성 흡수재(4,13,34,54,74); 상기 내면재 상에 분말 상태로 보유된 베이비 파우더(7,8,19,40,59,78); 상기 내면재 상에서 베이비 파우더의 보유 지속성을 개선 시키기 위한 수단; 및 기저귀의 양옆 가장자리 부분(6)에 존재하는 개더(5)를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보유 지속성 개선수단은 내면재의 여러곳에 분포된 오목한 부분(9,14,22)을 포함하고 있어, 이 부분내에 베이비 파우더(8,19)가 분말상태로 보유되며, 오목한 부분(9)는 개더의 주름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1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부분이 내면재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분포된 1회용 기저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부분을 덮기 위하여 내면재에 접착시킨, 다수의 세공이 있는 테이프(20)을 더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한 부분(22)이 내면재(21)의 거의 전면에 분포되는 1회용 기저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지속성 개선수단이 베이비 파우더(7)을 상기 내면재(1)의 뒷면쪽에 위치시킨 것을 포함하는 1회용 기저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비 파우더가 상기 내면재의 양옆 가장자리 부근에 더 많이 분포되는 1회용 기저귀.
KR1019870001783A 1986-02-28 1987-02-28 1회용 기저귀 KR9000056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5078 1986-02-28
JP4507886 1986-02-28
JP79014 1986-04-04
JP61079014A JPS62276004A (ja) 1986-02-28 1986-04-04 使い捨ておむつ
JP157544 1986-07-03
JP61157544A JPS6312706A (ja) 1986-07-03 1986-07-03 使い捨ておむつ
JP172354 1986-07-21
JP61172354A JPS6328905A (ja) 1986-07-21 1986-07-21 使い捨ておむつ
JP172353 1986-07-21
JP61172353A JPS6328904A (ja) 1986-07-21 1986-07-21 使い捨ておむつ
JP197780 1986-08-22
JP61197780A JPS6359402A (ja) 1986-08-22 1986-08-22 使い捨ておむつ
JP282781 1986-11-26
JP61282781A JPS63135502A (ja) 1986-11-26 1986-11-26 使い捨ておむつに対してベビ−パウダ−を付与する方法およ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670A KR870007670A (ko) 1987-09-21
KR900005652B1 true KR900005652B1 (ko) 1990-08-03

Family

ID=6842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783A KR900005652B1 (ko) 1986-02-28 1987-02-28 1회용 기저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65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7670A (ko) 198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53643A (en) Disposable diaper
US6972011B2 (en) Ultra-thin absorbing sheet bod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ultra-thin absorbing sheet body and production device for ultra-thin absorbing sheet body
CN102215803B (zh) 一次性体液吸收性穿着用品
EP1803430B1 (en) Absorptive article
KR100945976B1 (ko) 흡수체 제품
US8541644B2 (en) Absorbent body for a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of producing an absorbent body
US8524355B2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S2203372T3 (es) Procedimiento de aplicacion intermitente de material particulado.
US7591809B2 (en) Sanitary absorptive article producing device and method
CN101068519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2004275225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H04161152A (ja) 使い捨て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2006280581A (ja) 吸収性物品における弾性部材の取付装置
KR900005652B1 (ko) 1회용 기저귀
CN105246441A (zh) 一次性套穿型尿布
KR0164964B1 (ko) 생리용 냅킨 및 그 제조방법
JP2021164570A (ja)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AU650902B2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omposite product
JPH11244329A (ja) 吸収性製品の製造装置
JP2005514128A (ja) 多層創傷包帯の製造のためのプロセス
JP2004024821A (ja) 陰唇間パッドの製造方法
RU2302846C2 (ru) Ад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с боковыми крылышками, механически соединенными с поверхностным слоем
KR850000695B1 (ko) 재봉함 가능한 디스펜서 용기의 제조방법
JP5235886B2 (ja) 吸収体製品
MXPA00004492A (en) Method for intermittent application of particula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